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감상 수업에 관한 인식 형성 과정 탐색

        신혜경(Shin Ha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의 음악 감상 수업에 대한 인식 형성 과정 탐색을 목적으 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음악교사들은 감상 수업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형성해나가는가? 예비음악교사들이 감상 수업의 계획 및 시연 과정에서 경 험하는 어려움과 보람은 무엇인가? 3) 예비음악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감상 수업과 이를 위하여 요구되는 교사 역량은 무엇인가? 연구 대상은 A 대학원 ‘감상지도법’ 강 좌를 수강한 예비음악교사들이며, 수업반성저널과 수업지도안, 동료 및 자기평가지, 그리고 연구자 연구일지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은 문헌 고찰과 수업시연에서 경험하는 반성적 실천을 통하여 감상 수업의 개념을 구체화하였으며, 특히 감상 활동의 인지적인 측면에 주목하였다. 둘째, 예비음악교사들이 수업시연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수업지도안의 논리적 구성 과 교수 학습 자료의 선정 및 제작, 다양한 시대와 장르를 포괄하는 감상 수업의 범위,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학생의 수준 이해와 소통, 인지적 활동 촉진을 위한 피드백 제공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비음악교사들은 자신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 발견, 다양한 주제의 감상 수업 가능성 탐색, 시연에 대한 동료들의 공감과 인정에서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음악교사들은 좋은 감상 수업의 요인을 명확한 학 습목표 설정, 수업에 대한 논리와 타당성, 다양한 활동을 통한 몰입, 학습자 스스로 사 고할 수 있는 시간, 음악을 듣고, 느끼고, 사고하고, 표현하기의 연계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교사 자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을 예비음악교사의 관점에서 탐색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re-service music teachers construct concept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music appreciation by analyzing their reflective journals. Fifteen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had taken the Teaching Method of Music Appreciation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 entries for every class during the semester, including midterm and final reflective journal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i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construct concept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music appreciation? 2) What problems di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ncounter while planning their lessons? and 3) Based on their experiences during this course, what did they find to be significant for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nd which qualifications did they think music teachers should possess for effective instr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constructed the concepts of music appreciation by analyzing literatures and experiencing microteaching processes. Second, overall,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ring the process of designing lesson plans, selecting and producing the teaching materials, and covering the broad range of learning content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they discovered the topics they wanted to specialize in, realized the potential of various types of music appreciation lessons, and received empathy and recognition from their peers. Thir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identified the conditions of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long with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of music teachers as follows: definite learning objectives, validity and logic about the instruction, learners’ immersion, reasonable time allotted for thinking, the process of listening to and sensing music, and thinking about and expressing their idea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made suggestions for enhancing reflective pre-service music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의 음악사적 의의 -음악학자 이보형의 역할을 중심으로-

        최지연 ( Choi Ji-yeon ) 한국음악사학회 2017 한국음악사학보 Vol.58 No.-

        본 연구는 음악학자 이보형이 수집한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 관련자료들을 토대로 당시 개최된 감상회의 구체적인 정황을 살펴본다. 더불어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를 두고 판소리의 전승 및 보급을 강조했던 기존 연구와 달리 감상회에서 음악학자 이보형의 역할을 검토하여 그 의미를 살펴본다.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는 약 4년 8개월에 걸쳐 100회 동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회차별 날짜 및 출연자에 대한 기록조차 온전히 드러난것이 없어 신문기사 및 인터뷰를 통해 부분적으로 이해되었다. 이보형 소장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 출연자 목록은 감상회의 회차별 날짜, 출연자, 공연내용 정보를 수록한다. 이보형 소장 목록은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의 전모(全貌)를 파악하는 근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에서 음악학자 이보형은 감상회의 기획 및 진행 전반에 깊숙이 관여했으며 이는 출연자 선정, 소리제 선정, 사설집 제작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보형은 출연자 및 소리제 선정의 기준으로 정통성을 꼽는다. 정통성은 판소리의 전승에서 끊임없이 거론되었으나 정통성이라는 말 뿐 구체적인 근거나 기준이 부족했다. 그러나 이보형은 본인의 연구와 조사를 바탕으로 정통성의 기준을 음악 안에서 드러내었다. 이보형은 음악적으로 고제(古制)라는 내적인 기준을 제시하여 정통성의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이보형은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의 사설집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당시 출판된 사설집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사설집의 배부 자체만으로 큰 의미가 있었다. 또한 정통성이 확보된 소리제를 기록한 사설집이기 때문에 사설집의 제작은 판소리 연구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판소리의 학술적인 자료를 축적하여 판소리 연구의 저변을 넓혔다.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가 판소리의 전승 및 보급에 끼친 영향은 이미 알고 있는 바이다.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가 이러한 평가를 받기까지는 판소리에 대한 음악적 이해 및 연구를 기반으로 한 공연 기획 및 진행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음악학자 이보형의 역할은 주목받아야 당연하다. 이보형은 음악학자로서 판소리의 음악적인 연구를 통해 옛 명창들의 더늠을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동시대 명창들의 소리와 연관성을 비교하는 등의 정통성을 판단하는 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 소리제 선정에 적용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이보형의 역할로 인해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가 판소리라는 음악의 역사에서도 중요한 지점으로 거론되어 질 수 있었던 것이다. 즉, 그는 판소리의 “정통성”에 대한 내적인 기준으로서 음악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실제 이를 적용한 판소리 공연 무대를 만들어 내면서 이후 판소리의 전개에 영향을 끼쳤다. 더불어 이보형은 현재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 관련 다양한 자료를 남겼다. 관련 공식적인 자료가 출판 또는 발매된 것이 없는 지금 이보형의 소장 자료는 그 존재만으로도 판소리의 역사에 큰 공헌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rete context of the concert held at that time based on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Deeply-rooted Tree P`ansori Concert” collected by musicologist Yi Po-hyong 李輔亨.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emphasized the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of p`ansori in regards to the “Deeply-rooted Tree P`ansori Concert” this study will examine the role of musicologist Yi Po-hyong in the concert and its significance. Despite the fact that “Deeply-rooted Tree P`ansori Concert” was held over 100 times over about 4 years and 8 months, the record of the date and performer of each concert was not fully revealed and was partially understood through newspaper articles and interviews. The performer list of Yi Po-hyong, the Deputy Director of the concert includes the dates, performers, and performance information of each concert. It is expected that Yi Po-hyong`s collection list will be the basis for grasping the whole picture of “Deeply-rooted Tree P`ansori Concert” Yi Po-hyong as a musicologist, deeply involved in the planning and the proceeding of the concert including the selection of the performers, selection of a sect of p`ansori, and the production of the workbook. Yi Po-hyong set the standard as the criterion for choosing cast and a sect of p`ansori. Authenticity was constantly mentioned in the transmission of p`ansori, but it lacked specific grounds and standards as well as authenticity. However, based on his research and investigation, Yi Po-hyong revealed the standard of authenticity in music. Yi Po-hyong set up the basis of authenticity by presenting the antiqued style as the inner standard of music. Yi Po-hyong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roduction of a workbook of the concert. Since there were not many workbooks published at the time, distribution of workbook alone was meaningful. In addition, because it is a workbook that records authentic sect of p`ansori, the production of a workbook expanded the base of p`ansori research by accumulating the academic data of as well a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raise interest in p`ansori research. The influence of the “Deeply-rooted Tree P`ansori Concert” on the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of p`ansori has already been known. This is because th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gress based on the musical understanding and research about p`ansori have been carried out until the concert received such evaluation. In this respect, the role of musicologist Yi Po-hyong is noteworthy. In addition, Yi Po-hyong has left a lot of information about “Deeply-rooted Tree P`ansori Concert.” No official data has been published or released. That being said, it can be said that the existence of Yi Po-hyong`s collection is already a grea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p`ansori.

      • 음악요소에 기초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주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음악요소에 기초한 음악 감상활동을 통해 음악개념과 음악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음악 감상활동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62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2학급을 임의로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배정하였다. 우선 연구대상의 음악개념 하위영역인 음의 높낮이, 셈여림, 리듬, 빠르기, 음색, 화음과, 음악적 표현력의 하위영역인 노래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음악만들기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음악감상활동을 1회에 15~20분씩 8주 동안 16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감상이 종료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고전음악을 중심으로 구성된 음악요소에 기초한 음악 감상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실험집단과 같은 기간 동안 동일한 음악으로 음악요소에 대한 설명을 제외한 감상활동만을 실시하였다. 음악개념 측정도구로 강신영(2008)과 한희승(2010)의 검사도구를, 음악적 표현력 측정도구로는 김광자(2004)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음악요소에 기초한 음악 감상활동이 음악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요소에 기초한 음악 감상활동은 유아의 음악개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음악요소에 기초한 음악 감상활동이 음악적 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음악요소에 기초한 음악 감상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음악요소에 기초한 음악 감상활동은 유아의 음악개념과 음악적 표현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수 있다.

      • KCI등재

        영화음악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감상 수업 설계

        왕천,오사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Creative Music Appreciation Class Design Using Movie MusicWang Qian & Wu Sim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usic listening class that can enhance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through classical music listening activities inserted in movies. As a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an instructional plan for appreciation class using film music were designed.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e educational values ​​of film, music, creativity, and film music were investigated, and a lesson plan was presented based on the music appreciation less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 self-directed class would be possible by arou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through creative music appreciation class design using movie music. Second,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mode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reativity. Third, it was found that by watching both movies and music, they could learn how to feel and express various emotions and know the beauty of music.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meaningful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will continue, allow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reely express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 and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in music appreciation classes.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mainly on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presentation of lesson design guidance, it is necessary to study its effectiveness after applying it to the classroom in future studies. Key Words: Movie Music, Creativity, Music Appreciation, Teaching Appreciation, Class Design 영화음악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감상 수업 설계왕 천*ㆍ오 사 민**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영화 속에 삽입된 클래식 음악 감상 활동을 통해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서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음악 감상 수업을 설계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 방식과 영화음악을 활용한 감상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내용으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영화와 음악, 창의성, 영화음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음악 감상 수업모형을 토대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 첫째, 영화음악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감상 수업 설계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여 자기주도적인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 감상 수업모형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화와 음악 모두를 감상함으로써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표현하는 방법을 습득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알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음악 감상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음악의 아름다움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있는 음악 감상 교육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및 수업 설계 지도안 제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수업에 적용한 후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영화음악, 창의성, 음악 감상, 감상 지도, 수업 설계 □ 접수일: 2022년 9월 11일, 수정일: 2022년 9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세종대학교 음악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ejong Univ., Email: wangq916@naver.com)** 교신저자, 세종대학교 음악학과 박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Doctoral Course, Sejong Univ., Email: wsminkr@naver.com)

      • KCI등재

        진로 선택 과목 ‘음악 감상과 비평’의 음악 개념 지도 방향

        반명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3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는 고등학교의 진로 선택 과목 중 하나이다. 이 교과는 고등학교 수준에서 다룰 수 있는 여러 음악의 감상 및 비평을 주된 활동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반 선택 과목 ‘음악’ 교과와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음악 감상과 비평의 여러 활동에서 음악 개념은 여전히 중요하고 언어가 수반되는 감상, 비평 활동에서 음악 개념은 더욱 중요한 학습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의 음악 개념 지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진로 선택 과목에 따른 ‘음악 감상과 비평’의 교육적 당위로서 고등학교 음악적 인지 발달과 음악개념을 교수학습에 적용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음악’ 교과와 ‘음악 감상과 비평’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을 통해 ‘음악 감상과 비평’교과의 본질과 교수학습에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음악 감상과 비평’의 음악 개념 지도 방향에 관하여 교육과정의 내용 제시로서 음악 개념과 음악 개념 지도 적용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본 연구가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의 음악 개념 지도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subject is one of high school career electives subject. The subject differs from the general elective 'music' subject in that it focuses on listening and criticizing various music that can be handled at the high school level. Nevertheless, in the various activities of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music concepts are still important and in the critical activities involving language, music concepts are required as more important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music concept guidance in the subject of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o this end, we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pplying high school musical cognition development and musical concept to teaching and based on this, we identified the essence of th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aching and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ing and by comparing the curriculum of 'music' subject with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hrough this process, the direction of music concept guidance for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was divided into the application of music concept and music concept teaching as a presentation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I hope this study will help guide the music concept of th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subject.

      • KCI등재

        중등 음악 감상 교육의 실태 분석

        조성기,황여진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3

        The music curriculum emphasizes the comprehension of music elements and concepts and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pieces'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of the secondary school sites, instead of comprehending music elements and concepts, students mostly appreciate musical pieces based on textbooks' explanations about the musical pieces' era and the composers, and then they tell their impression, which is rather abstract activitie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musical characteristics, and actually they can't acquire the method of appreciating musical pieces. This study did survey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music appreciation class and opinions, and then the result was analyzed. The methods for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the discussion on the analysis result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and contents of appreciated musical piec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so that learning music elements, western music history and composers can be balanced. Second, musical pieces presented in textbooks should be small scale rather than vast scope, so that students can have interest and teachers can progress class smoothly. Third, music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problems of current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on their own, and various training and aid programs should be accompanied.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presented to improve teachers' music appreciation class methods, and various communities where teachers can share their methods should be provided.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의 요소 및 개념을 파악하고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도록 하는 감상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중등학교 현장의 음악 감상 수업에서는 음악의 요소 및 개념을 파악하는 활동 보다는 감상곡의 작곡 시대와 작곡가에 대한 교과서 해설을 바탕으로 악곡을 감상한 후 개인의 느낌을 말해보는 추상적인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악곡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실제로 악곡의 감상방법을 체득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교의 음악 감상 수업의 실태와 의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논의를 통해 효과적인 음악 감상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요소에 대한 학습과 서양음악사 및 작곡가에 관한 학습이 균형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감상 악곡의 종류와 내용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의 감상 악곡은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교사의 교육 활동에 수월한 진행을 위해 방대한 규모의 악곡 보다는 소규모의 악곡으로 선정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행 감상 교육의 문제점을 음악 교사 스스로가 인식하여 개선 의지를 보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연수와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들의 감상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해 교수․학습 자료와 교수 방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다양한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음악 감상과 발성 음악활동이 통증환자의 통증, 기분 및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이다연,이주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10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2 No.2

        이 연구는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 감상, 음악 감상과 결합된 발성 음악활동, 휴식을 시행하고 이에 따라 통증, 기분 및 자율신경계에 각각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2008년 1월부터 5월까지 서울시내 소재 모대학병원에서 통증관련 외래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중 통증진단을 받은 지 6개월 이상 된 만성통증 환자로 총 25명의 피험자가 모집되어 이중 실험을 완료하지 못한 7명을 제외하고 3주간의 실험을 모두 완료한 18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은 무작위로 연구자에 의해 배정된 순서에 따라 1주일 간격으로 휴식, 음악 감상, 음악 감상과 결합된발성 음악활동을 시행하고 사전 사후 자가통증척도, 기분상태 검사, 자율신경계 검사를 반복 측정하였다. 3가지 방법의 사전 사후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통증 점수의 변화량은 휴식-음악 감상과 결합된 발성 음악활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기분상태검사의 변화량은 휴식-음악 감상, 휴식음악 감상과 결합된 발성 음악활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자율신경계 검사의 변화량은 SDNN, 스트레스 저항도, 스트레스 지수에서 휴식음악 감상과 결합된 발성 음악활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넷째, 각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통증 감소에는 음악 감상, 음악 감상과 결합된 발성 음악활동이 모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기분상태에는 음악 감상이, 자율신경계 검사에서는 음악 감상과 결합된 발성 음악활동이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usic listening, vocalization with music listening, and break on chronic pain patients.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measure how much pain, mood,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were changed respectively. The subjects of study were chosen from chronic pain patients, who are under the care of a doctor at K university of hospital in seoul from January and May, 2008. The experiments were randomly assigned by research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 listening, vocalization with music listening and break on chronic pain patients at an interval of one week. It is following that the results were taken through analyzing pre and post test data of SF-McGill pain Questionnaire, Prosecutor of Mood States and heart rate variable. First, the change of pain grade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reak and vocalization with music listening. Second, the change of prosecutor of mood states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reak and music listening, break and vocalization with music listening. Third, the chang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reak and vocalization with music listening at its subarea: SDNN, stress resistance, and stress index. Fourth, both music listening and vocalization with music listening are of effective for the pain reduction. Music listening is of effective for mood states and vocalization with music listening is of effective for autonomic nerve system.

      •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배희진 ( Hee Jin Bae )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2009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주관적 음악감상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의 음악능력 발달(듣기, 리듬표현, 노래 부르기, 악기다루기, 음악적 창의력)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주관적 음악감상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의 신체표현능력 발달(동작의 다양성, 방향성, 시간성, 흐름변화, 표현성)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K유치원과 S유치원 2곳의 만 5세 유아 48명을 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으로 구성하였다. 음악능력 검사 도구는 Loten과 Walley(1979)의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에 제시된 총 89개 문항의 음악발달 검사를 이영희(2004)가 32문항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신체표현 능력 검사를 위해서는 Laban(1975)의 이론을 기초로 배현숙(1990)이 작성한 도구를 김은심(1994). 주미정(1998), 김미중(2004)이 수정, 보완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기간은 17주간이었으며, 실험집단에서는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주관적 음악감상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검사자 훈련, 예비검사, 사전검사,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주 2회로 총 24회를 13주에 걸쳐 실시, 사후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유아들의 음악능력 발달과 신체표현능력 발달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발달과 신체표현능력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두 집단 음악능력, 신체표현능력의 하위요소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향상이 있었다. 즉 음악능력 발달 하위요인인 듣기, 리듬표현, 음악적 창의력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신체표현능력 발달에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신체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임을 말하며 유아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on children`s musical skills and expressive movement ability. The main issu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development of musical skills (such as, listening skills, rhythm expression, singing, instrument manipulation, musical original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with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and the comparison group with subjective music appreciation activity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development of expressive movement ability (such as, diversity of motions, orientation, timing, flow variation, expressiv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with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and the comparison group with subjective music appreciation activity? 48 children with 5 years of age from K and S kindergarten in Tae-gu were includ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 group with 24 children and comparison group with 24 children. Musical skills were examined by 32 modified questions by Lee Young Hee(2004) extracted from 89 questions in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 by Loten & Walley(1979). Expressive movement abil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Bae Hyun Suk`s method based on Laben`s theory(1975) modified by Kim Eun Sim, Ju Mi Jeong, Kim Mi Jung.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was performed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subjective music appreciation activity for the comparison group for 17 weeks. Inspector training, pre-measure, preliminary exam, and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and post-measure were taken twice a week for 13 weeks sequentiall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ANCOVA`s test with musical skills and expressive movement ability as subcomponents was used to compare both groups. Results are as follows. Musical skill development, including listening, rhythm expression, and musical originality as subcomponents was improved with the experiment group. Second, expressive movement ability development was improved with the experiment group. In conclusion,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musical skills and expressive movement ability, and can be applied directly to education fields.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by each period of revision to identify current status and any change over time.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methodological aspect(how) while ex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what) and includ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data.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guidelin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a for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examination, it review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pieces centered on appreciation activities embodied in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of each period of revision. As a result, the chan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have drastically changed since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1st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textbooks were limited to using physical expressions and integrated activities. However, the revised music curricula and textbooks since 2007 presented more diverse and specific methods such as inter-curricular teaching, linking learning and arts, use of chuimsae, use of jeongganbo and gueumbo, use of various materials, use of visual, auditory, and physical activities, and use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re was also a phenomenon of integrating and expanding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trend was more prominent in the music textbooks than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used more diverse types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than the curriculum. Besides these positive changes, a need for improvement is recognized as there is a tendency to lean too much towards the use of physical expression and materials. These changes are the result of actively implementing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curricula of several periods of revisio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s expected to be achieved steadily. 본 연구는 국악 교수․학습 방법 중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개정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무엇을’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내용은 제외하고 ‘어떻게’에 해당하는 방법적인 부분만 연구 내용으로 제한하였으며,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먼저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통해 개정 시기별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과 이에 대한 지침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정 시기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구현된 감상 활동 중심 국악 제재곡의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초등학교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은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제1차에서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신체 표현을 활용하는 방법과 영역 또는 활동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법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2007년 이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교과 연계 지도, 예술 연계 지도, 추임새 활용, 정간보와 구음보의 활용, 다양한 자료의 활용, 시각적․청각적․신체적 활동 활용,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등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여러 유형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합하고 확대하여 활용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음악과 교육과정보다 음악 교과서에서 두드러졌으며 음악 교과서는 교육과정보다 더 다양한 유형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뿐 아니라 신체 표현 활용과 다양한 자료의 활용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은 여러 시기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라는 요구를 적극적으로 실천한 결과라 판단하며 앞으로도 꾸준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소그룹 동시 짓기에 관한 연구

        이수경,박부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

        유아교육 현장에서 음악적 경험 중에서 듣기, 더 나아가 감상은 다른 음악 활동에 선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현장에 있는 교사들의 인식 부족과 교수 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소홀히 여겨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통합적 활동을 통해서 음악감상을 구성하는 것은 유아들이 음악 감상에 흥미를 갖게 하며, 유아 스스로 음악적 개념이나 구조를 발견, 발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을 시작하기 전 계획단계에서 유아의 생각을 반영하였다. 교사의 기본적인 계획에 유아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반영하여 수업을 재구성하였고, 준비과정을 거쳐서 활동으로 이어졌다. 활동 후 연계활동으로 유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동시로 표현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다. 특히 만3세 유아들은 동시를 짓는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으므로 발달 특성상 개인적인 동시짓기 보다는 소그룹으로 시작하였다. 소그룹 토의를 통한 동시 짓기 활동은 자신의 의견을 나누며 또래들의 반응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소그룹 동시 짓기를 한 결과 첫째, 음악 감상을 계획할 때 여러 가지 요인의 발현을 통하여 유아들이 수업 계획에 참여했다. 주제나 음악의 제목을 활동 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음악의 요소로 접근하거나 유아들의 흥미나 경험을 바탕으로 활동을 계획하기도 했다. 교사는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왔다. 처음에는 음악 감상을 하기 위한 준비과정에 비중을 두었으나 활동을 진행하면서 음악적 개념을 발견하고 음악 감상에 적극적이었다. 둘째, 동시 결과물 분석은 이명화(2001)의 동시 구성 요소와 시적 표현력에 대해 분석한 도구를 참고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동시 짓기를 할 때 음악의 제목에서, 음악적 개념에서, 음악에서 들리는 느낌에서 주제를 찾기도 했지만 예전에 체험했던 경험에서 가장 많은 시상을 떠올렸다. 따라서 체험위주의 경험이 동시 짓기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또한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새로운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자극이 되었다. 동시에 관심이 없었던 유아들도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교사도 유아들의 창의적인 단어에 흥미를 보였고 창작의 기쁨을 함께 나누었다. 자유 놀이를 하면서도 자신들이 지은 동시도 읊어가며 자연스럽게 동시와 친해졌다. 정기적으로 동시 짓기를 한 결과물은 동시 모음집이 되었다. 음악 감상 마지막에 동시를 지음으로써 감상에 대한 회상하기를 통해 음악 감상의 평가가 이루어졌다. 그밖에도 창의적인 의성어와 의태어 구사로 어휘 표현력이 좋아졌으며 읽기 쓰기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소그룹 동시 짓기에서 주제와 소재는 같지만 다른 내용의 동시 결과물이 나왔다. 또한 친구들의 의견을 수용하고, 함께 동시를 생각하면서 서로 존중하고 친구를 이해하게 되어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