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BYU 아시아·근동언어학과의 한국어 교육 현황 조사를 통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의 시사점 연구

        진창영(Jin, Chang-Young)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39

        이 글은 한국 대학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교수의 원론 수업 외에 학생들의 한국어 숙달 연습 수업에서는 조교를 활용하자는 정책 제안이 핵심이다. 즉, 일정 수준의 우리말 구사 능력을 갖추고 한국어교육과정을 이수한 조교를 실습수업으로 적극 활용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의 BYU에서 미국인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수업 내용과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국내 대학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언어학습의 일차적 목적은 의사소통이지만 더 나아가면 말과 글에서 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업 시스템은 교수의 원론 수업과 조교의 실습수업이 요일이 다른 이원적 방법으로 진행하기보다 동일 시간대에 교수 수업과 조교 수업이 이어지는 일체식 방법으로 하는 수업시스템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과목이 3학점일 경우, ‘학점-강의-실습’의 편성이 ①3-3-0 ②3-2-2 ③3-1-4로 편성된다면, 여기서 실습 2시간을 강의 1시간과 같은 비중으로 계산할 경우, ①은 교수의 강의 중심 수업 3시간이 될 것이며, ②는 교수의 강의 2시간에 실습 수업 2시간, ③은 교수의 강의 1시간에 실습 4시간이 될 것이다. 이 세 가지의 수업 방식 중 ②의 방식을 택할 경우 이를 동일 시간대에 교수 1시간에 이어 적용수업으로 조교 실습수업 2시간, 그리고 다른 날 동일 시간대에 교수 1시간 이어 조교 2시간 이런 식으로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수업방식이라는 것이다. 이는 BYU에서 시행하는 ‘교수의 실제 강의 수업(Fact) 2시간’과 ‘조교의 실습 수업 2시간’으로 나누어 요일을 달리하여 이원화된 수업의 모형을 바꾼 것이다. 언어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서는 ‘이론과 실제’라는 관점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이론과 실제가 일체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Korean education from Korean Department, BYU in the U.S., the implications of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teaching assistant should be provided to Korean language courses because there is no generation gap among those in similar age, and they usually share an interest. In other words, a lesson is given based on common homogeneity and intimacy among them, helping students learn foreign language more quickly. The specific approach is as follows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is 3-credit course, ‘credit-lecture-practice’ would be structured as follows: i) ‘3-3-0’, ii) ‘3-2-2’, iii) ‘3-1-4’. In Case #1, the course would be lecture-centered. In Case #2, the course would be equally divided into lecture and practice (2 hours each). In Case #3, the course would be practice-oriented (lecture: 1 hour, practice: 4 hours). Among such three cases, Case #2 appears to be the best one. However, choosing Case #2 does not mean to give a dual class just like BYU – ‘2 hours for lecture (fact)’ and ‘2 hours for practice’. In language education, after all, it is desirable to actually provide both theory and practice instead of approaching from a perspective of ‘theory & practice’. Therefore, if ‘3-2-2’ is applied as stated below, the course would be the closest to the whole language approach which covers both theory and practice in the most desirable manner: Lecture by professor (1 hr.) and practice by teaching assistant (2 hrs.) and repeated on another day.

      • KCI등재

        연구논문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교양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문준 ( Moon Jun Kim ),이철성 ( Chul Sung Lee ),김형곤 ( Hyung Gon Kim ),김지형 ( Ji Hyung Kim ),이훈병 ( Hun Byo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외국인 유학생들로 하여금 한국문화 및 대학문화에 대한 이해와 적응을 위한 기본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교양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해 유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들은 유학생활을 위한 준비와 한국어 준비에도 불구하고 언어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학생들은 언어적인 문제 다음으로 문화적 차이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한국대학문화”와 “교우관계” 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겪는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한국어 관련 교양 및 한국문화 관련 교양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상의 요구에 비추어 볼 때,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교양교육의 방향은 전공한국어, 한국어 프리젠테이션 등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양과정과 한국생활관련 및 생활예절 관련 등 문화 및 생활적응을 위한 교양으로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학생들의 학교 및 사회적응을 위하여 다양한 상담 및 적응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liberal arts for foreign student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searching the problems in living and studying in the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concrete processes used to carry out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of their adaptability to the living and the various requirements about liberal arts in the University. S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s;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gap are difficult to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requirements about liberal arts are Korean language and living culture.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is research suggests Korean language and presentation programs, Korean living culture understanding programs, life adaptation and development programs, manners programs, and counseling programs.

      • KCI등재

        한국어 교육 활용을 위한 『한국어 표준 문법』 음운론 분야 개선 방안

        장향실(Chang, Hyangsil)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참조 문법으로서 『한국어 표준 문법』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특히 ‘음운론’ 영역을 중심으로 설명의 구체화가 필요한 부분, 누락되어 설명을 추가해야 할 부분, 기술이 불필요하여 삭제해도 무방한 부분으로 구분하여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한국어 교육에의 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기에, 한국어 교육적 목적과 관점을 고려한 내용을 ‘적용 문법’ 기술부에 제시하였다. 그런데 한국어 표준 문법 적용 문법 기술부의 내용이 원론적 수준의 필요성만을 언급하거나 혹은 중요한 내용을 누락한 경우, 불필요함에도 기술된 경우가 있어 이를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먼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변이음 교육, 삼지적 상관속을 이루는 자음의 교육, 변별적 자질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것인데, 이 내용들은 설명이 좀 더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추가가 되어야 할 내용도 있는데, 운소 부분에서 음운구 억양의 특징이나 억양구 마지막 음절의 특징, 음절 부분에서 음절구조제약, 음소결합제약에 대한 설명 부분이다. 음운 현상 부분에서는 교수-학습이 불필요한 음운 규칙에 대한 기술이 추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표준 문법』에서는 ‘ㅂ’ 불규칙과 같은 현상에 대해 다중 기저형을 통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에서 효용성이 떨어지므로 굳이 제시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한국어 표준 문법』은 향후 개선을 전제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표준 문법』에 개선 방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용 음운론 교재 집필에도 참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thesis aims to propose various points to improve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include making detailed explanations, adding missed explanations, an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s in phonology. Standard Korean Grammar was schemed for many possible diverse applic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Korean Grammar reflect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urpose and view, which i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grammar part.” However, its content is still at the level of “principal,” and even more missed some essential explanations. The following complementary measures are needed. First, there is a need for detailed explanations. The teaching of allophones, the teaching of distinguishing among the three-way plosives in Korean, and the use of distinctive features are necessary for detailed explanation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dding missed explan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ical phrase tonal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st syllable in the intonation phrase are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and unnecessary item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phonological rules are also needed for additional explanation. Third, omitting unnecessary explanation is needed. A teaching method using multiple underlying forms of irregular conjugation such as “ㅂ” was proposed in Standard Korean Grammar. However, there is no need for explanations because the teaching method is not effective. This thesis is meaningful as it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about Standard Korean Grammar.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of the phonological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에 대한 문법 내용적 검토

        이관규 겨레어문학회 2010 겨레어문학 Vol.45 No.-

        이 논문은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2005)의 문법 내용적 특징을 문제점 중심으로 살피고 그 대안을 모색해본 글이다,일반 언어학적 측면에서, 그리고 학교 문법적 측면에서 살펴볼 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2005)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중모음 형성이 단모음과 단모음으로 이루어졌다고 한 것은 명백한 오류이다, 또한 ‘정칭대명사’와 같은 일반화되지 않은 메타용어는 사용하면서정작 흔히 사용되는 ‘이다, 있다, 없다’에 대해서 메타용어 없이 자료 그대로만 제시하는 것은 일관성이 없다, 부사절을 설정하지 않는 것이 문법적 설명에서 어느 정도 교육적 효율성이 있는지 의심스럽고, 아무리기능 기준 하에서 설정된 것이긴 하겠지만 ‘어요, 지요’ 등을 하나의 문법 단위로 설정하는 것도 언어학적인 면에서는 이해하기 쉽지 않다, 살아있는 한국어 사용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한다면 담화 부분이 강화될 필요가 있을 것인데, 그 내용은 전체의 5,6%로 미미하다, 담화를 글과 말로 나눈 이상 각각의 구성 요소 등이 제시되면 이상적이라 본다,외국인을 한국어 문법과 내국인을 위한 국어 문법이 동일한 대상 언어를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동일한 대상 언어라면 그 문법(文法)도 동일할 것이다, 단지 그것을 목적에 따라 어떻게 다룰 것이냐의 문제만 남아 있을 뿐이다, 따라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이라고 하면일반 언어학적으로도 그렇고 내국인용 학교 문법적으로도 그렇고 상충하는 문법 내용이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explore problems of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which was published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NIKL), and if possible, to suggest answers about those problems,Under general linguistics and school grammar, there are many problems in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Formation method of double vowel, use of unusual meta-language, non-recognition of adverb clause, non-linguistic exploration of '어요, 지요, etc,',non-focus of discourse etc,,Obviously there are common aspects between KG for foreigners and KG for national person, In other words, they deal with same target language, There are only differences between them in how to deal KG, So, it is not necessary for one grammar to be two grammars.

      • KCI등재

        외국인(外國人)을 위한 한국어(韓國語)1) 교육(敎育)에서 한자(漢字)?한자어교육(漢字語敎育)의 현황과 문제점 -하와이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세진 ( Se Jin Par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8 No.1

        본고는 외국인을 위한 漢字·한자어(漢字語)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찾아 올바른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필자는 미국 하와이대학교에서 한자교육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대학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하와이대학교에서의 실제 사례를 통해 본 문제점을 파악하여 외국인을 위한 바람직한 漢字·漢字語교육의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한국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뿐만이 아니라, 한국에 대한 문화를 심도 있게 배울 수 있는 한국학 분야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漢字·漢字語교육은 한국어 교육의 일부로서 한국어를 이해하고 어휘를 확장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외에서의 외국인을 위한 한자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올바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큰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미국 대학에서의 한자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하와이 대학교에서의 漢字·漢字語교육의 실제와 문제점을 교재(敎材), 목표(目標)와 내용(內容),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to foreigners as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it is practiced outside Korea, identify problems in such practices and suggest solutions. For this purpose, the paper discusses practices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at US universities with the focus on those instituted by th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where the author taught related courses as a visiting scholar for two semesters.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opportunities to study Korean culture is growing abroad as Korea`s international status keeps improving.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is an integral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as their knowledge is vital to understanding the Korean language and expanding one`s Korean vocabulary.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aper first gives a general survey of US university programs that teach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It, then, narrows the focus to the programs at the University of Hawaii for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textbooks used, the objectives and designs of the courses offered and the pedagogical and evaluation methods used.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배경지식 확장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강현주 ( Hyun Ju Kang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5

        본고의 목적은 한국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배경지식 확장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교육과 정과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다양한 전공, 방대한 교양교육의 범위,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의 상이한 한국어 능력 등의 요인 때문에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 내용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대학생의 요구 분석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한국어능력과 배경지식을 확장하는 데 유용한 교육 방안으로 SIOP을 제안하였다. SIOP은 언어 수업과 내용 영역의 수업을 통합한 교실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고, 교실 사례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된 모형이다. 본 연구를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공부하는 목적은 한국어능력 향상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지만 이러한 목표를 언어 수업만을 통해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고에서는 배경지식을 확장할 수있는 교양 수업을 SIOP 모델을 활용하여 설계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배경지식을 활용하는 방안으로는 학습자의 관심사를 확인하여, 학습 목표에 반영하는 것, 본격적인 의사소통 활동 전 쓰기 단계를 두어 학습자의 사전 지식을 확인하기, 실제 자료의 사용과 시각화된 자료의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odels to extend background knowledge as well as a command of the Korean language for foreign students at Korea University. Although research on the curriculum and syllabus for foreign students at Korea University is increasing, tangible results have not yet been prepared due to the diverse levels in the proficiency in Korean, the major they chose, and various types of elective courses. Therefore the SIOP model which could integrate content and language class effectively was selected as an appropriate teaching model for the students. The results of a survey that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ents desire to acquire a good command of Korean but they wanted to take content courses rather than language courses at Korea University. This study establishes a lesson plan for the students which could extend their background knowledge and participation with visualized and authentic materials.

      • KCI등재

        대학 내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글쓰기 개선방안

        김남미(Kim Nam-Mee)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4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은 학술적 글쓰기 자체의 특성, 대학 교육의 특성, 학습자 특성 때문에 몇 가지 한계 상황에 직면한다. 첫째는 전공별 장르별 접근의 한계이다. 대학 교육 현장의 자체의 전공별, 과목별 글쓰기 담화 공동체의 유형화 작업을 진행되지 못하였다. 전공이나 교양과목을 담당한 교강사의 학술적 글쓰기 자체에 대한 관심도나 중요도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글쓰기에 관여하는 사고 영역을 점검하기 위한 기반 작업도 여전히 부족하다. 두 번째 한계 상황은 대학 내 학문 목적 글쓰기 교육에 관여하는 주체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결과물이나 과정에 대한 평가자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담당자가 아니다. 또 평가자인 전공 담당 교강사는 외국인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자가 아니다. 외국인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자가 평가자가 되는 강좌가 일부 존재하지만 외국인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은 부담이 되는 상황이다. 세 번째 한계 상황은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습자의 특성이 다층적이라는 점이다. 어떤 학습자는 한국어 능력으로 부족으로 인해 대학 수업에 적응하지 못하는가 하면, 또 다른 학습자는 모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보다 뛰어난 글쓰기 능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다면성을 가진 학습자 특성을 무시하고 획일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도, 학습자 개별 상황에 맞추어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글쓰기센터와 같은 기관이 관련 주체들을 연계하는 역할, 다양한 자료들을 모아내고 이를 연구하고 공유하는 역할, 구성원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글쓰기 교육의 제반 상황을 운영하고 연구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way of systematizing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It discusses the possible ways to improve academic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ies. When it comes to the discussion of academic purpose Korean Education, the denotation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and “academic Writing” is not the same. The main reason for the difference stems from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tself which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cademic writing itself, university education, and student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education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faces a few challenges. First, there is the limit of access to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and genres. We are now in a situation where the classification process of writing discourse community according to different disciplines and majors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tself has not been proceeded. The second challenge comes from the matter of subject involved in the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within universities; evaluators for the result of foreign students’ academic writing and process is not the specialist for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Korean universities are multi-layered.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institutions such as writing center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relevant subjects, collecting and sharing various data, and meeting related constituents individually to organize and research the situation of writi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에 대한 문법 내용적 검토

        이관규 ( Kwan Kyu Lee ) 겨레어문학회 2010 겨레어문학 Vol.45 No.-

        이 논문은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2005)의 문법 내용적 특징을 문제점 중심으로 살피고 그 대안을 모색해 본 글이다, 일반 언어학적 측면에서, 그리고 학교 문법적 측면에서 살펴볼 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2005) 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중 모음 형성이 단모음과 단모음으로 이루어졌다고 한 것은 명백한 오류이다, 또한 ``정칭대명사``와 같은 일반화되지 않은 메타용어는 사용하면서 정작 흔히 사용되는 ``이다, 있다, 없다``에 대해서 메타용어 없이 자료 그 대로만 제시하는 것은 일관성이 없다, 부사절을 설정하지 않는 것이 문법적 설명에서 어느 정도 교육적 효율성이 있는지 의심스럽고, 아무리 기능 기준 하에서 설정된 것이긴 하겠지만 ``어육 지요`` 등을 하나의 문 법 단위로 설정하는 것도 언어학적인 면에서는 이해하기 쉽지 않다, 살아있는 한국어 사용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한다면 담화 부분이 강화될 필요가 있을 것인데, 그 내용은 전체의 5,6% 로 미미하다, 담화를 글과 말로 나눈 이상 각각의 구성 요소 등이 제시되면 이상적이라 본다, 외국인을 한국어 문법과 내국인을 위한 국어 문법이 동일한 대상 언어를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동일한 대상 언어라면 그 문법<文法)도 동일할 것이다, 단지 그것을 목적에 따라 어떻게 다룰 것이냐의 문제만 남아 있을 뿐이다, 따라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이라고 하면 일반 언어학적으로도 그렇고 내국인용 학교 문법적으로도 그렇고 상충하는 문법 내용이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Purposes of this thesis are to explore problems of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which was published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NIKL), and if possible, to suggest answers about those problems, Under general linguistics and school grammar, there are many problems in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Formation method of double vowel, use of unusual meta-language, non-recognition of adverb clause, non-linguistic exploration of ``어요, 지요, etc,``, non-focus of discourse etc,, Obviously there are common aspects between KG for foreigners and KG for national person, In other words, they deal with same target language, There are only differences between them in how to deal KG, So, it is not necessary for one grammar to be two grammars.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학습 앱(APP) 현황과 특징- 한국 대중문화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왕우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3

        중국인들이 한국어에 입문하는 가장 큰 동기는 한국 대중문화의 영향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듯 최근 중국에서는 한국 대중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한국어학습 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표적인 앱으로는 <알파카 한국어>, <한국어U학원>, <도라한국어>, <한국어학습> 등이 있다.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학습 앱은 자기 주도형 학습, 학습동기부여, 수업 흥미 유발이라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는 부정확하고 어색한 한국어 발음,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오류, 음성과 텍스트의 불일치, 저작권과 초상권 침해 등과 같은 여러 문제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어 전문가로부터 충분한 검증을 거치지 않고 빠른 유료회원 모집을 위해 흥미 위주의 교육콘텐츠를 성급히 늘린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AI 기술 등을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대중문화콘텐츠에 접목하여 한국어학습에 응용하고 있는 중국 상황은 매우 주목할 가치가 있다. 중국의 이러한 시도는 여전히 기능성과 접근성이 떨어지는 방식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학습 앱을 만들고 있는 한국의 관련 전문가들에게 여러 가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The primary driving force behind the Chinese initiation into Korean language learning is the pervasive impact of Korean popular culture. This phenomenon is also evident in the popularity of comprehensive Korean language learning Apps which incorporate cultural contents in China. Representative Apps include Alpaca Korean, Korean U Academy, Dora Korean,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These cultural contents embedded Korean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s has been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boosting the users’ spontaneous learning designing, as well as stimulating user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s in the offered courses. However, the contents provided by these apps have the problems such as imprecise or unnatural Korean pronunciation, errors in spelling and grammar, inconsistencies between voice and text content, as well as potential violations of copyright and picture rights. These problems can be attributed to the utilization of contents unverified by Korean language experts, the intention of quickly recruiting paid members and the overanxious for increasing the interest-based education contents. Still, these Chinese-style Apps are noteworthy as they endeavor to integrate metabus, simulation, and AI technology with popular culture that is known to the user and aim to apply them to the process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y offer a diverse range of sources of inspiration for Korean experts who still produce educational content in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low accessibility.

      • KCI등재후보

        경남 지역어를 반영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 해라체 의문형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김민경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1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지역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경남지역어 해라체 의문형 종결어미 ‘-가/-고’와 ‘-나/노’를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도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해라체 의문형 종결 어미 ‘-가/-고’와 ‘-나/노’의 제약조건과 지리적 분포를 확인한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역어를 학습하는 방법으로 탐구학습을 선택한다. 탐구학습은 가설을 세우고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모두 학습자가 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지역어 규칙을 스스로 도출한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법에 대한 자신감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지역어 사용 오류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ention the necessity of dialect education, and to suggest a new way of making an effective textbook including dialects that is limited to Kyungsangnam-do final endings ‘~ga/go’, ‘~na/no’. It discussed constraint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inal endings ‘~ga/go’, ‘~na/no’. It have application to inquiry activity model, so as instruct a dialects for foreign students. Inquiry activities have shifted the focus of education from the teacher to the student and have provided students with a meaningful knowledge. It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formulate and confirm a hypothesis. Through Inquiry activities, students gain confidence of Korean language grammar and correct errors of dia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