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한 조례개선 방안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김병진,김수봉,문혜식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7대 특별 ․ 광역시와 그에 속한 기초자치단체의 조례 현황을 조사 ․ 분석하여 대구광역시의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한 조례의 개선방안을 제언하고 구체적 방안으로 대구광역시 옥상녹화에 적합한 수종선정 실험을통한 옥상녹화 식물소재 지침서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구광역시의 옥상녹화 관련 조례는 ‘조경관리조례’상의 제16조 녹화지원 1개 조항이 유일하여 옥상녹화의 활성화를위해 대구광역시 옥상녹화 관련 조례의 제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옥상녹화 지원의 대상, 기준, 의무녹화면적, 유의사항, 기술지원, 녹화 후의 사후관리 등 구체적인 조항이 포함된 대구광역시 차원의 ‘대구광역시 옥상녹화 지원에 관한 조례(가칭)’를 제정하여 시행해야 하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요 기초자치단체의 옥상녹화 관련 조례에서 지원대상의 기준으로 언급되는 연면적은 기존건축물 및 많은 단독주택에 대한 옥상녹화 지원의 저해요인으로, 연면적 대신 옥상면적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지원대상의 기준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존 건축물에 대한 옥상녹화의 지원확대를 위해 건물안전진단의 지원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양적 ․ 질적인 옥상녹화의 활성화를 위해 의무 옥상면적의 기준을 확대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수종선정 실험에서 제시한 권장수종 지침의 모델은 지속적으로 추가 ․ 보완하여야 할 것이며 이를 조례상에서 구체적으로 밝혀 권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improve the ordinance on Green Roof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seven metropolitan cities and their local governments in Korea. In order to give shape to the ordinance, we tried to suggest preliminary data on guidebook on local Green Roof pl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aegu Metropolitan City has to make an new ordinance only for Green Roof using the ordinances of some local governments. Second, To expand Green Roof of established buildings, some articles on Structural Safety Inspection of project building have to be included in the ordinance. Third,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articles on acceptable standards of Green Roof support. Especially, present gross-floor-area standard has to be deleted, because it hinders Green Roof supports on various buildings. Fourth, In order to heighten the Green Roof effects, standards of obligatory Green Roof area need to be tightened. Finally, The article on using guidebook for Green Roof plants needs to be included in the ordinance. Before that, the guidebook should be prepared through experimental studies on local Green Roof plants.

      • KCI등재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동향

        나혜영,변병설 국토지리학회 2006 국토지리학회지 Vol.40 No.1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trend of researches carried out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on the subject of rooftop afforestation. Together with the discu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the issue of rooftop afforestation is receiving attention as one of the plans to secure green zones in urban area. While the actual execution of rooftop afforestation in Korea is only in the initial state, thus is not activated,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methods of rooftop afforestation. Recently, studies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on the creation and effect of rooftop afforestation. However, these studies tend to focus on specific areas. This leads to the necessity to approach the issue of rooftop afforestation with a wider perspectiv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vious studies on rooftop afforestation carried out both in and outside the country are categorized as the study on the methods, effect and activation plans of rooftop afforestation, thus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recent trend in the study of rooftop affores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domestic studies, which was centered on themethods to promote rooftop afforestation, have been expanding into the study on the methods to establish eco-habitat on rooftop as well as o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ect of rooftop afforestation. On the other hand, overseas studies, previously focused on measuring of economic effect of rooftop afforestation, have been expanding into the study of environmental effect analysis. However, despite the numerous studies performed on the subject, rooftop afforestation is yet to become activated in Korea. Therefore, a supplementary study is required to closely examine problems in the current system or execution method of rooftop afforestation in Korea. 본 연구는 옥상녹화에 관한 국내외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속가능한 개발 논의와 함께 도시의 녹지 확보 방안 중 하나로 옥상녹화가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옥상녹화 시행은 시작단계라 할 만큼 활성화되지 못한데 반해, 옥상녹화 연구는 옥상녹화의 기법 연구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옥상녹화의 조성, 효용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연구가 세부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어 이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상녹화의 국내외 선행연구를 기법, 효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로 분류하여 살펴봄으로써 최근 옥상녹화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옥상녹화 보급을 위한 기법 연구가 중심이었던 국내 연구는 옥상의 생태서식지 조성 기법, 옥상녹화의 환경적·경제적 효용에 관한 연구로 확대되고 있었다. 해외연구는 옥상녹화의 경제적 효과 측정 연구 중심에서 환경적 효용 분석 연구로 확대되고 있었다. 그러나 옥상녹화의 많은 연구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옥상녹화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기에, 현재 옥상녹화 제도나 실행의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옥상 녹화 사례 분석

        배지민,권효진,김유선,유병렬 한국꽃예술학회 2009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외의 옥상 녹화 사례에서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비교?분석하여 옥상 녹화 시공 시 디자인 요소 및 원리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국내 및 국외의 옥상 녹화 적용 사례를 통해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국내의 사례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유형의 조형적 패턴을 보였으며, 비교적 획일화 되어 있고 단순하였다. 국외의 사례에서는 점, 선, 면, 형태, 질감, 통일, 변화, 강조, 반복 이외에도 대칭, 균형, 조화 등의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가 다양하게 표현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위와 같이 옥상 녹화 대상지의 설계 요소는 디자인적인 요소와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는데, 그 다양성 안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과 기준을 이용하여 디자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옥상 녹화 대상지의 포장 패턴으로 선과 면 그리고 질감을 표현함. - 옥상 녹화 대상지의 식재는 점적인 요소인 동시에 반복과 변화를 표현함. - 옥상 녹화 대상지의 시설물은 점에서 선을 이루면서 반복과 통일의 원리를 적용함. - 옥상 녹화 대상지의 물요소는 면적이며 형태로서 공간에 변화를 주어 강조함. 위와 같은 4가지 방법을 이용한 결과, 옥상 녹화 대상지와 디자인의 요소 및 원리가 조 화를 이룬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형태의 국외 사례에 비해 국내 사례는 유사하고 단 편적인 패턴의 반복이라는 한계점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옥상녹화하중이 LH 공동주택 및 부대복리시설의 옥상층 슬래브 설계에 미치는 영향

        이범식,권혁삼,김정곤,김지현,Lee, Bum-Sik,Kwon, Hyuck-Sam,Kim, Jung-Gon,Kim, Ji-Hyeo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6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7 No.1

        본 논문은 옥상녹화하중 세 가지 유형(경량형, 중량형, 혼합형)이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에서 공급하는 공동주택과 부대복리시설의 옥상층 슬래브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해석과 설계를 통해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옥상녹화하중이 작용하는 옥상층 슬래브의 구조설계시 활용가능한 배근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다. 구조해석 및 설계결과, 옥상녹화하중의 종류에 관계없이 LH 공동주택의 옥상층 슬래브는 슬래브 주근을 D10 철근 200~250mm 간격으로 배근할 경우 안전하며, 슬래브 두께도 150mm로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설계강도가 24, 27, 30MPa로 변화하여도 옥상층 슬래브의 슬래브 주근은 D10 철근을 200~250mm 배근하고 슬래브 두께도 150mm가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녹화하중이 작용하는 부대복리시설의 2방향 슬래브는 토양 종류와 토심 두께에 관계없이 D10철근을 200mm 간격으로 배근하고 슬래브 두께도 150mm로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contains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regarding how three types of green roof load affect roof slab design of LH housing and facilities.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an appropriate Roof slab rebar guideline and roof slab thickness have been set up for the green roof load which takes effect on structural design of roof slab. Result of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has been made as follows. Roof slabs can arrange the slab rebar(D10) within the 200~250mm disregarding the types of the green roof load and the pattern of green roof load; also, slab thickness can be designed within 150mm. Moreover, even if the concrete design strength of roof slab changes to 24, 27, and 30MPa, D10 rebar can still be arranged within 200~250mm, and 150mm for slab thickness. Two-way slab of commercial building was appeared to be arranged by slab rebar(D10) within 200mm and 150mm for slab thickness disregarding the soil type or the soil thickness of green roof.

      • KCI등재

        조형원리에 의한 옥상정원 디자인 분석 연구

        김신원(Shin Won Kim),허준(Jun Heo),박창용(Chang Yong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인구의 도시집중과 고층, 고밀도의 건축행위로 열악해진 도시생태환경을 복원하고 사람들이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으로 옥상녹화를 주목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2002년부터 옥상녹화지원 사업을 실시하면서 2008년부터 옥상을 도시경관의 향상과 휴식공간의 제공 및 생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명칭을 옥상녹화사업에서 옥상공원화사업으로 바꾸고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옥상정원의 디자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도 서울특별시에서 지원하여 조성된 옥상정원을 대상으로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디자인을 분석하고 향후 옥상정원의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를 옥상정원의 공간구성요소인 식생, 시설물, 수공간, 포장으로 나누고 통일, 비례, 대비, 반복, 균형, 율동, 대칭, 강조 등 여덟 개의 조형원리를 적용하여 조사표를 만들고, 현장조사와 사진촬영을 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구성요소별 조형원리 적용분석 결과 식생에서는 반복이 많이 적용되었고, 시설물에 적용된 조형원리 빈도는 반복과 강조로 나타났다. 수공간은 열세 개소 중에서 여덟 개소가 설치되었으며, 적용된 조형원리는 자유곡선을 사용한 율동이었다. 포장에 적용된 조형원리는 대비와 반복이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조형원리의 공간구성요소별 적용 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반복이었고 통일, 대비와 강조, 대칭, 율동, 균형, 비례 순으로 나타났다. 세째, 건물유형별 공간구성요소 특징 분석결과 계성여고는 텃밭을 만들어 학생들이 야생화와 채소를 직접 심고 가꾸면서 체험하는 학습장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장로회 신학교-A는 신학교의 특성을 살려서 개인 기도실을 만들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장로회 신학대-A와 이대목동병원은 공연을 할 수 있는 무대 만들어 작은 공연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는 옥상정원은 주이용자 및 이용목적에 따라서 차별화된 설계가 되어야 하며, 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자연을 접하고 휴식과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옥상정원의 이용도를 높이는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e increase in population and in the number and height of buildings result in the poor condition of city environment. In order to restore the environment and let people come in contact with nature, the concept of green roof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solution. In particula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en supporting the green roof project since 2002. In 2008, the `green roof project` was renamed to `green garden project`, because the project involves improving city scenery and making the roof gardens wherever possible, for people can come to and rest. Roof gardens, created with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eoul in 2007,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visual and aesthetic qualities. This research will provide design data to make roof gardens more useful and artistic. The subject of research has been separated into four different factors: planting, facility, water space, and pavement. It has been separated into eight different principles of design: unity, proportion, contrast, repetition, balance, rhythm, symmetry, and emphasis. A field study and photographs have been collected as data.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ollowing analysis i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modeling in different spaces. In many facilities, repetition of plant occurs. Regarding equipment, repetition and emphasis occurred frequently. Out of thirteen facilities, eight facilities provided water space, showing rhythm with a free curved line technique. Regarding pavement, contrast and repetition occurred frequently. 2. The following is an analysis of space composition factors regarding different principle of modeling. In thirteen facilities, repetition is being used the most, the second is unity, then contrast and emphasis, symmetry, rhythm, balance, and proportion. 3. The following is an analysis of modeling in different building usage. In Gye Seong Girls` High School, there is a field where students can plant wildflowers and grow vegetables. In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A(PCTS-A), there is a prayer room that the students can use freely. Also there are stages at PCTS-A an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here performances take place. In the future, designers should come up with designs that are specialized for their users 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services. Also designers should develop many more palces where people and nature meet and exist in one place together.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옥상녹화 제도 비교연구

        조홍하,강태호,Zhao, Hong-Xia,Kang, Tai-Ho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4

        This study focused on the regulations and support system of green rooftop landscaping between Korea and China. Our research found out regulations and support system to review the supplement point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green rooftop landscaping in the two countries. We aimed to provide basic leg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green rooftop landscaping regulations. Also, a management plan guide and after-evaluation guide were suggested. First, roof load safety is the foremost factor for the structure of green rooftop landscaping. It includes not only considering the weight of construction materials, but also accurately calculating weight of rain, snow and the rooftop's capacity for people when the rooftop is designed. Second, the appropriate waterproof and root material should be selected basing on climatic conditions. Third, a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 needs to be established to regularly check the plant, facilities, soil and to maintain them. Fourth, the criteria of quality inspection are waterproof and root resistant material, a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Waterproof and root resistant materials are a very important part of rooftop greening, so they must be strictly inspected after construction. Fifth, the support system of rooftop greening should be continuously improved. The choice of the object and the amount of support should be strictly stipulated so that the construction of rooftop is promoted when volunteers do rooftop greening. 본 연구는 한 중 옥상녹화의 법률을 분석하여 법규 및 지원제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보완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옥상녹화의 법규 및 지원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조안전 측면은 옥상녹화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따라서 옥상에 하중안전을 위하여 옥상녹화 설계 시 시공재료의 중량, 우수와 설(雪) 하중에 대한 영향, 방문자의 수용량을 정확하게 계산해야 한다. 둘째, 설계기준으로 방수 및 방근재료는 지역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해야 한다. 셋째, 유지관리는 식물, 시설물, 토양 등으로 구분하여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가 필요하다. 넷째, 품질검사 기준으로 방수 및 방근 성능검사 기준과 식물생육 상황을 판단하는 기준이 있어야 한다. 방수 및 방근 성능은 옥상녹화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시공 후 공사 품질을 엄격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다섯째, 옥상녹화 지원제도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보다 더 적극적이고 상세한 지원체계가 제시되어야 한다. 아울러 옥상녹화 의무화 규정을 더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옥상녹화에 따른 공동주택 에너지 저감효과 분석 연구

        김지현,손형민,권혁삼,김정곤,이범식,Kim, Ji-Hyeon,Son, Hyeong-Min,Kwon, Hyuck-Sam,Kim, Jong-Gon,Lee, Bum-Si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6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7 No.4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계획적 수단으로서 옥상녹화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옥상녹화 적용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는 최근 준공된 공동주택 중 옥상녹화가 적용된 주동과 부대복리시설을 선정하였다. 건축 유형에 따라 경량형(토심 20cm) 및 혼합형(토심 40cm) 옥상녹화를 적용하고, 디자인 빌더(Design Builder)를 활용하여 옥상녹화 적용에 따른 에너지 저감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대상 건축물에서 옥상녹화 적용시 에너지 저감효과가 있으며, 혼합형 옥상녹화가 경량형 옥상녹화에 비해 냉 난방 에너지 저감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xpanding application of green roof afforestation by analyzing structures'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effects according to green roof afforestation as a planning mean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s the subjects, recently completed apartment buildings and service facilities of apartment houses where green roof afforestation was applied were selected. green roof afforestation of Extensive Green Roof(soil depth: 20cm) and Semi-Intensive Green Roof(soil depth: 40cm) in construction types was applied and design builders were utilized in order to compare energy re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green roof afforest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ll the buildings had energy reduction effect when green roof afforestation was applied.

      • 옥상녹화 이용자분석을 통한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전은정(Jeon, Eun-Jeong),정순형(Chung, soon-hyung),이태호(Lee tae-ho) 한국환경관리학회 2011 環境管理學會誌 Vol.17 No.2

        도시환경문제로 발생된 비정상적인 도시생태계와 도시 미기후 개선을 위해서는 작은 면적의 녹지라도 조금씩 확보해 나가는 것이 시급한데, 옥상녹화는 지상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녹지량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연구결과, 옥상녹화는 설치장소별로 개인과 사회에 다양한 환경적, 심리적, 경제적 효과를 주고, 현재 가정에 조성된 옥상녹화는 생산과 가사를 위해 이용되고, 직장은 휴양의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하여 거주지, 직장 등 생활공간에 우선적으로 옥상녹화를 도입하기를 원하고 지자체의 재료지원과 보조금 지원을 희망하였다. 시민들이 선호하는 옥상녹화 형태는 ‘휴게공간’, 텃밭 및 화단, 화분이용, 지피식물 순이고, 젊은 층과 고소득층의 경우 ‘휴게공간’과 ‘지피식물’ 선호도가 높고, ‘화분이용’과 ‘텃밭 및 화단’ 선호율은 낮았다. Green roof is considered as the only alternative to compensate for lack of green area on the ground sufficiently. To examine revitalization plan of green roof project citizen participates in subjectively, comprehensive research and analysis on opinions of residents in Daegu have been implemented and diversified demands of residents have been identified. As a result, green roof shows environmental, psychological and economical effects o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theses effects differ from locations. Green roof in house is used for household affairs and production, and green roof in work place is for rest area. In a method of revitalizing green roof, citizen wants living space, such as resident area and work place, to have green roof preferentially. Also they want local government to support materials and subsidy for green roof. From the result of researching the preference of green roof type, rest area topped the list and then ‘kitchen garden and flower bed’, ‘using flowerpots’ and ‘ground cover plants’ were followed. High income bracket and younger generation presented high preference on ‘rest area’ and ‘ground cover plants’, and showed low interest on ‘using flowerpots’ and ‘kitchen garden and flower bed’.

      • KCI등재후보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옥상녹화 가용면적 분석

        김수봉,문혜식,이춘우,김병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tential area for roof greening in Dalseo-Gu, Daegu based on information of the building register from 'Sewoomteo, the Building Administration System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The number of buildings in Dalseo-Gu is 62,741 and the total area of roof is 10.8㎢, but it decrease to 4.7㎢ if the building age(since 1980), the roof shape(flat roof), and the building structure(ferroconcrete) are limited. And the potential roof greening area using plantable ratio is 3.2㎢(5% of Dalseo-Gu total area). The resul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make more than 300 small size neighborhood parks without the land purchase price. Potential roof greening area of buildings for residence(67%) is the largest by building types. Shopping mall buildings, education buildings, public buildings, office buildings, healthcare buildings are followed. The result indicated that it is residential buildings that we need to pay attention for revitalizing roof greening.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축행정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세움터' 자료를 활용하여 대구시 달서구의 녹화가능한 옥상면적을 분석하였다.달서구의 전체 건축물은 총 62,741개소이며, 건축물 옥상의 전체면적은 10.8㎢로 나타났다. 1980년 이후에 사용승인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평지붕 건축물로 한정할 경우 옥상면적은 4.7㎢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녹화가능 옥상면적 비율을 적용하면 달서구 전체면적의 약 5%에 해당하는 3.2㎢의 면적에 옥상녹화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옥상녹화를 통해 토지매입비용 없이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약 300여 개소 이상을 조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 하겠다. 건물유형별 옥상녹화 가용면적은 주거시설이 68%로 가장 높았으며, 판매시설, 교육시설, 공공시설, 업무시설, 의료시설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해 주거시설 건축물에 대한 옥상녹화지원의 확대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