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철의 꿈>의 분석을 통한 에세이 영화의 정체성 고찰

        유지수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5

        2010년대를 전후하여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들의 괄목할만한 변화 속에서 다큐멘터리 혹은 실험영화로서 분류하기에 쉽지 않은 영화들이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영화들은 특히 감독의 주관성을 전면에 드러내는 보이스오버(voiceover)를 사용하되, 느슨한 서사 구조의 안팎을 넘나들며 주제와 소재에 대한 감독의 사색과 논평을 담보로 하여 자기 반영적 성찰의 여정을 제시한다. 기존 장르 관습을 배격하는 것이 아니라, 장르 관습을 차용하다가도 전복하기도 하는 초월적 특징(transgression)을 가지면서 이들만의 고유한 영역을 점유하고 있는 이러한 영화들을 ‘에세이 영화(essay films)’라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문학에서 에세이의 정의를 먼저 구한 후, 시청각 매체로서 에세이 영화가 갖는 특성을 살펴본다. 또한 기존 다큐멘터리나 아방가르드 영화와 에세이 영화가 가지는 상관관계를 살펴 에세이 영화만이 가진 고유한 위상을 제시한다. 박경근 감독의 2014년 작 <철의 꿈>이 가진 강렬한 주관성, 혼종적인 시청각 요소를 사용한 변증법적 몽타주, 어떠한 장르에도 부속되지 않는 장르 초월성에 주목하여, 에세이 영화의 정체성을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장르를 넘나들며 진화하는 능동태의 영역으로서 에세이 영화를 정의하고, <철의 꿈>을 비롯한 에세이 영화의 정체성을 가진 영화들의 등장과 함께 영화에 대한 인식의 양상 또한 유연하게 확장되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In Korea there have been numerous films since the late 2000s that cannot be easily sorted into certain existing film genres. These films use a technique known as voiceover, expressing a director cannot be easily sorted into progressing within and without a strong narrative structure, they offer the director's self-reflective journey to the audience through her/his meditations and comments on the subject of the film. They embody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transgression within their rhetoric and aesthetics. As a unique territory and mode, these films can be classified as 'nto cteristics of gpaper initially examines the definition of an essay in literature and then investigates the attributes of essay films as an audio-visual medium. In addition, the paper presents an innate status of essay films by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ilms and different genres, such as documentaries and avant-garde films. In order to explore the identity of essay films, the paper analyzes A Dream of Iron (directed by Kelvin Kyung Keun Park, 2014) by focusing on the director's subjectivity and dialectic montage as achieved by articulating both diverse auditory and visual elements, as well as its transgressing energy. In conclusion, while transgressing all genres, essay films constantly evolve their own territories and modes. Additio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condition of watching and categorizing films will evolve as well, along with the active practice of the creation of essay films in Korea.

      • KCI등재

        사유하는 영화, 에세이영화 -에세이영화의 이론적 접근을 위한 시론-

        이도훈 ( Lee Do Hoo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에세이영화에 관한 이론적 지형을 그리기 위한 시도이다. 문학의 에세이가 그러하듯이 에세이영화의 주요 특징은 장르적 실험, 주관성의 표출, 공적인 영역에의 개입으로 정리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총 세 단계로 나누어서 에세이영화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본다. 우선, 문학적 에세이의 전통과 관련해 게오르그 루카치, 막스 벤제,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글을 검토한다. 이들은 에세이가 실증적인 학문의 전통에 반기를 들면서 저자의 사유를 형상화하는 작업으로 정리했다. 다음으로, 1940년대 에세이영화의 등장에 주목한 일부 비평가, 영화감독들의 논의를 살펴본다. 이들은 에세이영화가 지성의 보고이자 매개물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끝으로 1990년대 이후 에세이 영화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을 검토한다. 이 시기를 중심으로 에세이영화의 형식적 층위와 내용적 층위 각각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들이 불거졌다. 이처럼 이 논문은 에세이영화의 전통, 출현, 발전과 관련된 논의들을 단계적으로 검토해나가면서 에세이영화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raw a theoretical ground for essay films. As with literary essays, the main features of essay films can be organized into genre experiments, presentation of subjectivity, and involvement in public domain. The body of this text divided into three steps to explore the main features of the essay films. First, consider Georg Lukacs, Max Bense, and T. W. Adorno’s writings on the tradition of literary essays. They explained the essays that configured author’s thought as they rebelled against the empirical academic tradition. Next, take a look at some of the critics and film directors who drew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1940s essay films. They expected the essay film to be the source and medium of intelligence. Finally, consider the arguments surrounding the definition of an essay film after the 1990s. Around this time, the issues surrounding the formal and content layers of the essay film were raised. As a result, this paper aims to form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ssay movies as it examines the traditions,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essay films in stages.

      • KCI등재

        장용학 에세이에 관한 연구

        홍상언(Hong, Sangeon)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본 연구자는 장용학의 특성과 한계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는 장용학 에세이에 관한 연구가 총체적인 장용학 연구에 있어 하나의 작업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비판적 성향과 함께 때로는 인간적 체취를 느낄 수 있는 장용학 에세이를 모색하는 것은 시대와 현실을 직시한 장용학의 세계관을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사회적 지성과 역사적 양심의 소재들을 담고 있는 장용학 에세이를 보다 면밀하게 살펴봄으로써 장용학 세계관의 새로운 해석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장용학 에세이는 인생 전반에 걸친 교양 · 체험 등에 의한 소규모의 自己顯示이면서, 비평적 지식인으로서의 그가 택한 윤리적 선택의 방향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그의 에세이를 통해 구현된 메시지가 민중의 애환과 사회구조적 모순의 실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장용학 에세이는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장용학 에세이는 현실의 특수한 성격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판의식은 독자를 자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용학 소설의 주제와 관련시킨 에세이와 장용학 소설이 추구하는 주제밖에 산재하고 있는 인생과 세속의 현상들을 대상으로 한 에세이로 구분한다. 이러한 에세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본 장용학은 주체 의식과 역사적 양심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적 지성과 현실 비판을 갖춘 사람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독선적인 자기해석의 한계를 보여준 장용학의 어느 에세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그의 기질이 때로는 我執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그의 본질은 인간의 惡이 아닌 善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용학 에세이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듯이, 그의 자존심이자 筆力의 지향점은 ‘正義’를 축으로 한 道德性(人間性)에 있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Yonghak Jang on the basis of his essay. This study is important as it is one of the few comprehensive studies of Yong-hak Jang. Yong-hak Jang’s essay can sometimes sense human body odor with a critical inclination. This essay serves a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ing the world view Yong-hak Jang adopts to face the prevailing times and its realities. Therefor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Yonghak Jang’s essay, which contains themes of social intelligence and historical conscience. Yong-hak Jang’s essay depicts a small, self-present moment by way of its culture and experience throughout life. It reveals people’s joys and sorrows as well as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society. Thus, this essay is political. Yong-hak Jang’s essay reveals the special character of reality, and his critical mind recognizes the reader. In this study, we divide the essay in terms of it either being related to the subject of Yong-hak Jang’s novel, or not being relevant to the subject of the novel. Yong-hak Jang is the owner of a sense of identity and historical conscience. He is a person of social intelligence and practical criticism. On the other hand, his singular personality shows the limits of his self-righteous self-interpretation. Nevertheless, the essence of his being is steeped in good rather than evil; in other words, Yong-hak Jang’s essay is based on the issue of morality (humanity) in pursuit of justice.

      • KCI등재

        토론과 연계한 과학에세이 글쓰기 수업 사례

        우수영(Woo, Soo-young)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6 No.-

        경북대학교 교과 〈과학과기술 글쓰기〉는 공학과 자연과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글의 초점은 경북대학교 교과 〈과학과기술 글쓰기〉의 일부 ‘과학에세이’ 갈래글 쓰기 과정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쓰기 기초 지식의 전수를 넘어서 과학적 사유를 에세이라는 형식을 통해 생산할 수 있도록 수강자들을 이끌어 주는 ‘과학에세이’ 글쓰기 과정을 제시하는 데 있다. 공학과 자연과학 전공자들이 생산하는 과학에세이는 미래 인류에 영향력을 발휘하는 신기술에 대한 담론을 생산하는 기본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본 교수자는 과학에세이 글쓰기에서 토론을 연계하는 과정은 수강자들의 과학적 사유를 확장하고 심화하는 데에 필수적이라 보았다. 토론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이 과학에세이 글쓰기 수업에 적용되었다. 먼저 교수자는 토론 과정에서 접하는 다양한 의견과 관점들이 글쓰기의 도입부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강점이 있음을 수강자들에게 이해시켰다. 이어 토론 주제를 수강자들이 미리 선정하도록 하였으며, 토론 매뉴얼을 통해 주제 토론을 진행해 나갔고, 토론 수업에서 발언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수강자들에게 배부하였다. 이후 수강자들이 첨삭을 통해 글의 완성도를 높이도록 유도하였다. 토론과 연계한 과학에세이 글쓰기 수업은 공학과 자연과학 전공자들인 수강자들이 전공과 관련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글쓰기 과정뿐만 아니라 열린 통합적 사고 과정을 체험할 수 있게 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토론과 연계한 과학에세이 글쓰기 수업에서는, 과학이론에 근거한 토론과 글쓰기에 적합한 선행 자료 조사 능력과 일정 수준의 과학이론 습득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과학에세이 글쓰기 수업의 수강자들은 1학년 신입생이었다. 그 결과 수강자들이 토론을 거쳐 생산한 과학에세이가 전공과 관계하며 그 내용이 심화된 경우는 많지 않았다. 차후 연구에서는 과학에세이 글쓰기의 이러한 한계 개선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A class of 〈Writing in Science & Technology〉 as the curricular subject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s being progressed targeting majors in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The focus of this writing was on the process of `science essay writing` as part of a curricular 〈Writing in Science & Technology〉 class. This instructor operated a class with applying a method. First of all, the instructor made students understand that various opinions and perspectives of being met in the process of a discussion ahead of the argumentative science essay writing have a merit of making it easy for the introduction work in writing. Sequentially, the instructor allowed the students to select a topic of discussion in advance, progressed a discussion of theme through a discussion manual, arranged the contents, which had been commented in a debate class, and then widely distributed those things to students. After this, the instructor led students to increase the completion in writing through correction. This way allows that the students as majors in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to possibly experience the open integrative thinking process as well as the systematic and logical writing process related to a major. The science essay writing class connected with a discussion needs to be premised a debate based on a scientific theory, a previous data survey suitable for a topic, and a theoretical acquisition to some extent. However, the students in this science essay writing class were freshmen. As a result, it was rare in the writing that had arranged the issue and a writer`s insistence systematically and clearly in majors.

      • KCI등재

        영화 <철의 꿈>의 분석을 통한 에세이 영화의 정체성 고찰

        YOOJISUKLAIRE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5

        2010년대를 전후하여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들의 괄목할만한 변화 속에서 다큐멘터리 혹은 실험영화로서 분류하기에 쉽지 않은 영화들이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영화들은 특히 감독의 주관성을 전면에 드러내는 보이스오버(voiceover)를 사용하되, 느슨한 서사 구조의 안팎을 넘나들며 주제와 소재에 대한 감독의 사색과 논평을 담보로 하여 자기 반영적 성찰의 여정을 제시한다. 기존 장르 관습을 배격하는 것이 아니라, 장르 관습을 차용하다가도 전복하기도 하는 초월적 특징(transgression)을 가지면서 이들만의 고유한 영역을 점유하고 있는 이러한 영화들을 ‘에세이 영화(essay films)’라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문학에서 에세이의 정의를 먼저 구한 후, 시청각 매체로서 에세이 영화가 갖는 특성을 살펴본다. 또한 기존 다큐멘터리나 아방가르드 영화와 에세이 영화가 가지는 상관관계를 살펴 에세이 영화만이 가진 고유한 위상을 제시한다. 박경근 감독의 2014년 작 <철의 꿈>이 가진 강렬한 주관성, 혼종적인 시청각 요소를 사용한 변증법적 몽타주, 어떠한 장르에도 부속되지 않는 장르 초월성에 주목하여, 에세이 영화의 정체성을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장르를 넘나들며 진화하는 능동태의 영역으로서 에세이 영화를 정의하고, <철의 꿈>을 비롯한 에세이 영화의 정체성을 가진 영화들의 등장과 함께 영화에 대한 인식의 양상 또한 유연하게 확장되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In Korea there have been numerous films since the late 2000s that cannot be easily sorted into certain existing film genres. These films use a technique known as voiceover, expressing a director cannot be easily sorted into progressing within and without a strong narrative structure, they offer the director's self-reflective journey to the audience through her/his meditations and comments on the subject of the film. They embody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transgression within their rhetoric and aesthetics. As a unique territory and mode, these films can be classified as 'nto cteristics of gpaper initially examines the definition of an essay in literature and then investigates the attributes of essay films as an audio-visual medium. In addition, the paper presents an innate status of essay films by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ilms and different genres, such as documentaries and avant-garde films. In order to explore the identity of essay films, the paper analyzes A Dream of Iron (directed by Kelvin Kyung Keun Park, 2014) by focusing on the director's subjectivity and dialectic montage as achieved by articulating both diverse auditory and visual elements, as well as its transgressing energy. In conclusion, while transgressing all genres, essay films constantly evolve their own territories and modes. Additio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condition of watching and categorizing films will evolve as well, along with the active practice of the creation of essay films in Korea.

      • KCI등재

        착한강의 에세이 글쓰기 컨설팅 사례 연구 : 한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정덕현(Jeong Duk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한남대학교 ‘착한강의 에세이’ 공모전은 2014년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행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남대학교 글쓰기 상담교실에서 2019년도 2학기부터 운영하고 있는 ‘착한강의 에세이 글쓰기 컨설팅’ 운영현황과 상담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과 보완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희망사항을 반영하여 단계적 컨설팅을 실시하였고, 컨설팅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고, 이를 통해 분석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착한강의 에세이’ 글쓰기 상담은 한 편의 글을 단계별 과정을 통해 완성하기 때문에 다른 글쓰기 상황에서 전이능력을 가질 수 있다. 둘째, ‘결과 중심’의 첨삭지도가 아닌, ‘과정 중심’의 단계적 컨설팅으로 인해 글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남대학의 사례를 통해서 수업에세이 컨설팅의 과정에 대하여 진단 및 평가하고, 각 대학의 글쓰기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수업에세이 컨설팅 모형을 찾기 위한 기초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Hannam University s essay contest on the Good Lecture has been held annually since 2014. However, in order to apply for the contest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19, it is necessary to consult with the writing class, and it is institutionalized so that only those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writing consultation can receive step-by-step writing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suggestions and supplementary points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of the Good Lecture Essay Writing Consulting which has been in operation since the second semester of 2019 in Hannam University s writing counseling clas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step-by-step consulting was conducted to reflect the wishes of the student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consult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was high.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gives all students a choice and has its own benefits because they write process-oriented writ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ssay of Good Lecture writing consultation can have metastasizing ability in different writing situations because one piece of writing is completed through a step-by-step process. Second, writing skills can be enhanced by step-by-step consulting of process-oriented rather than by the correction guidance of result-oriented .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for diagnosing and evaluating the course of the teaching essay consulting through the case of Hannam University and finding standardized models applicable to the writing classes of each university.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에서의 (학술적) 에세이 쓰기의 효과와 의미

        이승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4 리터러시 연구 Vol.- No.8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and implications of academic essay writing in writing courses at college. In addition, writing of academic essays i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genre to enable college freshmen to recover their interests in writing and to experience the power of writing. There is no reason to emphasize only logical wiring as academic writing in terms of college writing program, which is one of liberal arts and humanistic education. Academic essay is able to provide cherishable experiences to students in that it allows them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freely and to secure logic required by academic writing. This study is based on experiences of actual classes. Likewise, as for the perception of academic essay, students raised questions first and then listened to the explanations on what difference it has from the logical writing- which was the way to approach the conceptual scope of academic essay. In case of academic essay, "I" (which is excluded form logical writing) can be freely exposed, working as the significant element of academic essay. As a matter of fact, academic essay writing has the conditions which help students overcome 'alienation'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in writing classes, in that the usage of "I" (which is ignored by logical writing) can be considerably meaningful. In other words, the genre properties of academic essay is to show "I" freely, different from logical wiring, which implies irreplaceable methodological conditions required to realize originality and also provides positive experiences because students can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feelings, and emotions can be important materials for writing in the boundary of universality which the writing (a genre) has. It's also true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ir personality and creativity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writing genre to unveil their originality. Meanwhile, when it comes to the actual teaching on how to write academic essay, a teacher essentially needs to take precautions against the exposure to excessive subjectivity to pay attention to academic factors which make a writing public implication. 이 글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에서의 학술적 에세이 쓰기의 효과와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대학 신입생들이 글쓰기에 흥미를 되찾고 글이 갖고 있는 힘을 경험케 하는 글의 장르로서 학술적 에세이 쓰기를 제안한 글이기도 하다. 인문교양교육의 하나인 대학 글쓰기에서 논증적 글쓰기만이 학술적 글쓰기로서 강조될 필요는 없다. 정서와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면서도 학술적 글쓰기로서의 논리성 역시 담보할 수 있는 글의 장르인 학술적 에세이가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논의는 실제 수업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학술적 에세이의 개념에 관해서도 학생들의 질문에 입각하여 논리적 글쓰기와의 차별성을 설명하는 것에서부터 개념의 범주에 접근하였다. 학술적 에세이에서는 논증적(논리적) 글쓰기에서 배제되었던 <나>를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논증적 글쓰기에서 배제되었던 <나>의 활용이 글쓰기 과정에서 유의미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에세이는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소외를 넘어설 수 있는 조건을 갖고 있기도 하다. 요컨대 학술적 에세이의 장르적 조건은 논증적 글쓰기와 다르게 <나>의 드러냄의 자유로움에 있는 것으로 이것은 <독창성>을 이끌 수 있는 대체불가능성의 방법적 조건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글이라는 장르가 갖고 있는 보편성의 장 안에서 자신의 경험과, 감정, 정서 등이 글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긍정적 경험의 장을 제공한다. 독창성이 드러날 수 있는 글의 장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개성과 창의성 역시 계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학술적 에세이 쓰기의 실제 지도법에서 과도한 주관성에 대한 노출의 경계 및 공공적 의미를 갖게 하는 학술적 요소에 대해서는 교수자의 성실한 점검이 필수적이다.

      • KCI등재

        장용학 후기소설 주제의식에 연계된 에세이 고찰

        홍상언(Hong Sangeo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필자는 장용학 전기소설에 비해 연구가 미미한 실정인 후기소설에 대한 주제의식과 후기소설 연구와 같은 상황인 에세이를 천착함으로써, 장용학이 교육자이면서 한때 언론인으로서 비평적 태도를 보여준 지성적인 작가임을 다시 한 번 인식할 수 있었다. 후기소설 주제의식에 연계된 장용학 에세이 가운데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만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근대화로 인한 소외양상을 보여준 에세이에서는 善, 自由, 그리고 現代人에 대한 장용학의 소견과 자본주의 사회와 근대화의 병폐를 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의 주제의식에 연계된 또다른 에세이로는 도시계획을 강행하는 서울시장을 비판하고 있다. 독재정권의 고발을 보여준 장용학의 에세이로는 박정희의 장기집권을 위한 대통령선거 여부에 대한국민투표 자체를 비판하고 있다. 왜곡된 일본사를 비판한 장용학의 에세이로는 일본인의 통념을 비판하고 있는 글이 있다. 이상으로 장용학 후기소설에 나타난 주제의식에 연계된 에세이 고찰은 장용학 전기소설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장용학 연구에 있어 총체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Until recently, studying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was considered immaterial when compared to studying his earlier ones. A study of the author’s essay was also considered immaterial . This thesis is a review of a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and its affiliated essay. This study, however, helped us re-identify Yong-hak Jang for his intelligence and critical temper in his capacity as author, educator, and journalist. We closely examined a part of the affiliated essay on subject consciousness seen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These essays reveal his critical bent of mind toward modernization, especially his views regarding the alienation of people from one another caused by modernization. His essay looks at not only the positive aspect of freedom and of modernization, but also at his opinion of the twofold capitalist society 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so-called modernization. His essay is a reflection of his opinion about the city planning enforcement of a Seoul mayor. The essay criticizes the dictatorship of the government. In the essay, he emphasizes the role of the plebiscite in long-term seizure of power from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under the dictatorship of the government of Jeong-hee, Park. In the same critical fashion, his essay mentions the distortion of history introduced by Japan and his opinions about Japanese conventions . To conclude, the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and its affiliated essa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a general study of the literature world created by Yong-hak Jang.

      • KCI등재

        에세이영화 연구: 비판적 형식으로서의 에세이와 영화 <6x2>(고다르)

        이정하 대중서사학회 2022 대중서사연구 Vol.28 No.3

        에세이는 단순히 규범에서 자유로운 예술형식이라기보다, ‘어떤 사물의 특성이나 속성, 또는 그 사물의 사용 방법을 확인(검토)하는 작업’이라는 사전적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형식적 자유로움, 상대적 간결함을 넘어 실험, 시도, 더 나아가 사유의 비판적, 발견술적 기획과 긴밀히 연관된 예술형식이다. 에세이영화 역시 영화의 고유한 장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영화 자체(영화 작가, 관객, 매체를 포함하여)를 실험하고 시험에 놓으면서 영화에 대한 사유를 촉발하는 또 다른 가능태로서의 영화 형식이다. 바로 이 점에서 고다르의 작업은 에세이영화의 형식적, 철학적, 정치적 잠재성을 포괄적으로 구현한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특히 고다르는 <6x2>에서 기존의 영화적 문법, 형식, 규범들을 백지상태로 돌리고, 영화의 근본 요소들 및 문제들로 구성된 실험적 에세이를 통해 ‘고다르식 교육학’(다네)이라 불린 이미지의 해체 작업을 시도한다. 고다르는 이러한 실험, 시도, 곧 ‘에세이’를 통해 영화 이미지의 새로운 배치 가능성과 담론 및 언어와의 정치적 관계, 그리고 무엇보다 이미지의 창조적 역량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했다.

      • KCI등재

        에세이 영화의 사유의 형상화 방식 - 크리스 마커의 <미래의 기억>을 중심으로 -

        이자혜 ( Lee Ja-hy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최근 몇 년간 에세이 영화는 제작과 비평, 학문적 연구의 모든 영역에서 그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때문에 시대적 트렌드라고도 여겨질 만큼 끊임없이 제작되고 있는 에세이 영화의 본질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에세이 영화의 본질적 특성을 사유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가장 대표적인 영화 에세이스트로 불리는 크리스 마커의 <미래의 기억>을 중심으로 에세이 영화의 사유의 소통방식을 분석하였다. 에세이 영화는 그것이 가진 특성들에 대한 다양한 참조를 통해 본질적으로 사유의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그것은 세계를 향한 감독의 주관적 성찰과 사유의 과정을 형상화하는 방식일 뿐 아니라 관객을 그 사유 과정에 연루시키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영화 에세이스트인 크리스 마커는 그의 영화 <미래의 기억>을 통해 기억과 망각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세계를 응시-사유한다. 그는 사진작가인 드니스벨룽이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 사이에 촬영한 사진의 이미지들을 재료로 시공간을 가로지르는 이질적 이미지들, 그리고 이미지를 자극하거나 의미를 역전시키는 보이스오버 나레이션의 연쇄를 통해 과거의 이미지들 안에 은밀하게 감춰진 미래를 `기억`해낸다. 그리고 이 기억하기의 행위, 즉 스스로의 사유의 과정을 스크린에 구현하는 방식을 통해 관객에게 잃어버린 시간, 즉 망각의 역사에 대한 사유를 중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크리스 마커는 현재를 `과거의 이미지 안에서 의도되어진 어떤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견하는 자신의 사유의 과정을 형상화함으로써 에세이 영화의 본질적 특성인 사유의 과정을 드러내고 또한 관객을 사유의 세계로 초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essay films have received more attention than ever before in all areas of production, criticism, and academic research and it is time to re-recognize the essence of the essay films which are constantly being produced to be considered a trend in these time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ssay films in terms of thinking and then analyzed the way of thinking about the essay film focusing on < Le Souvenir d`un Avenir > by Chris Marker who is called the most distinguished film essayist. Through a variety of references to its characteristics, `essay film` can be defined in essence as a process of thinking. It is a way of embracing the process of subjective reflection and thinking of the director towards the world as a public arena, while at the same time involving the audience in the process of thinking. As a film essayist, Chris Marker observes the world based on his awareness of memory and oblivion through his film < Le Souvenir d`un Avenir >. By using photographs taken by photo journalist Denis Bellon between World War I and World War II, he `remembers` the future hidden in past images by the montage of a chain of heterogeneous images across time and space and also by the voice-over narration that stimulates images or reverses their meaning. By incarnating the process of his own memory-the process of thinking- on the screen, he mediates the gaze-thinking for the lost time, the forgotten history, to the audience. In conclusion, Chris Marker appreciates the present as `what was intended in the image of the past`, and based on this, exemplifies his own process of thinking that anticipates the future. Through this, he invites the audience into the world of thought by revealing the `process of thinking`, the most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essay 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