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동엽 문학사상과 동학사상의 관련성 고찰

        이나영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4

        본고는 지금까지 신동엽 문학에 내재한 문학사상의 본질에 대한 규명이 미비한 점을 문제로 보았다. 이에 신동엽 문학사상의 토대로서 동학사상과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해 동학의 주요사상을 소개하였다. 동학사상은 각자위심의 마음을 버리고 우주와의 소통을 통해 내재된 신성을 회복하여 주체성을 깨달아 일상생활 속에서 인간의 도덕성을 끊임없이 함양하여 우주만물의 소통과 상호공존의 길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세계의 해조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공감과 사랑의 실천을 통해, 작게는 개인의 ‘정신개벽’을 이루어 종국에는 사회 · 문화적 대 변혁을 도모하는 일상적 실천을 강조하는 학문이자 종교이다. 이러한 동학사상은 신동엽의 사상적 토대가 되어 그의 문학사상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그의 창작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동엽은 한국 근현대사의 민중 수난이 극심한 시대에 태어나 성장하였으며, 또 동학적 배경이 깊은 지역과 가정에서 출생하여, 성장 과정에서 동학사상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또한 본격적으로 민족과 역사를 위해 문학의 사명이 무엇인지 눈뜨고 본격적으로 동학사상을 연구하면서 사상적 토대를 다져나갔다. 그러던 중 4.19혁명을 겪으며 그에게 내재되어 있던 문학사상은 본격적으로 작품을 통해 형상화된다. 본고는 그가 남긴 글과 기록들, 관련 신문의 기사, 가족과 지인들의 육성 인터뷰 등을 토대로 신동엽 문학사상과 동학사상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그 결과 신동엽 문학사상의 궁극적 지향점은 인류의 ‘정신’을 지키는 일이었으며, 나아가 인류정신을 창조하기 위해 시(문학)는 민족의 오랜 역사 위에서 성립된 사상적 토대 위에서 창작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시는 사상이자 나아가 종교로써의 역할을 해야 된다는 신동엽의 문학사상의 궁극적 지향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동엽은 문학사상의 완성작인 『금강』에 내재되어 있는 동학사상의 궁극적 정신이 바로 인류에 대한 ‘사랑(휴머니즘)’임을 확인하였다. 결국 이러한 작업을 통해 신동엽의 동학사상에 대한 관심과 그의 문학사상과 동학사상의 관련성을 다소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4장에서 신동엽의 작품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서정시 중 동학사상과 관련성이 분명한 작품을 살펴 신동엽 문학사상과 동학사상의 관련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동학과 관련성이 분명한 10편 남짓의 서정시는 대개 이 땅 위에서 가난과 억압에 신음하는 민중에 대한 안타까움과 민중에 대한 공감을 시를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동학농민혁명에서 민중이 보여준 혁명정신을 다시 이 땅에 되살려 인류의 ‘정신개벽’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신동엽의 염원이 형상화되고 있다. 또한 신동엽의 시론을 시로 형상화한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는 동학사상을 내재화한 신동엽의 문학사상을 잘 형상화한 작품이다. 이 시의 ‘서화’는 동학사상의 ‘천지조화’의 이치를 내재한 신동엽의 ‘원수성(原數性)’, ‘차수성(次數性)’ ‘귀수성(歸數性)’의 세계관을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이 시의 여성화자는 ‘천(남성)’, ‘지(여성)’의 조화가 깨어진 ‘차수성’ 세계에서 바른 ‘천’의 기운을 찾는 대지의 ‘화신’이었으며, 다시 ‘천지’가 조화되길 염원하는 마음을 상징하고 있으며, 이는 ‘원수성’세계의 회복을 바라는 시인의 의지의 형상화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 This paper considers the problem of the lack of identification in the essence of literary thought rooted in Shin Dongyeop’s literature. The study introduces the major ideas of Donghak thought to explain its relationship with Shin Dongyeop’s literary thought. Donghak ideology addresses the abandonment of individually different thought and the restoration of inherent divin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universe, realization of subjectivity to constantly cultivate human morality in everyday life by seeking communication and mutual coexistence with all things of the universe, and orientation to the harmony of the world. It is also a discipline and religion that emphasizes everyday practice to promote social and cultur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spiritual enlightenment of individuals by way of the practice of sympathy and love. This Donghak thought has becom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Shin Dongyeop’s literary thought and has influenced his works. Shin Dongyeop was born and grew up in the age of extreme public ordeal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He was born to a family deeply immersed in Donghak in the region where Donghak was prevalent. Due to these environment influences, he naturally accepted Donghak thought. Additionally, he studied Donghak ideology in depth and based his ideological foundation on Donghak, realizing the mission of literature for the nation and history. The literary thought inherent in him is demonstrated through the influence on his works of his experience of the April 19 Revolu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ry thought of Shin Dongyeop and Donghak thought based on the writings and records he left, related articles in newspapers, and interviews with his family and friend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confirm that the ultimate goal of his literary thought was to preserve the ‘spirit’ of mankind. It was found that he thought that poetry (literature) must be created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 established through the long history of the nation, and the ultimate goal of his literary thought was that poetry should play a role both as ideology and as religion. The results also confirm that the ultimate spirit of Donghak thought is embedded in his masterpiece “Geumgang”, which shows ‘love for humanity(humanism)’. As a matter of fact, through these researches and reviews, we can see his interest in Dongha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literary thought and Donghak ideology.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literary thought and Donghak is reviewed in more detail by closely looking those works relevant to Donghak thought among the lyric poems, which constitute the major part of his works. More than ten lyric poems showing the conspicuous relationship with Donghak portray the people groaning in poverty and oppression on this land and his sympathy for those people. Additionally, the poems express his desire for the ‘spirit enlightenment’ to be realized by reviving the revolutionary spirit shown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Land of a Story-telling Plowman”, a poem that illustrates Shin Dongyeop’s poetics, shows his literary thought as internalized Donghak thought very well. The ‘Overture’ of this poem shows his view of the world, which is an internalization of the logic of ‘heaven and earth harmony’ of Donghak thought. His world view comprises ‘Wonsuseong(原數性)’, ‘Chasuseong(次數性)’, and ‘Guisuseong(歸數性)’. The female speaker of this poem is an ‘incarnation’ of the land which recovers the right spirit of ‘Cheon [Heaven] in the world of ‘Chasuseong’ where the harmony of ‘Heaven(Male)’ and ‘Earth(Female)’. It symbolizes the wish that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would return. It is the will of the poet who desires the recovery of the world of ‘Wonsuseong’. Moreover, the title of this poem means ‘Saint’, which Donghak thought ultimately aims to achieve. I...

      • KCI등재

        신동엽 시와 예이츠 시의 비교 연구

        한세정 한국근대문학회 202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3 No.1

        SShin Dong-yeop and Yeats were active poets to explore creative methods based on the reality of the times, going through a turbulent period in history such as democratization in Korea and colonized Ireland, respectively. Despite some gaps in time and space, they share a couple of creative methods.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analyze similar and yet discriminating characteristics between Shin's and Yeats's poems and shed light on their significance in the literary history. In their poems, both Shin and Yeats choose heroic figures demonstrating their ethnic identities as their poetic materials. Their heroes, however, show differences in reproduction patterns. In Shin's poems, heroic figures are embodied as the heroes of the people that lead a new history by combining with historical events exhibiting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ople represented by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April 19th Revolution. Yeats embodies his heroes as transcendent beings by borrowing heroes from the ancient legends and myths of Ireland. In his poems, the heroic figures provide the Irish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their ethnic pride in the reality of a colony. In addition, he offers heroic representations in a broader sense by playing a variation to depict his heroic figures seeking eternal truth. Utopias reproduced both in Shin's and Yeats's poems belong to the time and space of the "past." The "past" that Shin calls a utopia in his poem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ancient era including "Samhan," "Baekje" and "Northern Buyeo" as historical time and space that existed in reality. The ancient era reproduced in his poems is combined with the history of Korea and presented as a present time, showing a future image of the Korean people to overcome the negative reality of the times. In Yeats's poems, a utopia is the time and space of ancient Ireland's myths and legends or is reproduced as a mythical time and space represented by "Byzantium" created in his imagination. While the utopias reproduced in Shin's poems boil down to a historical space reflect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as the subject of the public, those in Yeats's poems show multifaceted variations. In his early poems with nationalistic tendency, a utopia is depicted based on the mythical time and space of Ireland's prosperous ethnic identity. His later poems present a universal utopia to achieve an artistic spirit. Shin created engagement poems that depicted the spiritual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people specifically and showed the historical awareness based on the people by reproducing people's heroes representing their ethnic identity and utopias that boiled down to the ancient era. His poems emphasized that the people, who were suppressed in history, should be the new subject of history, displaying an aspect of independent national literature. His poetic characteristics towar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have the risk of chauvinism inherent in them as Kim Soo-young was concerned. Yeats borrowed myths and legends based on the unique ethnicity of Ireland and recreated them anew, securing the universal nature of world literature while embodying national literature beyond the local features of Ireland. Compared with Shin's poems, however, his nationalistic poems have a limitation of providing no practical measures to target the issues of his reality specifically. Shin's and Yeats's poems based on materials showing an ethnic identity reformed the issues of Korea's and Ireland's literary circles, respectively, inclined towards political ideas in the unique historical reality of Korea and Ireland and proposed the classic examples of engagement poetry and nationalistic poetry that secured both literary values and the awareness of the times, thus holding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신동엽과 예이츠는 각각 한국의 민주화와 식민지 아일랜드의 역사적 격변기를 경험하면서 시대 현실에 입각한 창작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했던 시인들이다. 시공간의 낙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창작 방법은 공통점이 발견되는데, 이 논문은 신동엽과 예이츠 시의 유사하면서도 변별되는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그것에 내포된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신동엽과 예이츠는 공통적으로 민족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영웅적 인물들을 시의 소재로 채택한다. 하지만 영웅의 재현 양상은 차이점이 발견된다. 신동엽 시에서 영웅적 인물들은 동학농민운동, 3·1 운동, 4·19 혁명 등이 표상하는 한민족의 자주성과 주체성을 보여주는 역사와 결합하여 새로운 역사를 이끌어가는 민중적 영웅으로 구현된다. 이에 반해 예이츠는 아일랜드 고대 전설과 신화 속의 영웅을 차용하여 초월적 존재로서 영웅을 구현한다. 식민지의 현실에서 예이츠 시의 영웅적 인물들은 아일랜드인에게 민족적 자긍심을 재인식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예이츠는 영원한 진리를 추구하는 존재로 영웅적 인물을 변주함으로써 보다 확장된 의미의 영웅 표상을 마련한다. 신동엽과 예이츠의 시에 재현된 이상향은 ‘과거’의 시공간에 속해 있다. 신동엽 시에서 이상향으로 차용된 ‘과거’는 실재했던 역사적 시공간으로서 ‘삼한’, ‘백제’, ‘북부여’ 등의 상고시대와 관련된다. 신동엽 시에 재현된 상고시대는 한국의 역사와 결합하여 현재화되면서 부정적인 당대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민족의 미래상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예이츠 시에서 이상향은 고대 아일랜드의 신화와 전설 속의 시공간이거나, ‘비잔티움’으로 표상되는 시인의 상상 속에 창조된 신화적 시공간으로 재현된다. 신동엽 시에 재현된 이상향이 민중이 주체가 되는 한민족의 특수성을 반영한 역사적 공간으로서 수렴되고 있는 것에 반해, 예이츠 시의 이상향은 다면적으로 변주된다. 민족주의적 경향을 보이는 예이츠의 초기시에서 이상향은 아일랜드의 민족적 정체성이 융성했던 신화적 시공간으로, 후기시에서는 예술혼을 성취할 수 있는 보편적인 이상향으로 변모한다. 신동엽은 민족 정체성을 표상하는 민중적 영웅과 상고시대로 귀결되는 이상향의 재현을 통해 한민족의 정신적 표상을 구체화하고 민중을 기반으로 한 역사 인식을 보여주는 참여시를 창작하였다. 특히 역사적으로 억압받았던 민중들이 새로운 역사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한 신동엽의 시는 독자적인 민족문학의 일면을 보여준다. 하지만 한민족의 특수성으로 귀결되는 신동엽의 시적 특징은 김수영의 우려처럼 쇼비니즘으로 전개될 위험성이 내재한다. 이에 반해 예이츠는 아일랜드 고유의 민족성을 담보한 신화와 전설 등을 차용하면서도 이를 새롭게 재창조함으로써 아일랜드의 국지성을 넘어선 민족문학의 구현과 더불어 세계문학의 보편성을 확보하였다. 하지만 예이츠의 민족주의 시는 신동엽의 시와 비교할 때, 당대 현실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타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민족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소재를 활용한 신동엽 시와 예이츠 시는 한국과 아일랜드의 특수한 역사적 현실 안에서 정치 이념으로 경도되었던 당대 한국과 아일랜드 문단의 문제점을 쇄신하여, 문학성과 시대 인식이 동시에 확보된 참여시와 민족주 ...

      • KCI등재

        신동엽 시의 ‘사랑’과 ‘죽음’의 양상과 의미 - 습작기 시를 중심으로 -

        정치훈(Jeong, Chi-Hu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신동엽 시의 외연을 습작기까지 확장하여 접근함으로써 그의 시세계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지금까지 신동엽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은 등단 이후의 작품으로 이루어져왔다. 신동엽의 시의 정수는 등단 이후 본격적으로 활동하며 발표한 작품에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발표작이 곧 신동엽의 ‘전체’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 특히 신동엽은 1959년 등단 이후 1969년 작고하기까지 짧은 활동기간에 비해 오랜 기간 동안 습작시를 남겼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습작기를 비롯한 미발표작은 공식적으로 발표한 작품에 비하여 그 한계가 뚜렷한 것 역시 사실이다. 그러나 신동엽의 시세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 살펴볼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신동엽 시세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동학’에 대한 사유는 등단 이전부터 천착해 왔으며, 등단작은 그의 시의 시작점이라기보다는 진행 중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동엽의 시세계의 전반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그 이전의 습작기까지 확장하여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고에서는 습작기 시에 나타는 ‘사랑’과 ‘죽음’의 의미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신동엽 습작 초기 에서는 대상에 대한 욕망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시편이 중심을 이루는 한편, 현실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시 또한 일부 찾아볼 수 있다. 두 시편을 견주어 볼 때 ‘욕망의 주체’가 지닌 힘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곧, 부재하는 대상에 대한 시적 주체의 끊임없는 욕망의 분출은 현실을 바라보는 관점과 맞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습작기에서 시적 전환은 ‘한국전쟁’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환의 핵심은 ‘전쟁’을 통해 ‘죽음’에 대한 사유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에 있다. 이 때, 개인적 차원에서 머물던 시적 주체의 시야가 ‘공동체’로 확장된다. 이와 함께 주목해야할 점은 시적 주체가 스스로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실패한 혁명’의 위치를 자임하고자 하는 태도이다. 이러한 시적 주체의 태도는 새로운 세계와 질서를 생성하는 것이 아닌, 기존의 질서와 체계에 끊임없는 균열을 일으킴으로써 ‘가능성’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곧, 「시인정신론」의 핵심 개념인 ‘귀수성(歸數性)’과 맞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동엽의 시세계는 습작기 시에 나타나는 ‘사랑과 죽음’의 전개 과정을 함께 놓을 때, 보다 세밀한 접근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oetic world by extending the extension of Shin Dong-yup’s poetry to the study period. Until now, most of the discussion about Shin Dong-yup has been made up of works after his debut. Clearly, the essence of Shin Dong-yup"s poetry lies in the works he published while working in earnest after his debut. However,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presented work is Shin Dong-yup’s ‘whol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from his debut in 1959 to his death in 1969, he wrote poems for a long period of time against the short period of activity. It is true that the unpublished works, including the study period, have distinct limitations compared to the officially published works. However, it is also a point where we can examine how Shin Dong-yup’s poetic world has been formed. Shin Dong-yup’s thoughts on ‘Donghak’,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the poetic world, have been studied since before his debu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is debut work was in progress rather than the starting point of his poetry. In other words, in order to examine the whole of Shin Dong-yup’s poetic worl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by extending it to the period of study before that.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the meaning of ‘love’ and ‘death’ in the study period. In the earliest Shin Dong-yup"s apprenticeship, the main focus is on the poems that directly reveal the desire for the subject, while there are also some poems that deal directly with real problems. When we compare the two poems, we can discover the power of the ‘subject of desire’. This shows that the poetic subject’s continuous outburst of desire for an absent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point of view of real problems. The poetic transition from the apprenticeship takes place through the ‘Korean War’. The key to the transformation lies in the fact that thinking about ‘death’ takes place in earnest through ‘war’. At this time, the poetic subject’s perspective, which stayed at the individual level, is expanded to the ‘community’. At the same time, what should be noted is the attitude of the poetic subject to assume the position of a ‘failed revolution’ by ‘chose death’. This poetic subject’s attitude does not create a new world and order, but creates a space of ‘possibility’ by constantly creating cracks in the existing order and system. It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that thi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e concept ‘Guisuseong(歸數性)’ of ‘The Poet’s Spirit’. A more detailed approach to Shin Dong-yup"s poetic world is possible when the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failure of love and revolution" that appears during the study period is put together.

      • KCI등재

        신동엽 시의 정치적 낭만성과 혁명 논리

        신동옥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0 No.-

        Shin Dong-yeop’s poem is characterized by a theme consciousness clearly marked by ideology orientation and a reproduction strategy in which unique historical perception functions as a methodological basis. The ideal of an operetta-like spacetime composition reflecting the organic worldview and a buffer zone through romanticized nature are key features revealed in Shin Dong-yeop’s poetry. This paper defines the core dynamics of Shin Dong-yeop as political romanticism and focuses on closely tracking the unique representation modality that appeared in Shin Dong-yeop’s poetry. In Shin Dong-yeop’s poem, nature and humans form an organic relationship, and in nature, humans form their own essence as auto-formation. The stage where the poetic consciousness is realized also goes beyond the time and space in the individual starters, showing trans-temporal, trans-spatial and trans-human characteristics. It is the logic of political romanticity that builds a temporal and spatial order on top of the actual experience and reality that is stepping against justification or abstraction. Shin Dong-yeop defines poetry in the sense of encompassing poetic drama, operetta, and long poem. Poetry is adopted as the best tool to realize true human liberation. In conclusion, Shin Dong-yeop’s poetic ideal turns out to be the logic of the revolution through political romanticity. It would be said that the theme of the dynamics of the revolution while using a representation strategy based on concrete reality is a key factor in Shin Dong-yeop’s poetry. The question poeticized by Shin Dong-yeop leaves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re-approved as a topic of civilization history beyond literary history. 신동엽의 시는 이념 지향성이 명징한 주제 의식, 특유의 역사 인식이 방법적인 토대로 기능하는 재현 전략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체적 세계관을 반영한 오페레타적 시공간 구도, 낭만화된 자연을 경유한 완충지대의 이상은 신동엽 시에 드러나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본고는 신동엽 시의 핵심 동학을 정치적 낭만성으로 규정하며, 신동엽시에 나타난 특유의 재현 양상을 면밀하게 추적하는 데 집중했다. 신동엽 시에서 자연과 인간은 유기체적인 관계를 맺으며, 자연 안에서 인간은 자신의 본질을 형성해 나간다. 시 의식이 실현되는 무대 또한 개별 시작품 안의 시공간을 넘어서며 초시간적, 초공간적, 초인간적인 특징을 보인다. 당위나 추상성에 반해 발 딛고 있는 실체적인 경험과 현실 위에 시공간 질서를 구축하는 정치적 낭만성의 논리다. 신동엽은 시극, 오페레타, 장시를 포괄하는 의미로 시를 정의한다. 시는 진정한 인간적인 해방을 실현하기 위한 최적의 도구로 채택된다. 결론적으로, 신동엽의 시적 이상은 정치적 낭만성을경유한 혁명의 논리로 드러난다. 구체적 현실에 기반한 재현 전략을 구사하면서도 혁명의 동학을 주제화하는 것은 신동엽 시의 핵심 인자라 할 것이다. 신동엽이 시화한물음은 문학사를 넘어서 문명사적인 화두로 재추인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고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정신사와 신생(新生)의 토포스(topos) : 4·19 혁명과 한일회담 반대운동 전후 신동엽 시의 변화양상

        고봉준(Ko, Bong-Jun)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한국문학사에서 1960년대의 위상은 각별하다. 1960년대는 4·19 혁명이 초래한 ‘자유’와 ‘민족’에 대한 대중의 갈망과, 5·16 군사정변을 주도한 세력의 기술주의, 이 두 개의 근대화 모델이 격렬하게 충돌한 시기였다. 사회변동의 현실은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문학은 이념적 금기를 넘어 남북통일과 이상적 세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 것이 1960년대였다. 이런 이유로 김수영과 신동엽은 1960년대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 논문은 1960년대 신동엽 시의 특징적인 면모를 4·19혁명과 한일회담 반대운동으로 대표되는 사회변화와 연계하여 논의한다. 1960년 이전까지 신동엽의 시는 부정적 현실인식을 관념적 차원에서 형상화하거나 현실극복의 의지를 신념의 차원에서 진술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이때의 부정적 현실인식이란 ‘전쟁’ 경험에서 획득한 것이다. 반면 1959년 등단 무렵에 이르면 신동엽의 시는 역사의식을 획득한 모습을 띠기 시작한다. 이 무렵 신동엽은 자신이 생각한 이상적 세계를 ‘정전지구(停戰地區)’라고 표현했는데, 4·19 혁명 이후에는 그것을 ‘완충지대’라고 바꾸어 표기했다. 그리고 1964년 「껍데기는 가라」를 처음 발표할 때에는 그 이상적 세계를 ‘중립’이라고 표현했다가 1968년에 쓴 「술을 많이 마시고 잔 어젯밤은」에서는 함축적 의미가 동일한 이상적 세계를 ‘완충지대, 중립지대, 평화지대’의 세 가지로 동시에 표기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면 4·19 혁명 이후 ‘정전지구’가 ‘완충지대’로 바뀌었고, 한일회담 반대운동 이후 ‘완충지대’가 ‘완충지대, 중립지대, 평화지대’로 다양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듯하다. 신동엽이 ‘중립’을 노래할 시기에 최인훈 또한 소설 연재를 통해 중립의 꿈에 대해 진술한 것을 보면, 신동엽이 시기에 따라 이상적 세계의 명칭을 바꾼 것은 문학에 대한 현실의 영향 탓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1960s occupies a special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two models of modernization-people’s yearning for ‘freedom’ and ‘nationality’ triggered by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echnism purported by those who led the May 16 military coup-crashed hard. Throughout the 1960s, the reality of social changes stimulated literary imagination, and literature surmounted ideological taboo and provided a vision on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nd an ideal world. Kim Suyoung and Shin Dongyeop have been seen as poets that represented literature of the 1960s. This study discusses characteristics of Shin Dongyeop’s poem from the 1960s in relation to social changes as represented by the April 19 revolution and protests against the Korea-Japan summit. Before 1960, his poem embodied the poet’s negative perception of the reality at an ideological level or stated his conviction and resolution to overcome the reality.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reality was born from his experience of the war. By 1959, when he was about to debut, his poem began to show historical consciousness. Around this time, the poet termed his idea of an ideal world as ‘ceasefire district’, and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he revised the term to ‘buffer zone’. When he first published ‘Go Away Shell!’ in 1964, he described the ideal world as a ‘neutral’ place, and then in 1968, called the ideal world of the same overtone in three different terms of ‘buffer zone, neutral zone, peaceful zone’ at the same time. That is, in the poet’s work, ‘ceasefire district’ changed to ‘buffer zone’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which went on to diversify into ‘buffer zone, neutral zone, peaceful zone’ following protests against the Korea-Japan summit. Around the time Shin Dongyeop wrote about a ‘neutral’ place, novelist Choi Inhun also expressed his dreams about a ‘neutral’ place in his series novel, and from this fact, it can be derived that the poet’ change of terms indicating an ideal world reflected the influence of the reality on literature.

      • KCI등재

        신동엽 서사시의 성취와 의의 -『금강』의 서정성을 중심으로

        이나영 ( Lee Na-yo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4 No.-

        신동엽의 『금강』은 그의 투철한 시정신이 빚어낸 결과이다. 지금까지 『금강』은 작품에서 드러나고 있는 ‘서정성’과 관련하여 연구자들의 상반된 평가를 받아왔다. 본고는 『금강』에서 나타나고 있는 ‘서정성’의 문제에 주목하여 ‘서정성’의 발생이 시인의 시대인식(문제의식), 시인의 사상과 ‘시혼(시정신)’이 빚어낸 결과이며, 서사시의 중심에 선 ‘서정성’이야말로 신동엽 서사시의 가장 중요한 성격임을 고찰하였다. 신동엽 시론의 핵심은 자기 시대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자기희생적 의지, 즉 그의 ‘시혼’이 문학으로 현현된 것이었다. 특히 신동엽의 ‘시혼’은 동학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것이 문학으로 형상화된 것이 바로 『금강』이다. 즉 동학의 가장 핵심 사상인 ‘시천주(侍天主)’의 정신을 내재화한 신동엽의 ‘시혼’은 ‘신하늬’라는 서정적 주인공을 통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본고는 나아가 『금강』의 주인공 ‘신하늬’의 변화 · 발전의 양상과 또 그것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서정적 주인공 ‘신하늬’는 ‘시천주’의 깨달음을 통해 신성을 회복하여 주체성을 깨닫고(서정적 동일성 회복), 나아가 타인에 대한 연민과 공감(상호주체적 서정성으로 발전)을 바탕으로 그들을 위해 희생하고 ‘위위심(爲爲心)’을 실천하는 인물(실천적 서정성으로 발전)로 변화 · 발전하고 있다. 즉 ‘신하늬’는 전통적 서사시의 주인공과 달리 자기 시대, 즉 한국의 근대라는 시 · 공간에서 발생한 문제적 상황이 빚어낸 인물이며, 또 근대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한 대안적 인물이라고 하겠다. 또한 그는 주체적인 인간으로 변화하며 행동(실천)하는 인물이다. 끝으로 신동엽 시론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정적 자아 ‘신하늬’는 실재 역사의 주역이 아니라 이 땅에서 이름 없이 살다가 사라진 무수히 많은 민중들의 체현자이다. 즉 역사란 ‘신하늬’와 같은 범인(凡人)들이 일상에서 자기 변혁의 실천적 생활을 통해 발전해 나갈 수 있음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이것은 동학사상의 일상적 실천성과 상통하고 있다고 하겠다. 둘째 나아가 신동엽서사시는 집단과 개인의 관계를 재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서사시 『금강』은 집단과 개인의 운명적 결속 관계로부터 매몰된 인간의 주체성을 회복하여 개별 존재의 고유성과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개인과 집단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개인과 집단을 유기적 결속체로 재정립하고 있다고 하겠다. 셋째 근대성의 침윤(浸潤)으로 인해 극단적으로 분화하여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문학’, ‘종교’, ‘철학’이 문학안에서 융화하여 일상 속에서 제 기능을 찾고 실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끝으로 신동엽 시론은 근대 서사시의 변용과 지속 가능성의 길을 찾아 그것을 작품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신동엽은 서구 문학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 문화와 역사적 특수성 아래서 자신의 시론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금강』을 창작하였다. 이러한 그의 서구 문학이론의 비판적 수용과 개성적 창작 활동을 통해 한국 근대 서사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Shindongyeop’s ‘Kumkang’ is a result made by his thorough poetical spirit. ‘Kumkang’ has received the opposite evaluations by researchers in regard of the ‘lyricism’ revealed in the work. This thesis focused on the problem of ‘lyricism’ appearing in ‘Kumkang’ and revealed the occurrence of ‘lyricism’ was a result caused by the poet’s era awareness(problem awareness), poet’s ideology and poetic spirit, and the ‘lyricism’ standing in the center of epic wa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of the Shindongyeop’s poem theory. The core of Shin’s poem theory was the self-sacrifice will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era, that is, his poetic spirit was expressed as the literature. In particular, Shin’s poetic spirit is based on Donghak idea and ‘Kumkang’ embodied it into the literature. In other words, Shin’s ‘poetic spirit’ which internalized the spirit of ‘Sicheonju’, the most fundamental idea of Donghak, is embodied literally through the lyrical main character named ‘Shinhani’. This paper more concretely examined the aspects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Shinhani’, the main character of ‘Kumkang’, and its meaning. Lyrical protagonist ‘Shinhani’ is changing and developing into a figure(developing into the practical lyricism) who realizes the subjectivity by restoring the sacr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Sicheonju(侍天主)’(restoring the lyrical identity) and sacrifices himself for them based on the pity and sympathy for others(developing into the inter-subjectivity lyricism), and carries out the ‘wiwisim(爲爲心)'. That is, 'Shinhani' is a figure created by the problematic situation which arose in the time and space called the Korean modern times, that is, self-era unlike the protagonists of the traditional epic poem, and is the alternative figure involving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modern problems by himself. Also, he is a figure who carries out as changing to the independent human. Finally, the significance of Shindongyeop’s poem theory is as follows. First, lyrical ego Shinhani is not a leading role of the actual history but the embodiment-person of a myriad of people who disappeared while living without the name on this ground. That is, the history embodies that ordinary people like 'Shinhani' can develop through the practical life of the self-revolution in the daily life, and it corresponds to the daily practicability of Donghak idea. Second, Shindongyeop’s poem theory is significant in re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 and individual. Epic poem ‘Kumkang’ suggests an alternative for keeping a balance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 without impairing the inherency and value of individual existences by restoring the human’s subjectivity buried from the fateful unity relation between the goup and individuals, and it reestablishes the individuals and group as an organic united body in this process. Third, it is also significant in looking for a possibility that the literature, religion, and philosophy which lost their functions after being extremely divided by the permeation of modernity are harmonized in the literature to find their own function in the daily life. Finally, Shindongyeop’s poem theory finds a way of the acculturation and sustainability of the modern epic poem and embodies it into the work. Shindongyeop established his poem theory under the Korean culture and the historic specialty by accepting western literary theories critically, and created ‘Kumkang’ on the basis of it. It was possible to find a new possibility of the Korean modern epic poem through this critical acceptance of western literary theories by him and his individual creation activity.

      • KCI등재

        신동엽의 라디오 대본과 괴테 ≪젊은 베르터의 고뇌≫-신동엽 연구(9)-

        김응교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4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how Goethe’s “Young Werther’s Anguish” was cited in a radio script written by poet Shin Dong-yeop. Through this study, Shin Dong-yeop’s thought of love and Goethe’s thought of love can be revealed. When Shin Dong-yeop calls it “one-sided love”, the love goes beyond just love between men and women. It seems like simple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but it is love that burns the artistic soul (Opereta <Sakyamuni’s Stone Pagoda 석가탑>). It seems like a love between a woman who escaped from the palace and a young man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but the love is a love that dreams of a start(Epic <Geumgang River 금강>. Through the accidental meeting of male and female soldiers who fell behind in the modern war, Shin Dong-yeop also recreated the tragic love of overcoming the Cold War (A poetic drama <The Shade of Their Lips 그 잎술에 파인 그늘>). At the heart of it lies the “Jeon Kyung-in(전경인, 全耕人) love,” which loves the earth, poetry, and revolution. Beyond the polarized human being, he described humans who passed “one life that embodied all perception in one body as a whole” as the term “Jeon Kyung-in.” The unrequited love of the foreground will be the nature, revolution, and the total love loved by men and women beyond the polarized love. The total love is in line with Goethe’s “Young Werther’s anguish” and later with Goethe’s “Faust”. Shin Dong-yeop might have written a radio script about love, a superficial theme in “Young Werther’s anguish,” and a revolutionary individual trying to break down stereotypes at that time. In the work, Goethe wroted which the first is very noble and pire love, the second is revolutionary will, the third is the ecological community. Goethe’s love, revolutionary will, and ecological community are similar to the world of Shin Dong-yeop’s work. Goethe’s worldview and Shin Dong-yeop’s worldview are much alike. It is a meeting between two writers who have never met, two accidental and beautiful thinkers. 이 논문은 시인 신동엽이 쓴 라디오 대본에서 괴테가 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어떻게 인용되었는지 분석한 연구다. 이 연구를 통해 신동엽이 생각하는 사랑, 괴테가 생각하는 사랑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겠다. 신동엽이 ‘짝사랑’이라고 할 때 그 사랑은 단순히 남녀간의 사랑을 넘어선다. 단순한 남녀간의 사랑 같지만 그 사랑은 예술혼을 불태우는 사랑(오페레타 <석가탑>)이다. 궁을 탈출한 여인과 혁명에 가담한 청년의 사랑 같지만 그 사랑은 개벽을 꿈꾸는 사랑(서사시 ≪금강≫)이다. 현대 전쟁에서 낙오한 남녀 병사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 신동엽은 냉전을 극복하는 비극적 사랑(시극 <그 입술이 파인 그늘>)을 재현하기도 했다. 그 핵심에 대지와 시와 혁명을 사랑하는 ‘전경인(全耕人)적인 사랑’이 자리한다. 극분업화된 인간을 넘어 “모든 인식을 전체적으로 한 몸에 구현한 하나의 생명”을 지난 인간을 그는 ‘전경인(全耕人)’이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전경인이 하는 짝사랑은 극분업화된 사랑을 넘어서는 자연과 혁명과 남녀가 사랑하는 총체적인 사랑일 것이다. 그 총체적인 사랑은 괴테의 ≪젊은 베르터의 고뇌≫ 그리고 이후에 ≪파우스트≫까지 이어지는 괴테의 사랑과 통한다. ≪젊은 베르터의 고뇌≫에 나오는 표면적 주제인 사랑, 이면적 주제인 당시 고정관념을 부수려는 혁명적 개인의 모습을 신동엽은 라디오 대본으로 쓰지 않았을까. 괴테의 이 소설에는, 첫째 지고지순한 사랑, 둘째 혁명적 의지, 셋째 생태 공동체의 사유가 들어 있다. 사랑과 혁명의지와 생태 공동체를 작품화 한 괴테의 세계관은 신동엽의 작품 세계와 유사하다. 그것은 A에게서 B가 영향을 받았다는 진화론적인 관계가 아니라, 신동엽의 아잇적부터의 사유가 괴테의 사유와 비슷했기 때문일 것이다. 괴테의 세계관과 신동엽의 세계관은 많이 닮았다. 만난 적 없는 두 작가, 우연하고도 아름다운 두 사상가의 만남이다.

      • KCI등재

        신동엽 시의 멜랑콜리 표상 연구

        방승호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3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melancholy in Shin Dong Yeob's poetry. By highlighting his expressions of melancholy, I aim to emphasize the source of inner pain and consciousness that underlies ideology and conception. Specifically, I clarify that melancholy is an emotional phenomenon of the self to which all existing entities respond as well as an emotional source that drives Shin Dong Yeob’s poetry. Therefore, discussion about this subject is imperative.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animal" and "flower" as representations of melancholy. First, the animal primarily represents a being that has been alienated from reality. Animals typically appear as entities that cry out toward the word,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manifestation of a melancholic sense of self. Specifically, dogs are represented in poetry as hwan gyeon that are considered as either ill or mad dogs that wander aimlessly. The expression "mad dog" can be interpreted as symbolizing the "dog with rabies" described by Walter Benjamin. Furthermore, a variety of animals including water fowls represent the release of passion embedded in depression through howling. Shin Dong Yeob's flower is a subject that exhibits melancholy as a lonely form of life. The scent that a flower emits conceals its inner self, ironically conveying its own solitude. This fateful isolation represented by flowers is reminiscent of Benjamin's "absolute monarch's depression." The melancholy expressed by the flower does not simply sink to an inner self; rather, Shin Dong Yeob induces ardent passion through the melancholic representation of the flower. Shin Dong Yeob's concept of melancholy is highlighted through the representations of the animal and flower in that one can confirm the possibilities of passion and redemption. Shin Dong Yeob's inner self does not simply dwell in depression and sadness. To overcome the ordeal, it wails and struggles continuously. The cry of the animal or the scent of the flower are not mere representations of melancholy, but expressions conveyed by Shin Dong Yeob's inner self to the world. In other words, melancholy is the emotional source and spiritual product that revolves around the plane of poetry that drives Shin Dong Yeob's work. 이 논문은 신동엽 시의 멜랑콜리 표상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신동엽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를 조명함으로써, 이념과 사상 이면에 감춰진 내면의 아픔과 의식의 원천을 짚어보고자 한다. 특히 멜랑콜리는 현존하는 모든 존재가 반응하는 자아의 감정적 현상이자, 신동엽 시를 추동하는 정서적 근원이 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 된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멜랑콜리의 표상은 ‘짐승’과 ‘꽃’이다. 먼저 ‘짐승’은 주로 현실에서 도태된 존재를 표상한다. 이들은 주로 세상을 향해 울부짖는 존재로서 나타나는데, 이 과정에서 자아의 멜랑콜리가 드러나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개’는 병에 걸려 걱정하는 ‘환견(患犬)’이나, 미친개처럼 돌아다니는 존재로 시 속에 구현된다. 이러한 ‘미친개’의 표상은 벤야민이 언급한 ‘광견병 걸린 개’의 상징과 유관한 의미로 풀이된다. 나아가 ‘물새’를 비롯한 다양한 짐승들은 울부짖음을 통해 우울함 속에 내재한 열정을 산출한다. 신동엽 시의 ‘꽃’은 고독한 생명으로서 멜랑콜리를 드러내는 대상이 된다. ‘꽃’이 자신의 내면을 감추기 위해 발산하는 ‘향기’는 역설적으로 존재 본연의 고독을 드러낸다. ‘꽃’이 표상하는 숙명적인 고독은 벤야민의 ‘절대 군주의 우울’을 연상하게 한다. ‘꽃’이 드러내는 멜랑콜리는 단순히 내면으로 침잠하지 않는다. 신동엽은 ‘꽃’의 멜랑콜리를 통해 오히려 ‘무진한 정열’을 도출해낸다. 신동엽의 멜랑콜리가 주목되는 점은 ‘짐승’과 ‘꽃’이라는 표상을 통해 오히려 열정과 구원의 가능성들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신동엽의 자아는 우울과 슬픔에 빠져 있지만은 않는다. 자신에게 주어진 조건에 굴하지 않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울부짖고 또 몸부림친다. 이러한 점에서 신동엽 시에 나타난 ‘짐승’의 울음과 ‘꽃’의 향기는 단순한 멜랑콜리의 표상이 아니라, 세상을 향해 전달하는 자아의 메시지나 다름없다. 다시 말해, 신동엽 시의 멜랑콜리는 자아의 의식을 추동하는 정서적 근원이자 시세계를 중심하는 정신적 소산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신동엽 문학에 나타난 분단 극복의 상상력 연구

        차성환(Cha, Shunghwan)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 한국학 Vol.47 No.3

        신동엽은 1960년대 한반도의 분단 상황에서 통일 조국에 대한 ‘유토피아적 지향’을 드러낸다. 신동엽은 1950년대에 유토피아적 열망으로 충만했지만 이를 현실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역사의식과 이론적 토대가 부재했다. 그러나 1960년대 동학과 아나키즘의 사상적 전유를 통해 자신만의 역사관과 ‘전경인’ 개념을 획득했으며 결정적으로 중립화통일이라는 구체적 유토피아의 전망을 확보한다. 블로흐는 막연한 열망으로서의 ‘추상적 유토피아’가 가진 퇴행적 요소들을 제거하고 그것이 품은 유토피아적 열망을 긍정하면서 ‘구체적 유토피아’로 나아갈 것을 요청한다. 신동엽에게는 그 ‘구체적 유토피아’를 가능하게 하는 최초의 땅이 ‘정전지구’로 나타난다. 신동엽은 ‘씨앗’이란 비유와 함께 씨앗을 심고 밭을 일구는 ‘전경인’이란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신동엽의 역사관에서 부정한 현실인 ‘차수성’의 땅에 누워서 유토피아로서의 ‘귀수성’을 꿈꾸는 ‘씨앗’은 블로흐가 말한 ‘아직 아닌-존재의 존재론(Ontologie des Noch-Seins)’의 지위를 갖는다. 그의 산문 「시인정신론」에서 ‘전경인’과 ‘씨앗’은 유토피아를 향한 혁명의 출발점인 ‘아직-아닌 존재의 존재론’을 지향한다. 이 ‘씨앗’이 심겨질 장소는 바로 ‘중립 지대’(비무장지대)이다. 신동엽은 1960년 4ㆍ19혁명이라는 결정적 경험 이후에 고양된 역사의식을 가지게 되고 1950년대에 보이던 추상적 유토피아와 결별하고 구체적 유토피아를 추구하는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즉, 신동엽에게 중립화통일은 유토피아적 사유에 기반한 ‘의식된 희망’(구체적 유토피아)의 최종 종착지이자 역사의 마지막 혁명이다. In the 1960s,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Shin Dong-yeop revealed his “Utopian orientation” for a unified homeland. While Shin was full of utopian aspirations in the 1950s, he lack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eoretical basis to plan them realistically. However, through the ideological appropriation of dynamics and anarchism in the 1960s, he developed his own historical perspective, the concept of the “foreground man,” and importantly, he secured a vision of a concrete utopia centered on neutralization and unification. Bloch asked for the removal of the degenerative elements of the “abstract utopia”—a vague aspiration—and advocated for moving toward a “concrete utopia” while affirming its utopian aspirations. For Shin Dong-yeop, the first land that enables a “concrete utopia” appears as the “static electrical zone.” Along with the metaphor of a “seed,” Shin Dong-yeop presents the concept of “foreigners” who plant seeds and cultivate fields. The “seed,” which lies on the ground of the “next generation,”—a negative reality in Shin Dong-yeop’s view of history—dreams of “heritance” as a utopia, has the status of Bloch’s “Ontologie des Noch-Seins.” In his prose work “The Poet Spirit,” “the foreground” and “seed” aim for “the ontology of existence that is not yet-to-be,” the starting point of the revolution toward utopia. The place where this “seed” will be planted is the “neutral zone” (unarmed zone). After the decisive experience of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Shin Dongyeop developed an elevated historical consciousness, breaking away from his abstract utopia of the 1950s and moving toward the pursuit of a concrete utopia. In other words, for Shin Dong-yeop, neutralization and unification are the final destination of “conscious hope” (concrete utopia) based on utopian thinking, and the final revolution of history.

      • KCI등재

        신동엽 문학의 역사의식과 사회적 상상력

        김지윤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70

        이 글은 ‘동학’을 통해 ‘민족’을 사유했던 신동엽이 추구하고 지향하던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기 위해 신동엽의 시 세계에 나타나는 역사의식과 사회적 상상력에 주목하였다. 특히 사학과를 졸업한 신동엽의 역사에 대한 관심, 동학의 정신에 대한 탐구를 그의 산문과 시를 통해 살펴보려 했다. 동학과 천도교는 공공선의 실현을 중시하고 개혁주체로서의 공개인 개념을 제시했으며 생활세계에 밀착된 실천적인 종교였다. 동학은 시민도덕과 윤리를 배양하고 ‘공론장을 만든 종교’였다는 점에서 시민종교적 특성을 가진다. 신동엽 시에 나타난 동학의 정신은 개인적인 신앙, 자기수양이나 깨달음, 인륜적인 도의 차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신동엽은 자생적인 민중적 역능에 기대를 걸고 당대의 현실에서 민중의 역량이 발휘되어 변혁의 원동력이 되기를 바라는 희원을 담아 동학의 정신을 사유하였다. 신동엽은 구한말, 식민초기의 상황과 1960년대를 겹쳐보며 정체성 확립의 문제, 그리고 새로운 세상을 여는 주체가 되고자 하는 열망을 문학에 반영하였다. 이 글은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며 신동엽 시 속에 나타난 동학에 대한 탐구가 어떤 맥락에서 나타났는지 파악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려 했다. 이는 당시의 사람들이 구체적인 현실에 맞서기 위해 무엇을 추구했고 무엇을 실현하려 하였는가를 탐색하며 신동엽 시 해석의 지평을 더욱 확대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