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 비교 분석

        박진선,김동진,박세열,황현숙,박국태,Park, Jin-Sun,Kim, Dong-Jin,Park, Se-Yeol,Hwang, Hyun-Sook,Park, Kuk-Tae 대한화학회 2011 대한화학회지 Vol.55 No.6

        이 연구는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배경 요인에 따른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을 비교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개념과 수리 문제 해결력 검사지를 개발하여,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배경 요인에 따른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을 비교하고, 기억 보유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어떠한 개념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인지수준에서 개념 문제 해결력이 수리 문제 해결력보다 높았으며,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의 중학생들의 경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에 대한 기억 보유 효과 비교에서 형식적 조작기 중학생들은 기억 보유 효과가 있었다. 중학생들의 배경 요인에 따른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 비교에서 사교육을 받은 중학생들과 받지 않은 중학생들 사이의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과학 활동 경험과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에서는 과학 활동 경험이 있고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중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중학생들보다 개념 문제 해결력과 수리 문제 해결력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중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거시적인 현상을 단순히 기억하여 과학적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중학생들의 비과학적인 개념을 사전에 파악하여 이를 과학적인 개념으로 바꿀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on Boyle's law and Charles's law according to cognitive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items of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developed.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cognitive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as compared. The long-term memory effect in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cognitive levels was investigated, and problem solving process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item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eptual problem solving ability was higher than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in all cognitive level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rete operational period and transitional period students. In comparison of the long-term memory effect in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formal operational period students had the long-term memory effec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ceptual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private educ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experiences of the scientific activities and hopes to related scientific careers. From results of analysis of problem solving process, it is known that the students had a tendency to just remember macroscopic phenomena and to solve the problems without understanding the concepts. Therefor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s necessary to replace unscientific concepts by the scientific concepts through identifying students's unscientific concepts in advance.

      • KCI등재

        노인의 수면 문제와 주관적 인지 저하의 관계에서 정서적 문제의 매개효과

        권희진,박수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6 No.1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has recently come into the spotlight, as researchers continue to look at the effects of sleep disturbance on the early detection of Alzheimer’s disease and the overall well-being of older individuals.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e studies have shown mixed results in tra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sleep disturbance and objective indices of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ing as well as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is present study therefore aimed to examine this process and the effects of affective disturbance. A total of 101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had their sleep disturbance level, affective disturbance,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nd objective cognitive functioning asses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ffective disturb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even when controlling for objective cognitive functioning. Such result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concurrent with sleep problems in the elderly, may be associated with affective disturbance, and affecting depression and anxiety in particular, therefo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tilizing a biopsychosocial approach when addressing the health-related complaints of older adults. 수면 문제는 노년기에 흔히 경험하는 문제들 중 하나로 인지기능의 저하와의 관련성이 확인되어왔다. 최근에는 특히 치매의 조기 진단과 노년기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 주관적 인지 저하와의 관련성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 수면문제가 주관적인지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객관적인지 기능의 저하 여부와 우울, 불안 등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가 혼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수면 문제가 주관적 인지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정서장애의 대표적 증상인 우울과 불안, 걱정 등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정서적 문제가 수면 문제와 주관적 인지 저하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지역사회 만 60세 이상 성인 101명을 대상으로 수면 문제와 정서적 문제, 주관적 인지 저하, 객관적 인지기능을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수면 문제와 정서적 문제, 주관적 인지 저하가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객관적 인지기능은 이들 세 변인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객관적 인지기능을 통제한 후, 수면 문제와 주관적 인지 저하의 관계에서 정서적 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적 문제가 수면 문제와 주관적 인지 저하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이 수면 문제를 경험하면서 나타나는 주관적 인지 저하가 실제 인지 수행의 저하로 인한 것이기보다는 정서적 문제와 더 큰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노인들의 건강 및 기능 관련 문제 호소에 대한 생물심리사회적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의 수면 습관이 인지,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15 아동과 권리 Vol.19 No.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sleep habits and cognitive development, emotion and behavior problems. We analyzed the data from the 5th year Korean Children Panel Study (KCPS), including 1,703 families with 4-year-old childr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r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later bedtime was related to higher levels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ggressive behavior, sleep problem and total scores. Second, a longer nighttime sleep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ikelihood of externalizing problems, aggressive behavior, sleep problem, other problems, and total scores. Also, the longer total sleep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ikelihood of emotional reactivity, somatic complaints, sleep problem, and total scores. Third, having a good night's sleep was related to higher levels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lower levels of internalizing problems, emotional reactivity, anxiety/depression, somatic complaints, externalizing problems, aggressive behavior, sleep problem, other problems and total scor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 education is needed to reach the desired sleep habits of preschool children.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increase nighttime sleep duration and draw up measures to achieve a good night's sleep. 본 연구는 수면 습관이 유아의 인지 발달, 정서 및 행동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조사 5차년도에 응답한 만 4세 유아 자녀를 가진 1,703가구의 자료를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침시간이 늦을수록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공격 행동, 수면 문제, 총 문제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야간 수면시간이 증가할수록 외현화 문제, 공격 행동, 수면 문제, 기타 문제, 총 문제 행동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총 수면시간이 증가할수록 정서적 반응성, 신체증상, 수면 문제, 총 문제 행동 수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숙면을 한 유아가 숙면을 하지 않은 유아보다 인지 발달 수준이 높았고, 내재화 문제, 정서적 반응, 우울․불안, 신체증상, 외현화 문제, 공격 행동, 수면 문제, 기타 문제, 총 문제 행동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바람직한 수면습관 형성을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야간수면 시간을 늘려주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의 수면 문제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 스트레스 매개효과

        유애리,윤성민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한 자녀의 수면 문제와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설 치료기관에서 18개월부터 만 5세의 발달 지연 영유아를 돌보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의 수면 문제와 문제행동에 관한 측정은 한국판 유아 행동 평가 척도(K-CBCL 1.5-5)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측정은 한국판 부모 양육 스트레스 검사 4판 단축형(K-PSI-4-SF)을 사용하였다. 모집된 최종설문 205부에 대해 SPSS 25.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의 수면 문제는 발달장애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또한 문제행동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의 수면 문제가 높을수록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증가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의 수면 문제와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의 수면 문제가 심각할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증가하며,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영유아기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수 감각, 핵심어, 문제 만들기를 강조한 수학 문장제 해결 전략의 효과

        하정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4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class combined by number sense, keyword and problem posing strategies on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of at-risk children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y.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15 first grader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ir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it combined a strategy of cultivating a number sense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numbers, a keyword strategy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mathematical word problems and mastering the solution process, and a problem posing strategy of utilizing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s in the practical life. Making use of the winter vacation for 4 weeks, this study conducted the intensive intervention 5 times a week, a total of 20 sessions, and verifie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by carrying out pre-post t-tests. As a result, number sense, keyword and problem posing strateg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sense and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of at-risk children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y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to improve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lower graders, a class of combining a strategy of number sense that learns the basics of number, a keyword strategy of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s and a problem posing strategy of utilizing the mathematical problems in the practical life may be proper. Therefore, to improve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lower graders, strategies of strengthening and applying basic skills of number in the practical life are needed to be combined along with a strategy of fulfilling a problem solution. 본 연구는 수 감각, 핵심어, 문제 만들기 전략을 병행한 수업이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 15명의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들을 선별하고 그들의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의 기초가 되는 수 감각을 기르는 전략, 수학 문장제 문제의 의미를 이해하고 해결과정을 숙달하는 핵심어 전략, 수학 문장제 문제를 실생활에 활용하는 문제 만들기 전략을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4주 동안의 겨울 방학 기간을 활용하여 주 5일 총 20회기의 집중적인 중재를 진행하였고, 사전—사후 t검정을 실시하여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 감각, 핵심어, 문제 만들기 전략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 감각과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의 기초를 기르는 수 감각 전략, 수학 문장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핵심어 전략, 수학 문장제 문제를 실생활에 활용하는 문제 만들기 전략을 병행하는 수업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수학 문장제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제해결을 실행하는 전략과 더불어 수의 기초 기술을 강화시키고 실생활에 적용하는 전략들을 병행할 필요성이 있다.

      • MeFOT기반 수 활동이 유아의 수 개념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이종찬 mefot창의인성학회 2014 MeFOT 창의인성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MeFOT기반 수 활동이 유아의 수 개념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만 5세 유아 54명을 대상으로 하며, 이 중 한 반 27명은 실험집단에 배정하고, 다 른 한 반 27명은 통제집단에 배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아 수 개념 측정도구는 최효 정(2007)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학적 문제해결력은 이명옥(2007)이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 하였다. MeFOT기반 수활동은 질문하기, 탐색하기, 연상하기, 적용하기, 수용하기 등의 단계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MeFOT기반 수활동은 유아의 수 개념 전체, 수 세기, 수 연산, 패턴이해, 수량관계 이해, 수 표상 등 수 개념 전반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MeFOT기반 수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전체, 분류, 패턴, 수, 측정, 도형, 통계 등 수 학적 문제해결력 전반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MeFOT기반 수활동은 유아의 수 개념, 수학적 문제해결력, 수학적 태도에 모두 효과적임으 로 해서 유아의 수교육에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 KCI등재

        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서 놀이의 매개효과

        이민규,진연주,오승재,홍익표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 간의 관계에서 놀이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한국아동패널의 3차년도(2010년) 자료를 활용하여 주요 연구변수에 결측치를 제외한 총 1,734 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영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문제해결 능력, 놀이의 관계를 검증하고, 놀이의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 포함된 유아기 아동의 월령은 23~32개월로 26개월이 584명(33.7%)으로 가장 많았으며, 남자는 885명(51.0%), 여자는 849명(49.0%)으로 나타났다. 수면 습관 3문항(1문항 제외), 놀이 5문항, 문제해결 능력 6문항으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모형이 우수한 모형 적합도를 보였다. 놀이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간접효과( = 0.137, p = .006)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수면 습관이 문제해결 능력에미치는 직접효과( = -.015, p = .871)와 총 효과( = 0.122, p = .057)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수면 습관이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에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이는 놀이가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완전 매개효과(full mediation effect)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잘못된 수면 습관은 인지적,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으로 적절한 발달의 걸림돌이 되어 전생애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유아기 아동이 효과적인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좋은 수면 습관을만들고 수면의 긍정적인 효과가 다양한 놀이 참여의 기회를 촉진하여 아동의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의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성인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s' sleep habits and problem-solving. Methods : In total, 1,734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3rd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utili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oddlers’ play, sleep habits, and problem-solving,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Results : The monthly age of the study participants ranged from 23 to 32 months, with 885 (51.0%) boys and 849 (49.0%) girls. The indirect effects of play on problem-solving skills (β = 0.137, p = .00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s of sleep habits on problem-solving skills (β = -.015, p = .871) and the total effect (β = 0.122, p = .057)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d that sleep habit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oblem-solving ability, but that the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and fully mediated by play. Incorrect sleep habits can negatively affect lifelong development. Therefore, parents would need to be aware of whether their child is developing good sleep habits during the toddler age.

      • KCI등재

        유아의 도치 문제해결 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

        강민정(Kang, Mi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도치 원리는 복잡한 계산적 과정을 최소화함으로써 규칙적 계산과 문제해결을 촉진하고, 해결의 정확성과 속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유아의 도치 문제해결 능력이 연령, 숫자 크기, 문제 유형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 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2015년 8월 5일부터 9월 4일까지 개인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른 도치 문제해결 능력에서 4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도치 문제를 더 잘 해결하였다. 또한, 4세 유아는 5세 유아보다 계산 전략보다 도치 전략을 선호하였다. 둘째, 수 크기에 따른 연령별 도치 문제해결 능력에서 계산 전략은 4, 5세 유아 간 차이가 없었으며, 계산 전략을 작은 수 도치 문제에서 많이 사용하였다. 특히 도치 전략은 큰 수 문제에서 5세 유아보다 4세 유아에게서 많이 나타났다. 셋째, 문제 유형에 따른 연령별 도치 문제해결 능력에서 4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a+b-b 문제 유형에서 도치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4세 유아는 도치 문제를 일관성 있게 해결하였으며, 유아에게 도치 문제 제공시 수의 크기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Inversion principle can facilitate problem solving and routine computation by minimizing computational processes and increasing both solution accuracy and speed.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n how child appear inversion ability by ages, number-size, problem types. The participants were four and five years old 45 kindergarten children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terview on August 5th until September 4th, 201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child’s inversion strategy between four and five years old. Four years old children were more accurate in inversion ability. Secondly,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hild’s computation strategy by age and child’s computation strategy was more appeared small size inversion problem. Four years old children more used inversion strategy than five years old children in big size inversion problem. Thirdly, Four years old children more used inversion strategy in a+b-b problem type than five years old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s, four years old children consistently solved in inversion problems, number size might be considered to provide children s number activities.

      • KCI등재

        생활 문제 중심의 소집단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수연산 발달에 미치는 효과

        김유정,이지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 문제 중심의 수학교육에 바탕을 둔 소집단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수연산 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있으며, 이야기나누기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비형식적 수연산 책략을 알아보는 것이다.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는 수와 관련된 주제를 정하여 이를 드러낼 수 있는 상황과 모형을 유아들에게 제시하고, 상황에 포함된 수연산 문제를 이야기나누기를 통해 해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생활 문제에 바탕을 둔 소집단 이야기나누기는 수연산 중, 특히 빼기와 곱하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나누기에서 유아들이 수학적 문제해결을 위해 사용한 수연산 책략의 양상은 더하기의 경우 모두 세기 책략과 알고 있는 구구 사용하기 책략을, 빼기의 경우 1 : 1 대응 책략과 덜어내기 책략을, 곱하기의 경우 직접적 수세기 책략과 비공식적 계산하기 책략을, 나누기의 경우 직접적 수세기 책략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외 책략들 역시 과거 연구들에 비해 높은 비율로 사용하였으며 곱하기와 나누기의 경우 실험 횟수가 증가할수록 사용한 책략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mall group discussion program based on real life problem solving on young children's number operations (2)to analyze the strategies children use to solve problematic situation during small group discussions. The subjects were twenty-four 5-year-old children (12 control group children and 12 experimental group children) attending a child care center in Seoul, Korea All were from middle SES families. Pre-and post-tests, designed to assess young children's grasp of number operations, were administered. Manipulative materials, such as an attractive zoo model complete with objects representing animals and people were also designed for this study and used by the children in the small group discussions. The researcher visited the center 16 times (2 times a week for 8 weeks) and guided small group discussion on children's familiar real world experiences featuring situations that included various number operations. Each group discussion session with 6 children took about 20 minutes. During the discussion, children were presented with the zoo manipulative materials. The discussion centered on a problematic situation likely to happen at a zoo and always included various number operations. The study's results: (1) The small group discussions based on realistic situa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ng children's abilities to perform number operations, especially in subtraction and multiplication. (2) The strategies the children used in their problem solving during the small group discussions were more various than those found in other studies dealing with children's solution strategies in number operation.

      • KCI등재

        유아의 만 3세 기질이 만 4세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만 4세 수면 문제와 주의집중 문제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은아,송하나 한국아동권리학회 2015 아동과 권리 Vol.1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mperament at age 3 years on peer interaction at age 4 years through the ser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sleep problem and attention problems at age 4 years. The subjects were 858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2011 and 2012. To identify serial media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macro PROCESS according to Preacher and Hayes (2008) and a bias-corrected bootstrapping approach.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emotionality as a temperament at age 3 on peer interaction at age 4 had significant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through sleep problems and attention problems at age 4 and also had a single mediation effect of attention problems. The effect of activity at age 3 on peer interaction at age 4 was mediated by attention problems only. Sociability at age 3 had a significant serial double mediation on peer interaction at age 4 through sleep problems and attention problems at age 4. All indirect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bootstrapping.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만 3세 기질이 만 4세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만 4세 수면 문제와 주의집중 문제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2011)와 5차년도(2012)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유아(총 858명)의 연령은 수집 당시 각각 평균 38.18개월과 51.87개월이었다. 분석 결과 만 3세의 기질적 정서성이 만 4세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만 4세 수면 문제와 주의집중 문제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하였고 주의집중 문제의 단일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반면 만 3세 활동성이 1년 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만 4세 주의집중 문제의 단일 매개효과만 유의하였고, 만 3세 사회성이 만 4세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만 4세 수면 문제와 주의집중 문제의 이중매개효과만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질에 따라 1년 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의 매개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