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수업장학의 실태와 개선을 위한 제언

        임미빈,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teachers’ perceptions, and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of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 surve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supervision, teachers’ perceptions of implementation levels and need levels of four areas and three steps of teaching supervision and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A total of 100 teachers’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analyzed with means and SDs of each area and each item of teaching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36 teachers among 100 teachers did not have any teaching supervision opportunity during one and a half year. Most of those 64 teachers who had at least one chance of teaching supervision received the teaching supervision from their school administrators. Utility levels of teaching supervision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were low. The levels of implementation of four areas and three steps of teaching supervision were low while the needs for implementing those areas and steps were high.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identified by those 64 teachers were (1) at least once a year teaching supervision; (2) as a teaching supervis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were wanted; (3) as the priority credential requirements of teaching supervisor were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special educa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the most appropriate and effective teaching supervision for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were finally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 받은 수업장학의 실태,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리고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의 개선 요구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여건과 비교할 때 수업장학에 대한 기회가 미흡한 일반 초등학교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게 제공된 수업장학 실태와 그 문제점을 밝히고 제도적인 수업장학 제공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수업장학의 내용 및 절차 개발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및 인천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 중 교직 경력이 3년 이하의 초임 교사 174명 전수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초임 특수학급 교사 100명 중 최근 1년 반 동안 수업장학을 제공받지 못한 교사는 36명(36%)이었다. 수업장학을 제공받은 경험이 있는 64명 교사들 응답에 의하면, 수업장학의 제공자는 전체의 42%가 교장·교감, 21%가 연구부장 교사였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장학에 대한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의 실행도는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필요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수업장학의 3단계별 실행도와 필요도에서는 계획수립 단계가 수업관찰과 분석 단계와 결과 협의 단계보다 저조하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로는 교사의 57.8%가 1년에 1회의 수업장학을 제공받기를 원하였으며 가장 희망하는 수업장학 제공자는 특수교육 전문성을 지닌 경력 5년 이상의 특수교사였다. 수업장학 제공 요건으로 장학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을 최우선으로 지적하였다. 끝으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직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장학 제공과 적합한 수업장학 방법의 필요성과 그 함의가 논의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교육청 수준 및 교육과학기술부 차원에서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전문적 수업장학을 제공할 수 있는 행정적 방침과 절차, 초임 1년차 특수학급 교사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학교관리자나 장학사의 특수교육 전문성 고양의 필요성, 특수교육 전문성을 갖춘 수업장학 제공자의 수급 과제 등을 포함한 제도적 장치 수립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하였다.

      • KCI등재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술과 지도 유형에 관한 연구

        안금희(Ahn Keumhee),손민호(Shon Minho),김현정(Kim Hyunj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장학에서 봐야 할 내용으로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고찰하고, 관찰 방법으로 교육 비평의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수업 개선을 위한 교과 장학이 의미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학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장학 자체의 절차 보다는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미술과 수업 장학의 요소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 대한 이론적 틀과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무엇을 봐야할 지에 대한 문제 즉 관찰 요소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였다. 미술 수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수업 장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질적 관찰 및 비평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의미있는 수업 장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ypifications of art instructions which provide us with the resources for supervision of art classes. This study finds in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is initially termed by E. Eisner its way of analyzing and representing the fiel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provides the art instruction types which might b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We discuss what the supervisor should take a look at, that is to say, th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based on the research on instruction and th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Second, this study provides the observation method and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are used for the purpose empowering art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e. For supervis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rt instruction, the qualitativ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re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foundation for the meaningful supervision developing th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nd utilizing them on art classrooms.

      •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장학 현황

        임미빈,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교수의 질 신장을 지원하는 장학의 한 방법인 수업장학의 실태와 개선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서울, 경기, 인천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근무하는 학교의 수업 장학 실태(수업장학의 횟수, 제공자,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는 어떠한가?; 둘째,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의 개선 요구(수업장학의 횟수, 제공자, 수업장학을 제공 받기 위해 마련되어야 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중 교직 경력이 3년 이하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 총 174명이다. 질문지는 전수조사로 총 174부 배부되었고 104부가 회수되었으나 불성실한 응답 4부를 제외하고 수업장학을 받아본 경험이 없는 36명 교사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64부 응답이 본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응답자료 처리는 선다형 문항, 중복 응답형 문항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 하였고, Likert 4점 평정 척도형 문항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받은 수업장학의 실태로,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최근 1년 반 동안 제공 받은 수업 장학의 횟수는 1회가 33%, 2회가 23%로 나타났고, 수업장학을 제공 받지 못한 교사는 전체의 36%이다. 수업장학의 제공자는 전체의 42%가 교장, 교감으로 나타났고, 교장, 교감 다음으로 전체의 21%가 연구부장으로부터 수업장학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는 수업장학의 결과를 추후 수업개선에 거의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M=2.57), 만족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M=2.45). 또한 교사는 수업장학이 교수-학습 개선에 효과가 거의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M=2.67).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로는 교사의 50% 이상이 1년에 1회의 수업장학을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교사가 가장 희망하는 수업장학 제공자는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지닌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특수교사였으며, 가장 많은 수의 교사가 수업장학 제공 요건으로 장학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 및 3단계의 실행도는 평균점수 2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수업장학 4가지 영역과 3단계의 필요도는 평균점수가 모두 3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력 3년 이내인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직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장학 제공과 적합한 수업장학 방법의 필요성과 그 함의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에 대한 개념적 분석

        이은혜 ( Eunhye Lee ),박인우 ( Innwoo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1

        이 연구는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밝힘으로써 각각의 수업개선 활동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용어 간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 개선을 위한 지원 활동으로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수업의 개선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근본적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의 속성을 갖는다. 그렇지만 각각의 영역은 사회적 흐름과 교육현장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며 고유한 활동 체계를 만들어 냈다. 따라서 각 활동의 개념과 속성, 영역을 구분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코칭, 장학, 컨설팅의 유래는 무엇인가?, 둘째, 기존 국내 연구에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셋째,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먼저 코칭, 장학, 컨설팅의 개념적 유래와 사전적 의미를 각각 살펴보았다. 또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자에 따라 각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개념 간 양자비교도 하였는데, 우선 수업코칭과 수업컨설팅의 행위의 대상, 문제해결 방식, 컨설턴트와 코치의 역할에서 차이를 보였다. 수업코칭과 수업장학의 구분은 참여주체 간 관계, 장학담당자와 코치의 요건, 문제의 정의와 해결과정을 기준으로 볼 때 가능하다.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은 분석대상, 참여주체 간 관계, 문제 원인과 해결방안, 실행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기존 정의를 분석하여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찾아내고, 세 개념 간 구분과 관계를 설명하였다. 결론에서는 수업컨설팅의 개념이 활동의 성격을 보다 잘 담아낼 수 있도록 재정의 될 필요가 있으며, 수업장학과 수업코칭 간의 관계를 재고해 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onceptually the difference of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by analyz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practices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are common in that fundamental objectives are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instruction. However, each area changed according to the social flow and the demands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created a unique activity system. So, in order to get rid of this mixed use of these terms, it is meaningful to distinguish the concepts, attributes, and areas of each activit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were 1) what is the origin of coaching, supervision, and consulting? 2) how are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defined in existing research in korea? 3) how can we conceptually distinguish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reviewing various existing studie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ual origins and lexicons of coaching, supervision, and consulting, respectively, in addition reviewd the prior studies conducted in Korea with regard to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summarized how each concept is defined according to the researcher. Second, this study compared each two concept with another one. Finally, the existing definitions of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inherent and common attributes of each concep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cep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needs to be redefined to better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ies, and that studies that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coaching and instructional supervision are needed.

      • KCI등재

        수업장학 실천을 위한 실행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웨이웨이(Wei Wei ),주영효(Young Hyeo Joo)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2

        수업장학은 교실 현장에서 수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교사 행동을 중요 요소로 하며, 수업과 교사의 교수 활동(teaching activity)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수업장학이 긴요하지만, 지금까지 대다수의 교사들은 수업장학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수업장학의 유의미한 실천을 위해 실행연구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실행연구는 연구 현장의 상황에 속해 있는 교사 참여를 바탕으로 수업과 교사 자신의 교수 활동 개선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실천적이며, 현실의 구체적인 상황에 부합하는 유용한 대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실제적인 접근 방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업장학의 실천적 실행과 실제적 접근에 강조점을 두고, 교실 수준에서 수업장학의 효과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학, 수업장학, 실행연구의 의미와 특징, 전통적 수업장학과 대비되는 실행연구의 강조점을 고찰한 후 수업장학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structional supervision aims to improve classroom teaching quality and the quality of instruction. An important factor in instructional supervision is the classroom (on-the-spot teaching) and behavior directly related to the teacher. However, until now, most teachers have shown a tendency to have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n this context, action research methods can be an alternative for the meaningful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This is because action research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who are involved in the field of research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problems that teachers themselves care about, it is practical to explore useful countermeasures in line with the actual situa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action research method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at the classroom level, focusing on the practical practice and approach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To this end, this paper analyzes the concepts and methods of supervision,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action research, and the emphasis of action research as opposed to traditional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finall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 KCI등재

        Portfolio Supervision : An Alternative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Teachersin Gyeonggi-Do?

        윤기옥 韓國比較敎育學會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3

        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한 교내장학가운데서 특히 강조되는 것이 참관전 협의회, 수업 참관, 참관후 협의회가 이루어지는 임상장학과 동료장학이며, 또한 교원능력개발평가도 강력한 형성평가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과정과 결과에 대한 자료가 축적되어 지속적으로 다음의 장학과 평가의 근거로 이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포트폴리오 장학은 교사의 수업의 실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단기 및 장기 목표달성, 지식과 기능의 축적과 관련된 실질적인 자료를 근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선 경기도 소재 5개 학교에 근무하는 2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현재 이루어지는 교내장학에 대한 생각과 포트폴리오 장학이 이를 보완하는 가운데 하나의 대안으로서 수업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지에 대하여 면담을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수업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자기장학, 동료장학, 수석교사에 의한 장학을 들었다. 교장, 교감이 주도하는 임상장학은 언급되지 않았고, 교사에 의한 장학이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두드러지는 것으로는 교육지원청에서 주도하며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자문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컨설팅 장학에 대하여 교사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교사들은 수업우수교사, 수석교사를 포함하여 다른 교사의 수업을 볼 기회가 더 주어지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교내 멘터가 동학년교사 이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포트폴리오 장학과 관련해서는 근본적으로 교사의 전문성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제대로 실천에 옮겨지기 위해서는 연수를 통한 철저한 이해, 포트폴리오 구성에 요구되는 시간과 협력적 풍토 등이 선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수업전문가로서의 교사가 강조되고, 수업개선을 위한 혁신프로그램들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인 가운데, 오랫동안 거듭되어 언급된 문제인 수업과 관련없는 잡무를 줄여가며, 학생에게 이용되고 있는 포트폴리오를 교사에게 이용하는 것도 교사의 수업개선, 그리고 궁극적으로 학생의 학습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Traditionally in school supervision clinical supervision and peer supervision where classroom observation and conferences are essential have been emphasized for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On top of these a formative 360° evaluationcalled "Evaluation to Develop Educators’ Capability" has begun to beused. In all these efforts what is in lack is to chronicle the teacher growth and development. A portfolio is a work in progress that allows the teacher to chronicle (1) teaching practice, including changes made over time, (2) attaining long and short term goals, and (3) the building of knowledge through constructing artifacts. Portfolio supervision is an instructional supervision-clinical supervision, peer supervision-extended through the portfolio. In this paper 20 teachers in 5 schools in Gyeonggi-Do were interviewed to find out what they think about the school supervision 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portfolio supervision Major findings were that self supervision, peer supervision, and master teacher system, along with consulting supervision were regarded as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Portfolio supervision was thought as a good way to improve their instruction, but staff training and reduction of their workload were mentioned as prerequisites to be solved.

      • KCI등재

        중등수학 예비교사 수업장학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이봉주 한국학교수학회 2008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1 No.1

        예비 수학교사 교육에서 수업장학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의 수업기술 향상과 이로 인한 수업의 효과 증대에 필요한 수업장학의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립사범대학에서 수학 수업장학을 받고 교육실습을 다녀온 74명의 예비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4명의 예비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하여 수학 예비교사의 수업장학에 관한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및 개별 면담을 분석한 결과와 수업장학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수업장학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조사 결과, 사범대학의 예비 수학교사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발표수업과 수업장학은 예비 수학교사가 수업 기술을 발전시키고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실질적인 하나의 방법이었다. 한편, 효과적인 수업장학을 위하여 교육실습 기간의 수업장학은 현장과 대학의 협동장학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의 수업장학 풍토 연구

        정복이,신재철 교육종합연구원 2010 교육종합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장학풍토의 문제는 무엇이고, 그 원인은 어디에 있으며,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의 수업장학은 교사의 의지와 관계없이 지원보다는 관리·통제 위주로 교장의 의지에 따라 실시되고 있어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그 원인은 장학과정의 관료주의적 장학, 학교장의 의지에 좌우되는 장학, 초등교사들의 평균주의 교육활동 등에서 비롯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수업장학을 통하여 전문적 지원을 받고 싶어 한다. 둘째, 초등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수업장학 풍토는 장학수요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교사와 장학담당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민주적이고 자율적인 장학을 실시하는 것이다. 즉 수업장학이 장학수요자가 존중받는 장학수요자 중심으로 전개되어,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교사의 참여를 바탕으로 그들의 민주적인 의사소통 과정을 통하여 수업장학이 실시되어 좀 더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인간자원장학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의 개념의 혼란과 차이 탐색

        박은진(Park, Eun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Teachers, school supervisors, research institutes, and educators continue to research and practice to improve their classes and overall instruction. Class improvement methods in schools include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The methods are being carried out in schools without theoretical agreement on their concepts, which only add to the confusion in the field. In this regard, this study summarizes the historical and current statu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and examines the conceptual confusion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and arranges the conceptual attribut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structional supervi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in schools, and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classes and teachers. However, they have unique conceptu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goals and targets, the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the stages and procedures of the activities, and the expertise. In order for them to be active in schools, they must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ir conceptual characteristics. It is true that there is an imbalance in the degree of accumulation of study between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o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structional coaching be continued. Also, teachers will need to actively conduct field research. In addition to practical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oretical research on teachers resistance to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in schools. 교사, 장학사, 연구기관, 교육학자들은 더 나은 수업을 위해 꾸준한 연구와 실행을 지속하고 있다. 학교에서 실행 중인 수업개선 방법에는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합의 없이 학교에서 실행되고 있어 현장에서는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의 역사와 현황을 정리하고,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의 개념적 혼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의 개념적 특성과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 개념적 속성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수업코칭은 학교현장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수업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목표와 대상, 참여자와 참여자들의 관계성, 활동의 단계와 절차, 참가자들의 역할과 전문성의 측면 등에서 고유한 개념적 특성을 갖고 있다. 이들이 학교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개념적 특성에 맞게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수업개선의 여러 가지 필요성과 문제점에 대하여 교사들의 실행연구와 더불어 이론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국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학교 임상장학 사례를 중심으로

        안미정 국어교과교육학회 2008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현 시점에서 국어 수업 컨설팅 장학이 어떤 참여자에 의해 어떤 방법과 절차로 어떤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는지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임상 장학의 형태를 띤 초임교사의 국어 수업 컨설팅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국어 수업 컨설팅 과정을 참여 관찰하고 참여자에 대한 서면 및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국어 수업의 요건과 국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국어수업 컨설팅 참여자와 내용, 방법에 대한 분석 기준을 수립하고 분석 목록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국어 수업 컨설팅 참여자 측면, 국어 수업 컨설팅 내용 측면, 국어 수업 컨설팅 방법 측면의 세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초임교사의 국어(말하기·듣기·쓰기)수업 컨설팅 사례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여자 측면에서는 기존의 국어 수업 장학이 장학담당자에 의한 지도적·교육적인 측면이 강했던 반면, 국어 수업 컨설팅 장학에서는 참여자간의 상호 존중적 관계로 변화하고 있었다. 특히 컨설티 측면에서는 국어수업 컨설팅에 대한 자발성은 결여되어 있으나 컨설턴트의 조언이나 피드백에 대해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긍정적인 자세를 보였다. 컨설턴트 측면에서는 국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연수 경험이 있어 컨설팅의 단계 및 과업 수행이 능숙하고 컨설티와의 우호적인 관계 형성과 협력·조언자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그러나 참여자 간의 Rapport형성이 수업 컨설팅의 성패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생각해 볼 때 수평적이고 친밀한 관계 형성이 가능한 컨설턴트 양성에 대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국어 수업 컨설팅 내용 측면에서는 컨설티의 의뢰 과제를 중심으로 한 수업 전 협의회와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수업 후 협의회에서 수업 계획 및 운영과 관련된 치밀한 수업 협의와 조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국어 학습 목표 및 국어 지식 등 국어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내용보다는 범교과적인 내용에 대한 컨설팅이 대부분이어서 국어 교과 전문 컨설팅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국어 수업 컨설팅 방법 측면에서는 임상 장학의 형태를 띠었으나 그 과정이 수업 컨설팅의 일반 과정과 흡사하였으며 과정별 과업도 상황에 맞게 융통성 있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컨설턴트와 컨설티 간의 만남과 협의 시간이 부족하였으며 충분한 컨설팅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지구별 수업 컨설팅 지원팀의 구성이나 교내 동료 장학의 활성화 등 지속적인 수업 컨설팅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국어 수업 컨설팅의 사례 분석을 통해 국어 수업 컨설팅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수업 컨설팅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이를 토대로 국어 수업 컨설팅의 바른 정착과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국어 수업 전문성을 가진 컨설턴트 교사의 양성 체제를 구축하고, 교과 영역별 컨설팅 기준 및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여 효과적인 국어 수업 컨설팅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둘째, 기존 장학의 형식적 운영과 지시·교육적 측면으로 인해 장학을 기피하는 교사들에게 수평적이고 협력적인 수업 컨설팅의 과정과 방법을 안내·홍보하여 잠재적 컨설팅 의뢰교사들이 쉽게 컨설팅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업 컨설팅의 사례들을 수집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교과별, 영역별, 개인별, 상황별 맞춤형 수업 컨설팅의 과정과 내용, 방법에 대한 연구와 현장 적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성공한 수업 장학의 운영과 관련한 외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긴 안목으로 수업 컨설팅을 다루려는 제도적 노력이 뒤따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