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석교사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유치원 기관유형 중심으로

        김안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석교사제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과 대전에 근무하고 있는 공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는 교직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수석교사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수석교사제의 구체적인 내용은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의 선발기준에 대해 교육경력 10년 이상인 자가 적합하다고 보았으며, 동료 교사 평가가 선발 전형기준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수석교사의 선발인원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간에 인식의 차가 나타났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전체교원의 10%라고 보았으며 사립유치원 교사는 유치원 당 1명의 수석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란 수업에 전문성을 가진 교사라고 인식하며 수업지원활동이 그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보았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주당 수업시간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 간의 인식의 차를 보였는데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주당 3-4시간 이하라고 응답한 반면 사립유치원 교사는 주당 7-8시간 이하가 적절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넷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 임기가 2년 중임이 적절하다고 보았으며, 원감 수준의 지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연구 활동비는 월 30만원 이상 되어야 한다고 보며, 특별연구비 지원이나 연구년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다섯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수석교사 역할의 명시가 필요하며, 평교사들의 업무 및 수업부담 가중이 생기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한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를 통해 교원들의 수업전문성이 신장될 것이라는 희망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수석교사제도의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밝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Master teacher system". To this end, a survey of 281 teachers working in public/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Daejeon was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Master teacher system as a good opportunit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qualified and specialized teachers can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s and thought it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y had no details about the system.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master teachers should be appointed among teacher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considere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Moreover, they thought that performance and achievements in leading classes inside/outside classes a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list of standards for selecting a master teacher.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answered that the proportion should be 10 percent out of all. Meanwhil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a master teacher should be appointed in every kindergarte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a master teacher as a teacher with professionalism and specialty for class and their pivotal role is to support class. Meanwhile, as for proper weekly class hours of a master teacher, there have been differences of awareness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it should be less than 4 hours weekly. On the other hand,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thought that it should be less than 8 hours per week. Fourth,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that a master teacher can be reappointed for 2 consecutive years at a level of vice-director of a kindergarten. Meanwhile, they thought proper payments for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more than 300,000 won per month and support for special research and study years should be provided as means of an incentive. Fifth,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that a clear role of a master teacher should be designated so that Master teacher system can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y worried that normal teachers' burden of duties and classes would increase when the new system comes into place. Furthermore, they hoped that this new system would increas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pecialization in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s above is expected to positively influence discovering a desirable way for implement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 KCI등재

        수석교사의 직무모델링 연구

        정금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3

        이 연구는 수석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에 기초한 직무모델을 설정하고 그 타당성을 조사하여, 직무에 기초한 수석교사제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수석교사의 직무모델 설정을 위해 문헌연구 및 외국사례 분석을 통해 수석교사의 직무를 범주화하고, 수석교사 직무영역 및 내용을 추출하여 전문가 검토를 받은 후 설문조사를 통해서 직무영역 및 내용 중 수석교사의 핵심직무와 보조직무가 무엇인지 밝혔다. 다음으로 선정된 직무영역 및 내용의 중요도 및 예상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직무개요, 직무명세서를 작성하고 직무수행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석교사의 직무영역은 교직원 개발, 경영관리, 교육과정 및 수업, 학부모 및 대외 관계, 학생지도 영역으로 나누었고, 핵심직무로 14개, 보조직무로 21개를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확인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수석교사제 도입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석교사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석교사의 직무영역을 명료화함으로써 직무수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제도 도입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수석교사제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모색: 수석교사와 동료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성만 ( Sung Man Cho ),김병윤 ( Byeong Yun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연구논총 Vol.31 No.2

        본 연구는 교사의 승진경쟁 완화 및 교수활동 리더십 강화를 위해 2008년 3월부터 시범운영 되고 있는 수석교사제 실태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수석교사제의 시범운영 인식 관련 4가지, 수석교사의 역할 및 위상 관련 8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에서 선발된 138명의 수석교사와 1,595명의 동료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수석교사는 ``동료의 전문성 신장 기여``에 70.4%(수석교사 93.5%), ``가르치는 교사 우대 풍토 조성``에 68.9%(수석교사 90.6%), ``승진과열 현상 일정 부분 해소`` 57.5%(수석교사 90.6%), ``수석교사로 인해 전문성 향상 자극`` 54.9%(수석교사 89.8%)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또한 ``역할이 모호하다.`` 65.9%(수석교사 70.3%), ``동료교사의 수업부담 가중`` 55.9%(수석교사 47.9%)가 ``그렇다`` 이상으로 답했다. 수석교사제 유지 및 보장 방식에서 동료교원은 ``자격취득 후 재임명제(52.1%)``를, 수석교사는 ``자격취득 후 영구직제(37.0%)``를 선호했고, 적절한 지위는 동료교원(36.1%), 수석교사(47.1%) 모두 ``교감=수석교사``의 지위를 선호했으며, 수석교사와 관리직과의 인사교류는 동료교원(반대 56.9%), 수석교사(반대 50.7%) 모두 반대 의견이 높았다. 수석교사제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로 동료교원은 ``수석교사 수업감축으로 인한 교원충원(40.9%)``을, 수석교사는 ``교직사회 내 인식 확산(34.1%)``을 선결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석교사제의 성공적 도입과 정착을 위해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역할과 위상에 적합한 제도 정비, 처우 개선 등을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s aim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master teacher system, which has been pilot operated since March 2008.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al conditions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and master teachers` role and status, 138 master teachers and 1,595 peer teachers of 16 each city and province responded to a survey. The survey said that the master teacher system has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the speciality of peer teachers``(70.4%,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93.5%), ``creating a climate to give preference to the teachers who teaches in the class``(68.9%,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90.6%), ``reducing the promotion competition``(57.5%,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90.6%) and ``getting a stimulus to improve their speciality from master teachers``(54.9%,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89.8%). On the other hand, The survey also showed the results such as ``the ambiguity of the master teachers`` roles`(65.9%,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70.3%), ``giving the other teachers a burden to get more classes``(55.9%, the master teachers` response 47.9%). For the sake of maintaining and guarantee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peer teachers prefer ``being appointed after getting a certificate``(51.2%) and master teachers prefer ``the permanent job after getting a certificate``(37.0%). For the appropriate status of master teachers, peer teachers and master teachers expect the concept of ``vice principal=master teacher``. For the high priority of initiat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while peer teachers think about adding more teachers, master teachers consider growing awareness to other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this study gives some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system.

      • KCI등재

        핵심역량 도출을 통한 수석교사 교육과정 개발 탐색

        이효신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이 연구는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 교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도입한 수석교 사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제공이 미흡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 였다. 수석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수석교사의 직무를 분석하여 수석교사의 핵심역량을 도 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수석교사의 자격연수와 직무연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역량모델을 마련한 후 전문가대상 설문조사와 수석교사 대상 설문조사의 2단계를 거쳐 수석교사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핵심역량에 대한 수석교사의 설문결과를 활용하여 자격연수와 직무연수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석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은 5개 역량군과 15개 핵심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역 량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를 기준으로 자격연 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중요도와 보유도의 차이에 중요도를 고려한 보리치 요구도를 기준으로 직무연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석교사는 수업활동과 교사 지 원활동 뿐 아니라 연구개발 활동과 기타 학교지원활동에 대한 중요성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수석교사 연수교육과정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이러한 모 형을 활용하여 신규교사, 상담교사, 교육전문직 역량강화를 위한 핵심역량 도출과 교육과정 개발 에 적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critical awareness that the extended provision of master teacher education programs is require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master teacher policy which was introduced for the improve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ste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both qualification and in-service programs, through eliciting master teachers' core competences. Master teacher core competences were elicited through 3 steps: development of a competence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 master teacher job analysis and experts consultation, the 1st questionnaire for experts and the 2nd questionnaire for master teachers. The outline of the curriculum was sugges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programme manager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master teachers require 15 core competences which a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level and the present level of competences, it also suggests that qualification program be developed based on the importance level and in-service program be based on the results of Borich needs assessment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d and present levels of core competences. It was found that master teach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school support activities as well as their classroom teaching practice and teacher support activities. Th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the improvement of master teacher training program curriculum and further for other teacher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수석교사제의 정책평가와 효과적인 운영방안 모색

        석혜정(Seok, Hye-Jeong),주철안(Joo chul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수석교사제 정책분석틀을 준거로 사전면담과 심층면담 분석을 통해 수석교사제 의 정책평가와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수석교사들은 직접 승진 과열경쟁을 경험하기도 하였고‘교사의 교사’가 되기 위해 수석교사가 되기도 하였으나, 학교 구성원들은 학교의 연공서열 문화와 학교조직의 복잡한 속성으로 인해 수석교사제가 정착되 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았다. 구조적 차원에서는 수석교사제가 법제화가 된 이후에 도 여전히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나 수석교사와 관리자간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관리자들은 수석교사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 고, 수석교사들은 점차 정체성을 확립해 가고 있었으며, 동료교사들은 수석교사의 전문성 및 자질의 확립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육에 대한 순수한 의지와 열정 을 가진 교사가 ‘선임교사’의 단계를 거쳐 수석교사로 선발된다면 그 전문성과 자질을 신뢰받 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ead Teacher System critically by the policy analysis framework of the Head Teacher System. From normative dimension, head teachers have experienced direct promotion and overheating competition and he also became a head teacher to become a ‘teacher of teachers’. However, the school members seemed to take time to establish the Head Teacher System because of the school 's seniority culture and the complex nature of the school organization. From structural dimension, even after the Head Teacher System became legislated, problems still arise, but the change in the formation of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teacher and the manager was confirmed. From constitutive dimension, managers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Head Teacher System by mentioning that the constant efforts of the head teacher are important. In addition, the head teachers were establishing their identities, and fellow teachers stated that establishing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ies of the head teachers was the most important. If a teacher with pure will and enthusiasm for education is selected as a head teacher after being tested through the ‘head teacher previous steps’, he will be trusted as the best of the professors' success.

      • KCI등재

        초등 수석교사의 수업컨설팅 경험 분석

        권희청(Kwon, Hee-chung),오성진(Oh, Sung-jin),박수정(Park, Soo-j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1

        2010년 교육지원청의 기능개편으로 컨설팅장학이 전면적으로 도입되고, 교사의 교수와 연구를 지원하는 수석교사제가 도입됨에 따라, 수석교사의 수업컨설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A교육청 관내에서 수업컨설팅을 실시하는 초등 수석교사의 수업컨설팅에 대한 경험의 특성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컨설팅을 하는 경력 4년 이상의 수석교사 4명, 수석교사에게 컨설팅을 받은 2명의 교사, 사업을 계획한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수업컨설팅의 요소와 원리에 나타나는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석교사의 수업컨설팅 요소 차원에서 목표는 ‘수업개선은 수석교사가 존재하는 이유’, 과업과 영역에서는 ‘수업은 기본, 교직 생활 전체가 해당’, 수업컨설팅 관련자는 ‘저경력 교사들 상대’라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수업컨설팅 원리 차원에서 자발성은 ‘수업컨설팅의 시작과 선택’, 전문성은 ‘수업컨설팅의 황금열쇠’, 독립성은 ‘상대에 따라 유동적인 중층적 관계’, 자문성은 ‘조언만 할 뿐, 선택과 책임은 컨설티가 판단’, 한시성은 ‘한 번으로도 충분’, 학습성은 ‘수업컨설팅을 통한 성장’이라는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수석교사들은 수업컨설팅 결과를 ‘본인들과 동일시’ 하고 있고, 둘째, 수석교사들은 ‘큰 그림 그리기’와 ‘아낌없이 주는 나무’와 같이 거시적 관점에서 수업컨설팅을 실시하고 있으며, 셋째, 수석교사들은 수업컨설팅의 시작과 끝은 ‘수업전문성’이라고 확신하였고, 넷째, 수석교사들은 컨설티의 만족도에 따라 수업컨설팅 원리에 대해 ‘이중적인 해석’을 하고 있다는 점을 논의로 제시하였다. As consulting supervision were introduced in 2010 due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a master teacher system to support teachers teaching and research, Instruction Consulting for master teachers is actively taking plac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elementary master teachers experience in Instruction Consulting in the jurisdiction of the A office of educatio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four master teachers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Instruction Consulting, two teachers who received consulting from master teachers, and business managers who planned the projec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struction Consulting.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was to improve the instruction at the level of the Instruction Consulting element of the master teacher, the reason why the master teacher exists, the instruction is basic, the whole teaching life is applicable in the task and area, and the Instruction Consulting person. Second, at the principle of Instruction Consulting, spontaneity is the beginning and choice of Instruction Consulting, professionalism is the golden key of Instruction Consulting, independence is middle-class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opponent, advisory is only advised, choice and responsibility is judged, timidity is enough and learning is growth through Instruction Consulting.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 the master teachers are identifying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 Consulting. Second, the master teachers are conducting Instruction Consulting from a macro perspective, such as drawing big pictures and tree giving generously . Third, the master teachers were convinced that the beginning and end of Instruction Consulting was instruction expertise . Fourth, the master teachers suggested that they were making a dual interpretation of the principles of Instruction Consulting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consultants.

      • KCI등재

        수석교사제의 정착을 위한 법적 논의

        김수홍(Kim, SuHo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50 No.-

        최근 우리 사회는 공교육의 질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교사의 전문성 가운데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원이 우대받을 수 있는 ‘수석교사제’가 논의되면서 법제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수석교사의 지위와 역할이 모호한 점, 수석교사의 정원이 규정되지 않은 점, 수석교사의 재임용 부적격사유가 불분명 한 점, 수당지급이 불완전한 점 등의 문제가 나타나 수석교사제가 안정적으로 정착하는데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수석교사제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첫째, 수석교사를 교수직으로 승진 인정, 둘째, 수석교사의 실질적인 권한과 책무 정비, 셋째, 수석교사의 정원 명시, 넷째, 수석교사의 정원 외 배치, 다섯째, 공정한 재심사 기준 마련, 여섯째, 연구활동비를 수당으로 전환하는 방안 등이 있다. Recently, our society has continued to develop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o enhanc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In fact, ‘Master Teacher System’, where teachers with better teaching expertise can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has become law. However,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before the master teacher system gets settled. To begin with,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the master teachers are unclear and the number of the master teachers is not fixed by regulations. In addition, there are no clear reasons for qualifications when the master teachers don’t get reappointed. The allowance payment of the master teachers is also incomple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legal improvements for the settlement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as follows. Firstly, the position of the master teachers needs to be promoted to a professorship. Secondly, their actual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should be organized. Thirdly, the number of the master teachers needs to be specified. Fourthly, we need to establish fair reappointment criteria. Lastly, research funds should be converted into the allowance.

      • KCI등재후보

        초등수석교사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성찰

        이미혜(Lee, Mee-hy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2

        수석교사제가 오랜 논의와 4년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2011년에 법제화되었다. 연구자는 교직 구조가 교수직과 관리직으로 이원화되는 역사적 시점에서 제1기 수석교사로서 한 해를 보냈다. 초등 수석교사의 삶을 이해하고 통찰을 얻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 이다. Pinar의 자서전적 방법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연구 계획을 세우기 이전부터 이미 기록된 자료들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자료는 수석교사 일지와 사진, 학생의 편지, 교사 컨설팅 기록, 수업 협의록 등 수석교사로서 역할을 수행 하며 생산된 기록들이다. 수석교사가 되기 전부터 임용된 이후에 생산된 기록물을 정리하여 지난 삶을 살펴보았다. 한 해 동안 수석교사로서 학생을 지도하고, 교사를 지원하며 학교 내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겪은 경험들을 드러내었다. 속에서 연구자는 ‘효능감’과 ‘성장’이라는 핵심 주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수석교사제 도입으로 학교 문화가 변화하고 있으며 수석교사제의 성공을 위하여 개인적 노력과 함께 조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law for master teacher was enacted in 2011, after a long discussion with a four-year pilot program. The researcher lived for one year as a 1st master teacher on this historical conversion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understanding and insight of my life as an elementary master teacher. It was dealt with Pinar's autobiographical research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on the life of myself. They are diaries, photo materials, letters of students and teachers, consulting resources, and class discussion records. I revealed the experiences of teaching students, supporting teachers, and interaction with members of the school. The researcher can find two core topics; 'efficacy' and 'growth', The school culture change has already begun by introducing master teacher law. It was required personal efforts as well as the systematic support for the success.

      • KCI등재

        강원도 수석교사제의 운영 성과 및 요구에 관한 조사 연구

        박인옥(Park, In-Oc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본 논문은 시범운영 이후 법제화를 통해 처음 실시된 ‘수석교사제’에 관한 연구로, 강원도 지역의 수석교사제 운영에 관한 실태 및 교사들의 요구 사항을 조사하여, 앞으로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발전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에 강원도 내 43명의 수석교사와 43개 학교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총 400개의 설문지가 학교에 배포되었으나, 회수된 설문지는 총 318개로, 318개의 설문지를 기초로 SPSS Statistics 2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T 검증,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사들은 수석교사제의 운영 성과에 긍정적인 의견과 어느 정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석교사제의 운영 성과에 대해 정적 성과(76.7%)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둘째, 많은 교사들이 수석교사제의 필요성을 인식하나, 여전히 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편이었으며, 셋째, 법제화 이후에도 수석교사의 역할이 모호하기 때문에 역할 수행을 위해 명확한 역할 설정과 직무상의 우대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비록 수석교사제가 법제화가 되었다 할지라도 법제화된 수석교사제의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는 풍토 조성’과 ‘전체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라는 교육적 역할은 아직까지는 미약한 것으로, 그 역할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발전 방안으로 학교 관리자 및 동료 교사와의 마찰을 막고 수석교사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수석교사의 명확한 직위와 역할을 설정해 줄 것과 객관적인 선발 기준과 투명한 선발 절차에 의해 수석교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할 것 그리고 교원들과 수석교사와의 협력적인 관계 형성의 중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As a study on "Master Teacher System" that is initially carried out through legislation in 201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measures for its successful settlement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roles of Master Teacher System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based on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operating Master Teacher System and teachers" perception in Gangwon-do region. This study conducted survey for 43 master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f 43 schools within Gangwon-do, which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20. 400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to the school for teachers, 318 of which were received and treated for frequency, cross-tab,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ist, teachers show a positive opinion on outcome of the Master-teacher system. Secon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the Master Teacher System but had a poor understanding of the system. Third, teachers recognized an unclear role of master teacher in accordance with legislation,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et a clear role and give priority to treatment of master teacher in order to operate the Master Teacher System. Though Master Teacher System was legislated, the educational roles which are "building a climate in which teachers with professionalism a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and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the whol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as showing the limits of the roles. Thus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measures including setting up clear position and roles of master teachers, securing qualitative level of master teachers and form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master teachers.

      • KCI등재

        일반논문 : 생애사를 통해 본 수석교사의 삶과 정체성

        김진희 ( Jin Hee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수석교사의 경험과 관점에서 본 개인의 정체성을 생애사 방법으로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명의 수석교사로부터 문서, 개방형 질문지,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맥락성과 시간성을 기준으로 한 내러티브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석교사의 정체성은 수석교사의 눈, 보람과 고독, 교육과 유지의 딜레마 세 가지로 형성되어 있었다. 먼저, 수석교사가 본 눈에는 전문성과 자신이 동일하게 투영되어 있으면서 자신의 역할을 이정표로 찾아가고 있었다. 이는 수석교사 자신이 전문성과 자신 보기를 성찰적으로 재생하면서 반복적으로 행하는 일련의 개인적 맥락에서 나온 문화적 산물이다. 둘째, 수석교사의 보람과 고독은 양면성이 공존하고 있다. 수석교사의 사회적 지위는 가르치는 사람으로서의 교사, 그 이상으로 연구자, 전문가로 상통하는 보람을 갖고 있다. 반면, 독립적이고 자율성이 주어지지만 생소한 수석교사의 학교내적 환경은 이들을 수업부장, 교포자, 지원자 등 암묵적으로 만들어지는 처우와 대우로 고독하게 만들고 있다. 셋째, 수석교사가 그의 교육을 유지하기 위한 존재론적 입장과 역할이 현실적인 딜레마로 나타나고 있다. 다른 교사들을 도와주고 지원해주는 직무수행에서 고마움과 필요성을 갖는 수석교사의 존재는 현장의 안과 밖에서 기대하는 기준과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자기관리를 해야 하는 입장에 놓여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on a master teacher identity. Master teacher policy has been contributed to the new policy regarding improving professional teacher level in Korea. This case study examined life and work experiences of master teach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Data collection were documents,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Data analyzed throughout autobiographical lens by Pinar. Findings reveal that master teacher created 1) self-lens, 2) self-rewarding and loneliness, and 3) dilemma of education and maintenance. This study has endeavored to understand the life and work by master teacher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