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의 내용 구성 특징에 대한 일고

        김민재(Kim, Min-jae)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8

        본 연구의 목적은, 퇴계 이황이 가려 모아 엮은 고경중마방의 내용 구성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작업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이 책의 현대적⋅교육적 활용을 위한 초석을 다지려는 것이다. 전체적인 흐름으로 보았을 때 고경중마방은 하학에서 상달에 이르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도체(道體)’ 또는 ‘태극도(太極圖)’로부터 시작하는 서적들과는 다른 측면이다. 그리고 이 점은 고경중마방이 단순히 선유들이 남겨 놓은 명이나 잠, 찬들 중 일부를 모아 놓기만 한 책이 아니라, 수양서로 실제 기능하였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수양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작된 고경중마방의 내용 편성 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이점으로는 크게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는 바, 첫째, 고경중마방은 처음과 끝이 상응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상 공부[下學]’를 매우 강조하고 있다. 둘째, 수양의 주체이자 동시에 경계의 대상으로 설정된 ‘마음[心]’과 관련된 작품들이 많은데, 책의 전반부에는 외면의 단속을 통한 내면의 바로 세움을 언급한 작품이 배치되어 있는 반면, 후반부로 갈수록 마음이 선한 판단[道心]을 내릴 수 있는 가능성을 이치[理]⋅본성[性]과 연결시킨 작품이 등장한다. 셋째, 고경중마방의 중⋅후반부에는 이치의 자각이나 본성의 함양 등을 주제로 하는 작품들이 자리하고 있어 하학을 넘어선 ‘이론 심화[上達]’의 구도가 나타남과 함께, 하학-상달을 관통하는 공부로서의 경(敬)이 구체화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that emerge from content composition of the <KoGyeongJungMaBang>, edited by ToeGye(退溪). In general, <KoGyeongJungMaBang> has a structure ranging from ‘daily study’(下學) to ‘deepening theory’(上達), which makes us infer that <KoGyeongJungMaBang> actually functioned as a book for self-cultivation. There are three main characteristics of content composition of the <KoGyeongJungMaBang>. First, <KoGyeongJungMaBang> has a corresponding system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nd emphasizes ‘daily study’. Second, there are many works related to ‘mind’(心), and in the first half of the book, there are works that refer to maintaining the inner side through external straighten, and works that connect the ‘good judgment of the mind’(道心) to principle(理)⋅nature(性) appear in the second half of the book. Third, in the middle and second half of <KoGyeongJungMaBang>, the structure of ‘deepening theory’ beyond the ‘daily study’ stage appears, and ‘Gyeong’(敬), which penetrates daily study and deepening theory, is embodied.

      • KCI등재

        삼원적(三元的) 구조(構造)를 통한 『논어(論語)』의 체계적 이해

        이현중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논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형이상과 형이하의 두 차원을 바탕으로 형이하를 중심으로 형이상을 향하는 下學而上達과 형이상을 중심으로 형이하를 향하는 上達而下行 그리고 양자가 合德된 본래의 관점의 三元的 構造를 통하여 『논어』를 고찰하였다. 下學而上達은 학문을 통하여 자기의 주체를 확립하는 修己의 문제로 그것을 『논어』에서 언급된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하면 執中이 된다. 이는 자신의 중심으로서의 본성, 내재화된 천도로서의 中道를 주체로 함의 의미가 된다. 上達而下行은 자신의 본성을 주체로 四德을 실천하며 살아감으로 그것은 곧 집중된 상태에서 삶을 살아감을 뜻한다. 이것을 『논어』에서 언급된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하면 중도를 그대로 發用하며 살아가는 中庸이 된다. 이는 時義性에 따라서 시공상에서 자신을 드러냄으로 그것을 『논어』에서는 正名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형이상과 형이하는 본래 일체적 존재로 그것을 둘로 나누어서 양자가 일체임을 나타낸 것이다. 집중과 중용 역시 일체적 존재이다. 따라서 본래의 관점에서 보면 집중과 중용, 형이상과 형이하를 언급할 여지가 없다. 이러한 차원은 집중과 중용을 통합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집중과 중용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기 이전의 근원적 세계, 본래적 세계이다. 『논어』에서는 수기와 安人, 安百姓을 군자의 도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집중과 중용을 군자의 도로 규정하고 있음을 뜻한다. 군자의 도는 인도로 그 존재근거는 천도이다. 그러나 도 자체의 관점에서는 천도와 인도가 일체이다. 집중과 중용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기 이전의 도 자체의 차원이 곧 삼재의 도로 구분하여 나타내기 이전의 도 자체의 차원인 것이다. 『논어』의 鄕黨篇을 비롯하여 여러 부분에서 그러한 차원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하여 공자 자신이 밝히고 있듯이 『논어』를 관통하는 일관된 내용은 군자의 도로 그것을 묻는 사람의 차원과 처한 상황에 따라서 세 관점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언급하고 있는 전적이 『논어』임을 알 수 있다. 本論文是爲了系統地理解≪論語≫,以‘形而上’和‘形而下’兩次元爲基礎,用‘三元結構’,?‘形而上’所追求的‘下學而下達’和‘形而下’所追求的‘上達而下行’,以及‘形而上’與‘形而下’兩者相合而成的本來觀点對≪論語≫進行了考察。 `下學而上達’指的是通過學問,來?立自己這槪主?,?修己這槪問題。用≪論語≫中提及的槪念來理解的話就是‘執中’。這里包含了以自我爲中心的本性和內在化的天道?‘中道’爲主?的意義。 `上達而下行’指的是以自身的本性爲主?,去實踐‘四德’,也就是指在集中的狀態下去生活的意思。用≪論語≫中提及的槪念來理解的話也就是原原本本地發揮‘中道’的作用,也就是‘中庸’。他根据‘時義性’,在‘時空上’?現自身,≪論語≫把這槪叫做‘正名’。但是,‘形而上’和‘形而下’本來是作爲一槪整?而存在的,把他們分爲兩槪部分就是爲了?現他們是一?的。從‘形而上’和‘形而下’本來是一?的這槪觀点來看,是无法區分‘形而上’和‘形而下’的。因此‘執中’和‘中庸’也是作爲一槪整?存在的。所以從本來的觀点上來看,其實沒有提‘集中’和‘中庸’,也沒提‘形而上’和‘形而下’的必要。我們可以以這三槪觀点爲中心來理解和說明≪論語≫,此外,≪論語≫里每槪段落的內容也可以以這三槪觀点爲中心來理解和說明。通過這一点,我們可以知道,≪論語≫幷不是沒有他自身的倫理?系,也不是反復地討論同一槪內容,或者單純地下一槪預言,而是根据提問的人所提的問題和他所處的環境,以這三槪觀点爲中心對‘道’進行了論述。

      • KCI등재

        남명(南冥) 독서법(讀書法)의 유형과 의리학적 특징

        신태수 ( Tae Soo Sh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7

        南冥은 조선 중기의 위대한 독서이론가이다. 독서인들이 下學도 하지 못하면서 上達부터 한다고 비판하면서, 독서법을 통해 실천궁행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했다. 남명이 제시하는 독서법은 세 가지 유형으로 되어 있다. 자세를 언급한 독서법과 요령을 언급한 독서법과 목적을 언급한 독서법이 그것이다. ‘자세를 언급한 독서법’은 여섯 개로서 持敬에 바탕을 두었고, ‘요령을 언급한 독서법’은 네 개로서 活看에 바탕을 두었고, ‘목적을 언급한 독서법’은 네개로서 實得에 바탕을 두었다. 크게 보아, 지경과 활간과 실득은 수직적ㆍ단계적 관계를 형성한다. 즉, 1단계에서는 활간과 지경1이 호응하고 2단계에서는 실득과 지경2가 호응한다. 그 최종적인 지향점은 天理 體認이다. 남명 독서법은 自得之學이기 때문에 義理學的 側面이 강하다. ‘透見’과 ‘無邪’의 수양론적 성격과 ‘主宰’와 ‘命物’의 심학적 성격이 바로 의리학적 측면이다. 남명이 당대 독서 상황을 성찰하고 하학의 수양 체계’를 구축하다 보니, 의리학으로서의 독서법이 설정되었으리라 본다. Nammyeong[南冥] was a great reading theorist in middle Joseon. Criticizing that the readers of his times were not capable of doing Hahak[下學] and yet would start with Sangdal[上達], he tried to set a group of guidelines for Shilcheongunghaeng[實踐躬行] through reading methods. He presented total 14 reading methods. His six "reading methods mentioning an attitude" were based on Jigyeong[持敬], his four "reading methods mentioning know-how" were based on Hwalgan[活看], and his four "reading methods mentioning a purpose" were based on Shildeuk[實得]. In a big picture, Jigyeong[持敬], Hwalgan[活看], and Shildeuk[實得] are in phased relations. Hwalgan [活看] and Jigyeong[持敬]1 respond to each other in Phase1, and Shildeuk[實得] and Jigyeong[持敬]2 do in Phase2. The ultimate intention point is the Cheonri[天理] feeling. Nammyeong``s reading methods are Jadeukjihak[自得之學] and thus have a strong aspect of Uirihak[義理學], which involves the self-cultivation nature of Tugyeon[透見] and Musa[無邪] and the practical ethics nature of Jujae[主宰] and Myeongmul[命物]. He reflected on reading situations and established a self-cultivation system of Hahak[下學] as analternative, thus setting his reading methods as Uirihak[義理學].

      • KCI등재후보

        退溪와 南冥의 讀書論 비교

        신태수 영남퇴계학연구원 2015 퇴계학논집 Vol.- No.17

        退溪와 南冥의 독서론은 상호 동이점을 지닌다. 독서 이유를 놓고 볼 때, 퇴계는 천리를 체인하기 위해 독서하라고 하고, 남명은 실익을 위해 독서하라고 한다. 독서 이유가 이토록 다른 까닭은 학문적 자세가 다른 데서 기인한다. 독서 자세를 놓고 볼 때, 외면적 자세의 차이보다 내면 적 자세의 차이가 더 크다. 내면적 자세의 경우, 퇴계는 상달천리에 주 력하고 남명은 하학인사에 주력한다는 점과 퇴계는 우주적 섭리에 참여 하고자 하고 남명은 사물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점에서 잘 드러난 다. 독서법과 그 지향가치를 놓고 볼 때, 퇴계 독서법은 의리의 강명과 확충으로 경험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기 때문에 상달천리로서의 天道를 추구한다고 할 수 있고, 남명 독서법은 하학인사에서 이치를 찾아내고자 하기 때문에 상달천리로서의 人道를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퇴계와 남명의 독서론은 사상사적으로 의의가 크다. 誠論의 내포와 외연이 경전 기술의 총량을 넘어서며 변증법적ㆍ융합적 사고방식을 표출하기 때문이 다. 독서론이라는 담론 공간에서 誠論이 표출되었음을 상기할 때, 독서 론이 변증법적ㆍ융합적 사고방식을 배태했다는 언급도 가능하다.

      • KCI등재

        『홍무예제』와 조선 초기 공문서 제도

        박준호 ( Park Jun Ho ) 한국고문서학회 2003 古文書硏究 Vol.22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Public Documents (公文書) that were written from the establishment of Chosun Dynasty (朝鮮) to the enactment of Kyung-&-due-chon (經國大典). Until now, it was known that the rules and established forms provided in Kyung-&-due-chon were the basic form of Chosun Dynasty. However, documents show that there existed the rules before the enactment of Kyung-gd-dae-chon The basic rule was Hang-mu-yei-che (洪武禮制) before Kyund-guk-guk-chon. It can be certainly proved by the fact that there was reprinted Hong-mu-yei-che in Chosun Dynasty as well as by the Sil-lok (實錄) article. It does not mean that all the documents used the form in Hong-mu-yei-ch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Because of the diplomatic problem with the Ming Dynasty (明) in China and several changes of government post, it seems that the form was quite confused. Hong-mu-yei-che as well as Sil-lok and other existing public documents reveal that various types of Public Documents such as Chang-shin (狀申), Gye-bon (啓本), Gye-mok (啓目), Chop-jung (牒呈), Pyung-gwan (平關), Cha-bu (箚付 ), Gho-chop (故牒) and Ha-chop (下牒) were used. Hang-i-che-je (行移體制) differentiated them. That is to say, the states of giver and receiver determine the type of the document used. It suggests the basic view to understand public document. Public Documents can be categorized into Gye-dal (啓達), Sang-dal (上達), Pyung-dal (平達), and Ha-dal Document (下達文書) according to the Hang-i-che-je. Gye-dal, which means the document given to the King, is composed of Chang-shin, Gye-bon, and Gye-mok. Chop-jung belongs to the Sang-Dal Document which menas the document from lower governmental office to the upper office. Pyung-gwan belongs to the Pyung-dal Document that means the document from to the same level offices. Ha-dal, which means the document from upper office to lower office, is composed of Cha-bu, Go-chup, and Ha-chup. Public Documents of the early Chosun Dynasty based on Hong-mu-yei-che are in high position in the history of Public Document. Most of all, they are in transition period between Korea Dynasty and Kyung-&-&-chon system of Chosun Dynasty. In other words, with these documents, it became possible to learn the changes of document forms and rules and to trace the development of document. Therefore, this papr is groundwork to trace the public document rules of Korea Dynasty (高麗) an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document of Chosun Dynasty.

      • KCI우수등재

        의사결정 참여방식의 비교

        백태영 한국회계학회 2000 회계학연구 Vol.25 No.3

        본 논문은 주인으로서의 소유자(또는 상위 관리자)와 대리인으로서의 관리자(또는 하위 관리자)가 경영환경에 관련된 서로 다른 정보를 보유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두 가지 의사결정 참여방식을 연구한다. 이 방식들은 하의상달(bottom-up)과 상의하달(top- down) 참여방식이다. 하의상달방식에서는 관리자가 그가 가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안을 수립한 후, 소유자가 그 중에 하나를 자신의 정보를 사용하여 선택한다. 상의하달방식에서는 소유자가 복수의 안을 제안하고 관리자가 최종안을 결정한다. 정보교환의 비용이 없고 관리자가 위험기피자인 경우에 하의상달방식이 상의하달방식보다 우월함을 보인다. 그러나 관리자가 위험중립자인 경우에는 두 방식이 동등하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정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의사결정 하는 순수분권방식과 순수중앙집권방식은 모두 참여방식보다 열등한 것으로 보여진다. 제한되거나 제약적인 의사소통은 상의하달방식을 하의상달방식보다 우월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시민의제 위주의 하의상달식(bottom-up agenda setting) 선거보도 연구

        김정기(Jung Kee Kim) 한국방송학회 2004 한국방송학보 Vol.18 No.1

        이 연구는 정치 리더쉽을 구축하는 선거에 대한 언론보도를 둘러싼 우리사회의 일상화된 비판에 유의하고 어떤 보도방향으로 개선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1998년과 2002년에 실시된 지방선거보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시민저널리즘의 실행에 대한 문헌검토를 통하여 기존 선거보도의 문제점이 유권자인 시민 위주의 하의상달식 의제(bottom-up agenda) 중심의 선거보도가 아니고 엘리트 위주의 상의하달식 의제(top-down agendag) 중심의 선거보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정리하고 시민 의제 위주의 선거보도와 엘리트 의제 위주의 선거보도 비교를 통하여 지방선거보도의 특징을 조사하고 개선을 논의하였다. 카이스퀘어와 t 테스트에 의한 399개의 지방선거기사에 대한 분석은 엘리트정보원의 이용빈도, 정보인용, 정보활용정도가 1998년 보도에 비해 2002년 보도에서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시민정보원보다는 엘리트정보원 중심의 상의하달식 의제와 내용 위주로 선거보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의 의미와 추후 연구과제를 논의하고 선거보도의 초점을 유권자인 시민의 관심과 이슈에 맞추는 시민 위주의 하의상달식 시민저널리즘 선거보도의 필요성과 의의를 강조하였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election coverage of the three daily newspapers in the years 1998 and 2002. The examination proceeded from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sources are used by average citizens in the local election coverage? Second, what patterns of coverage are characteristic of the coverage employed by citizen sources? Third, how much does the coverage satisfy some criteria of Civic journalism election reporting? A chi-square and t-test were conducted on 399 local election stories. The results revealed, in particular, that the frequency of using elite sources, the amount of information cited from elite sources, and the number of words in elite sources were diminished in the 2002 stories compared to the those of 1998. The result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roviding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problem-solving, candidate anatomy, and policy issues related to the election. In general, however, the local election reporting were characterized by the prominence and dominance of elite source information rather than citizen sources. The stud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election coverage looking after the criteria and direction of civic journalism.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including studies on airwaves, journalistic practices, and citizen's attitudes toward civic journalism.

      • KCI등재

        天主와 理氣의 관점에서 본 동학과 서학의 사상적 접변 양상

        엄연석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5 泰東古典硏究 Vol.34 No.-

        본 논문은 마테오 리치와 최제우의 사상에 내포되어 있는 사상적 연관관계를 동서사상의 만남과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마테오 리치의 천주 및 이기와 최제우의 천주 및 지기(至氣), 리의 의미 사이의 교착하는 양상을 해명하였다. 먼저 마테오 리치에서 천주는 사물의 궁극적 원인이 되는 자립적 존재로서 만물에 편재하면서도 능동인과 목적인으로서 사물을 초월하여 이들을 낳아 기르는 특성이 강조된다. 반면에 최제우가 말하는 천주는 지기의 영명성을 가지고 사물에 내재함으로써 기(氣)와 필연적인 내적 연관성을 가진다. 또한 마테오 리치에서 리(理)는 영명한 지각능력과 주재력을 가지지 못하는 단순한 속성으로서 실체로서 사물에 의지해 있는 의뢰자인 반면, 기는 사물을 이루는 질료적 특성을 가지고 속성으로서 의존적으로 생멸하는 존재이다. 이렇게 볼 때, 마테오 리치에서 천주와 이기 사이의 실체 속성 간의 관계는 어떤 필연적인 연관을 가지지 못하는 우연적인 관계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최제우는 리에 대하여 인간의 도덕적 세계를 넘어서는 자연의 음양동정, 소식영허와 같은 자연세계에서의 법칙으로서 리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지기는 영명성과 함께 능동인 목적인으로써의 자율적인 운동성과 주재성을 가지는 것으로 천주의 내재적인 실체가 됨으로써 천주와 필연적 연관관계를 갖는다. 요컨대, 마테오 리치의 천주와 이기관은 불완전하고 우연적인 사물 세계가 은총을 매개로 하여 완전한 선의 이데아로서 천주를 지향하여 그것을 모방하고 닮음으로써 천상 세계의 완전성에 참여하는 상달(上達)의 방향을 강조하였다. 반면 최제우에서 천주는 지기가 영명성을 가지고 창창(蒼蒼)하게 사물에 내재하는데, 인간이 이를 모시는 ‘시천주(侍天主)’를 통하여 지기를 화기(和氣)로 현실에 화현(化現)하고자 한다. 이 점에서 그의 천주이기관은 시천주를 통하여 지기를 아래로 실현한다는 의미에서 하달(下達)의 방향을 강조하는 세계관이다. 이렇게 볼 때, 마테오 리치와 최제우의 천주이기관은 초월성과 내재성을 동시에 가진다는 기반 위에서 천주와 이기 개념을 중심으로 초월성과 내재성, 우연과 필연, 실체와 속성, 자립적 존재와 의존적 존재, 인격성과 비인격성 등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런 기준에서 상대적인 강조점의 차이에 따라 상호간 의미 지평이 엇갈리면서 교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e stalemate aspect between the Lord of Heaven[天主] and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of Matteo Ricci and Choi, Jewoo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meeting and collision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 First of all, Matteo Ricci emphasized characteristic being omnipresent in all things and simultaneously transcending and cultivating things as the efficient and final cause having the status of the self-reliant existence which becomes the ultimate cause of all things through the Lord of Heaven. On the other hand, the Lord of Heaven Choi, Jewoo said has a necessary connection with material force by being inherent in things with numen of supreme vitality[至氣]. Also, while principle in Matteo Ricci is relier which depends on the substantive thing as simple attribute doesn’t having numinous perception ability and control power, material force is existence produced and dissipated as attribute with material feature constituting thing. Summing up, in Matteo Ricci correlation between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is only an accidental relationship less any sort of necessary connection. Whereas in Choi, Jewoo principle means an immutable law such as movements of yin and yang and growth and extinction, filling and emptiness of nature transcending the moral world of man. But supreme vitality has autonomous motility and control including the efficient cause and the final cause and has necessary relationship with it by becoming the inherent substance of the Lord of Heaven. In brief, the theory of Matteo Ricci’s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emphasized direction of p​rogress upwards[上達] through which one participates in integrity of heaven world by defective and accidental things emulating the Lord of Heaven as idea of complete goodness carried by grace. While in Choi, Jewoo supreme vitality[至氣] as essence of the Lord of Heaven being brightly inherent in things, it can be embodied supreme vitality[至氣] as harmony vitality[和氣] through enshrinement of the Lord of Heaven[侍天主]. In this point, his theory of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is the world view that emphasizes p​rogress downwards[下達] at the meaning that the Lord of Heaven realizes supreme vitality through enshrinement of the Lord of Heaven. In this respect, Matteo Ricci and Choi, Jewoo’s the Lord of Heaven and principle & material force can be understood in an aspect of transcendence and immanence, coincidence and necessity, substance and attribute, independence and dependence, personality and impersonality. And in this standard world view of them can be ankylosed each other over alternation of mutual meaning horizon according to distinction of relative emphasis point.

      • KCI우수등재

        주자의 『대학』 격물설과 유학의 부흥

        박성규(Sung-Kyu Park)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0 No.-

        주자는 나라가 내우외환에 시달린 시기에 태어나, 국가 사회의 혼란 원인을 기본적 도덕질서의 붕괴에서 찾았고, 불교의 출세간주의적 교의가 사회를 병들게 했으니 다시 현실 안에서 이치를 추구하는 유학의 가르침을 회복할 것을 학문 목표로 삼았다. 그의 철학사상은 대체로 이단 사상(즉 주자가 본 불교와 도교)을 비판하고 동시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의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그는 『대학』에 대하여 불교 등과 대조되는 유학의 특성을 가장 잘 대변하는 근본 경전으로 인식했다. 이는 그가 『대학』의 격물치지 개념을, 불교 등의 그릇된 진리추구 방식과는 구별되는, 참된 진리를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초석같은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그는 격물치지를 “현실적 맥락을 지닌 사물에 근거한 이치의 탐구(卽物窮理)”를 통한 “활연관통”으로 해석하고, 이러한 “하학에 기반을 둔 상달(下學而上達)”의 태도만이 진정한 학문 방법임을 주장했다. 주자의 이런 해석에는 고전 자체의 본래의 의미를 탐구한다는 측면보다는 이른바 옛것에 가탁한 새 시대의 새로운 이념의 수립이라는 그의 포부가 반영되어 있다. 즉 그는 현실을 떠나 공허한 이론(頓悟說등)만 추구하는 당시의 주류적 사상체계를 비판하고, 동시에 윤리적 도덕 의식을 우주적 차원에서 내면화한 유학적 성인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 학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깨달음의 추구라는 당시의 시대적인 분위기를 유학적 체계 내로 흡수시켜 퇴색해 있는 유학을 부흥시키려고 했다. 이처럼 이 글은 주자의 격물치지 이론의 내부 논리 구조보다는 그 안에 들어 있는 사회적 사상적 맥락을 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논어』의 군자와 소인 :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상

        김권환 ( Kweon Hwa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8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iscate that junzi(君子) and xiaoren(小人)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re progressive human who have orienting for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So far, the research for junzi in academic world was so simple structure which listed items of virtue as moral obligation and gave an advice for the discipline one`s mind to obtain them. That kind of research has been contributed by succeeding to give an image of junzi, but It is hard to acknowledge only for the image itself to present overall understanding of junzi. Because junzi is not a final model who became a perfect human being but a human being who is in the progress toward orienting completion of himself. And xiaoren in opposite side is also progressive human being. We can see good diagram of The progressive human being in ``The heart of man`` by Erich Fromm. He presents diagram that human`s mind changes to growth syndrome or deterioration syndrome depends on three kinds of orienting. This thesis has been completed the diagram of relationship between junzi, xiaoren, and a middle person(zhongren;中人) by refering Erich Fromm`s diagram. I`ve placed the middle person who could be considered an average person in the center, from there the human who has orienting the growth toward upside are considered junzi, the human who has orienting the deterioration toward downward are considered xiaoren. And the human who reached to the highest level is called saint, the human who reached to the limit of lowest level is called tyrannizer. And I enhance the validity of the diagram of relationship by putting forward three orientations which determine the direction for growth or deterioration. The three orienting for the growth are renyi[仁義;humanity and righteousness], liyue[禮樂; propriety and music], xuexi[學習;learning], for the retrogression are buren[不仁; inhumanity], feili[非禮; uncourteous], abandon oneself were presented. we can get new point of view for junzi and xiaoren through this diagram of the relationship. The first, we can get a point of view that junzi is not a final model who became a perfect human being but a human being who is in the progress toward orienting completion of himself. The second, we can emphasis not only for the importance of junzi but also the dangerousness of xiaoren. The third, we can the point of view to focuss on the middle person who moves up and down between orienting the growth and the retro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