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사석탑(婆娑石塔)의 유래와 조성과정에 관한 연구

        이거룡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Pasa Stone Pagoda. In Samgukyusa, the origin of the Pasa stone Pagoda is told in detail. However, it only refers to the fact that the Pasa Stone Pagoda has been located at Homey Temple at the time of the compilation of the Samgukyusa, and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the Pasa stone Pagoda between A.D.48 and A.D.452. It is only in the area of presumption where Pasa Stone Pagoda was kept before being taken to the Hogye Temple after princess Heo Hwangok had arrived in Garak Kingdom. There is no evidence that Pasa Stone Pagoda was originally a Buddhist stūpa. The most concrete evidence that Pasa Stone Pagoda is a Buddhist stupa is a hole made in the body of the stupa for reserving relic cascet,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hole of Pasa Stone Pagoda was created after the compilation of the Samguk Yusa. Judging from the appearance of the Pasa stone pagoda located near the tomb of Queen Heo, among the later construction of Hindu temples from the 6th century onwards, The closest one is the marine temple of Mahabalipuram in South India. However, there is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stone of the marine temple is granite, while that of Pasa Stone Pagoda is carbonate breccia. The origin of Pasa Stone Pagoda is related to the hometown of Heo Hwangok. In this point, Professor Kim Byung-mo’s theory that Princess Heo of Ayodhya Kingdom came to Garak Kingdom via Baozhou (Anyue) of Sichuan Province, China, needs attention. From the fact that we can find out the name of Heo Hwangok at the Record of Divine Well inscribed on the rock located in Baozhou, Pasa stone Pagoda is likely to come from Baozhou. Taking into account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multi-story pagoda in China,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origin of the Pasa stone pagoda in ancient Chinese architectural style.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stones of Pasa Stone Pagoda came to Garak Kingdom from Baozhou with Princess Heo. There are no examples of Buddhist Reliquaries such as that of Pasa stone pagoda in India in A.D.48, and therefore the relic cascet hole of Pasa stone pagoda was supposed to have been created in Korea after compilation of the Samgukyusa. If the relic cascet hole of Pasa stone pagoda has been made in Korea, it is likely that the date of its formation is after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본 연구의 목적은 파사석탑(婆娑石塔)의 유래와 조성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다. 『삼국유사』 금관성파사석탑조에는 파사석탑의 유래가 비교적 상세하게 전해진다. 그러나 “금관(김해)에 있는 호계사(虎溪寺)의 파사석탑”이라는 『삼국유사』의 기록은 『삼국유사』 편찬 당시 파사석탑이 호계사에 있다는 사실을 언급할 뿐이며, 허황옥의 가락국도래 이후, 호계사 안치 이전까지 400여 년 동안 파사석탑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파사석탑의 소재나 성격은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으며, 이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또한 호계사 이후 파사석탑의 내력도 분명하지 않다. 파사석탑이 본래부터 불탑이었다는 증거는 없다. 파사석탑이 불탑이라는 가장 구체적인 증거는 그 탑신에 조성된 사리공(舍利孔)이라 할 수 있지만, 파사석탑의 사리공은 『삼국유사』 편찬 이후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 허왕후릉 앞 파사석탑의 외양으로 볼 때, 6세기 이후 후대의 힌두교 사원건축 중에서 이에 가장 가까운 것은 남인도 마하발리뿌람(Mahabalipulam)의 해양사원이다. 그러나 해양사원의 석재는 화강암인 반면에 파사석탑의 석재는 탄산염 각력암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또한 해양사원과는 달리 파사석탑은 비보탑(裨補塔風)의 성격을 지닌다. 파사석탑의 유래는 허황옥의 출자문제와 관련되며, 따라서 김병모의 ‘보주(普州) 경유설’은 파사석탑의 유래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보주 서운향(瑞雲鄕)의 신정기(神井紀)에는 “허녀황옥”(許女黃玉)이라는 명문이 있으며, 만일 신정기의 허녀황옥과 『삼국유사』의 허황옥이 동일인이라면 파사석탑은 보주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다층탑의 조성시기를 고려할 때, 보주 또는 중국의 탑파양식에서 파사석탑의 시원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파사석탑의 돌(石)이 허황옥과 함께 보주에서 가락국으로 왔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A.D.48년 전후 인도에서 파사석탑의 사리공과 같은 사리장엄의 예는 없으며, 파사석탑의 사리공은 『삼국유사』 편찬 이후 우리나라에서 조성되었을 것으로 본다. 만일 파사석탑의 사리공이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졌다면, 그 조성 시기는 정림사지오층탑이 만들어진 이후, 즉 7세기 초반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파사석탑에 조성된 사리공은 불탑이 아니라 부도(浮屠)의 사리장엄방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파사석탑의 사리공은 9세기부터 널리 성행한 부도의 사리공과 유사하다. 특히 조선 전기 이후에 조성된 원구형부도의 사리공은 원형 개구부의 사리공을 조성한 점에서 파사석탑의 사리공과 일치한다. 또한 이 둘에는 덮개 역할을 하는 막사발모양 공간의 지름이 사리공 개구부에 비하여 지나치게 크다는 공통된 특징이 있다. 파사석탑의 사리공은 조선 전기 이후, 원구형부도의 사리장엄양식에 따라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 수습조사 및 성과

        배병선(裵秉宣),조은경(趙恩慶),김현용(金賢龍) 한국목간학회 2009 목간과 문자 Vol.3 No.-

        미륵사는 백제 무왕대의 사찰로서 『삼국유사』에 창건과 관련한 기록이 있으며 무왕과 그의 왕비가 미륵삼존의 출현을 계기로 당과 탑, 낭무를 세 곳에 건립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1980년부터 1994년까지의 발굴 조사를 통하여 미륵사의 배치는 중원과 동서 삼원으로 구성되며 각 원은 탑과 금당이 있는 독특한 구조를 갖추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배치는 문헌기록과도 일치하는 것이었다. 미륵사 서원에 세워져 있는 미륵사지석탑은 절반 이상 붕괴되어 6층까지 일부가 남아있던 것을 1915년 일본인들이 콘크리트로 보강한 상태였다. 이 석탑은 본래 9층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규모가 장대하고 석재를 사용하여 목조탑을 표현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탑의 시원으로서 그 가치가 크다. 미륵사지석탑은 1999년 해체보수가 결정된 후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석탑의 해체조사 결과 상층부에서 개축 흔적이 계속 발견되었고 1층도 구조적 변형이 확인되어 안정 층위를 찾기 위한 해체조사가 진행되었다. 그러던 중 2009년 1월 1층의 제1단 심주석 상면에서 사리공이 발견되고 내부에서 사리호와 사리봉안기 등 유물이 노출됨에 따라 해체조사를 중지하고 긴급 수습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습 전 조사를 통하여 매납 순서, 유물 형태와 특징, 노출된 위치와 보존 상태를 기록한 후 유물들을 안전하게 수습하였다. 외기에 노출됨에 따라 보존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유물들은 현장에서 응급 조치를 취하였다. 유물 수습 후 조사에서는 목록을 작성하고 각 유물의 수량과 형태적 특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사리봉안기의 판독과 사리외호 내부의 X-ray 조사 등이 이루어졌다. 층위별 수습 유물과 매납 순서를 살펴본 결과 1층 심주석 중앙에 방형 사리공을 가공하고 바닥면에 유리판을 깐 후 다양한 공양품을 차례로 안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사리공 주변에 원형합을 두고 이들 사이에 구슬을 채운 후 은제관식과 금제소형판, 장신구, 칼 등을 올려놓았다. 북측과 서측벽면 쪽은 직물로 공양품들을 덮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최상 층위는 남측 벽면에 비스듬히 사리봉안기를 올려놓고 정 중앙에 사리호(금동제 외호-금제 내호-유리제 사리병)를 안치한 상태로 확인되었다. 미륵사지석탑 사리장엄 조사를 통해 첫째 미륵사의 창건 목적과 주체를 밝힐 수 있었고 둘째 수습된 유물들로 보아 당시 백제 문화의 위상과 사리봉안 의례에 관하여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미륵사지석탑의 건립연대를 정확히 알게 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7세기 미륵사의 조영 배경과 동아시아에서의 불탑 건축 경향, 그리고 백제의 금속공예를 비롯한 대외문물 교류, 무왕대 정치적 상황 등 백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번 발견된 사리장엄은 그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유물이 일괄 수습되었다는 점에서 무령왕릉 발굴, 능산리 금동대향로 등과 함께 백제지역 최대의 고고학적 성과로 판단되며 향후 관련 학제간 연구를 통하여 7세기 백제의 찬란했던 문화의 상징인 미륵사의 위상을 밝혀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慶州 九皇洞 三層石塔 舍利莊嚴具의 再照明

        한정호(韓政鎬) 한국미술연구소 2006 美術史論壇 Vol.- No.22

        1942년 경주 狼山 동편에 위치한 구황동 삼층석탑 해체ㆍ수리 과정에서 사리구가 발견되었다. 이 사리장엄구는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유입을 계기로 야기되는 신라 사리장엄 방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사례이다. 사리함의 명문에 의하면 692년 신문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석탑이 건립된 이후. 700년 신목태후가 세상을 떠나고 이어서 702년에 효소왕이 승하하자, 성덕왕 5년(706)에 불사리 4과와 全金彌陀像 1구, 『무구정경』 1권을 추가로 봉안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706년에 사리장엄구를 추가로 봉안한 배경에 대해『무구정경』의 ‘낡은 탑을 중수(修造佛塔)하는 功德’에 의거하여 성덕왕이 선대 왕가의 명복을 빌기 위한 의도로만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건립된지 불과 14년 밖에 경과되지 않은 석탑을 낡은 탑〔塔〕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문헌자료를 통해 706년에 시행된 석탑 중수의 배경에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삼국사기』권 제8성덕왕조의 기사를 통해 당시 신라사회는 705년에서 706년 사이에 발생한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백성들의 피해가 극에 달하였음이 확인된다. 따라서 성덕왕이 사리장엄구를 추가로 봉안한 배경에는 先祖에 대한 追福供養은 물론, 신라에 새롭게 유입된 『무구정경』의 威神力을 빌어 자연재해로 인한 국난 극복의 의도가 강하게 내포되어 없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구황동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에 대해 품목별로 납입 시기를 살펴본 결과, 사리용기를 비롯한 유물들은 대부분 성덕왕대에 추가로 봉안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692년 초창 당시에 납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은 금제여래입상이 유일한 것으로 판명됨에 따라, 초창당시의 사리장엄 방식이 금제여래입상을 중심으로 봉안되었을 가능성과 사리장엄구와 공반되는 불상의 성격에 대해 살펴볼 수 없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사리함에 기록된 납입품 가운데 무구정경은 1942년에 수습된 이후 행방이 묘연해진 대나무 편들에 결부시켜, 付簡의 형태로 제작ㆍ봉안되었던 것으로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무구정경』1권은 종이에 묵서된 寫經으로 별도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대나무 편에 기입된 經文은 다라니경 전체가 아니라 99벌 혹은 77볼 寫書한 6종의 陀羅尼呪 가운데 일부일 가능성이 크다. 끝으로 706년에 추가 봉안되었던 금제아미타좌상 1구와 사리함 명문에 기술된 6寸 크기의 全金彌陀像 1구와의 관련성이다. 지금까지 논란을 빚고 있는 6寸 크기의 불상에 관해 여러 異說이 제기되었다. 사리함의 명문에 명시된 6寸은 周尺을 기준으로 금제여래좌상의 크기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구황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에서 발견된 2구의 불상 가운데 명문에 기록된 ‘6寸 크기의 全金彌陀像’은 그동안 양식사적 접근을 통해 거론되어온 금제여래좌상임이 재확인되며, 아울러 신라에 周尺이 통용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It is very important the reliquary discovered inside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Goowhang-dong in Cyeoungju that shows the change of practice with Buddhist relic woship as the introduction of R?mivimalavi?uddhaprabh?n?ma-sutra in Silla. The reliquary was engraved in 692 A.D.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Goo-wangdong was bolt to play for the repose of King Sinmoon by the King Hyoso and the Queen Sinmok, King Sinmoon's wife, then the Queen Sinmok who demised in 700 A.D. Also, the King Hyoso who demised in 702 A.D. This is next to the four pieces of the Buddha's bodily relic, one of the statues of Amitabha which is made of gold, one of the R?mivimalavi?uddhaprabh?n?ma-dh?ran?-sutra were enshrined in by the King Sungduk, in 706 A.D. Therefore, we can think that the reason of adding to a re-liqury was to pray for the repose of the late king, based on the teaching R?mivimalavi?uddhaprabh?n?ma-dh?ran?-sutra, the charity of repairing a old pagoda. It is difficult that the three-story pagoda at Goowhang-dong has been only fourteen years since it was built thinking the age old pagoda. Therefore, in 706 A.D., the repairing of the stone pagoda can be another reason. On investigation, we can see that lots of people perished by famine and drought between 705 A.D. and 706 A.D. in Silla. It is the reason of adding to be enshrined a reliquary by the King Sungduk that pray for the repose of the late king and overcome a national crisis, through natural disaster and the power of the R?mivimalavi?uddhaprabh?n?ma-dh?ran?-sutra. We studied the time which reliquaries discovered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Goowhang-dong was buried. As a result, the majority of the main relics including reliqaury proved to be enshrined in the stone pagoda the King Sungduk period. Also, the stone pagoda was built first, 692 A.D. and Standing Buddha made of gold turned out the only relic buried at that time. So we can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quary and Standing Buddha made of gold. The Ra?mivimalavi?uddhaprabh?n?ma-dh?ran?-sutra in the buried items of being engraved a reliquary has relation to bamboo pieces which was written letters and missing since it was discovered, in 1942. It may be manufactured and enshrined as bamboo book form. But, according to witness's evidence at that time, one Ra?mivimalavi?uddhaprabh?n?ma-dh?ran?-sutra can be enshrined separately and The Sutra which was recorded of bamboo pieces cam be a part of charm copied ninety-nine or seventy-seven set, not all dh?ran?. Finally, the Buddhist statue of six Chon(寸) solved the exchange of Buddhist statue's size by calculating the measure of being reflected, In result, the size of Buddhist statue, six chon(寸) equal the size of the seated Buddha made of gold by JooCuck(周尺) Therefore, The Amitabha statue which is made of gold of six Chon(寸) size in the two Buddha statue of being discovered the stone pagoda was reconfirmed seared Buddha made of gold and it is a very important example that may be of use Joochuk(周尺) in Silla.

      • KCI등재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구의 현황과 매장환경 분석

        이동식,최윤숙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2 보존과학회지 Vol.28 No.1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백제 무왕대인 639년에 축조되었고 탑 안에 봉안된 사리유물은 1, 370년 동안 석탑 심주석 사리공의 매장환경 속에 존재하였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사리유물은 150여 건에 이른다. 그러나 사리유물의 수습 및 유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지만 사리유물이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었는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리유물의 노출환경에 대한 훼손도를 평가함과 동시에 매장환경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사리구의 매장환경을 분석한 결과 목탑의 경우는 물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지만 석탑은 포화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리구 내부의 환경은 1~2일 정도 완충된 외부의 온도에 비교적 민감한 영향을 받지만, 습도와는 무관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사리구 내부의 포화습도에 도달되는 기간은 사리를 봉안하는 날의 외부습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탑은 30일이 소요되는 시점에 100% 포화습도에 이르렀다.

      • KCI등재
      • 漆谷 淨兜寺址五層石塔 銘文과 形止記

        박방룡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간과 문화 연구 Vol.18 No.-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복성리에 있었던 정두사지오층석탑은 1905년 경부선 철도 부설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경성(京城, 지금의 서울)로 옮겨지게 되었다. 옮길 당시 석탑의 탑 속에서 사리를 안치한 그릇과 함께 형지기(形止記)라는 종이 문서가 들어 있었다. 이 형지기는 1031년(고려 현종 22년) 정두사오층석탑을 건립하면서 지방민들이 국가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면서 남긴 기록이다. 여기에는 고려시대 전기(前記)의 사회상과 경제사적인 측면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 못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정두사오층석탑의 형태가 영남지역 고려시대 초기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특히 석탑의 기단부에 새겨진 명문을 통하여 1031년에 조성되었다는 확실한 제작연대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그리고 이 석탑 속에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와 함께 그릇 속에 들어 있었던 형지기라는 문서를 판독하고 형지기에 보이는 사찰 이름을 분석 하였다. 그리고 오층석탑 제작과정과 “백사(伯士)” 라는 직명(職名), 이와 함께 수습되었던 사리그릇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형지기에 기록된 사찰들은 칠곡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인접한 영남지역 사찰 20여개소가 각종 물자를 시주(施主)를 하는 등 간여 하였고 석탑 제작과정과 최고 기술자를 ‘백사’로 불렸으며, 이는 신라시대 박사(博士)와 같은 직명임을 밝혔다. 또한 석탑 안에서는 형지기를 비롯하여 사리(舍利)와 유리병, 동합(銅盒)이 사리장엄구로 봉납되었고 동합은 일본 교토국립박물관(京都國立博物館)에 보관중인 오쿠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 기증품일 가능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A Five-storied stone stupa of Jeongdusa temple site (Jeongdusaji), located in Bokseong-ri, Yakmok-myeon, Chilgok-gun, Kyeongsangbuk-do province, was moved to Seoul in 1905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Gyeongbu railway. A paper document called hyeongjigi was found with a sarira container at this time. This hyeongjigi, a record that the local people put in the stupa, while building the pagoda praying for peace and prosperity of the state, could be utilized for studying social and economical aspects of early stage of Goryeo period, but was not fully examined. In this study, I proved that this pagoda was built in 1031 through its inscription on the base part of it, and therefore this is very essential in study of Goryeo period in Yeongnam province. I deciphered the hyeongjigi and analyzed names of temples in it. Examining the process of building the pagoda, the meaning of the title called 'Baeksa', and a sarira container, I found that 20 temples around Chilgok area, whose names were in hyeongjigi, participated in building the stupa donating all sorts of supplies and that Baeksa is a title that calls the highest technician in stupa building, which is a synonym for 'Baksa' in Silla period. Also, there were dedicated many items such as sarira, a glass bottle, and bronze bowl. And the bronze bowl is presumed to be held in Kyoto national museum, after being donated by Okura Takenoske.

      • KCI등재

        感恩寺址 東三層石塔 舍利器의 建築樣式的 考察

        金城助(Sungjo, Kim)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9 No.-

        감은사 동삼층석탑에서 수습된 사리기는 수미단 위에 난간을 돌리고 기둥을 세워 천개를 설치한 매우 독특한 형식이다. 기단, 난간, 기둥, 천개 등 구성요소의 특징과 양식적 계통은 일반적인 건축적 형식의 전각형 사리장치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수미단과 천개를 갖춘 보각형 사리기로는 유일한 것이다. 기단은 하대, 중대, 상대로 이루어진 수미단 형식의 건축물의 기단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난간은 세부의 구성방식이나 형태를 통해서 7세기 후반 통일신라시대의 건축 난간의 구체적인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기둥은 장식의 수법을 대나무로 표현한 공예품이 갖는 조형적 형식을 나타내고, 천개는 당시 통일신라신대의 불교 장엄의 형식과 주거형식이 상장의 형태로 결합되어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사리기 형식 중 보각형 사리기는 통일신라시대 고유의 창안으로 평가되는데 감은사지 동삼층석탑의 사리기의 고찰을 통하여 인도와 중국에서 유래한 사리장엄 형식을 바탕으로 한국 고유의 전각형 사리기로 발전되는 배경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형식으로서의 보각형 사리기의 의의를 살필 수 있다. Buddihism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4<SUP>th</SUP> century, but sarira reliquary was brought late 6<SUP>th</SUP> century and 7<SUP>th</SUP> century. Gameem Temple arira case was made in that period. however, the case is technologically very excellent example. It already had Shila’s own originality. The Royal Palace type sarira reliquary’s origin is not clarified. It originated from India or China’s The Royal Palace type for a honorable person. It was on assumption that Buddha’sarira was recognized as Buddha. Whan sarira was originally enshrined, it had majesty mode tp transfering. Enshrined sarira might be in Gameen Temple gold outer sarira. Especially, the coffin lid is the most distinguishable part in The Royal Palace type sarira reliquary. Itis derived from Donhwang cave’scurtain. It was applied into part of architecture. Gameen Temple outer sarira box is composed of a door and handroll architecture element and double roof, so it is a typical type of The Royal Palace type. the developed art object came from Buddhist civilization and Shila’s active foreign relations. It is based on expansion of Shila’s Buddhist studies. Consequently, Gameen Temple sarira reliquary reflects Shila’s high stand in an international point of view and highly developed culture and deeply understanding Buddhist culture. However, The Royal Palace type sarira reliquary was technologically hard tp make, so the Box type was developed like Nawonlee five stories pagoda inner sarira box. Bulguk Temple’s inner sarira box make a comprise between The Royal Palace type and the box type. In the 9<SUP>th</SUP> century, more variety of sarira reliquary was made, and the India influenced stupa type sarira reliquary was one of that. This various kinds of sarira reliquary presents Korean ancient originality and highly developed art culture. From this research, We can understand how the sarira faith was important.

      • 金山寺 五層石塔 舍利莊嚴具 硏究

        이분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6 불교와 사회 Vol.8 No.-

        금산사 오층석탑을 해체하여 수리할 때 탑안에서 <母嶽山金山寺五層石塔重創記>와 각종의 사리구가 발견되었다. 발견된 중창기에는 금산사 오층석탑의 조성시기와 중창불사 현황과 관련 인물 등을 소상하게 알려주는 내용이 실려 있다. 이는 단절된 조선 전기 금산사에 대한 역사를 이어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뿐만아니라 동제사리합과 작은 합 2점, 청동오층탑과 엽전 7점, 그리고 불상 8구와 동자상 1구 등 일체의 금산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는 조선 초 사리장엄구의 구성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금산사 오층석탑 중창기에는 금산사 오층석탑의 해체과정, 사리장엄구의 발견, 그리고 탑 안에 다시 사리장엄구를 봉안하는 과정까지 묘사되어 있다. 뿐만아니라 덕원군을 대공덕주로 한 왕실의 지원에 힘입어, 이 지역의 지방관료, 그리고 스님들이 대거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탑에 봉안된 사리장엄구는 탑의 조성시와 중창당시에 매납된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 시기별 특징을 담고 있다. 특히, 탑내 봉안된 불상들은 1492년 탑을 중창할 당시 조성하여 스님들이 모셨던 원불로, 16세기 전후의 불교조각사 양식을 이해하는데 단서가 되는 불상들이다. 이렇게 불상을 탑에 봉안하는 것과 봉안한 불상에 불복장과 사리를 넣는 사리장엄구의 독특한 특징은 매우 흥미롭다. 금산사 탑에 불상을 봉안하였던 이유는 불상 신앙이 고조되면서, 개인의 소원을 비는 구복적 원불신앙의 유행에 기인한 듯 하다. 즉, 법당에 불상을 봉안하듯이 탑에 불상을 봉안하였던 당시 신앙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In dismantling and repairing Geumsansa Temple’s Five-story Stone Pagoda, discovered from within the pagoda were sarira receptacles and Moaksan geumsansa ocheungseoktap jungchanggi (Construction Records on Moaksan Geumsansa Temple’s Five-story Stone Pagoda). The records give a detailed description of Geumsansa Temple’s Fivestory Stone Pagoda construction time, reconstruction situation, and related personnel, making them an important material in learning about the history of Geumsansa Temple in the first half period of the Joseon. Likewise, items contained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Sarira Reliquaries -- such as a copper sarira bowl and two small bowls, a Five-story Bronze Pagoda and seven coins, eight Buddha images, and one cherub figure --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rly-time Joseon Sarira Reliquaries in the history of arts. The reconstruction records describe the process of demolishing the pagoda, the discovery of Sarira Reliquaries, and the process of enshrining Sarira Reliquaries in the pagoda. It was also revealed that,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household with Prince Deogwongun as the biggest sponsor, a large number of the region’s local officials and monks participated in Buddhist affairs. The local governor, too, encouraged the Hyangdo community to allow many worshippers to participate in Buddhist affairs. The Sarira Reliquaries enshrined inside the pagoda were provided during th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pagoda and a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 times. In particular, Buddhas enshrined inside the pagoda were created in 1492 when the pagoda was constructed and were served by monks. They are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Buddhist sculpture styles around the 16th century. It is very interesting to enshrine Buddhas inside the pagoda and to install Sarira Reliquaries containing statues inside which sariras are put, without using other apparatuses. Buddhas were enshrined in the Geumsansa Temple Pagoda presumably because, with devotion to the Buddha image being heightened, individuals’ faith of seeking blessings was popular. In other words, as Buddha images were enshrined in worship halls, they were also enshrined in pagodas, a new faith trend at the time.

      • KCI등재후보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과 매납품에 관한 연구

        서지민(Seo, Ji-Min)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21 중원문화연구 Vol.29 No.-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은 충북지역에서는 흔치 않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무구정탑이지만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다. 이에 신륵사 삼층석탑의 양식적인 특징을 파악해서 제작시기를 밝히고, 탑 안에 매납되어 있던 토제소탑과 금동사리함을 같은 시기의 다른 무구정탑과 사리장엄구들과 비교, 고찰하여 그 성격과 의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신륵사지 삼층석탑의 기단부 결구구조를 중심으로 각 형식과 양식적인 특징을 살펴본 결과 신라 말인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에 조성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또 이 석탑은 인근에 세워졌다가 후대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다시 세워지면서 일부 부재를 보수했다고 추정된다. 신륵사지 삼층석탑 상층기단부에 매납되어 있던 토제소탑과 금동사리함은 이 탑이『무구정경』에 의거하여 조성된 무구정탑임을 말해준다. 신라하대에는 전문적인 승려가 다라니작단법 등 무구정탑 조성 의례를 집전하였다. 따라서 신륵사지 삼층석탑의 매납품은 원상을 잃었지만, 같은 시기 다른 무구정탑의 사리장엄구처럼 금동사리함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토제소탑이 에워싸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토제소탑 안에 다라니를 넣지 않고 따로 서사해서 사리장엄구와 함께 안치했을 것이다. 정통의 공양방식과 달리 토제소탑을 108기 제작한 것은 다양한 발원내용을 한꺼번에 실현할 수 있는 정각을 이루어 모든 번뇌를 벗어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되었다고 이해된다. 신륵사 삼층석탑출토 토제소탑과 금동사리함은 왕실발원작에 비해 재료, 제작기술 등 품질 면에서 현격한 수준 차이를 보인다. 이런 양식적 특징을 감안할 때 제천지역의 향도들이 주도한 결사를 통해서 조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런 신륵사지 삼층석탑과 매납품의 고찰을 통해 왕실발원작 위주의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통일신라시대 무구정탑의 조성과 신앙에 대한 시각을 보다 넓힐 수 있다. Although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in Jecheon is a Mugujeong pagoda built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which is rare in Chungbuk, bu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now. Therefore, this study graspe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to figure out the time of production and compared and considered the small earthen pagodas and gilt-bronze sarira reliquary buried in the pagoda with other Mugujeong pagodas and sarira reliquaries in the same period to discuss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foregoing burial goods. The forms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stylobates, an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judged that the Three-story Stone Pagoda was built in the late 9th to early 10th century, the late Silla Dynasty period.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is stone pagoda was built in the vicinity and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and rebuilt later and that some members were repaired at that time. The small earthen pagodas and gilt-bronze sarira reliquary buried in the upper stylobate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site tell that this pagoda is a Mugujeong pagoda built according to 『Mugujeong Sutra』. In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period, professional monks held the rites of establishing the Mugujeong pagoda, such as the dharani jakdanbeop. Therefore, although the burial goods i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lost their original forms, it is thought that the small earthen pagodas surrounded the gilt-bronze sarira reliquary as with the sarira reliquaries in other Mugujeong pagodas in the same period and the dharani was not put into the small earthen pagodas but was written separately and enshrined together with the sarira reliquary. It is understood that the production of 108 small earthen pagodas, unlike the orthodox offering method, reflects the intention to escape from all passions by achieving full enlightenment to realize various prayer requests at once. The small earthen pagodas and gilt-bronze sarira reliquary excavated from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show marked differences in level in terms of quality such as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compared to the works originated from the royal family. When these stylistic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it is assumed that they were created through an association led by local believers in Jecheon. Through this study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illeuksa Temple and the burial goods, it is possible to broaden the perspective on the creation of Mugujeong pagodas and faith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centered on the works originated from the royal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