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고와 표현’ 교과목에서의 콘텐츠 비평 교육 설계를 위한 신입생 비평 글 분석

        이지선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3

        이 연구에서는 ‘사고와 표현’ 교과목에서의 콘텐츠 비평 교육 설계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신입생들이 작성한 콘텐츠 비평 글을 독자 반응 비평 이론의 관점에 입각해 분석하였다.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목 운영 상황을 고려할 때, 비평 이론을 처음 접하는 학생도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독자 반응 비평 이론의 비평적 지향점이 유용할 수 있다. 2장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텍스트비평 과정을 비평자가 자신의 미적 판단을 정당화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과정으로 전제하고, 비평이 서술, 해석, 평가로 구성되며, 각 요소의 유기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또한 주관적 독자 반응 비평의 관점을 원용해 독자 지향적⋅현실 지향적⋅경험 지향적 반응 중 경험 지향적 반응이 읽기 경험을 공유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살폈다. 3장에서는 2장의 틀을 활용하여 학생 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글 중 독자 지향적 반응과 현실 지향적 반응에 초점을 둔 글은 자신의 미적 판단을 정당화하는 과정이 누락되고 텍스트와 독자의만남으로서의 읽기 경험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비평의 요소 중 서술이 과소하거나 과대한 경우 독자 지향적이거나 현실 지향적반응에 그치고 경험 지향적 반응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경향이 보였다. 텍스트의내적 요소에 대한 서술과 해석이 부족한 경우에도 자신의 미적 판단에 대한 정당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읽기 대상에 대한 감상을 설득력 있는 비평으로 정교화해 나가는 교육 지향점을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ntent criticism education design in the ‘Thinking and Expression’ subject. Content criticism articles written by freshmen were analyz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theory. The critical orientation of the reader response criticism theory can be useful in consideration of the course management situation for freshmen. This is because many freshmen are new to critical theory. Chapter 2 presupposes the text criticism process as a process in which a critic justifies his or her aesthetic judgment to persuade the reader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organicity of each element. In addition, it was examined that, using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reader response criticism, experience-oriented reactions among reader-oriented, reality-oriented, and experience-oriented reactions are useful in sharing reading experiences. In Chapter 3, student writings were analyzed using the framework of Chapter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cess of justifying one’s aesthetic judgment was omitted in articles that focused on reader-oriented and reality-oriented responses among students’ writings, and the reading experience as a meeting between text and readers was not convincingly explained. In addition, when the description was insufficient or excessive among the elements of criticism, there was a tendency to stop at a reader-oriented or reality-oriented response and not move toward an experience-oriented response. Even if the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s internal elements were insufficient, justification for one’s aesthetic judgment was not sufficiently achieve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critical education should aim for a process in which responses to content, which is a hobby of students in their daily lives, are elaborated from appreciation to criticism.

      • KCI등재

        창작 발레 <심청>에 관한 연구 - 이저(W, Iser)의 독자반응비평이론을 중심으로 -

        배금연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0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6 No.4

        현대 예술사조의 특징 중 하나는 예술에서 수용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옹호한다는 점이다. 이저의 독자반응비평 이론은 이러한 수용자 중심적 관점을 부각한 수용미학적 견해로 기존의 창작자 혹은 텍스트 중심적 수용미학 이론과 차별되는 전환적인 견해이다. 발레 <심청>은 한국창작 발레이면서도 세계적으로 소비되고 향유되고 있는 문화상품이다. 작품 속에 동서양의 문화가 공존하고 있어 수용자의 수용방식에 따라 해석과 의미부여가 다양하게 표현 가능한 작품이다. 이에 수용자 중심적 수용미학적 견해인 이저의 독자반응비평 이론에 발레 <심청>을 접목시켜 분석하는 작업은 의미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는 무용텍스트로서의 <심청>과 이저의 독자반응비평 이론을 함께 고찰해 보았다. 먼저 독자반응비평 이론에서 텍스트가 수용자의 수용행위를 통해 구체화 되어 작품이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무용텍스트는 생산자인 대본가, 안무가, 연출가에 의해 창작되어 무대에서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현장에서 전달되는 특징이 있다. 수용자는 안무가가 전달하려는 혹은 의미부여가 가능한 암시된 의도 등을 구체화시키는 능동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생산자-텍스트-수용자간 공동유희의 과정에 해당한다. 유희과정을 거친 텍스트는 작품이 된다. 수용미학적 구조에 관한 이저의 이론을 한국창작 발레 <심청>에 적용해보면 심청은 무용텍스트에 해당하고 창작자(안무가, 대본가, 연출가)는 생산자에, 무용수는 공연의 협력자이자 또 다른 수용자,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과 평론가는 수용자에 해당한다. 이들은 상호간 자유로운 의사소통으로 텍스트를 구체화시키고 그 결과 <심청>은 작품이 된다. 한편 텍스트가 구체화된 작품은 다시 다음 생산자의 또 다른 텍스트창작에 영향을 주어 새로운 수용텍스트를 만드는 순환적 의사소통의 구조를 갖는다. 발레<심청> 역시 이러한 과정을 여러 차례 겪었고 그 결과 창작 이후로 성공적인 개작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하나의 텍스트가 작품으로 구체화 된 후 소멸하지 않고 구체화 과정을 반복하여 끝없이 수정 보완되어 공연무대에 올려지고 있는 좋은 예가 된 것이다. 무용텍스트로서 발레 <심청>이 가지는 가치를 창조적, 심미적, 교육적, 문화적 가치의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문화적 가치에 있어서 주목할 사실은 발레의 종주국인 프랑스 ‘팔레 데 콩그레 드 파리(Palais des Congres de Paris)’에 초청되어(2012) 성황리에 공연을 마치는 등 한국발레의 해외 성공 사례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초연 이후 현재까지 끊임없이 수정 보완하는 열정, 관객의 변함없는 호응은 발레 <심청>을 더욱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만들어 주고 있다. 현대의 예술 패러다임은 20C 초반 이래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증주의, 실존주의, 신비평주의 등을 거쳐 구조주의, 모더니즘, 해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탈해체주의 등 여러 사조들이 뒤얽혀 존재하고 있고 그에 따라 예술작품에 대한 새로운 수요도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공연환경은 급변하고 있고 관객의 기대나 호응 역시 다양하게 변하고 있으며 평론가들의 비평도 이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발레 <심청>이 현재와 같은 호평 속에서 공연을 계속 이어가고 생명력을 가진 작품으로 남기 위해서는 급변하는 예술사조와 공연환경, 공연에 대해 달라지는 기대를 앞으로 어떻게 수용하여 표현하는지가 남은 과제라 할 것이다. 앞으로도 동서양문화의 훌륭한 조화의 상징적인 작품으로 명성을 이어가기를 기대한다. One of the special features of modern art trends is the point that the aggressive participation by the consumers is induced and supported in art. As the acceptance aesthetics view that carved in relief such a consumer-centered viewpoint,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of Iser is a converted view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existent creator- or text-centered acceptance aesthetics theory. The ballet ‘Shimcheong’ is a cultural product that has been consumed and enjoyed in the world while being a Korean creative ballet at the same time, too. Because the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coexist within the work of art, it is a work of art that can diversely express the interpretations and the meaning givings according to the acceptance method of the consumer. As such, because it had been thought that the work of analyzing by grafting the ballet ‘Shimcheong’ onto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of Iser, which is a consumer-centered acceptance aesthetics view, is meaningful, in this research, ‘Shimcheong’, as a dance text, and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of Iser had been considered together. Firstly, if I take a look at the process in which the text becomes the work of art after being concretized through the act of acceptance of the consumer in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the dance text has the special feature of being delivered at the site through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on the stage after being created by the script writer, the choreographer, and the director, who are the producers. It has a difference from the texts in the other genres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the empathy that is felt by the consumer while viewing the performance and the things that were stored with the memories and the recollections after viewing the performance are made into an acceptance text. In concretizing a dance text that is delivered mainly with the visual images, the aggressive interac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with the text as the medium is important. The consumer plays the proactive role of freely finding and concretizing, by himself or herself, the intention that is intended to be delivered by the choreographer, the suggested intention that can give a meaning although it was not clearly stated, or the others of the like. This pertains to the process of the joint play between the producer, the text, and the consumer. A text that had gone through the process of the play becomes a work of art. The concept of ‘text’ of Iser is a fictional text. And, due to the fictionality, the spaces of uncertainty, blank, etc. get created. As a phenomenological concept, while being inherent in the text, the consumer is an existence who gets regulated by the text. The consumer plays the role of filling the blank in the fictional text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ance within his or her awareness. And, at this time, the uncertainty of the text, too, gets around to having a clear and definite meaning. As a result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producer having taken place by being repeated through the proactive participation by the consumer, the text becomes a work of art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ance. If I try applying the theory of Iser regarding the acceptance aesthetics structure to the Korean creative ballet ‘Shimcheong’, Shimcheong pertains to a dance text, the creators (The choreographer, the script writer, and the director) pertain to the producers, the dancers pertain to the cooperators of the performance and the yet other consumers, and the audience and the critics viewing the performance pertain to the consumers. They concretize the text through the free, mutual communication, and, as a result, ‘Shimcheong’ becomes a work of art. Meanwhile, by giving an influence to yet another text creation by the next producer again, the work of art of which the text had been concretized gets around to having the structure of circular communication that makes a new acceptance text. The ballet ‘Shimcheong’ had experienced such a process many times. And, as a result, ever since the creation, the successful remakes have been continuing until the present. It had become a good example in which, after having been concretized as a work of art, without becoming extinct, by repeating the concretization process, by being revised and supplemented endlessly, one text has been put up on the performance stage. The values that are possessed by the ballet ‘Shimcheong’, as a dance text, can be divided into four kinds. By changing the genre of the literature text, which is a traditional novel, into the dance text, it had been made so that the performance is possible. And, by not damaging the form and the choreography of the ballet while saving the Korean sentiment, too, the possession of the universality and the accessibility as a public art pertains to the creative value that is possessed by ‘himcheong’. All of the main organizations of the classical ballet, including the grand pas de deux and the divertissement, which are the typical ballet performances that are worthy of watching, the pas d'action, which induces the follow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etc., are inside. And each part gets delivered while having the life force. And the point that the level of completion as a ballet performance had been shown while saving the Korean things, including the clothes, the music, the choreography, etc., just the way they had been, can be evaluated as an aesthetic value. ‘himcheong’ has been delivering the humanity of ‘ilial duty’ through a drama-consistent message. Here, the traditional, moral customs, too, of Korea, in which the ordinary people coexist and share the emotions with the neighbors, have been expressed in a natural way. Although filial duty is a moral canon that is emphasized in the Orient, despite being somewhat of a children's story and despite the somewhat exaggerated setup, while the audiences in the diverse cultural spheres have been watching the performance, the fact that the humanity- including filial duty, altruism, etc.- had been sympathized with means that 'Shimcheong' had delivered an educational value, too. Regarding 'Shimcheong', which has been performed for a long time in over 26 countries of the world for over 30 years ever since the premiere in 1986, the following points have been continuously receiving the favorable comments not only in Korea, but, also, at many places in the world: The point that it had a traditional story in Korea as the subject matter; The point that there had been a lot of participation by foreigners in the creation process; The point that a foreign dancer had been in charge of, and had acted for, a Korean character; The point that the traditional dance and the ballet had achieved a harmony; The point that the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had been represented well through the clothes, the music, the background, etc.; And the others of the like. As an excellent, intangible asset of the Korean ballet circle, the cultural value has been emitted. It has been an overseas, successful case example of Korean ballet, including successfully finishing a performance after being invited (2012) to Palais des Congres de Paris in France, which is the suzerain of ballet, and the others of the like. The passion of unceasingly revising and supplementing and the unchanging positive response of the audience ever since the premiere until the present have been making the ballet 'Shimcheong' into a work of art that has an even higher level of completion. The art paradigm of modernity has been appearing diversely ever since the early phase of the 20th century. By going through positivism, existentialism, new criticism, etc., the many thought trends, including structuralism, modernism, deconstruction, postmodernism, deconstructionism, etc. have been existing by being entangled. And, according to this, the new demand, too, regarding the works of art has been increasing diversely. The performance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rapidly. And the expectation and the positive response of the audience have been changing diversely, too. And the criticisms, too, of the critics have been becoming different according to this. In order for the ballet 'Shimcheong' to continue the performance continuously with the favorable reviews like the present and remain as a work of art that has the life force, it can be said that how to accept and express the rapidly changing artistic thought trends and performance environments and the expectation that becomes different regarding the performance in the future is the remaining task.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it will continue the fame as a symbolic work of art with the excellent harmony of the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future, too.

      • KCI등재

        재구성적 체험과 김환태의 실천비평

        전정구 ( Chong Ku Ch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5

        김환태의 실천비평에 속하는 글들 중에서 작가-시인의 한 사람에 집중하여 쓰인 「시인 김상용론」이나 「정지용론」, 또는 「상허의 작품과 그 예술관」에는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자기주장의 근거와 논점이 분명히 밝혀져 있다. 이러한 글에서 ‘어맥과 어휘의 혼란’이나 ‘조잡한 문자의 나열’, 그리고 ‘몽롱함이나 난해한 이론’을 찾아내기 어렵다. 조화롭게 균형 잡힌 문장력이 그의 주장과 논리의 명쾌함을 보장한다. 그의 문예이론의 실천적 사례로서의 글들은 대부분 ‘상대방 문장-글과의 친화력’을 바탕으로 표현해낸 한 작가의 예술-문학에 대한 주관적 인상기(印象記)로서 ‘한폭의 정갈한 예술가-작가의 초상화’에 비유될 수 있다. 작품에 부여된 정서가 암시하는 방향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종합하고 통일하는 재구성적 체험을 통해 그는 분석대상이 된 작품과 ‘독립된 예술적 초상화’를 완성하는 것을 실천비평의 목표로 삼았다. 그렇지만 그가 주장한 선진적 문학이론-형식주의 비평방법의 측면에서 볼 때 그것들은 성공적이지 못하다. 대상작품을 대하는 순간 감지되는 인상에 몰입하여 완성한 그의 예술적 초상화들, 즉 「정지용론」 「시인 김상용론」 「상허의 작품과 그 예술관」 등은 작품론이 아니라 작가론에 포인트가 놓여 있다. 이것들은 작가의 인간적-생활적 측면이 강조되는 작가론의 범주에 속하는 글들로서 작품 자체에 대한 분석에 중점을 두는 형식주의-내재적 비평방법의 실천적 사례로 취급하기는 어렵다. 작가의 생활습성에서 ‘작품에 대한 총체적인 인상-감상’을 추출해 내는 ‘예술적 초상화’ 그리기로서의 그의 실천비평들은, 작가의 생활습성이나 혹은 내면적 정신세계와 작품 사이에 유기적인 관련성을 부여하여 그것에 초점을 맞춘 비평가의 인상을 중심으로 재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김환태의 실천비평이 대부분 그것 자체가 하나의 예술적 창작품으로 읽혀질 수 있도록 기획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술작품의 미적 효과를 확인하고 천재적인 작가의 개성을 발견하여 그것에 대한 인상을 충실히 재구성한 그의 실천비평들은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자기 발견의 독서 이론을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비평사적 의의를 지닌다. 그렇지만 한 작가의 예술적 초상화를 그려내기 위해 그 작품에 몰입하여 얻은 인상을 재구성한 그의 실천비평이 보편타당한 객관성을 확보한 것은 아니다. 자기 반응을 덧붙여 작품과 별개의 독자적인 예술적 초상화를 그린 「정지용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주관에 철저하게 의지하여 감상의 객관성이 담보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 「정지용론」이 끝내 개인의 인상을 넘어 ‘보편적 가치를 구유’한 것은 아니다. 고도의 심적 훈련과 심미적 교양이 요구되는 비평 활동의 정당성은 ‘작품의 생명과 약동성’을 발견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어떤 비평적-기법적 장치의 적용이 수반되어야 한다. 독자 반응비평의 ‘능동적 읽기’의 논리적 정합성이 상당 부분 ‘형식주의-구조시학의 정교한 기법’의 활용에 의거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나 이데올로기 위주의 창작방법과 규준을 작가들에게 강요하여 ‘작가의 창작력을 고갈시킨 카프파의 고뇌’도 ‘비평의 객관성 확보’와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예술작품의 위대한 독창성을 주관적 인상에만 의존하여 객관화-논리화시키는 작업은 불가능한 일이다. 김환태의 「정지용론」이 천재 예술가의 초상화로서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예술의 보편적 가치를 구현하는 데 한계를 갖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따라서 그가 주장한 문예이론과 그것의 적용 사례인 실천비평의 사례들은 서로 어긋나는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정지용론」을 비롯하여 「시인 김상용론」이나 「상허의 작품과 그 예술관」은 제목이 지시하는 것처럼 작품론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 아니고 작가론의 범주에 속하는 것들이다. 다시 말하면 그것들은 형식주의적-내재적 문학론이 적용된 것이 아니라 인상주의적-낭만주의적 예술관이 반영된 일종의 주관적 인상을 중시한 역사주의 비평에 근접한 것들이다. Among the writings of Kim Hwan-tae that are classified as practical criticism, ?An Essay on Poet Kim Sang-yong?, ?An Essay on Jeong Ji-yong?, and ?The Works of Sang Heo and His View of Arts? contain basis and views for his argument on writer-poet oriented perspective in precise and comprehensible words. Thesis essays reveal some difficulty to find ‘ambiguity in context and vocabulary’, ‘frequent usage of coarse words’, and ‘obscure and incomprehensible theory’. In the essays, well-balanced and harmonized composition ability guarantees clarity of his argument and its logical justification. The most of his writings as practical examples of his literature criticism can be considered as ‘neat portraits of artist-writer’ in terms of subjectively-impressed writing on art-literature about writers, which are expressed based on ‘his affinity to their composition-writings’. The aim of his writings to completion of both his criticism on the works and his independent artistic portraits on the poets by means of restructural experiences which are synthesized and unified along the way implied by the sentiment imposed by the works of the poets. However his writings are not very successful when they are reviewed at the perspectives of the critique of the literature criticism-formalism that he argued in his writings. Due to the his devotion to instantaneous impression on the works of the poets, his artistic portraits, that is, ?An Essay on Poet Kim Sang-yong?, ? An Essay on Jeong Ji-yong?, and ?The Works of Sang Heo and His View of Arts?, are placed at the center of writer criticism, not of work criticism. The writings cannot be considered as practical examples of a formalism-Intrinsic approach critique method, which focuses on analysis of works themselves, since they are in the boundary of writer criticism, which emphasizes humanistic-life perspective of writers. His practical criticism as drawing of ‘artistic portraits’ that extract ‘general impression-sentiments on works’ in life style or behavior is re-organized at the center of impression of the critic himself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life style-internal spiritual world of poets and their works by means of imposing organic and systematic correlation between them. It is because the most of this practice criticism themselves are intended interpreted as artistic works. It is one of the implications and meanings of the criticism history that his practice criticism, which recognizes the aesthetic effects of the works, discovers genius characteristics of the poets, and re-organizes substantially the impression on the works and poets, is to be associated with the reading theory of voluntary and active self-realization.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his practice criticism, which re-organizes the impressions obtained from the works by devotion in order to draw an artistic portrait for a poet, gets general and proper objectivity. ?An Essay on Jeong Ji-yong? is the typical example of such a criticism that draws an artistic portrait of a poet with his self-response, which is irrelevant with or independent from the works of the poet. The essay, where the objectivity of the impression is to be guaranteed based on personal and individual view point, does not seem to be worth of generality over his individual impression on the works of the poet, at last. The criticism requiring high level of spiritual training and aesthetic education cannot be justified without application of any critical-technical method or mechanism to discover or explain ‘life and vital movement of the works’. It cannot be disregarded that the logical appropriateness of ‘active reading’ of reader-response criticism is considerably based on exploitation of ‘refined technique of formalism-structure poetics’ The ‘KAPF`s gnawing having exhausted writer`s creativity’ by enforcing writing methods and rules based on social realism and ideology seems to have not been irrelevant to ‘obtaining criticism objectivity’. It is impossible to subjectify or justify logically the great originality of artistic works only with subjective impression. Here is the reason why there is a limitation in realization of his general value for art, despite of his essay on Jeong Ji-yong being successful as a portrait of a genius artist. Therefore there mus be a contradiction between his literature theory and his practice criticism as application of the theory. Beside ?An Essay on Jeong Ji-yong?, both ?An Essay on Poet Kim Sang-yong? and ?The Works of Sang Heo and His View of Arts? are in the category of writer criticism, instead of work criticism, as the titles indicate. More specifically, his criticism are close to historicism criticism emphasizing a sort of subjective impression reflecting impressionism-romanticism, instead of formalistic literary-Intrinsic approach criticism.

      • KCI등재후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선교적 해석학의 중요성

        배춘섭(Bae Choonsup)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5 No.-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석학적 위기로 인한 선교적 해석학의 중요성을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역사적으로 모더니즘의 도전은 선교신학의 급진적인 변천을 가져왔고, 아울러 포스트모더니즘적 인식론은 선교신학의 축을 담당하는 성경해석학에 상당한 영향을 끼침으로써 다양한 선교적 해석학의 구조(Framework) 를 양산했다. 특별히 독자반응 비평의 해석학은 독자가 경험을 통해 얻은 ‘실제’(reality)를 본문(Text)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함으로써 본문의 최종의미를 완성하는데, 이것은 원저자의 의도와는 달리 본문을 독자의 요구에 따라 자의적으로해석된다. 이런 해석방식은 성경을 해석할 시 지나치게 개인의 주관적 해석을 수용함으로써 원저자인 하나님의 의도를 무시하고, 통일성 있는 성경의 진리를 거부한다. 이런 성경해석학에서의 독자반응 비평은 보수적, 급진적 비평가들의 입장이 존재한다. 전자는 성경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역사비평과 성경의 원어연구를 존중한다. 반면 후자는 성경을 해석 시 저자의 개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독자의 주관적인 해석을 적극 수용한다. 결국 독자반응 비평으로 빚어진 성경해석의 위기는궁극적으로 성경의 권위의 훼손시킨다는 데 달려 있다. 따라서 저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의 선교신학은 반드시 성경의 권위를 인정한는 성경해석학으로부터비롯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missional hermeneutics due to the hermeneutical crisis of postmodernism. Historically, the challenges of modernism have led to radical changes in mission theology, and postmodernist epistemology has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biblical interpretation, an axis of mission theology, resulting in many different frameworks of missional hermeneutics. In the hermeneutics of reader-response criticism, in particular, the final meaning of the text is completed when the reader takes the ‘reality’ obtained through experience and gives meaning to the text. This implies that the text is interpreted arbitrarily according to the reader’s request, unlike the original author’s intention. This method of interpretation ignores the intention of God, the original author, by overly accepting individual subjective interpretation when interpreting the Bible, and thus rejects the truth of the unified Bible. Reader-response criticism in such biblical hermeneutics is subject to the opinions of conservative and radical critics. The former respects historical criticism and studies in the original language of the Bible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Bibl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fundamentally blocks the author’s intervention in interpreting the Bible and actively embraces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reader. The crisis of biblical interpretation is ultimately in the undermining of the authority of the Bible.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mission theology in the postmodern age must come from biblical hermeneutics that recognizes the authority of the Bible.

      • KCI등재

        다문화 소설의 정신분석비평과 이주민 독자의 심리적 반응 양상 분석 - 김민정의 <죽은 개의 식사 시간>을 중심으로

        김지혜 ( Kim Jeehy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5 No.-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소설과 이주민 독자 간의 문학 소통 양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먼저 이주민의 생활 사건과 정체성 문제를 소설적으로 재현한 김민정의 <죽은 개의 식사시간>을 정신분석비평에 따라 분석, 이주민의 정체성 문제가 욕망과 연결되어 있다는 해석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소설에 대한 외국인 독자의 반응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한국 체류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감상문 12편을 심리학적 독자반응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독자들은 자신의 이주 경험을 다문화 소설 해석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감상문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려고 하지만, 다문화 소설의 상징과 구조를 분석하거나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한국의 문학 담론과 문학교육 현장에도 다문화적 요소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점에서 다문화 소설과 그에 대한 이주민 독자의 반응에 초점을 맞춘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다문화 소설 교육을 설계할 때에나 이주 경험을 지닌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설 교육을 설계할 때 유의미한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iterary communication between multicultural fiction and immigrant readers. First, I analyzed < Meal time of Dead Dog >, a fiction that presented migrants' experiences and identity issues based on psychoanalytic criticism. The derived interpretation is that the identity problem of migrants is connected with desire. Next, the essays by foreign students residing in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independent response theo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y actively utilize their migration experiences when interpreting multicultural fiction, and try to express their opinion, but have difficulty in interpreting symbols. As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continues, multicultural elements will also increase in literary discourse and literar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hich focuses on multicultural fiction and migrant readers' responses, is expected to provide a meaningful perspective in terms of designing multicultural literature education or designing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migrant learners.

      • KCI등재

        <우리들전>에 나타난 <춘향전> 독자의 반응 양상 연구

        류수열 ( Su Yeol Ryu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이 글은 <춘향전>의 또 다른 이본이라 할 <우리들전>이 독자가 독서의 흔적을 명시적으로 남기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독자의 자기실현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우리들전>의 독자는 ``확인 및 공감``, ``외재적 정보 동원``, ``자기 투사``, ``계몽``, ``희화화``라는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들전>은 약 100년 전의 소설 독자가 수행한 역할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역사적 가치가 있다. 특히 이러한 독자의 역할이 현재의 독서 과정에서도 여전히 수행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독서론적 가치는 더욱 빛난다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비`` 개념의 교육적 부활을 제안하였다. 평비와 유사한 개념인 평점은 과거와는 달리 현재 ``점수`` 자체에 의미의 핵심을 두고 학력을 평가하여 매긴 점수나 가치를 평하여 매긴 점수를 뜻하는 말로 쓰인다. 따라서 작품의 특정 부분에 대한 평가 활동을 지칭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다. 또한 비평이라는 단어에는 전문가적인 수준의 안목이 전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 전체를 대상으로 작품에 대한 반응을 일관된 논리로 엮어내는 지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부담이 크다. 따라서 즉흥적이고 인상적인 반응까지도 모두 포괄하면서 자유로운 반응까지 허용하는 ``평비``를 문학 독서, 혹은 문학 교수-학습 활동의 한 양태를 가리키는 용어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 용어가 정착된다면 문학 독서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보이는 모든 반응을 두루 포괄한다는 이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본고에서 다룬 독자의 여러 가지 역할에 따라 작품에 접근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수-학습 활동도 창의적으로 구안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how readers are reflecting themselves in some ways regarding to reader`s individual response on <Urideuljeon>, the one of different versions of the <Chunhyangjeon>. As a result, We have founded that <Urideuljeon> readers took different roles as ``confirmation and empathy``, ``us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self-projection``, ``enlightenment``, ``travesty``. It has a distinct historical value regarding to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readers of <Urideuljeon> about 100 years ago. It would be worth more if we consider the fact that this role of the readers has still been performed in the current process of reading. Based on the results discussed in this article, I proposed the concept of Critical Commentary as a educational reintroduction. Commentary[評點] which is similar to Critical Commentary, is only focused on the current score or assessment that evaluate the academic ability. Therefore, commentary is not appropriate to refer to assessments of specific areas. In addition, the Criticism[批評] is not only a prerequisite for Perspective of professionals. but also it is intellectual activities that makes literary appreciations in a consistent logical form. so it makes burden to learners.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Critical Commentary, which encompass both improvised responses, impressive response and free response, as a term of reading, or Teaching-activities on Education of literature. If the term of critical commentary will be settled, it will be able to encompass all variable response in reading literature. And the various roles of readers according to their own work through analysis of how the new creativ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can form.

      • KCI우수등재

        유럽공통참조기준(CEFR) 텍스트 매개 영역 능력기술문의 구성 요소와 특성 분석

        박민신,김호정,강남욱,신필여 국어국문학회 2023 국어국문학 Vol.0 No.205

        본 연구는 유럽공통참조기준(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이하 CEFR)의 매개 활동 중에서 ‘텍스트 매개’에 초점을 두고 능력기술문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텍스트 매개의 하위 영역별 특징과 위계화 양상을 살펴 한국어교육 분야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텍스트 매개’는 ‘개념 매개’, ‘의사소통 매개’와 함께 CEFR의 매개 활동을 구성하는 대영역이며, 매개의 가장 본래적인 속성을 견지하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이에 ‘텍스트 매개’를 구성하는 하위 영역과 능력기술문의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매개는 ‘특정 정보 중계하기, 데이터 설명하기, 텍스트 처리하기, 문어 텍스트를 구어/문어로 옮기기, 노트하기, 창의적인 텍스트에 대한 개인적인 반응 표현하기, 창의적인 텍스트에 대한 분석 및 비평하기’로 나뉘며, 매개 목적, 대상 텍스트, 언어 양식 등에 따라 그 특징을 달리한다. 둘째, ‘텍스트 매개’의 능력기술문은 ①매개 행위, ②매개 텍스트, ③매개 행위 조건의 세 가지 요소로 대별되며, ②매개 텍스트는 다시 ‘텍스트 유형/장르, 구조적 특성, 주제, 언어적 특성’ 등을 나타내는 하위 요소를 내포하며, ③매개 행위 조건은 ‘상황・맥락, 수준, 제약, 리소스 활용’ 등의 세부 조건을 부연한다. 셋째, ‘특정 정보 중계’는 특정 정보를 추출하여 전달, ‘데이터 설명’은 도표, 차트, 그림, 기타 이미지 등에서 발견되는 정보 매개, ‘텍스트 처리’는 원본 텍스트에 포함된 정보와 논지를 이해하여 압축하고 재구성, ‘텍스트 번역’은 원본 텍스트의 의미, 정보, 논점 번역, ‘노트하기’는 원본 텍스트의 요점을 포착하여 노트, ‘창의적인 텍스트에 대한 반응, 분석 및 비평’은 상상력과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창의적 텍스트에 반응하고 그것을 분석, 비평하는 매개 활동이라는 각각의 속성에 따라 그것을 구성하는 능력기술문의 세부 요소별, 학습자 수준별 위계화 구조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텍스트 매개 능력기술문의 구성 요소와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텍스트 매개 활동의 구성과 적용의 문제를 ‘매개의 개념과 영역의 확장’, ‘텍스트 매개 언어의 다중성’, ‘텍스트 매개 능력의 위계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stituents, attributes, and hierarchical configurations of descriptors related to ‘Mediating a Text’ and explore their implications for the 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on activities in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for Language (CEFR). ‘Mediating a Text’ constitutes a pivotal realm within CEFR’s mediation activities, alongside ‘Mediating Concepts’ and ‘Mediating Communication’ holding a significant position due to its preservation of the core attributes of mediation. Consequently, our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insights into the subcategories and constituents that encompass ‘Mediating a Text’: Firstly, ‘Mediating a Text’ is categorized into ‘Relaying Specific Information, Explaining Data, Processing Text, Translating Text, Note-Taking, Expressing Personal Responses to Creative Texts, and Analyzing and Critiquing Creative Text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omponents vary contingent upon the purpose of mediation, the mediated text, and the modality of language used. Secondly, descriptors of ‘Mediating a Text’ are structured around three core components: ① the act of mediation, ② the mediated text, and ③ the conditions of mediating. ② The mediated text further comprises sub-components representing ‘Text Type/Genre,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bject, and Linguistic Attributes,’ while ③ the conditions of mediating encompass specific factors such as ‘Situation and Context, Language Proficiency, Constraints, and Resource Utilization.’ Thirdly, ‘Relaying Specific Information’ entails the extraction and transmission of specified details, ‘Explaining Data’ involves mediating information presented in charts, graphs, images, and other visual formats, ‘Processing Text’ encompasses the summarization and reconstruction of information and arguments within the original text, ‘Translating Text’ involves the translation of information, meaning, and nuances, ‘Note-Taking’ serves the purpose of creating notes based on the information within the original text, ‘Expressing a Personal Response to Creative Texts’ and ‘Analyzing and Critiquing Creative Texts’ involve responding to creative texts with imaginative and culturally significant interpretations and conducting critical analysis. Drawing from the distinctive attributes of each subcategory, hierarchic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descriptors related to ‘Mediating a Text’ are designed to align with learners’ proficiency levels. In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and features of ‘Mediating a Text,’ this study delves into the issues surrounding the composition and application of ‘Mediating a Text’ concerning the ‘expansion of the mediation concept and domain,’ the ‘multi-modality of mediated text,’ and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descriptors for mediating a text.’

      • KCI등재

        문학 읽기를 통한 주체의 윤리성 발현

        손아영(Ayoung Son)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1

        본고는 문학이 지닌 근원적인 힘을 윤리와 연관하여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문학은 독자와의 긴밀한 뒤섞임을 통해서 완성되는 예술일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독자 스스로의 주체성도 큰 변동을 수용한다. 읽기의 과정 안에서 독자는 문학작품을 완전히 대상화할 수 없다. 문학 읽기의 행위는 독자로서의 주체성이 그 스스로 의 경계를 일부 지우면서 텍스트와 융합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독자는 오로지 이 긴밀한 모호함과 혼동의 과정을 스스로 통과하면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읽기를 통해 주체는 대상을 향한 독재적인 통제를 잃어버릴 뿐 아니라 대상에 의해 압도되는 경험을 겪는다. 본고는 문학 읽기의 과정에서 독자로서의 주체성이 중단되는 사건이 발생함에 주목하려 한다. 특히 독자가 문학작품을 읽어 해석함에 있어 이는 의미와 의미가 빈틈없이 접합되는 매끄러운 과정이 아니라는 점에 집중할 것이다. 반복되는 의미의 단절에도 불구하고 독자가 읽기에 빠져드는 것이 주체성이 지닌 근원적인 윤리성에 의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주체가 텍스트가 내포한 이해불가능성을 직시하면서도 이 과정에 자발적으로 임할 때, 이것이 주체성이 인식의 외부를 감지하는 윤리적 사건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울프강 이저를 중심으로 한 독자 비평 이론과 숭고, 에마뉴엘 레비나스의 윤리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ultimate influence of literary reading over human beings in a relation with ethics. Not only does a literary work complete itself through an interweaving relationship with a reader, but also the reader him/herself stands overwhelming emotions that could possibly strike his/her solid subjectivity. The reader is not able to objectify the text in the operation of reading. That is because literary reading requires the reader to partly blur his/her own boundary and to interweave with the text. The reader can grasp understanding of the text by only going through this ambiguity and confusion. The reader loses his/her control over the text, is overwhelmed by it and his/her solid subjectivity immediately breaks in this passage. The reader engages in the process of reading even though the text constantly interrupts the understanding. In this context,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there is ethical subjectivity emerging when the reader voluntarily puts him/herself in the passage of going through infinite suspensions of meaning in the activity of reading. In other words, it could be an ethical event that the subject confronts the alterity by noticing that something impossible to understand is manifested but still engages in the process. To discuss this possibility that the ethical subjectivity emerges in the process of reading, this paper focuses on studies of reader reception theories especially by Wolfgang Iser, theories on the Sublime and Emmanuel Levinas’ Ethics.

      • KCI등재

        서사의 갈등구조와 수용자의 미의식 연구 -드라마 < VIP >를 중심으로-

        김경애 ( Kim Kyung-ae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1 No.-

        문화연구는 작품 자체를 연구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수용자들의 미의식을 연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해석이 시대마다 그 의미가 달라져 온 것은, 수용자들의 기대지평이 달라져 온 데 기인한다. 이 글에서는 텍스트를 통해 얻는 것이 작품에 대한 본질적이고 심미적인 비평뿐 아니라, 수용하는 사람들의 미의식이어야 한다는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드라마 < VIP >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TV드라마가 대중의 욕망과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현실을 가장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매체이고, 특히 이 드라마가 불륜, 외도, 혼외자, 직장 내 성폭력, 직장여성의 육아문제 등 현대인이 직면한 여러 문제점을 소재로 다루고 있어 현대인의 이념적 성격과 미의식에 접근하기 좋은 작품이라는 맥락에서였다. 이 글에서는 드라마 < VIP >를 중심으로 갈등 양상에 따른 수용자들의 반응 추이와 반응진술에서 나타나는 수용자의 미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작품은 불륜을 소재로 했으나, 기존의 결말 방식을 따르지 않고 기존 지평에서 벗어난 새로운 서사를 구축한다. 그럼에도 이 드라마의 시청률이 15.9%에 이른 점은 현대 수용자들의 미적 의식과 기대지평이 변화한 결과일 수 있다. 이념적 성격에 대해 살핀 결과, 수용자들은 혼외자 문제 등 태생의 문제에 대해서는 보수적, 개방적 시선이 혼재된 양상을 보였지만, 불륜에 대해서는 비교적 보수적인 이념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현대 TV드라마 수용자들이 매우 강력한 가족신화를 가지고 있으며, 잘못이 처벌되지 않고 성과가 공평하게 분배되지 않는 데 대해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한국 TV드라마 수용자들의 시선이 매우 온건하고 도덕적임을 짐작케 하는 부분이다. Cultural research is the study of the work itself, but it is also the study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onsumers. The reason why interpretations have changed from era to era is because the expectations of consumers have changed from time to time. In this paper, we discuss what we obtain from text not only in terms of intrinsic and aesthetic criticism of the work, but also in terms of the aesthetics of consumers we accept. In this paper, we discussed that what is gained through text not only gains intrinsic and aesthetic criticism of the work, but also gain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onsumers who accept it.The drama Vip is the subject of research. The drama "VIP" is the one of the work reflected well the public's desires, times, social, and cultural realitie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people's ideological character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cluding affair, extramarital affairs, sexual violence at work, and childcare problem, etc.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drama VIP, in this work at the trends of trends in response to the aspects of conflict within the work and the aesthetics consciousness of consumers in the response statements. In this paper, in this work at the trends of trends in response to the aspects of conflict within the work and the aesthetics consciousness of comsumers in the response statements focusing on the drama VIP. This work was based on affair, but it establishes a new narrative that deviates from the existing horizons. The drama's viewership of 15.9% may be the result of the rise in the aesthetic awareness and expectations of modern consume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deological nature, inmates are mixed with conservative and open-minded views on issues of birth, such as extramarital affairs, but reveal a very conservative ideological nature about affairs. In addition, it could be seen that contemporary TV drama consumers have a strong family myth and have a strong antipathy to the fact that wrongdoing is not punished and performance is not distributed fairly. It is a part that suggests that the eyes of Korean TV drama consumers are very moderate and moral.

      • KCI등재

        [번역논문] 원(原)도마복음

        유병우(Byung-Woo Yo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도마복음은 기독교적이며 유대교적인, 그리고 금욕적인(encratic)이며, 헤르메스주의적(hermetic)이고, 심지어 묵시적-신비적인 다양한 종교적 전승을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명백히 무작위로 모여진 수수께끼 같은 말씀의 모음집이다. 더욱이 중복 본문(doublets)과 내용상 서로 모순되는 말씀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당혹스럽다. 우리는 하나의 본문에 이러한 모순되는 자료와 중복 본문의 존재, 그리고 그렇게 많은 종교 전통의 존재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전통적인 구성 모델은 한 저자가 역사적 순간에 다양한 말씀을 모아우리가 알고 있는 도마복음을 만들었다고 가정한다. 이 모델은 저자가 왜 그의 복음서에 상충되는 말씀, 그리고 그의 문서 또는 구전 자료에서 나온 중복 본문 또는 매우 다양한 종교적 전승을 포함시키기로 선택했는지, 그리고 왜 저자가 왜 그렇게 느슨하게 복음서를 구성하기로 했는지 설명할 수 없다. 드코닉(A. D. DeConick)은 도마복음을 위한 새로운 구성 모델을 개발한다. 이 모델은 기존의 다른 모델이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설명할 뿐 아니라 Q의 계층화나 그와 유사한 문제가 있는 이론의 결론을 전제로 하지 않는 것이다. 그녀는 맥케인(William McKane)이 예레미아서 주석에서 사용한 “뭉쳐지는 본문의 집적”(rolling corpus)의 관점에서 도마복음의 구성 역사를 설명한다. “뭉쳐지는 본문의 집적”은 예언자의 (입에서 나온) “바로 그대로의 어구”(ipsissima verba)로 시작하는 책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추가 자료는 코어와 관련하여 집계되고 구성된다. 나아가 사회 수사학적 비평과 독자-반응 접근 방식의 통찰에 의지하여 그녀는 발전, 반응성, 동조자의 원리를 적용한 결과를 통해 핵심 도마복음을 재구성한다. The Gospel of Thomas is an enigmatic set of apparently random sayings which contain a wide diversity of religious traditions including Christian-Jewish, encratic, hermetic, and even apocalyptic-mystical traditions. This gospel is additionally perplexing in that it contains doublets and sayings which seem to contradict themselves. How can we explain the presence of these contradictory materials and doublets in one text as well as the presence of so many religious traditions? The Traditional Model of composition assumes that one author brought together a variety of sayings at some historical moment, creating the Gospel of Thomas as we know it. This model has not been able to adequately explain why the author would choose to include in his gospel conflicting sayings and doublets from his written or oral sources or such an extreme diversity of religious traditions, and why the author would choose to structure the gospel so loosely. A. D. DeConick develops a new compositional model for the Gospel of Thomas, one which will explain the persistent problems that other models have not, one that does not have as its premises the conclusions of problematic theories such as Q’s stratification and the like. She explains the compositional history of the Gospel of Thomas in terms of a “rolling corpus” that William McKane used in his commentary on Jeremiah. A rolling corpus is a book that begins with the ipsissima verba of a prophet. Over time, additional material becomes aggregated and organized in relation to the core. Furthermore depending upon the insights of Socio-rhetorical Criticism and the Reader-Response approach, she reconstructs the kernel Gospel of Thomas by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Responsiveness, and Constitu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