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구연 :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서 지방간염의 진단 및 간섬유화 정도의 예측인자

        이동석,권기태,조창민,탁원영,권영오,김성국,최용환,배한익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Ludwig등이 알코올과 관련이 없으면서 알코올성 간염과 동일한 병리학적 변화를 보이는 경우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이라 명명한 이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NASH는 간조직 검사소견상 염증소견이나 섬유화가 없는 비알코올성 지방증(NAS: non-alcoholic steatosis) 과는 달리 간경변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암의 발생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어 최근 NASH의 병태생리나 임상경과, 예후 등에 대해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근래에 NASH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비만환자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환자 및 의사모두에게 점차 큰 관심영역이 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임상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의심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간조직 검사를 시행하고 조직소견과 임상 자료들을 분석하여 비알코올성 지방증과 지방간염의 상대적인 빈도를 알아보고 양 군의 감별가능한 임상적 인자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서는 간섬유화 정도를 예측 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내원한 환자중, ALT치가 정상의 2배 이상 이면서 간 초음파 또는 복부단층촬영 소견상 지방간 소견을 보이고 알코올이나 약물의 병력이 없고 혈청학적 검사상 바이러스성 간염이 배제되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의심된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간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결과를 지방증과 지방간염군으로 나누어 두 군에서 혈청학적 검사 및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간초음파 소견 등을 비교하였으며, 지방간염에서는 간섬유화 정도를 예측 할 수 있는 관련 인자들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결과: 1) 간조직검사상 지방증은 11예 (26.8%) 지방간염은 30예 (73.2%) 이었고, 평균연령은 각각 33.3세, 27.3세, 남녀 성비는 7:4, 26:4로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2) 지방증군과 지방간염군의 비교에서는 BMI, 혈청검사, 간초음파소견상 지방간의 정도 등을 비교한 결과 BMI가 유일하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지방증:25.4 지방간염:28.7 p=0.005) 3) ROC curve를 이용한 cut-off 치로 BMI 27.2 이상이면 NASH의 진단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민감도:70%, 특이도: 91%) 4) NASH 군에서는 7%만이 간섬유화가 없었고, 40%는 중등도 이상의 간섬유화를 보였으나 간경변은 없었다. 5) NASH의 간섬유화 정도를 반영하는 임상지표로는 높은 BMI (p=0.011)가 심한 간섬유화와 관계되었다. 결론: 임상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 간질환으로 의심되는 경우 간조직 검사상 지방간염의 비율이 높고 (특히 BMI 27이상), 지방간염에서 섬유화의 정도는 BMI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과 향후 예후 판단 및 비만치료의 동기 유발 등의 목적으로 적극적인 간조직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성인 남녀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점수와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과의 연관성

        박상봉,최희정,두송희,정동,심예나,오한진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Backgrou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fibrosis score (NFS) is a scoring system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to predict advanced fibrosis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Evidence shows that progression of steatohepatitis and liver fibrosis reduces the production of very-low-density lipoprote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NFS and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evels and in adults with NAFLD.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24,889 subjects who had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NFS was calculated to assess the severity of fibrosis in all the subjects. Serum LDL-C levels were measured using a direct method. Results: Serum LDL-C level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NFS quartiles (P for trend<0.01). NFS was one of the major determinants of serum LDL-C level after adjusting for age, sex, lifestyle-related factors, and other covariates. The estimated mean serum LDL-C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est quartile of NFS than in the lowest quartile of NFS. Conclusion: NFS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serum LDL-C levels in adults with NAFLD. Elevated LDL-C level is not only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but also a predictive indicator of NAFLD severity. 연구배경: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간 섬유화의 진행을 예측하기 위해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점수체계이다. 최근 지방간염이나 간 섬유화가 진행될 때 간에서 초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생성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이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성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와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24,88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계측과 혈액검사에서 측정된 변수를 이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를 계산하였고,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은 직접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의 사분위수가 높은 군으로 갈수록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0.01). 연령, 성별, 생활습관 관련 요인과 그 외 다른 공변량을 보정하고도 섬유화 지수는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의 주요 결정인자였고,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의 추정평균치는 섬유화 지수의 사분위수가 가장 높은 군에서 가장 낮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성인에서 섬유화 지수는 혈청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일 뿐 아니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중등도를 예측하는데 추가적인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건강검진 수검자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관련성

        나하영,백덕주,이상현,최영은,조경희,박성배,김영성,김승수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2

        연구배경: 비만인구의 증가로 대사 증후군의 진단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사 증후군과 혈중 요산 수치의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대사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또한 혈중 요산 수치와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혈중요산 수치와의 관련성은 아직 명확하게 입증된 것이 없는 바, 본 연구에서는 그 연관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일산지역의 일개 종합병원의 건강검진 수검자 6,731명 중 중증도 이상의 알코올 섭취를 하는 경우와 간염 및 심한 간기능 이상 등을 제외한 3,4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 3,430명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받은 경우는 1,775명(51.7%)이었고, 지방간 이 관찰되지 않은 경우는 1,655명(48.3%)이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받은 군은 대조군보다 연령, 체질량 지수, 혈중 중성지방, 공복혈당, 요산 등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혈중 요산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요산 농도에 따라 4군으로 범주화 하였을 때에도 혈중 요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유병 위험도도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연령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 공복혈당, 수축기 혈압,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ALT 으로 보정한 후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혈중 요산이 1 mg/dL 증가할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유병 위험도는 1.11배 높아졌다. 결론: 혈중 요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유병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정도가 심할수록 혈중 요산 농도가 증가하였다. Background: As the metabolic syndrome is increased, the preval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increased. In recent studies, metabolic syndrome is related to serum uric acid. And some authors reported the association of uric acid and NAFLD. We have studied the association of serum uric acid and NAFLD. Methods: The authors conducted a cross-sectional survey of 3,430 subjects out of 6,731 individuals who had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the National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for the purpose of a regular check-up from January 2005 to April 2008. We excluded who showed evidence of more than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hepatitis B or C, or severe hepatic dysfunction. Results: Among 3,430 participants, 1,775 subjects (51.7%) were diagnosed with NAFLD and 1,655 subjects (48.3%) were control. Age, BMI, triglyceride, fasting glucose, uric acid were greater in the patients with NAFLD than in the controls. The severity of NAFLD is related to uric acid. When uric acid is divided in 4 groups, elevation of uric acid is associated with risk for NAFLD. This relationship is showed in similar pattern when adjusting for age, sex, BMI, triglyceride, fasting glucose. The uric acid elevation of 1mg/dL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1.11 fold in risk for NAFLD. Conclusion: The risk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related to uric acid. And the severity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associated with uric acid.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 남성에서 보정한 QT 간격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연관성

        유주연,권유진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3

        Background: Recently, the incid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has been growing rapidly. Corrected QT (QTc) interval prolongation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this study, our aim was to establish whether NAFLD diagnosed using ultrasonography is associated with QTc intervals in Korean adult men. Methods: We recruited 1,155 Korean adult men who visited the Gangnam Severance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between October 2007 and July 2010. The participants underwent liver ultrasonography according to a standardized protocol, which confirmed the diagnosis of NAFLD. Standard electrocardiography was performed for analysis of the QTc interval. Results: The 1,155 participants had a mean QTc interval of 430.7±21.2 ms. Of them, 366 had a QTc interval ≥440 ms. The values of the QTc interval increased in relation to the severity of NAFLD.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ers, QT interval prolong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AFLD in the severe NAFLD group. The odds ratios were 2.102 (95% confidence interval [CI] 1.536?2.877) (model 1), 1.986 (95% CI 1.399?2.819) (model 2), and 1.960 (95% CI 1.347?2.851) (model 3). Conclusion: QTc interval prolong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AFLD severity in Korean adult men.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NAFLD, QTc intervals were prolonged. QTc interval length is easily determined and may contribute to cardiovascular risk stratification in male patients with NAFLD. 연구배경: 최근 국내에서 비만과 관련된 대사 질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의유병률은 16%–33%로나타났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간과 관련된 사망률과 이환율뿐만 아니라 심혈관계와 관련된 질병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QTc 간격 연장은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성 증가 및 심인성 급사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최근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QTc 간격 연장과의 관련성에 관한연구들이 나오고 있지만, 건강한 성인에서의 비알코올성 지방간과QTc 간격 연장과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검진센터를 내원한 한국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초음파를 통해 진단된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QTc 간격 연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7월까지건강증진센터에내원하여검진을 받은 한국 성인 남자 1,155명을 분석하였다. 간초음파를 통해지방간을 진단하였으며, QTc 간격은 표준 12 유도 심전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 1,155명의 QTc 간격의 평균±표준편차는430.7±21.2 ms였으며 QTc 간격이 연장된 사람의 수는 총 366명이었다.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QTc 간격 연장의 교차비를 분석한 결과 model 1에서 2.102 (1.536–2.877), model 2에서1.986 (95% CI 1.399–2.819), model 3에서 1.960 (95% CI 1.347–2.851)로QTc 간격 연장의 위험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한국 성인 남성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QTc 간격 연장과는유의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정도에따라 QTc 간격도 연장되는 경향을 보인다. QTc 간격은 심전도를 통해 쉽게 측정되고 평가될 수 있으므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환자에서의 심혈관계 위험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위험 인자로서 인슐린 저항성의 임상적 의의

        김준형,이창우,서정일,이재욱,백승덕,이동욱,양창헌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5 東國醫學 Vol.12 No.2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고인슐린혈증과 인슐린 저항성이 대사증후군에서 뿐만 아니라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위험인자로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인슐린 저항성 사이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004년 3월부터 6월까지 본원 건강검진 센터를 내원한 사람들 중에서 1) B형간염, C형간염의 혈청학적 검사상 음성이고, 2) 음주량이 일주일에 20g 이하이고, 3) 연구시작을 기점으로 지난 3개월간 간독성약물을 복용한 기왕력이 없으며, 4) 초음파상 지방간으로 진단된 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로는 HOMA법을 이용하였다. 한사람의 숙련된 방사선과 전문의가 초음파상 지방간을 진단하였고,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대조군으로 그룹을 나누어 임상적 특징과 생화학 검사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 69명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 분율은 24.4%이었다(male 43.2.%, female 8.9%).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비차비는 인슐린 저항성군에서 5.39배, 복부 비만군에서 5.37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단면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인슐린 저항성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의 하나임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인슐린 저항성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사이의 연관성에 대하여 앞으로 좀 더 많은 연구 결과들이 모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 studies have pointed to hyperinsulinemia and insulin resistance as pathogenic factor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s well as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AFLD and insulin resistance. We examined 69 korean adults participating in medical check—up in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yeong—Ju hospital. Characteristic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clude all of the below 1) Hepatitis B and C serologies were negative, 2) no known history which had taken hepatotoxic drugs for at least three months before enrollment, 3) average weekly alcohol consumption was less than 20 g, and 4) fatty liver by abdominal ultrasound. A standard interview, physical examination and biochemical study were conducted. An experienced radiologist carried out ultrasound liver studies. We assesse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 was used as an index of insulin resistance. We divided all of the examinees into two groups (NAFLD, contr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n we compared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data of the NAFLD group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prevalence of the NAFLD was 24.4% (male 43.2, female 8.9%). The relative risk of NAFLD was 5.39 fold higher in the insulin resistant group and was 5.37 fold higher in the central obesity group. Although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study, we can show that insulin resistanc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in NAFLD. More prolonged data should be gained to refine the correlations of insulin resistance to NAFLD.

      • KCI등재

        남성 건강검진 수진자들에서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정의경(Eui-kyeong Jeong),강영한(Yeong-han Kang),박재용(Jae-yo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6

        최근 성인 남성에서 비만 인구가 늘어나며, 심혈관질환을 야기하는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고, 증상이 없지만 지방간으로 진단되는 환자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799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평소 음주량을 조사하였고,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지방간 유무를 확인 한 결과 297명은 정상군이었고, 206명은 알코올성 지방간, 296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었다. IDF(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기준을 적용한 대사증후군과 구성요소들을 독립변수로, AFLD(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및 NAFLD(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을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상군과 AFLD 또는 NAFLD에서 대사증후군의 분포는 각각 7.4%, 48.8%, 34.9%이었고,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 비만은 AFLD 또는 NAFLD의 위험인자였고, AFLD에선 고중성지방과 복부비만이, NAFLD에서는 복부비만이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FLD군의 경우 대사증후군과 비만, 저HDL-콜레스테롤의 이상범위에서 지방간 중증의 교차비가 높았고, NAFLD군에서는 대사증후군과 고중성지방군의 이상범위에서 지방간 중증의 교차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AFLD 및 NAFLD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각각의 기준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고, 지방간 관리를 위해 꾸준하고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f the associations of Alcoholic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AFLD & NAFLD) with metabolic syndrome(MS) defined by IDF criteria.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of 799 adult males with alcohol consumption underwent laboratory investigation(control 297, alcoholic 206, nonalcoholic 296). The ultrasound scan of the liver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the severity of FLD.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AFLD & NAFLD and M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metabolic syndrome was 7.4%, 48.8%, 34.9% in control, AFLD & NAFLD. The association of blood pressure, glucose, triglycerides, obesity were risk factor in AFLD & NAFL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FLD, AFL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MS, Obesity, low HDL-cholesterol. MS, High triglyceride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NAFLD(p<0.05). The prevalence of AFLD & NAFLD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features of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shows that AFLD & NAFLD was closely associated with MS and its components. The patients of AFLD & NAFLD should managed and monitored to prevent metabolic abnormalities.

      • KCI등재

        건강한 성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과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의 관련성

        최윤형,오정은,이진,신황식,조용진,김선희,조현,유병욱,홍성호,조주연,손두용,신경숙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1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high sensitivity C-reactiveprotein (hs-CRP), a predictor of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NAFLD and hs-CRP in healthy adults. Methods: Among 13,709 participants aged 20 years and over who underwent a health check-up between March 2016 and February 2017 at a healthpromotion center, we studied 849 participants without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or serum hs-CRP level >5.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ertiles of serum hs-CRP levels. Result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mean level of serum hs-CRP was higher in the NAFLD group (0.60 and 1.11 mg/L, respectively, P-value<0.001).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ith NAFL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rtiles was 5.8%, 22.7%, and 42.9%, respectively (P-value<0.001). When compared with the lowest tertile group, the adjusted odds ratios for NAFLD in the middle and highest tertile groups were 2.557 (95%confidence interval [CI], 1.317–4.965) and 2.771 (95% CI, 1.420–5.408), respectively. Conclusion: We found that NAFLD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rum hs-CRP in healthy adults. This result was still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sex,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fasting blood glucos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and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s. 연구배경: 최근 연구들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보고되고 있으며 심혈관 질환 위험 예측 인자 중 하나인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hs-CRP)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들도 다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아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과 hs-CRP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수검자 중 심혈관 질환, 바이러스 간염, 당뇨 등의 기저질환 및 알코올 남용력이 없고 혈청 hsCRP 수치가 5 mg/L를 초과한 사람을 제외한 총 84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유무에 따른 평균 혈청 hs-CRP수치를 구하고 연구 대상자를 혈청 hs-CRP 수치의 백분율 분포에 따라 삼분위로 구분한 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교차비를 구했다. 결과: 정상군에 비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군에서 평균 혈청 hsCRP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hs-CRP 수치가 낮은 군에 비해높은 군, 특히 가장 높은 제3분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비율이 높았다. 혈청 hs-CRP 수치의 제1분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제2분위, 제3분위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교차비는 각각 4.787(95% confidence interval [CI], 2.661–8.612), 12.275 (95% CI, 6.935–21.727)이었으며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공복혈당, 혈압,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교란변수를 보정한 후 교차비는 각각 2.557 (95% CI, 1.317–4.965), 2.771 (95% CI, 1.420–5.408)이었다. 결론: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hs-CRP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이는교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이창우,이재욱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5 東國醫學 Vol.12 No.1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란 음주 경력이 없는 환자에서 알코올성 간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ALD)과 유사한 지방축적(특히 중성지방), 염증, 간세포의 풍선양변성(balloning degeneration), Mallory소체(Mallory bodies) 및 간섬유화등의 다양한 조직학적 소견을 보이는 질환이다. 과거에는 여러 가지 이름, 즉 pseudoalcoholic liver disease, alcoholic-like hepatitis,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등으로 불리어졌으나 최근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AFLD)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 알코올과 연관성이 없이 당뇨병, 과체중과 비만인구의 증가로 인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또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료를 하지 않으면 일부에서 간경변증으로 진행이 가능하고, 또한 간암까지 합병될 수 있다는 개념이 정립되면서 이에 관심이 많아진 상태이다. The NAFLD has state that accumulation of fat (especially triglyceride) in hepatocyte above 5% of its weight. This is a clinically common disease but incidentally found, because it is asymptomatic.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as a similar histologic pattern with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such as inflammation, balloon degeneration, mallory bodies and fibrosis of hepatocyte. Recently, alcohol, type Ⅱ DM, and overweight population with no correlation with alcohol is increasing, and mostly NAFLD is known to recover. However, it is a concern that untreated NAFLD may develope to liver cirrhosis, and eventually hepatocellular carcinoma. NAFLD is a broad word from simple steatosis to NASH associated with hepatic fibrosis and liver cirrhosis. The term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was first used by Ludwig (1980) that has no relation to alcohol and it has a similar pattern to pathologic features by alcohol in the liver. At present, NAFLD has clinical importance, presumption of the fact that adult population is affected with a disease by high prevalence rate, no alternative diagnostic procedure, no known nature history, no effective therapeutic agents, although insuin resistance is thought as common cause. These subjects must be solved and additional therapeutic procedure are expected by constructive and various approach.

      • KCI등재

        비알코올성 지방간 소견을 보이는 성인에 대한 간 기능 및 hs-CRP 혈액 검사 항목 평가

        박정미,서영현,송종남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7

        As a test for diagnosing fatty liver, recently, ultrasound and blood exam are being performed simultaneous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n blood exam, it is used as an index indicating the level of inflammation in various parts of the body as well as cardiovascular diseases.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liver function,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vels according to the degre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and use it as a clinical indicator for fatty liver diagnosis.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liver function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blood test values analyzed from 1,139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f age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in abdominal ultrasonography from March 2021 to August 2021 at the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Gwangju-Jeonnam Branch. Analyzed for all men and women, the blood test values for subjects with mild fatty liver were AST 30 U/L, ALT 32.1 U/L, γ-GTP 41.2 IU/L, and hs-CRP 0.14 mg/dL. These values were lower than the blood test values of subjects with moderate fatty liver (AST 38 U/L, ALT 47.6 U/L, γ-GTP 54.9 IU/L, hs-CRP 0.22 mg/dL)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n this case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tes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ing higher values in Subjects with moderate fatty liver than Subjects with mild fatty liver. thus, it is considered that hs-CRP can be used as clinical data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fatty liver. 지방간 진단을 위한 검사로, 최근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를 동시에 병행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혈액검사 중 hs-CRP의 경우, 심혈관 질환 뿐 아닌,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대한 염증 수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비알콜성 지방간 정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와 간 기능 및 hs-CRP수치 등의 연관성을 분석해 지방간 진단 임상 지표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1년 3월~2021년 8월 한국 건강관리 협회 광주 전남지부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비알콜 지방간이 관찰된 환자 중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간 기능 및 hs-CRP 검사를 모두 실시한 만 20세 이상, 남녀 총 1,139명의 피검사 수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 경도 지방간 환자의 간 검사 수치가 AST 30 U/L, ALT 32.1 U/L hs-CRP 0.14 mg/dL로 중등도 지방간 환자의 혈액 검사 수치 AST 38 U/L, ALT 47.6 U/L, 54.9 IU/L, hs-CRP 0.22 mg/dL보다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01). hs-CRP 검사의 경우 경도 지방간 환자보다 중등도 지방간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큼 높은 수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hs-CRP 검사가 지방간 예방과 관리를 위한 임상적 데이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춘계학술대회 : 포스터발표 ; 한국 남성 비알코올성 지방간에서 지방간 정도에 따른 혈청 adipokines 농도변화와 Adipokines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인자

        오세용,조용균,유태우,박정호,김홍주,박동일,손정일,전우규,김병익,이원영,오기원 대한간학회 2005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1 No.3(S)

        배경/목적: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단순 지방간 및 지방간염 등의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위험요인으로는 당뇨병이나 인슐린 저항성,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단백혈증 같은 대사성 증후군이 알려져 있다. 지방세포에서 주로 분비되는 adipokine인 leptin, resistin, adiponectin은 인슐린 저항성 또는 인슐린 감수성, 비만과의 관련성이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에서 지방간 정도에 따른 혈청 adipok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