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방열 절약이벤트 효과 분석의 불확도 평가

        이성희,문승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4

        The importance of uncertainty analysis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energy and greenhouse gas has recently increased. The methodology of uncertainty analysis proposed by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presents detailed information on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batement in energy and greenhouse gas and analyzing some uncertainty factors which are caused from the assessment. This paper suggests results from the uncertainty analysis, which are based on the results of verification analysis for saving event effects on heating conducted by KDHC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in 2011. This paper also evaluates data processing for calculation of energy savings and modeling process for correcting exogeneous factors and presents the results of the uncertainty factors during the modeling process. In conclusion, uncertainty of heating savings from households participated in the event was calculated at ±18.57%. By combining this figure with ±2.61%, uncertainty of a model to considerate the correction of annual heating fluctuations, an overall uncertainty of energy savings was calculated at ±18.75%. 최근 에너지․온실가스에 대한 성과평가에서 불확도 분석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경영시스템에서 제시하고 있는 불확도 분석 방법론은 에너지 및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불확도 요인에 대해 분석하도록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2011년도에 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던 난방열의 절약 이벤트 효과에 대한 성과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불확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제시한다. 에너지절감량 산정을 하기 위한 데이터처리, 외생요인에 대한 보정을 위한 모델링 과정을 평가하고 모델링 과정의 불확도 요인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이 결과 이벤트에 참여한 세대의 난방열 절감량에 대한 불확도는 ±18.57%로 산출되었다. 여기에 연간 난방열의 변동에 대한 보정을 고려하기 위한 모형의 불확도 ±2.61%를 조합하여 최종 에너지절감량에 대한 전체 불확도는 ±18.75%로 산출되었다.

      • SPME-GC-MS에 의한 공기 중 유기산 악취측정법 개발

        허귀석,유연미,신상만,이진홍 한국냄새환경학회 2004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3 No.2

        New analytical method for organic acid analysis in air was developed using SPME and capillary column GC. This method was simpler in sample treatment than the conventional known method, which use alkali bead, and gave higher resolution in GC separation than the known method which use packed column in GC analysis. The analytical method gave good linearity in calibration range of low ppb(nmol/mol) level, and good reproducibility of 20 %. Minimum detection limit of the method could reach to 0.2 ppb when 100 L of air was sampled. Uncertainty parameters related to analytical uncertainty were evaluated for all of the measurement process. The new method could be verified from the uncertainty evaluation, which showed 20% of relative expanded uncertainty in organic acid analysis using this SPME method. Major uncertainty factors were uncertainty related to preparation of second standard solution. Since new Korean raw of odor prevention will be enacted in 2005, this method can be used as a practical method for the trace analysis of organic acid in air. 본 연구에서는 공기 중의 유기산 악취성분을 SPME-GC-MS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측정방법의 알카리 비드 농축과 충전형 칼럼을 사용하는 분석법에 비하여 이 방법은 시료 전처리가 간단하고 모세관 칼럼을 사용할 수 있어 고분해능의 GC 분석이 가능하였다. 분석 직선성은 ppb(nmol/mol) 저농도에서 양호 하였으며, 분석재현성은 10 % 이었다. 100L 공시시료 채취시 최소 검출한계는 0.2 ppb 까지 가능 하였다. 이 분석방법에 대한 불확도 요인을 측정과정 단계별로 평가하여 분석법의 불확도를 평가함으로서 분석방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SPME 법에 의해 유기산 측정불확도 평가결과 20 %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불확도 요인은 중간농도 표준용액 제조에서의 불확도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의 경우 2005년부터 악취방지법이 시행될 예정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공기 중의 미량 유기산 악취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감마분광분석을 이용한 환경 중 방사성요오드(<sup>131</sup>I)의 측정 불확도에 관한 사례 연구

        조윤해(Yoon Hae Cho),설빛나(Bitna Seol),민경옥(Kyoung Ok Min),김완석(Wan Suk Kim),이준배(Jun Bae Lee),이수형(Soo Hyung Lee) 大韓環境工學會 2016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8 No.1

        환경에 존재하는 인공방사성핵종 중 방사성요오드(131I)는 주로 갑상선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며 환자의 배출과정을 통해 체외로 방출된다. 붕괴가 채 끝나지 않은 131I는 환경으로 방출되어 공공수역에서 검출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수역에서 검출된 131I 방사능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불확도 중 계측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도에 대하여 금강수계의 실제 사례를 조사하였다. 시료는 금강권역 삽교천 수계의 하천수 및 그 상류의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료량에 따른 불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지점의 시료를 1, 10, 20 L로 채수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시료량에 따라 전처리를 거친 후 1 L 마리넬리 비커에 충전하여 HPGe (High Purity Germanium) 감마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10,000초 단위로 계측·분석하여 계측시간 및 방사능에 따른 측정불확도를 비교하였다. 각 지점의 방사능 농도는 0.03~1.8 Bq/L로, 채취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1I의 방사능 농도가 0.3 Bq/L 수준인 경우 시료량이 1 L이면 약 80,000초 계측 시까지핵종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나, 같은 조건에서 시료량을 증가시켜 계측한 경우 10,000초 이상의 계측시간부터 불확도 10%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1I의 짧은 반감기를 고려하여 즉시 계측이 가능한 1 L 생시료계측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불확도 수준과 전처리 및 계측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였을 때, 10 L 시료의 계측을 통해 높은 신뢰도의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되었다. The radioactive iodine (131I) presents in the environment through the excrete process of nuclear medicine patients. In the detecting of low level of 131I in the public water, the counting uncertainty has an effect on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detecting 131I radioactivity concentration. In this study, the contribution of sample amount, radioactivity concentration and counting time to the uncertainty was investigated in the case of public water sample. Sampling points are public water and the effluents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t Sapkyocheon stream, Geumgang river. In each point, 1, 10 and 20 L of liquid samples were collected and prepared by evaporation method. The HPGe (High Purity Germanium) detector was used to detect and analyze emitted gamma-ray from samples. Th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of 131I were in the range of 0.03 to 1.8 Bq/L. The comparison of the counting uncertainty of the sample amount, 1 L sample is unable to verify the existence of the 131I under 0.5 Bq/L radioactivity concentration. Considering the short half-life of 131I (8.03 days), a method for measuring 1 L sample was used. However comparing the detecting and preparing time of 1, 10 L respectively, detecting 10 L sample would be an appropriate method to distinguish 131I concentration in the public water.

      • KCI등재
      • KCI등재

        측정 불확도 표현 지침서(GUM)와 Monte-Carlo Simulation에 의한 불확도 전파 결과의 비교 연구

        서정기,민형식,박민수,우진춘,김종상,Jungkee Shu,Hyungsik Min,Minsu Park,Jin-Chun Woo,Jongsang Kim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1

        측정 및 화학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한 점 교정식에 대하여 측정 불확도 표기 지침서(GUM)의 근사법과 Monte-Carlo Simulation에 의해 계산된 각각의 확장불확도를 비교하였다. 이 비교를 위하여 임의의 자료들을 여러 농도 수준에서 정규 분포 또는 t-분포로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나눗셈에 의한 한 점 교정식의 비선형성과 t-분포 형식을 함에 따른 입력량의 과도한 퍼짐으로 인하여, 경우에 따라서, GUM의 근사법으로 계산된 불확도가 Monte-Carlo Simulation에 의해 계산된 것보다 약 50% 이상의 오류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검출 하한을 계산하기 위하여 한 점 교정식을 이용하는 경우, 반응량의 표준불확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고 비선형성에 희한 계산 오류가 상대적으로 무시되므로 근사식에 따른 계산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 The expanded uncertainties calculated by the application of GUM -approximation and Monte-Carlo simulation were compared about the model equation of one-point calibration which is widely used for the measurements and chemical analysis. For the comparisons, we assumed a set of artificial data at the various level of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of t or normal distribution. Mistakes of more then 50 % was revealed at the values calculated by GUM-approximatio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Monte-Carlo simulation because of the excess dispersion from t-distribution and non-linearity by division in the equation. In contrary, the mistake of calculation due to non-linearity of the equ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level of detection limits with the equation of one-point calibration, because of the relatively large values of uncertainty in response.

      • KCI등재
      • 풍력자원평가를 위한 라이다 관측 시 풍속연직분포 불확도 분석

        김현구(Kim, Hyun-Goo),최지휘(Choi, Ji-Hwee),장문석(Jang, Moon-Seok),전완호(Jeon, Wan-H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원격탐사(remote sensing)란 관측 대상과의 접촉 없이 멀리서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기상관측분야에는 이미 소다(SODAR) 장비가 폭넓게 사용되거 왔으나 최근 풍력자원평가(wind resource assessment)를 위한 풍황측정에 SODAR와 더불어 라이다(LIDAR)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참고로 SODAR(SOnic Detection And Ranging)는 수직 및 동서 남북 방향으로 음파를 발생시키고 대기유동에 의해 산란 반사된 에코를 수신하여 진동수 변화와 반사에코 강도를 측정하여 각 방향의 에코자료를 벡터 합성함으로써 풍향 및 풍속을 산출하는 원리이다. 반면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비교적 최근에 풍황측정 용도로 개발된 레이저 탐지에 바탕을 둔 원거리 센서로, 공기입자(먼지, 수증기, 구름, 안개, 오염물질 등)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 발산의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를 이용하여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원격탐사 장비이다. 풍력자원평가 측면에서 라이다는 그 정확도가 IEC61400-12에 의거한 풍황탑(met-mast) 측정자료 다수와의 비교검증 실측평가(Albers et al., 2009)를 통하여 입증된 바 있다. 한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운용 중인 라이다 시스템은 그림 1의 우측 그림과 같이 1초에 360?를 스캔하여 50지점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스펙트럼으로 측정하되 설정된 관측높이에서 풍속은 샘플링 부피(sampling volume)의 평균값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샘플링 부피는 설정된 관측높이로부터 상하 12.5m, 총 25m의 높이구간에서 관측한 스펙트럼의 평균값을 그 중앙지점에서의 풍속으로 환산하는 알고리듬(algorithm)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풍속연직분포 관측 시 풍속환산 알고리듬에 의한 측정오차가 개입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에 의한 풍속연직분포 측정 시 샘플링 부피의 구간 평균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도(uncertainty)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라이다에 의한 풍속연직분포 관측의 불확도를 정량평가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