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항기 부산항의 조선인과 일본인의 관계 형성

        차철욱 ( Cha Chul-wook ),양흥숙 ( Yang Heung-so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6

        본 연구는 개항기 부산항을 다양한 문화가 충돌하고 타협하는 ‘섞임(entanglement)의 공간’으로 이해하려는 데서 출발하였다. 개항장은 기존의 연구에서 정리한 지배-피지배, 수탈-피수탈의 논리적 구조와 함께 제국주의 세력과 토착세력 사이의 섞임도 존재하는 공간이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개항장 부산의 공간 변화에 주목하였다. 개항전 초량 왜관이라는 고립되고 폐쇄적인 전근대시설이 존재했던 부산항은 개항과 함께 전관거류지가 설치되었다. 통제의 상징인 담장과 대문이 철폐되었다. 일본인만의 배타적인 공간이 아니라 조선인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섞임의 공간으로 변하였다. 개항장에서 일본인과 조선인의 섞임을 상거래 방식에서 확인하였다. 개항기 거래방식은 화폐나 물건을 먼저 건네고 반대급부를 나중에 받는 선대제 형식의 외상거래였다. 이러한 방식은 상호 신용거래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왜관이 있던 시기부터 유지되어 온 전통적인 요소였다. 개항장 내 섞임은 문화 분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거류지 내 일본인학교에서 조선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조선인 교사가 채용되고, 조선의 고전소설이 교재로 사용되었다. 한편 일본인 학교에 조선인의 입학도 허용되었다. 문화 분야의 섞임은 부산에서 생활하던 일본인의 조선인에 대한인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부산의 대표적인 일본인 부자였던 하자마 후사타로[迫間房太郞]는 식민자 일본인과 다름없는 수탈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부산에서 함께 살아가는 조선인과의 신뢰를 강조하기도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trying to understand during the opening of the Port of Busan as a ‘Space of Entanglement' that diverse cultures clash and compromise. The open port was a space where the logical structures of dominant-dominated class and exploiting-exploited class, which were organized in the existing studies, as well as the entanglement between the imperialist power and indigenous power existed. First of all, we focused on the spatial variance of the open port, Busan, in order to analyze this. Before the opening, there was the isolated and exclusive pre-modern facility named Choryang Waegwan(草梁倭館) at the Port of Busan. However, the exclusive concession was established when the Port of Busan opened. The fences and gate, the symbol of control, were removed. The Port of Busan changed from the exclusive space just for Japanese to the Space of Entanglement where Korean had free access to. The entanglemen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t the open port was confirmed by the method of business transactions. The transaction method during the opening was the putting-out system of credit transaction to hand over money or commercial products first and to receive the counter performance later. This method was based on mutual credit transactions, and the traditional element that had been preserved from the days when Waegwan existed. The entanglement inside the open port can be confirmed in cultural aspects. Korean language was taught in the Japanese school on the concession. At the school, Korean teacher was employed and the Korean classic novel was used as the teaching material. On the other hand, Korean students were also admitted to the Japanese school. The entanglement in cultural aspects can be confirmed in the awareness of Korean by Japanese who lived in Busan. Hazama Husataro[迫間房太郞], a representative Japanese capitalist of Busan, pursued an exploitation just as other Japanese colonists. However, he emphasized trust with the Korean who lived together in Busan.

      • KCI등재

        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송정숙 한국기록관리학회 2011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1 No.1

        The Treaty of Friendship,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tc. began signing procedures from Feb. 1876. Thus, Busan port became an open port to foreign vessels in 1876. This has resulted in Busan port becoming the greatest port in Korea. This study explored records which were made by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on the opening and development of Busan 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According to making treaties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foreign countries, Chosun dynasty gradually opened a door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Various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in and around Busan port by Chosun and Japan. For example, maritime customs, a court of justice, police station by the Chosun side, a Japanese consulate, the Board of Trade for Japan etc by the Japan side. Records made by or related to these institutions and on the development of the Busan port during the open-port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preserv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Busan Metropolitan Simin Municipal Library. 이 연구에서는 부산항이 개항장으로 거듭나면서 조선과 일본을 비롯한 국가 간에 체결한 조약과 조선과 일본이 부산항에 설치한 기관과 그 기관이 생산했거나 관련된 기록들, 그리고 부산항의 개발과정에서 생산하거나 관련된 기록들을 살펴봄으로써 개항기와 식민지 시기 부산항을 중심으로 부산에 관한 로컬리티를 재현하는 데 필요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일본은 조선과 조약을 체결해 가면서 부산항을 중심으로 일본인의 활동범위를 확대하고 초량왜관을 전관거류지로 함에 따라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일본영사관, 상업회의소 등을, 조선은 동래감리서, 개항장재판소 등을 설치하였다. 부산항의 개발과 관련해서는 조선총독부 관보 등에 당시 상황들이 잘 나타나 있으나, 관련 기록이 규장각과 국사편찬위원회와 부산시민도서관에도 상당량이 소장되어 있었다. 개항 이후 부산항의 개발과 변모에 관련된 기록들을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망라적으로 수집하여 생산기관별 기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KCI등재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의 근대식 등대에 관한 연구

        안웅희(Woong-Hee Ahn)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5

        부산은 18세기말 서양에게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후 19세기말 조선이 강화도 조약을 시작으로 국제 열강들에게 개항되었을 때에도 중요한 국제적인 개항장이었다. 국제 선박들의 왕래가 늘면서 부산항의 항만시설과 등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등대의 설치와 관리는 부산해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개항기 해관의 작업들은 봉건사회에서 근대국가로 변천하는 조선의 역사적 기원이 된다. 이처럼 소중한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개항기 해관문서들이 상당부분 소실되어 정확한 역사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조선의 내부문서와 외교문서 그리고 국내외 언론들에 의해 작성된 기록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 출간된 자료들과 수집된 고지도들을 바탕으로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에 설치된 근대식 등대를 확인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 근대사의 올바른 정립에 객관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usan was known firstly to the western world in the end of 18th century. When the Joseon opened a port under the western powers in the late 19th century, Busan was an important port.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hip exchange had magnified the harbor facility and the importance of lighthouses of Busan port. Busan maritime customs officer were in charge of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lighthouses. The operations of maritime customs became historical origin of Joseon changing from feudal society to modern nation. The majority of the documents from maritime customs was disappeared. So it was hard to know the exact history. But investigating documents and papers of Joseon, even media records will enable us to establish the objective fact relations. Moreover, published and translated data from the past make it possible such investigations. As a result, modern lighthouse of Busan harbor in the late Joseon after opening port was could be found. It could be offered to establishing the Korean modern history as the objective data.

      • KCI등재

        경남 개항도시 해양 산업유산의 계승과 관광자원활성화 방안

        문혜진,양민호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구한말 1876년 부산이 개항한 이래 인천, 목포, 마산, 군산 등 개항장을 중심으로 일본 어민들이 이주하면서 자유이주어촌이 형성되었다. 한일병합 직후 경남은 전국의 이주어촌 인구 가운데 72.92%의 비중을 차지하며 남한 최대의 이주어촌 지대를 형성하였다. 이들 경남의 개항지를 중심으로 동해안과 남해안 일대에 근대 수산업시설들이 해안가를 중심으로 들어서며 해양 산업이 발달하였다. 경남의 개항장인 부산과 마산은 구도심을 중심으로 수산 산업시설이 발달하였으나, 현재 인천・목포・군산에 비해 해양 산업유산에 대한 조사와 보존이 미비한 실정이다. 부산 원도심, 즉 북항과 남항의 수산업 근대유산은 50개, 영도 해안 지역의 해양 산업유산은 조선소를 중심으로 25개가 남아있다. 마산 원도심의 항구에는 해양 산업유산이 15개 남아있으며, 이 중 근대 수산업 관련 유산은 조선인 수산 자본의 상징인 마산어시장과 객주창고가 있다. 특히 개항장 부산과 마산의 산업유산의 경우 어시장 인근에 위치하며, 부산의 자갈치 건어물시장의 경우 근대건조물이 실질적으로 지역민의 상업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개항장 부산과 마산의 원도심 해안 지역은 수산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이들 원도심의 성공적 지역재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해양 산업유산이 집적된 지역적 특성을 살려 관광활성화 방안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부산과 마산의 원도심 내 해양 산업유산을 기존의 보고서 및 현지조사를 통해 일차적으로 목록화하고자 한다. 그리고나서 요코하마의 해양 산업유산 활용사례를 참조하여 조사된 1차 목록을 활용하여 지역의 역사와 주민의 삶과 연계된 관광활성화 방안을 고안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개항장의 지역사와 주민들의 생업활동과 연계된 해양 산업유산을 활용한 관광활성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기존의 외양적 복원에 치우친 지역사와 탈맥락화를 야기하는 도시재생의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Since Busan opened its port in 1876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Japanese fishermen have moved to Incheon, Mokpo, Masan, and Gunsan, forming a free migration fishing village. Immediately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Gyeongnam province accounted for 72.92% of the population of migrant fishing villages nationwide, which formed South Korea's largest migrant fishing village; As a result, modern fisheries and industrial facilities began to be built around the coast, centering on these opening ports in Gyeongsangnam-do. However, compared to Incheon, Mokpo and Gunsan, the investigation and preservation of marine industrial heritage are currently insufficient. There are 50 modern heritage of the fisheries industry in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 that is, the north and south ports, and 25 marine industrial heritages including mainly shipyards in the coastal area of Yeongdo. There are 15 marine industrial heritages in the port of Masan’s original city center, of which the modern fishery-related heritages include Masan Fish Market, a symbol of Korean fishery capital, and a guest warehouse. In the coastal areas of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 and Masan, the fisheries industry has developed, and in order to derive successful regional regeneration of these old cities, it is necessary to devise ways to revitalize tourism by utili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here marine industrial heritage is accumulated. In particular, industrial heritage sites in Busan and Masan are located near the fish market, and in the case of Jagalchi dry fish market in Busan, modern buildings are being used as commercial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ist the marine industrial heritage in the original city centers of Busan and Masan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field surveys and to devise a plan to revitalize tourism by referring to Yokohama's industrial heritage use cases.

      • KCI등재

        개항기 해항도시 부산의 絶影島鎭 설치와 운영

        金康植(Kim, Kang-Sik)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0 No.-

        조선시대에 東萊府에 속한 가장 큰 섬이었던 절영도가 개항기에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시대에 釜山은 유일한 海港都市였지만, 개항을 전후하여 제국주의 세력이 들어오면서 본격적인 교류가 나타났다. 조선시대까지 絶影島에는 牧馬場, 神祠, 漁場, 假倭館이 있었다. 특히 절영도는 設鎭이전에 국가의 주요 목마장으로 사용됐지만, 조선후기에 외국 선박이 출현하면서 부산항의 咽喉라는 지리적인 요인 때문에 군사적으로 중시하자는 논의가 일어났다. 개항기에 부산에는 일본인의 거주가 증가하였으며, 일본은 기존의 초량왜관을 중심으로 전관거류지를 설정하였다. 일본은 절영도에 불법적으로 病幕을 설치하였으며, 貯炭所를 설치하여 사용했다. 청나라와 영국도 부산에 영사관을 설치하였으며, 러시아도 절영도에 저탄소 설치를 청원하였다. 이러한 외세에 대비하고 개항장을 지키기 위한 국방상의 필요 때문에 1881년 절영도 中里에 水軍僉使의 鎭을 설치하면서 부산의 包伊, 開雲, 西平3개 鎭을 혁파하였다. 절영도진은 設鎭 후 獨鎭으로 기능하였으며, 1895년 군제개혁으로 폐지되었다. 절영도진은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였으므로 운영에 반영되었다. 절영도진의 첨사는 15년 동안 13명이 재임했는데, 첨사직은 영전해 가는 중요 자리였다. 절영도진의 첨사는 좌수사의 관할 아래 있었지만, 감리서의 영향을 벗어날 수 없었다. 절영도진에 소속된 군사는 440명이었으며, 전선에 속한 元防軍은 3,618명이었다. 절영도진의 戰船은 2척이었는데, 각각 兵船1척과 伺候船2척이 배속되었다. 절영도진의 운영 수입을 錢으로 환산하면 전체 11,326냥이었지만, 上納分을 제외하면 집행 가능한 실제 수입은 7,522냥이었다. 절영도진의 지출은 ?況 3,852냥, 砲米367냥 등이었다. 개항으로 부산이 해항도시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절영도진은 외세 방어를 위해서 설치되었다. 이에 절영도는 기존의 牧馬場에서 군사 防禦鎭으로 변하여 기능을 하였지만, 廢鎭이후에는 외세의 租借地가 되고 말았다. Busan was the only city that had taken shape as a seaport town in the Chosun Dynasty period. Various imperialist countries entering the port of Busan, there appeared the international exchange in earnest. Accordingly the defense problem against foreign power came to the fore, and Jeolyoungdo-Jin was built in Jeolyoungdo, Busan. Jeolyoungdo, which included horse farms(牧馬場), shrines(神祠), and temporary Waegwan(假倭館), was the largest island in Dongnae-Bu(東萊府). Especially, it was famous for its horse farms to such an extant as to have been used as the major national horse farms. Around the period the opening of the ports, there occurred the argument that Jeolyoungdo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ly in military aspects, because of its geographical position as the entrance to Busan and the frequent appearance of foreign ships. Since the number of Japanese who inhabited in Busan was rising, Japan constructed and the managed coaling stations(貯炭所) and the detention hospitals(病幕). And later, Russia also required the installation of the former. Accordingly the Chosun Dynasty set up the fortress of the naval officer(水軍僉使) in Jung-ri(中里), Jeolyoungdo in 1881. And three fortresses of Busan, Poi(包伊), Gaeun(開雲), and Seopyoung(西平), were merged into Jeolyoungdo-Jin. Jeolyoungdo-Jin functioned as an independent fortress in its beginning, but it was abolished in 1895. Because it underwent many changes such as its attaching to Dadae-Jin(多大鎭). 18 officers served as the naval officer in Jeolyoungdo-Jin, which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position to get a promotion. There remained 4 commemorative monuments for them in Jeolyoungdo. As for the military scale, 440 soldiers and 28 military officers including the naval officer belonged directly to Jeolyoungdo-Jin. And 2 war vessels belonged to Jeolyoungdo-Jin and they had 3,618 soldiers as the major depending forces(元防軍). The total income of Jeolyoungdo-Jin was 11,326 Nyung converted at silver, but the available income was 7,522 Nyung(兩) after taxes. There were two kinds of expenses: 3,852 Nyung for the salary of officers(?況) and 367 Nyung for the taxes(砲米). Jeolyoungdo-Jin was installed in Jeolyoungdo by the Chosun Dynasty in order to defense against the foreign powers. As a result, it was transformed from the horse farms into the fortress of defense. Jeolyoungdo-Jin, however, was forced to become a foreign settlement(租界地).

      • KCI등재

        연구논문 : 개항 초기(1876~1880) 부산주재(釜山駐在) 일본관리관(日本管理官)의 파견,활동과 그 특징

        최보영 ( Bo Young Choi ) 동국사학회 2014 동국사학 Vol.57 No.-

        본 연구는 1876년 10월 일본이 부산에 파견한 釜山駐在 日本管理官의 파견경위와 그들의 활동을 분석해 개항 초기 일본의 대조선 인식과 외교정책의 초기형태를 고찰한 것이다. 관리관은 1880년 2월 부산에 領事가 파견되기 전까지 조선에 상주한 최초의 근대적 외교관이다. 일본은 1871년 영사관제를 마련해 본격적으로 해외 곳곳에 영사를 파견하였다. 부산 개항 이전에 이미 일본은 11개 도시에 영사를 파견할 정도로 영사파견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개항 당시 조선의 대일감정의 악화 등으로 말미암아 근대적 제도인 영사를 파견하지 않고 관리관이라는 새로운 명칭의 외교관을 파견하였다. 관리관은 일본이 오직 부산에만 파견한 독특한 명칭의 외교관인 것이다. 이시기 파견된 관리관은 네 명으로 이들은 모두 해외경험이 있거나 개항 전 조선에서 활동한 적이 있는 인물들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이후 조선의 개항장에 영사로 재부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원산의 초대 총영사와 부산의 초대 영사는 모두 관리관 출신이었던 것이다. 영사에 준하는 관리관은 자국민을 보호하고 무역상 이익을 확장시키는 데 주력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선과의 외교현안을 협의하고 처리하는 등 공사의 대리업무까지 수행하며 실로 다양하게 활동하였다. 개항 초기 파견된 관리관은 부산으로 이주하는 자국민의 정착과 세력 확장을 위한 첨병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details of dispatch of the Japanese``s Gwanrigwan to Busan and their activities, and is to consider the recognization of Japan to Chosun and diplomatic policy at the early of Opening of Port. The Japanese``s Gwanrigwan was the first modern diplomat residing in Chosun before the dispatch of Japanese consul in Busan on February 1880. After organizing the system of the Consul in 1871, Japan had sent the consul to abroad. Dispatch a consul was a general practice to Japan that had sent a consul to 11 cities before the Opening of Busan Port. But in those days of Opening of Port, due to the anti-Japanese sentiment Japan had not sent a consul who was a modern diplomat but a Gwanrigwan who was titled newly. Gwanrigwan who was sent only to Busan was an unique official name four men was dispatched at this times, but they had overseas experiences or activities in Chosun. And most of them had restarted for their post as a consul of opening ports in Chosun. The first consul general in Wonsan and Busan was a former Gwanrigwan. Receiving the same treatment of as consul, Gwanrigwan had protected Japanese in Chosun, promoted the interest of their traders, and discussed diplomatic issues with Chosun, and performed the proxy task of diplomatic minister. After all the analysis, the Gwanrigwan who was sent in Chosun at the early of Opening of Port was working as an advance guard for settlement of Japanese in Busan and the extension of their power into Chosun.

      • KCI등재

        기록으로 본 부산의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송정숙 한국기록관리학회 2016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growth of Busan from a fishing village to the capital city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the central city of transportation and commerce, and an industry with rec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fter the port opened in 1876, there has been a decline in settlement spaces in Dongnae;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migration spaces around the port of Busan. Waegwan(倭館) nearby Yongdusan Mountain(龍頭山) was changed to the Japanese concession; thus, the number of Japanese moving into Busan had rapidly increased. As a result, the Japanese government carried out reclamation work for securing available lands for the construction of port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The Japanese government built public offices and houses, as well as production facilities for daily necessities around the port of Busan. The opening of the Seoul Busan railway(京釜線) and the cross-channel liner between Busan and Shimonoseki(釜關連絡船) led to the growth of Busan and the development of its status. At this time, as the main industry of Busan was trade, Busan had grown as a commercial city. As Busan had grown as a central city of transportation and commerce,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of Gyeongsangnam-do(慶尙南道) moved to Busan. Thus, Busan became the central city of local politics and administration. After the Land Survey Project, a large scale of farmers were recruited for low-wage work in the new port. Because of the abolition of the corporation law, Japanese capitalists moved into their colony in Busan. There, large-scale factories, such as the Joseon cotton textile factory,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the locality of Busan was changed from a fishing village to a commercial city and, finally, to a city of commerce and industry. 전통적으로 부산 일대에서 전통적인 정치․행정의 중심지는 정주공간인 동래이고, 부산은 동래부 동평현 부산포라는 어촌이었다. 개항 이후 일본과의 연이은 조약으로 일본인의 조선 내에서의 활동범위가 넓어지고 조선에서 일본인의 상업행위가 허용됨에 따라 일본인의 이주가 급증하였다. 일본은 조차나 임대, 매입 또는 매축을 통해 전관거류지와 서쪽 방면 일대, 북항 일대의 부지를 확보하고, 북항 일대에 공공시설과 상공업시설, 철도․항만시설을 구비하여 경부철도와 관부연락선이 바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처럼 부산이 한일간 교통의 요충지가 되자 부산은 통상 중심의 상업이 발달하고, 부산항은 조선 최대의 무역항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조선이 일본에 병합된 이후 조선총독부는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조선의 임야와 거대한 농지를 확보하고, 소작농이 도시 임금노동자로 전락하게 되었다. 회사령을 통해 조선 자본의 성장을 억제하고 일본 자본이 침투하여 일본인 기업이 대거 설립되었다. 1914년에 시가지는 부(府)로, 농촌은 군(郡)으로 지방행정조직이 개편됨에 따라 부산포 일대의 일본인이 개발한 지역은 부산부로, 그 외의 농촌지역은 동래군으로 바뀌었다. 새로 신설되는 공공시설과 상공업시설, 철도․항만시설은 부산부에 집중적으로 들어섬에 따라 변방이었던 이곳이 정치․행정의 중심지로 탈바꿈하였다. 부산이 교통과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함에 따라 경상남도의 도청이 진주에서 부산으로 이전하였다. 이로써 부산이 경상남도의 정치와 행정의 중심지로 역할이 확대되었다. 토지조사사업으로 대규모 노동력을 확보하고, 회사령 철폐로 일본이 대자본이 식민지로 진출하였다. 부산진 방면의 매립으로 조선방직 등 대규모 공업시설이 설립되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부산의 도시 정체성, 즉 로컬리티도 어촌에서 통상 위주의 상업도시로, 나아가 상공업 도시로 변모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해역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부산항 - 부산 연구를 위한 이론적 시탐(試探)

        서광덕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4

        This article looked into the direction of the Busan Port research by borrow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a area city that opened port in Northeast Asian Sea Region and the network between the cities, that is, sea area network. Since the Joseon Dynasty, Busan has provided a space called '倭館' for Japanese trad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Waegwan (Waegwan) was transformed into a Japanese land and remained until before liberation. As su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twork, Busan is historically closely related to Japan. This is an important factor in identifying Busan Studies or Busan personality. However, since modern times, Chinese and Westerners have also visited and resided in Busan Port, in addition to the Japanese. Although the lack of data has not activated the relevant research, this is a clear fact. The achievements of Asian researchers such as Ryota Ishikawa disprove this. The activities of a Chinese merchant in North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of a settlement of the Qing Dynasty in Busan are typical exampl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san served as the entrance to Japan's continental advance. It was a crowded place where people came by Busan Shimonoseki Ferry and tried to head for Manchuria. Busan Station, built near the port of Busan, was built earlier to transport them to Manchuria. During this period, Busan was actively used as a port for Japan's advancement into the continent along with Najin(羅津) and Cheongjin(淸津). As the function of Busan Port and the occupations of residents were defined by Japan, Busan Port seems to be out of the existing open port network, but it still functions as a physical network and as a mediated port of human network of human movement. After liberation and through the Korean War, Busan became a city of refugees in its traditional form, namely the colonial legacy that Japan left behind. On top of the traces left by the Japanese, fault lines due to the devastation of the war were piled up, and the birth of the marine industry began with modernization. The history of Busan Port was examined in terms of network, movement, and space. 이 글은 동북아해역에서 개항을 맞이한 해역도시와 그 도시간의 네트워크 즉 해역네트워크의 관점을 빌려 부산항 연구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부터 부산은 일본인들의 무역을 위해 ‘倭館’이라는 공간을 제공했다. 1876년 개항이후 ‘왜관’은 일본인의 專管居留地로 변모하여, 해방이전까지 존속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본다면 부산은 역사적으로 일본과 밀접한 연관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釜山學 또는 釜山性(로컬리티)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요소다. 그렇지만 근대 이후 부산항에는 일본인들 외에도 중국인과 서양인들 역시 방문하거나 거주하기도 했다. 자료의 부족으로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지는 못했지만,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이시카와 료타(石川亮太) 등의 아시아交易圈論 연구자들의 성과는 이를 반증한다. 동북아해역내 華商의 활동과 부산 淸國租界의 성립은 대표적인 예다. 일제 강점기 부산은 일본의 대륙 진출을 위한 입구로서 기능했다. 釜關連絡船을 타고 와서 만주를 향해 가려는 사람들이 붐비는 곳이었다. 부산항 인근에 건설된 부산역은 바로 이들을 만주로 실어 나르기 위해 일찍이 건설되었던 것이다. 이 시기 부산은 羅津, 淸津과 함께 일본의 대륙진출을 위한 항구로 적극 활용되었다. 이렇게 일본에 의해 부산항의 기능 그리고 거주인들의 직업 등이 규정받으면서 부산항은 종래의 개항장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있는 것 같지만, 부산을 통한 물동량을본다면 여전히 물적 네트워크 그리고 인간의 이동이라는 인적 네트워크의 매개적인 항구로서 기능해왔다. 해방이후 그리고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부산은 종래의 모습에 즉 일본이 남기고 간 식민지 유산에 피난민의 도시라는 성격을 갖게 되었다. 일본인이 남기고간 흔적 위에 전쟁의 참화로 인한 단층이 쌓이고 여기에 근대화에 따른 해양산업의 탄생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부산항의 역사를 네트워크, 이동, 공간이라는 관점에서살폈다.

      • KCI등재

        개항장 釜山에서 閔建鎬가 경험한 음력과 양력

        김동철(Kim Dong-chul) 한일관계사학회 2013 한일관계사연구 Vol.46 No.-

        조선은 1896년 1월 1일부터 양력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조선 정부는 양력 실시 후에도 음력과 양력을 병용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양력 실시는 민건호가 쓴 일기의 형식에 영향을 미쳤다. 날짜를 음력으로만 쓰다가 음력-양력으로 바꾸었다. 그러나 그가 시간을 기억하고 측정하는 것은 음력이었다. 그는 음력 1896년 1월 1일, 양력으로 바뀐 사실을 조상에게 告하였다. 음력 1896년 1년간은 날짜를 양력-음력 순서로 썼다. 그러나 1897년부터 다시 음력-양력 순서로 바꾸었다. 일본은 1873년부터 양력을 실시하였다. 개항장 부산에는 오랜 양력의 전통 속에서 살아온 서양인과 갓 양력을 실시한 일본인이 거주하고 있었다. 양력이 공식적으로 실시되기 전부터 부산은 음력과 양력의 시간이 혼용되던 시공간이었다. 조선에서 1주일에 1번씩 일요일이 있는 요일제는 1895년에 실시되었다. 부산에서 감리서 서기로 근무한 민건호는 7일마다 하루씩 휴일이었다. 그는 이 휴일을 일요일이라 칭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주기 휴일 외에 별도의 공휴일이 있었다. 그가 경험한 대표적인 양력 시간은 예수 생일[크리스마스], 양력 신정, 일본 국왕 생일이다. 예수 생일은 지구적인 휴일로 인식하고 있었다. 서양인과 일본인은 부산에서 음력 시간을 새로 경험하였다. 대표적인 음력 시간은 음력 신정, 조선 국왕 생일, 청국 국왕 생일이다. 음력 신정 때 부산세관장인 영국인 Lovatt는 한문으로 연하장을 보내기도 하였다. 개항장 부산은 음력과 양력의 시간이 교류하는 시공간이면서, 서로 다른 새로운 문화가 교류하는 접촉지대였다. 음력과 양력의 시간은 각각 전통적인 경축일을 형성했지만, 그 경축일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간의 질서가 형성되고 있었다. 새로운 시간의 질서 속에서 한일관계는 물론이고 국제적인 교류의 장이 형성되어 갔다. 이 시공간 속에서 새로운 이국문화의 체험, 교류, 공유의 관계짓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개항장 부산은 混動的시공간이었다.

      • KCI등재

        개항도시의 근대문화 유입과 형성- 부산과 상하이의 영화를 중심으로

        곽수경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2

        동북아해역을 구성하는 한중일 3국은 개항과 더불어 근대를 시작했고 근대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이때 개항장은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고 유통되는 주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 부산과 상하이는 각각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개항도시로, 이런 역할을 톡톡히수행했다. 대표적인 근대문화양식인 영화 역시 이들 도시를 통해 유통되고 영화문화를형성하는데 있어 선도적 역할을 했다. 하지만 양국의 개항과 정치 상황의 차이로 인해 영화의 유입과 발전, 속성, 소비형태 등의 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즉 조선은 일본의 독점적 지배구조 하에 있었던 반면 중국은 서구열강들이 각축을 벌이는 상황이었기 때문에조선은 일본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었지만 중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가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군다나 일본과 바다를 사이에 두고 마주 바라볼 정도로가까이 있고 15세기부터 왜관을 설치하여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했던 부산은 개항 후에는 더욱이 일본의 영향력이 지배적이었다. 한편 상하이는 미국과 영국이 통합한 공공조계와 프랑스조계가 형성되어 미국과 유럽의 영향력이 컸던 반면 일본의 영향은 미미했다. 여기에서는 조선과 중국에 영화가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고, 자국 내에서 유통(배급)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영화의 유입과 발전 과정을 보면, 세계적으로 영화는프랑스에서 탄생한 후 유럽, 미국, 아시아로 전파되었는데, 초기에는 상하이를 거쳐 조선으로 유입되다가 차츰 일본에 외국영화 배급사가 설립되고 조선에 그 지사가 생기면서일본을 통해 영화가 유입되는 형태로 전환되었다. 반면 중국은 일찍부터 상하이가 영화의 중심도시가 되어 영화는 대부분 상하이로 유입되었다. 비록 부산이 일본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도시로서, 조선에서 극장문화가 가장 먼저 꽃피었고 최초의 영화제작사도 설립되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기는 했지만, 영화는 경성에서 가장 먼저 선보였고, 필름의 유통에 있어서도 경성에서 먼저 상영된 다음 지방도시를 순회했으며 영화인들또한 경성에서 활동하여 영화 제작이 이루어졌다. 오히려 전국적으로 조선영화 붐이 일어났을 때도 부산은 그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식민성을 보여주었다. 반면 상하이는 적어도 1940년대까지 줄곧 중국영화의 중심도시로 성장하여 영화의 전국적 배급과 유통에 있어서 선도적 역할을 한 것은 물론이고 중국영화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따라서개항장들의 역할과 성격은 일괄적으로 보기 어려우며 다양한 관계와 상황 속에서 개별적 특수성을 살펴야함을 알 수 있다. The modern age for the three countries about the seas of Northeast Asia, Korea, China, and Japan, began with the opening of ports and started to accept modern civilization. Open ports acted as critical pathways for the inflow and distribution of new culture. Busan and Shanghai were representative open port cities of Korea and China and the cities successfully carried out their roles as open port cities. These cities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distributing and establishing the culture of film, which is a representative element of modern culture. However, differences in the port opening and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wo countries resulted in differences in aspects such as the inflow,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of films. Since Joseon was under the exclusive governance of Japan while Western powers competed over China, the influence of Japan over Joseon was absolute whereas various countries including the US, UK, France, and Germany exerted influence over China. Also, the influence of Japan became all the more dominant after the port opening of Busan where exchange with Japan was activ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Waegwan in the city since the 15th century as Busan is located so close to Japan with only a sea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the US and Europe were significant in Shanghai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that brought together the US and UK, and the French Concession while Japanese influence was minor.Here, I investigated that pathways Joseon and Chinese films were brought in and distributed within the country. Looking at the process of inflow and development for films, cinema was born in France and was then spread to Europe, US, and Asia. Initially, films flowed into Joseon through Shanghai and then foreign film distributors were gradually established in Japan. Branches of such distributors were then established in Joseon and the inflow of films to Joseon turned to Japan. As for China, Shanghai became a central city for films early on and so most of the films were brought in through Shanghai. Although Busan first saw the blooming of theater culture in Jose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very first film production companies as the city that was directly influenced by Japan, films were shown for the first time in Kyungsung. The distribution of films also started at Kyungsung where films were shown first followed by the provincial cities. Moreover, cineastes and filmmakers participated in the making of films in Kyungsung. When a nationwide Joseon film boom occurred, this phenomenon did not occur in Busan, revealing the coloniality. On the other hand, Shanghai grew as a central city of Chinese film up until at least the 1940s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films as well as the active making of Chinese films. So it was found that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pening of ports are can hardly see in a lump, and need to look at individual specificities in various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