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최정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e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impact of these two systems on universit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the overall understanding level of teachers about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purpose and contents of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newly established is relatively low. Second,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responded negatively or reservedly rather than positively to the questions which ask whether integration will be successful. As for the possibility of success, teachers who are working in autonomous high schools are more positive than those in general high schools. Third, the overall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is system,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ore contents were both high. Nevertheless, teacher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s about the possibility of institutional settlement were more likely than teachers who showed positive attitudes. Fourth, high school teachers did not consider linking with university education in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Nevertheless, the need to link high school education with college education was highly recognized. Fifth, many teachers answered that the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influenced by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It wa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would affect both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majo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Teachers raised the necessity that the contents of the newly established subjects like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should be linked to university education. Finally,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ould also affect college education, which they recognized as having a greater impact on major education than o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about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university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 velop policies for linking high school educa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이 논문은 최근에 도입된 고등학교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가 대학 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와 선도학교 29개교에 재직 중인 교사 6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사들은 문·이과 통합 교육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3.90점 수준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해서는 3.86점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이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두 제도의 정착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거나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교사가 문·이과 통합의 경우 64.9%, 고교학점제의 경우 7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육성과와 대학 교육과의 연계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교사들은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그것을 고려하여 교육 활동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 가 대학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는 다수의 교사가 긍정적으로 응답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과정 개혁에서 두 가지 제도가 가져올 영향력에 유의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대학의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또한 우리나라에서 그 동안 학문적 관심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던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 문제가 갖는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일고찰 - 국어과 과목 설정 문제를 중심으로 -

        김규훈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for development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it focused on checking Korean subject setting issues criticall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hecks base discourses which is a background of curriculum development at first. These are “key competence, integration, creativity․character, convergence”, and “key competence” is important thesis among them in this curriculum revision. And then this study arranges reconstruction ways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subject system” would be mainly checked due to it is a focus point of a reconstruction. Based on this, the validity of Korean subject setting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to be considered critically. It is focusing matters, “relationship with key competence, integration for Reading subject, validity of Language and Media, ambiguity of Classic Reading”. 이 연구는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을 살피고, 특히 ‘국어과 과목 설정’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과정 개발의 배경이 되는 기저 담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들은 ‘핵심 역량, 통합, 창의․인성 및 융․복합’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핵심 역량’은 현 교육과정 개정을 추동하는 가장 중요한 명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 이번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중점 과제인 ‘교과 체제’를 확인하는 데 집중한다. 일련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과목 설정의 타당성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핵심 역량과의 관련성, 독서 과목의 통합성, 언어와 매체의 타당성, 고전읽기의 모호성 등에 대해 집중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향후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의 본격적인 개정 작업을 위한 성찰과 지향을 담은 논의로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문·이과 통합형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사회과교육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관한 연구 -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갈등을 중심으로 -

        김응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5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4

        I would like to examine a disjunction between an ideal sought by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he reality that is actually observed through issues and conflicts surround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associated with the revis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o foster talents with creativity convergence that meet the demands of knowledge-based society,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sought integration of courses in social studies, that is,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This has been an ideal that has consistently been pursu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but it has also served as a means to reveal the reality of repetitive conflicts among three major social studies subjects (history, geography, and social studies) with regards to 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bbed as the “grand integration of disciplines”. In particular, the conflict surrounding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s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high schools sheds quite a new light on the matter between geography and social studies with history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s and among geography, social studies and morals and ethics (world history included), which has been recent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high schools. I would like to propose a practical and active solution to address a disjunction between an ideal of seamless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reality characterized by the conflict among different disciplines from a positive and optimistic perspective.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드러나는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을 둘러싼 쟁점과 갈등을 통해 사회과교육이 추구하는 이상과 실제로 드러나는 현실의 괴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한다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에 따라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과 통합 구성, 즉 통합 교육과정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이 성립 이래 지속적으로 추구해 온 이상이었으나 ‘분과 대 통합’이라는 사회과 내용구성방식을 둘러싼 사회 3과(역사, 지리, 일반사회)의 반복적인 갈등이라는 현실이 드러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중학교 사회와 고등학교 통합사회를 둘러싼 갈등은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역사과목의 독립 이후 중학교 사회에서는 역사 영역이 제외된 상태에서 지리와 일반사회 사이에서 교과서의 구성 형태를 중심으로 갈등이 드러난다. 반면 고등학교 통합 사회에서는 도덕·윤리까지 포함되어 지리, 일반사회, 도덕·윤리(세계사는 포함) 사이에서 실질적인 통합교육과정의 구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과 통합이라는 이상과 영역 간의 갈등이라는 현실의 괴리 현상을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관점에서 현실적인 또는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전시가를 통한 문·이과 통합 교육 시론

        고은,정소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최근 들어 4차 산업혁명이라고 하는 인공지능 세대에 대해 예견하며 교육계에서도 새로운 시대에 맞는 창의융합 인재상에 대한 논의와 함께 문과와 이과의 경계를 넘어서는 통합 교육과정 개정안이 마련되었다. 문,이과 통합 인재를 위한 창의융합 교육을 지향하는 커다란 틀에 따라 문학교육, 그 중에서도 고전시가교육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탐색해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과의 중요한 과목으로 여겨진 문학교육, 그 중에서도 고전시가교육이 앞으로 문과와 이과의 구분이 없어지는 교실 상황 속에서 어떤 교육내용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탐색하는 시론격의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본고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그간 문과적 영역으로 이해되어온 문학, 특히 고전시가 분야를 어떻게 이과적 성향의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통합인재로 성장하기 위해 접근되어야 할지에 대한 것이다. 이에 문,이과 융합형 제재로서의 고전시가 작품들을 재조명하고, 이들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전과는 다른 문·이과 통합형 교육으로의 접근 가능성을 살핌으로써 이과적 성향의 학습자들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할 수 있을 만한 고전시가 교육의 방향에 대해 제안한다. Lately it is sai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come and next generation is in artificial intelligence. Relating thi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which raise up competent people talented in not only liberal arts but also natural sciences. According to this flow, we explored on the integrative educ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 literature education, especially in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education. Meanwhile the subject of literature is considered the students of tendency to liberal arts are good at it. So we look through how the students of tendency to natural sciences have interest and are highly accomplished. This discussion would like to propose an educational direction in which natural sciences major learners can also remain attentive by shedding new light on various works that can be utilized for a new purpose - integr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majors for educ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 and examining potential for different integrative approaches to these works, though it is an beginning essay.

      • KCI등재

        주제 중심 통합(ITI: Integrated Thematic Instruction)형 가정과 의생활영역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김남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3

        At present, the whole world is characterized by openness, cooperation and integration as a society with information and the world, and it requires creative talents for this.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depends on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s. It demands anthropological value by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through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to share and care, not to cultivate creative talents for personal desires and accomplish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 learning process to develop integrated creative talents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at the ba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do this, we first extracted the content elements of the Clothing Life area of the revised curriculum from the 1st to 2015 and the contents of the Clothing Life area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to which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was applied. Five topic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content selection criteria And The Theme of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clothing' was selected. Researcher developed a integrated thematic instruction Home Economics Education Clothing Life teaching - learning pro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ocess") focused on the theme of 'selection and management of clothing'. The Process was composed of 5 basic classes [basic inquiry - content 1 - content 2 - depth study - application]. The process considers integration within the curriculum and interdepartmental integration, and aims to improve the personality,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consideration and sharing in the course of the integrated class. In detail, the curriculum goals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and ITI goals are presented separately in the curriculum developed for each process. At the stage of the class, the element of creativity and the element of personal education were exposed and applied to the class. In Korea, new curriculum has been revised and announced from time to tim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teacher to carry out the class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of change. Home curriculum i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so it is an appropriate subject for an integrated subject. It ha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ubject in that it allows students to integrate the creative and personal elements that are limited in other subjects. ITI process will be helpful to teachers who need to implemen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which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cess is newly introduced. It is necessary to follow - up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how to improve students' problem - solving ability and cultivate creativity. 현재 전 세계는 정보화・세계화의 사회로 개방, 협력, 통합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창의적인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국가의 경쟁력은 곧 창의적 인재 양성에 달려 있으며 개인적인 욕망과 성취를 위한 창의적 인재 양성이 아니라 나누고 배려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인류학적 가치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저에 있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특징을 가정교과에 적용시켜 통합형 창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1차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와 2009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기술・가정 교과서의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한 후 전문가 집단이 내용선정 기준에 의해 5가지 주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의생활 영역의 5가지 주제 중 ‘의복의 선택과 관리’ 주제를 중심으로 주제 중심 통합형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이하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과정안은 총 5차시 수업으로 [기초 탐구 - 내용 1 - 내용 2 - 심화탐구 - 적용]으로 구성하였다. 과정안은 교과 내 통합과 교과 간 통합을 고려하였으며 통합형 수업의 진행 과정에서 배려와 나눔의 인성요소와 창의성, 문제 해결력 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실제 5차시 수업을 위해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에 가정교과의 교과목표와 주제 중심 통합형 교육 목표를 분리하여 제시하였으며, 수업 진행단계에서 창의적 요소와 인성적인 교육 요소를 표면적으로 드러내어 수업에 적용하였다. 우리나라 교육은 새로운 교육과정이 수시로 개정 및 고시되고 있어 교사가 변화패러다임에 맞추어 수업을 실행하기가 어려웠다. 가정교과는 실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통합형 주제로 수업을 하기에 적절한 교과이며 다른 교과에서 다루기에 한계가 있는 창의, 인성적 요소까지 학생들에게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과의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주제 중심 통합형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이 새롭게 도입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실시해야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15 문,이과 통합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학습내용 고찰 -「2012 국어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영희 ( Yeong Hui Yang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6

        본 논의는 「2015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개정 취지가 ‘문법영역’에 잘 반영되어 있는가를 분석·점검하고자 하였다. 사실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은 사회와 과학과의 통합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국어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그런데 국어과에서는 이번을 ‘실용적이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변환하는 기회로 활용하자는 입장에 터해서 나름대로 개정을 착수하였다. 그리하여 국어과에 적용될만한 ‘핵심 역량’을 제시하고 통합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이 같은 취지가 문법영역에 잘 반영되어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 본고의 주된 목적이었다. 분석 결과 ‘「2015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에서의 문법 영역은 ‘문법 지식’에 대한이해보다 ‘문법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역점을 둠으로써 ‘국어교육의 실용성과 수요자 중심’이라는 개정 취지를 잘 반영하였음을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등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동안 논란이 되었던 영역 간의 통합을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통합과 분석의 길항’이라는 논리로써 무조건적인 통합보다 각 영역의 단위 능력 신장에 역점을 두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문법 영역도 국어 활동 영역과의 무조건적인 통합은 앞으로 지양되리라는 조심스런 예측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to analyze and examine whether the goal of “2015 Integrated Liberal Arts. Natural science Curriculum” has been reflected in the grammar filed. There is, as a matter of fact, no direct connection with Korean language subject in the curriculum since the focus of integration is on subjects such as social and natural science. Korean Language department, however, undertook revision to utilize this opportunity to convert to ‘practical and consumer-focused’ curriculum, and suggested “core ability” interpreting newly the meaning of integration.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to analyzing whether this background has been reflected appropriately.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goal of “practical and consumer-focu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well reflected in ‘contents structure and achievement criteria,’ ‘learning-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focusing more on the ability “to use grammar” rather than to understand “knowledge of Grammar.” In addi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2015 integrated curriculum seeks a way to overcome the controversy on integration between fields with the logic of “antagonism of integration and analysis.” In this way, it raises sense of expectancy that grammar field might establish its own area based on the focus on each component ability of respective areas rather than blind integration. This paper concludes, therefore, that 2015 Integrated Liberal Arts-Natural Science Curriculum has overcome limitations of previous curriculum in its way.

      • KCI등재후보

        2012년 이후 남북한 교육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한 교육통합 방안 연구

        이용을(Lee Yong-Eul) 한국공공사회학회 2018 공공사회연구 Vol.8 No.3

        이 논문은 통합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민족 공동체 통일방안’ 3단계에 기초를 두고, 교육통합의 단계를 ‘평화공존 상황에서의 교육통합 방안’, ‘실질적 통합단계에서의 교육통합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해본다. 『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이하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통일방안이다. 이 통일방안은 통일과정을 1단계인 화해․협력단계(평화정착, 교류․협력 제도화), 2단계인 남북연합단계(사회․문화․경제공동체 실현, 민족공동생활권 구축), 3단계인 통일국가 완성(정치공동체 실현, 단일민족국가 통일)의 3단계로 설정하고, 흡수통일이 아닌 통일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는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성취한다는 것이다. 12년제 의무교육과 2015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면 첫째, 남북한은 공히 지식정보화시대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정보화 추진, 둘째 남북통합교육과정의 형태, 셋째 남북한 통합교육의 비교, 넷째, 정치사상교과, 다섯째,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This paper seeks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making plans for an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I"d like to come up with an integrated curriculum. which divide into" an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under peaceful co-existence circumstances" and an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substantial integration. 『A Three-Stage Unification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Korean Community』is the official pla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fication plan groups the unification progress into three stages: the 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the first stage, the south-north confederation in the second stage, and the completion of a unified nation in the third stage and seeks to achieve a progressive and gradual unification which can minimize the side effects resulting from other unification plan, not through absorption unification. I divided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12-year compulsory education : firstly. the South and North Korea both push forward with educational informat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secondly, the forms of South and North Korea integrated curriculum. thirdly, the comparis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tegrated curriculum, fourthly, subjects of political thoughts, and lastly, creative experience

      • KCI등재후보

        뉴스 기사를 통해 본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쟁점과 과제

        김소영,강신원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2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news articles about an introduc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humanities and sciences and engineering tracks, and the issues handled seriously; and then to discuss what the problems are according to it. The issues raised fro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 lack of education recipient’s attention regarding curriculum revision, (b) controversies associated with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c) confusion caused by repeated curriculum revisions, (c) demand for revision both on the curriculum and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d) the press’ passiveness about governmental policy. The integrated curriculum revision should be addressed regarding the issues as follows: (a) the curriculum was revised based on various opinions from different fields and identifying pedagogical needs accurately. (b) the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which would be able to allow students to achieve a various and macroscopic problem solving viewpoint. (c) A prototype of the new curriculum should be pre-implemented and evaluated thoroughly. (d) Along with the curriculum revisi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 test and related system should be addressed more. (e) The news medias should develop their news articles based on well-specialized knowledge about the integrated curriculum so that partens and students will be able to receive more useful and accurate information. 본 연구는 2014년에 발표한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을 발표한 시점에 보도한 뉴 스를 통하여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의 주요 내용 중 어떠한 내용이 뉴스 보도를 통하여 알려졌으며 중요하게 다루어진 쟁점과 과제를 논의 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제기되고 있는 쟁점으로 첫째,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교육 수요자의 무관심, 둘째, 교과서의 국정화 논란, 셋째, 잦은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한 혼란, 넷째, 교육과정 개정과 수능의 동반 개편 요구, 마지 막으로 국가 정책에 대한 언론의 소극적 태도이다. 쟁점에 대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의 견 수렴과 정확한 요구 조사를 토대로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다양하고 거시적인 안목을 가질 수 있는 학습 경험을 포함하는 교과서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을 실 행한 이 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적용․평가를 해야 한다. 넷째, 수능이나 대입 제도에 대한 적극적 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중요한 정책 결정에 있어서 뉴스의 태도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식견을 갖추어 국민에게 유용한 정보와 다양한 의견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쟁점과 과제에 대한 논의는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 정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둔다.

      • KCI등재

        문·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방향 탐색:

        이미미(Lee, Mi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는 고등학교 문·이과 통합이라는 추세와 대학에서의 학과제 부활이라는 흐름 속에서 미국 3개 대학과 한국 1개 대학의 교양교육을 비교·분석하고 새로운 흐름 속에서 대학의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에서는 각 대학의 교 양교육 현황을 정리하는 동시에, 문과에 속하는 사학 전공 학생과 이과에 속하는 기계공학 전공 학생이 이수해야하는 교양교육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에 상관없이 동일한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과 전공에 따라 차별화된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이라는 두 가지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의 경우 자유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이, 후자의 경우 전공의 기초소양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이 상대적으로 보다 강조되고 있었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두 가지 개념을 해석하면서 분석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Korean Department of Education has recently announced that 2015 National Curriculum will focus on eliminating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between those concentrating on arts and those on sciences at the high school level. If implemented as planned, 2015 National Curriculum would be a first one with no differentiation for those pursuing arts majors and those sciences. This, however, counters the movement at the university level, where universities are tightening major require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for three U.S. universities and one Korean university with a purpose to shed light on the university curricular reform in thi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general education program. The first type applies the same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regardless of majors while the second type uses differentiated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s per major. This study then further analyzed the reasonss why there are such differences and argues that the difference lies in how each university conceptualizes gener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in pursuit of liber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s basic course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re sought.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의 요구조사에 나타난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강현석 ( Hyeon Suk Kang ),이지은 ( Ji Eun Yi ),전호재 ( Ho Jae J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2015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실시한 학교 현장, 국가ㆍ사회의 요구 조사 결과가 지니는 교육과정상의 의미를 사후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서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2015 문ㆍ이과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향후 전개되는 개정의 작업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육과정 및 교과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와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한 쟁점을 과목 신설의 문제, 범교과 학습의 문제, 교육내용 적정화 및 운영 방식의 문제로 설정하고 세 가지 쟁점에 대해 조사 대상자별 인식과 대상자 간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개정의 연계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earch the curricular meaning of the results of nationalㆍsocietal needs in 2015 curriculum revision. In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procedure for adequate revision has been discussed in a various ways in context of legal and managerial rationale. We often discover the difficulties of integrating the results of need-based survey to the tentative plan. Moreover the meaning of the survey results has been overlooked by various participants in discussing and developing curriculum plan. In the light of overcoming the existing tendency of procedure of curriculum revision, we search the problem of the revision procedure and discuss the meaning of the results of nationalㆍsocietal needs in 2015 curriculum revision. In the future, we will anticipate reflec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ut curricular meaning, the articulation of the general with the particular, and orientation of next re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