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말선초 箕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과 조선적 문명론

        최봉준(CHOI Bong Jun)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1

        이 글은 여말선초 이색과 정도전, 권근 등 3명의 인물의 역사계승의식과 문명론의 변화, 분기를 통하여 성리학이 내면화 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려말의 이색과 정도전은 성리학자로서 箕子를 중심으로 하는 역사계승의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색은 단군을 國祖로 인정한 반면, 정도전은 조선건국의 당위성을 주장하면서 단군조선의 의미를 크게 축소하였다. 이는 문명론에서 고려왕조는 물론 전통문화를 時勢로 보고 인정하려는 이색과, 전통은 물론 고려왕조까지 부정하고 새로운 왕조건설로 전면적인 유교화를 추구하는 정도전의 차이를 만들었다. 이색은 점진적 문명론을 정도전은 도학적 문명론을 추구했다고 정리할 수 있으며, 이는 지향점은 같으나, 방법론에서 나타난 차이였다. 고려말의 문명론의 분화는 조선초기 권근의 단계에 와서 융합되는 양상을 보였다. 권근은 역사이론에서 성리학의 원론적인 측면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정도전의 학문과 연결되지만, 멸망한 남송 출신의 유학자로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은거하였던 吳澄을 비판하는 모습에서 權道와 時勢論을 추구한 이색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왕조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유교적 가치의 실현이 가능하다는 권근의 낙관적 전망을 담고 있다. 더욱이 권근은 기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을 추구하는 가운데서도 이색에 비하여 단군을 강화하였으며, 중국과 조선을 구분하고 小中華로서의 위치를 분명하게 견지하고자 하였다. 그는 보편문화를 지향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있으나, 조선은 중국과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고유한 문화적 전통도 유지해야 한다는 조선적 문명론을 지향해나갔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Neo-Confucianism was internaliz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change and differentiation in the discourse on history and civilization of the three scholar-officials, Lee Saek, Jeong Dojeon, and Kwon Geun. There was little disagreement between Lee Saek and Jeong Dojeon, both Neo-Confucianists, in defining Goryeo as the historical successor of Gija who symbolized the introduction of Chinese civilization into Korea. However, whereas Lee admitted Dangun as the father of nation, Jeong reduced the importance of Dangun's Joseon advocating the legitimacy of founding a new state, Joseon. This led to a divergence in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From the situational perspective, Lee embraced not just Goryeo Dynasty but also traditional culture; Jeong, on the other hand, discredited tradition and even the present dynasty and sought out a complete Confucianization by the means of constructing a new dynasty. In sum, in terms of civilization discourse, Lee was a gradualist, Jeong a radicalist. They had the same goal, but different methods. The differentiation i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in the late Goryeo later merged in the thoughts of Kwon Geun in the early Joseon period. Like Jeong Dojeon, on the one hand, Kwon aimed to emphasize the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in his analysis of history. On the other hand, however, he followed Lee Saek's situational approach to Tao in that he criticized Wu Cheng, the Chinese Confucian scholar from the lost dynasty, South Song, who had not participated in politics and secluded himself during the non-Han dynasty, the Yuan. It showed Kwon's positive perspective that despite the change of dynasty Confucian values could be achieved by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Moreover, while supporting the idea of historical succession that put Gija at the center, Kwon reinforced Dangun more than Lee had done. Although Kwon took the pursue of Confucian universalism for granted, he also aspired to the preservation of unique cultural tradition because he saw that China and Joseon ha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hich constituted his vision of Joseon's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concretely affirm latter's place as "Little China" in the Sino-centric world.

      • KCI등재

        김경동의 사회학(II): 선생가외 불역락호(先生可畏 不亦樂乎)

        김성국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4

        Kim Kyong-Dong is a world-famous Sociologist,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academic sociology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ology. This review extends the existing discussions on his sociology and appreciates his recent achievements in terms of his quest for building an East Asian theory of civilizational shift from Western modernity. In contrast to recent theories of multiple modernities, he continues to further develop modernization theory in broad terms of civilizational change from Western materialist culture to culturally matured advanced society. This review introduces and evaluates recent sociological studies provided by him in the following six chapters: (1) reconsideration of Kim’s acdemicism, (2) Kim’s humanist sociology in the era of post-humanism, (3) unfinished modernity and his theory of New Modernization, (4) foundation for East Asian theory of new civilization, and (5) succession of Kim’s theory of civilization. Kim Kyong-Dong’s quest for completing his theory of modernization in terms of new modernization has been fruitfully matured by his renewal of classic East Asian wisdoms such as the Book of Change, Buddhism, Taosim, and Confucianism and finally accomplished with his recent book, [Bright and Dark side of Seonbi Culture: Sociology of Intellectual Power Elite] as a model for new civilization based on Confucian moral values 김경동은 한국사회학사에서 아카데믹 사회학을 완성한 세계적 사회학자이다. 이 글은 김경동의 사회학에 관한 기존 논의를 보완하면서 그의최근 업적을 동아시아 문명론의 개척이라는 차원에서 그 의의를 논의한다. 이 과정에서 김경동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필자의 관점인 하나논리를 틈틈이 활용한다. 제 1장 “김경동 아카데미즘의 재평가”는 아카데미즘을 상아탑에 안주하면서 현실 참여와 비판을 외면하는 학문이라고규정하는 통상적 고정관념을 비판한다. 김경동의 학문 활동에 나타난 비판적 현실 참여의 사례(1985년 “한국 발전과 종속문제” 국제학술대회와1989년 “80년대 한국사회와 비판적 인식의 전개‘라는 학술대회 조직)을 소개한다. 제 2장 “탈인간주의 시대의 인간주의 사회학”은 김경동의 사회학적 기축 이론인 인간주의 사회학이 오늘날 탈인간주의 시대에서 더욱 유용하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인간에 의한 인간의 비인간화, 인간중심주의에 의한 천지자연의 파괴, 인간의 폭력화와 같은 반인간적 세태를 인간주의 사회학은 교정할 수 있다. 제 3장 “미완의 근대화와 신근대화론”은 탈근대 문명의 도래와 함께 서구적 근대의 한계가 두드러지자 동아시아 정신문명을 활용하면서 미완의 근대를 완성시키고자 하는 김경동의 노력을부각시킨다. 제 4장 “동아시아 문명론 연구의 초석”은 김경동이 서구적근대나 근대화론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본인 나름의 독창적인 “문화적교양으로 정화한 성숙한 선진사회”라는 개념과 함께 음양변증법에 기반한새로운 동아시아 문명론을 제시하고 있음을 검토한다. 김경동의 동아시아문명론을 위한 구체적 대안이라고 볼 수 있는 [선비문화의 빛과 그림자: 지식인 파워 엘리트의 사회학]을 북 콘서트에 참가한 여러 학자들의 토론내용을 소개하면서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현대의 오도된 물질문명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선비문화의 재활성화가 매우 필요하다는 사실에 모두가 공감한다. 제 5장 “김경동 문명론 연구의 계승”에서는 김문조의 융합문명론, 김상준의 내장/팽창문명론 그리고 김성국의 하나논리가 앞으로 김경동의 문명론을 계승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작업으로 평가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과 일본의 근대지(近代知)

        조명제 ( Myung Je Cho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6

        한용운은 1970년대에 민족문학론과 관련하여 『창작과비평』에 의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문학사적 평가에 따라 80년대 이후 민족문학론의 시각에서 많은 연구 성과가 제시되었다. 또한 90년대 이후에는 근대불교사를 비롯한 인문학 전반으로 연구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용운 연구는 민족 담론에 입각한 ‘신화화된 이미지’가 확대, 재생산된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조선불교유신론』에 대한 연구도 대부분 한용운의 근대불교, 민족불교에의 지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결론으로 일관되고 있다. 이러한 한용운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벗어나기 위해 이 글은 사상 연쇄라는 관점에서 메이지 일본의 근대지가 량치차오라는 필터를 거쳐 한용운에게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문명론과 근대철학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일본의 근대지가 『조선불교유신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첫째, 한용운은 서구 근대 문명론의 시각에서 당시 불교계의 반문명적인 현상, 즉 미개하고 야만적인 요소를 다양하게 비판하였다. 또한 그의 문명론에는 문명개화론적 문명관과 사회진화론에 입각한 문명론이 중첩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문명론은 량치차오의 『음빙실문집』을 통해 수용하였지만, 그것은 후쿠자와 유키치, 가토 히로유키 등으로 대표되는 메이지 일본의 문명론이 번역과 번안을 통해 옮겨진 언설이었다. 둘째, 한용운은 불교의 철학적 성질에 대해 서양 철학이 불교와 합치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칸트철학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과 내용은 표면적으로 량치차오의 언설을 그대로 옮긴 것이지만 메이지 일본의 근대철학의 흐름과 깊은 관계가 있다. 그것은 이노우에 엔료가 불교의 근대화를 지향하여 서양의 근대철학을 수용하고, 불교를 재해석하였던 관점과 진화론, 동서철학까지 포괄하던 지적 작업의 영향과 관련된다. 또한 메이지 일본에서 칸트철학이 유행하게 된 것은 일본의 근대국가 건설이 독일을 모델로 삼으면서 독일학이 학계, 지식계에서 전반적으로 수용되었던 흐름과 관련된다. 셋째, 한용운의 불교 개혁안은 당시 불교계의 상황을 직시하면서 제기한 독자적인 방안도 있지만, 개혁의 방향 설정이나 그에 따른 입론 자체가 일본의 근대지에서 폭넓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일본의 근대지는 근대철학의 수용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이 서양철학의 계기적 발전이나 맥락을 고려하지 않거나 국가별로 존재하는 철학 경향의 특성을 무시하는 등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있었다. 또한 량치차오가 수용하고 이해한 메이지 일본의 근대지는 결국 의사(擬似) 근대 체험의 한계를 가졌다. 더욱이 한용운은 량치차오라는 또 하나의 필터를 거쳤기에 더욱 착종된 형태의 근대지를 받아들였다. 『유신론』에서 서구 문명론이라는 타자의 시선으로 전통불교의 자산을 대부분 미개한 것으로 비판한 언설은 그러한 한계와 관련된다. After Sinyubakhae(辛酉迫害, persecution of Catholics in 1801), the previous tolerant trends of thought was threatened, bu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opular readings such as novels and folk tales were rather thriving.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the continuous yet broken stream of thought between the late 18th and the early 19th century. The secularization of Joseon society had accelerated since the 18th century. Such a change originated from a new cultural fashion in Seoul. The secularization, in spite of continuous restriction of government, gradually changed the society which had been controlled by the Confucian norms. As a result, there appeared new intellectual groups, who were free of the consciousness of Bungdang(朋黨) or social status. The reaction against this trend began in the early 19th century. Especially, new studies about Seohak(西學) were considerably repressed. After 1806, however, it is ironically the government that lost its power of command. Governmental policies about these new thoughts were so high-handed that intellectuals restored their vigor pretty soon. Communication among intellectuals and accumulation of knowledge were very active enough even to call ``the birth of knowledge world``. But, unavoidably, the process was a refracted one, so most of their works could not exceed the progressiveness of the late 18th century, though with some rare exceptions.

      • KCI등재

        문명론의 접합으로 본 최병헌의 종교 담론

        이행훈 ( Haenghoon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5

        기독교 수용의 역사성에 비해 회심을 단행한 지식인들의 사유 변화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기독교 토착화과정에서 유교적 지식인들은 기독교 관련 문서 번역과 교리 전파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최병헌의 삶은 당대 유교적 지식인의 기독교 경험과 실천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그의 종교 담론은 문명론과 기독교적 세계관이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되었다. 한국에서 활동한 당대 선교사들의 정교분리 원칙과 달리 종교와 정치를 상호 보완적 관계로 파악했다. 이처럼 종교와 정치를 불가분의 관계로 보면서도 종교가 정치의 근본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은 유교의 정치·사회적 전통과 기독교 문명론의 영향이다. 정교일치 관념은 사회적 기능을 다한 유교 대신에 기독교 수용을 정당화하는 논리로도 작동했다. 최병헌이 선유활동의 명분으로 제시한 신민의 도리, 정치와 종교의 보완, 기독교 인애의 실천 등도 문명론과 정교관의 연장선에 있다. 문명론과 기독교 세계관의 접합을 확인할 수 있는 초기 저술로 『성산명경』을 들 수 있다. 대화체 몽유록 소설 형식을 차용한 『성산명경』은 자 신의 개종 체험을 담아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유불도와 기독교 간의 대화는 세계 창조론, 인간 영혼론, 내세론 등으로 이어졌는데, 유교도가 기독교를 인정한 이유는 기독교 교리에 대한 승인이 아니라 기독교 문명의 힘 때문이었다. 이는 유교적 지식인이었던 최병헌의 기독교 수용과 개종이 철저하게 서양 문명론 위에서 형성되었다는 증거이다. 최병헌의 회심은 유교 지식체계의 균열에서 비롯되었지만 유교의 가치를 전복하는 데로 나아가지 않았다. 기독교 진리의 절대성을 확신했지만 동양 고전과 재래 학술사상의 가치에 대한 인정은, 그를 단순한 서구주의자로 치부할수 없게 한다. Relatively ver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changes of thought that the converted intellectuals went through, compared to the historicity of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During the naturalization of Christianity, Confucian intellectuals played a vital role in translating its literature and propagating its doctrines. The life of Cheo Byeong-heon shows clearly the typical experience and practice of a contemporary intellectual. His religious view wa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the Christian world view. Unlike missionaries of the day adhering to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he grasped them as complementary. It was the coalescence of Confucian political and social tradition and the civilization paradigm of Christianity that led him to see the indivisibl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and to stress religion as basic to politics.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functioned as a logic justifying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in place of Confucianism which lost its social validity. What he suggested as reasons for his activities as royal commissioner, including the duty of subjects, the complimentary rel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and the practice of Christian benevolence, are also closely related to his view about civilization and the relation of church and state. This coalescence of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the Christian world view is most clearly revealed in his early work, Syeongsan Myeong Gyeong (The Clear Mirror of Sacred Mountain). This work, a dialogic novel of wondering-in-dreams, reflects his experience of conversion. The dialogue between the three tradition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Christianity leads to the discussions about world creation, theory of human soul and afterlife. His reason for accepting Christianity is not about its creeds but about the hegemony of Christian civilization, showing that his conversion took place under the influence of the ideology of Western civilization. His change of heart originated from the crack of Confucianism, but it did not go as far as to subvert its values. Though assured of the absolute truth of Christianity, he can not be considered simply as an advocate of the West in that he approved the values of Oriental classics and traditional ideas.

      • KCI등재

        도이 고카(土居光華)의 『여대학』(女大學) 비판과 여성론

        김현정(Hyun-Jung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8 아시아여성연구 Vol.57 No.2

        일본 에도시대에는 여성들의 교육을 위해 만들어졌던 수많은 여성교훈서들이 있는데, 그 대부분이 봉건적인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여성을 시집과 남편에게 종속시키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대표적인 교훈서가 바로 『여대학』이다. 일본 메이지시대의 정치가이며 자유민권 운동가였던 도이 고카는 이 『여대학』에 담긴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근세여대학』, 『문명론여대학』을 저술해서 근대화되어 가는 시대배경 속에서 파격적이고 새로운 여성론을 주장했다. 메이지유신 이후 메이지시대 초기에는 자유, 남녀평등, 여성의 지위 등에 대해 근대화로 나아가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다. 도이 고카도 서양의 철학과 사상에 공감하고 그것을 수용하면서, 근대화 과정에 있는 일본에 이런 철학과 사상을 전파하기 위한 노력을 했다. 또한 『근세여대학』과 『문명론여대학』을 저술해서 여성의 지위 향상과 근대적인 여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 『근세여대학』과 『문명론여대학』에서 주장하고 있는 핵심은 남녀평등과 여성의 권리이다. 여자는 시집이나 남편에 종속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라 자주 자립하는 존재이고, 남자에게 권리가 있는 것처럼 여자에게도 동등하게 권리가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봉건적인 사회에서 근대화되어가는 과도기에 적힌 책이기 때문에 그의 비판과 여성론에도 한계점은 분명히 있지만, 새로운 여성론을 제시했다는 선구적인 면에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do period in Japan, there were many books written to educate women about domestic life. Most of these books were based on feudal Confucian ideology and designed to make women dependent on marriage and husband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Onna Daigaku”. Doi Goka, a Japanese Meiji-era politician and a liberal civil-rights activist, criticized the problems in “Onna Daigaku” and wrote “Kinse Onna Daigaku” and “Bunmeiron Onna Daigaku,” and claimed an extraordinary new feminism in the context of modernization. In the early Meiji period, there were various attempts to modernize the culture, expand freedom, improve gender equality, and elevate the status of women. Doi Goka sympathized with the philosophy and ideology of the West and embraced it. He made efforts to spread this philosophy and ideas to Japa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He also wrote “Kinse Onna Daigaku” and “Bunmeiron Onna Daigaku” to improve the status of women and modernize womens’ education. The key elements of “Kinse Onna Daigaku” and “Bunmeiron Onna Daigaku” are gender equality and womens’ rights. As a book written in a transition period that constituted the modernization of a feudal society, Doi Goka’s criticisms and feminism have clear limitations, but we can find value in his being a pioneer by presenting a new feminism.

      • KCI등재

        <특집> 근대 기독교 유입의 여러 갈래 : 윤치호의 계몽사상과 기독교적 자유 -후쿠자와 유키치의 자유관과 종교관의 비교를 통해서-

        류충희 ( Chunghee Ryu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동방학지 Vol.171 No.-

        본고에서는 계몽지식인 윤치호(1865~1945) 의 계몽사상을 일본 메이지기 계몽지식인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정치사상과 비교하여 논하였다. 본고에서 윤치호의 자유관은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것이라고 가정했다. 특히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의 종교관과 자유관을 분석하여 그 관점의 동일성과 차이, 그리고 그들의 관점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정치적 상상력을 문제 삼았다.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는 서양문명을 표본으로 삼아 인민계몽을 주장.실천하여 근대화를 추구한 인물들이다. 그 사상적 기반은 자유로운 개인과 사회.국가의 관계성을 전제로 한자유주의적 정치사상이다.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가 논하는 문명론에는 자연 상태로부터 자유로운 인간이라는 인식이 공통으로 전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인간의 자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대한이해가 달랐다. “종교 밖에 소요(逍遙)”하는 태도를 일관하여 종교적 신앙에 거리를 두었던 후쿠자와는 인간의 “지력(智力)”에 의한 “정신의 자유”에 중점을 두었다. 윤치호도 후쿠자와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지성을 중시했지만, 신앙에 근거한 기독교적 자유와 구제를 염두에 두고 문명론을 이야기했다. 이처럼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에게는 종교의 신앙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적 차이가 존재했다. 하지만 이 두 동아시아 지식인들에게는 종교를 계몽의 도구로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종교에 대한 공리주의적인 인식의 기층에는 문명론, 내셔널리즘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리고 이 공리주의적 종교관의 기층에는 신(문명, 국가) 등과 개인의 관계에 근거한 개인의 내면화.인격화된 근대적 신앙이라는 정치적 상상력이 작동하고 있다. 윤치호는 조선인이 적자(適者)가 되기 위해서는 기독교가 절대적 조건이라고 여겼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종교의 신앙적 문제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고수했지만,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종교의 효용성이라는 공리주의적 태도를 평생 견지했다. 윤치호는 서구문명과 기독교의 암면을 인식하면서도 기독교와 문명에 대한 그의‘신앙’이 존재했기 때문에 문명론을 상대화할 수없었다. 후쿠자와 역시 서구문명을 절대적 명제로 인식하는 ‘신앙’적 태도로 문명론을 주장했다.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의 정치사상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본고에서는 근대 동아시아의‘자유’라는 정치적 상상력과 ‘신앙’이라는 종교적 상상력이 상호 연관되어 작동하는 사상적 계보의 한 예를 제시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Enlightenment thought of Korean Enlightenment intellectual Yun Ch’iho (1865-1945) in comparison with the political thought of famous Meiji Enlightenment intellectual Fukuzawa Yukichi (1835-1901).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Yun’s view of liberty was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In particular, it discusses the two men’s views on liberty and religi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views, and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ir fundamental political imaginations. We can see that Fukuzawa and Yun shared an understanding of Man’s freedom from, and control over, nature in civilized conditions. However, they differed in the ways they considered the driving force behind this freedom and control. While Fukuzawa believed it was intelligence, Yun Ch``iho agreed that intelligence was crucial but believed that the Christian faith was a more important and fundamental force than intelligence. Yun Ch``iho’s and Fukuzawa Yukichi’s views on liberty and religion involved various factors, including civilization, nationalism, and Christianity. We can assume that what was at work in all of these factors was the religious imagination of modern faith. This faith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or civilization, or the nation) and the individual, and the way this relationship is internalized and personified in the individual’s mind.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people who believe that civilization and the nation have a divine origin that began with God to stop imagining this divinity as an absolute proposition.

      • KCI등재

        연구논문2 :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문명사관에서 보는 갑신정변(甲申政變)

        박배영 ( Baiyeong Park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2 일본공간 Vol.12 No.-

        본 논문은 일본을 대표하는 문명개화론자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문명사관에 관한 고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단순히 평면적으로 서술된 문명개화론이 아니라 문명개화론에 특정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후쿠자와에 게 있어 문명사관과 문명개화론은 다소 그 성격을 달리한다. 후쿠자와의 문명개화론에 이른바 인간론과 국가론, 두 가지의 측면이 있다고 한다면, 그 두 측면 중 어느 부분을 후쿠자와 문면론의 주된 측면으로 이해해야 할 것인가. 문명사관은 그 방향성의 문제에 관계된다. 또한 그것은 갑신정변이 쿠자와의 문명개화론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이기도 하다. 갑신정변의주역 김옥균은 일본의 이른바 근대화 성공의 근원을 그들의 실심실사(實心實事) 에서 구하였다. 일본의 문명개화론에 있어서의 실심실사는, 즉 인간의 교제에 의거하면서 문명론적 세계관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것을 제안하는 일본의 문명론적 법론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갑신정변은 실패하고, 후쿠자와는 실망감, 좌절감에 휩싸이게 되고, 이후 국가주의적 문명론을 전개해 나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쿠자와의 문명론은 여전히 인간론과 국가론, 그 두 가지 측면을 양립시켜 나간다. 본 논문은 이러한 후쿠자와 문명개화론에 있어서의 이중적 측면을 계몽주의 철학의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계몽주의 철학의 이론으로서의 문명개화론의 본 모습을 파악하려는 시도이며, 나아가 근대를 논하는 이론으로서의 문명개화론의 의미를 재확인하려는 시도이기도 한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exploring Fukuzawa Yukichi`s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Fukuzwa`s concept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differs from the general idea of civilization. It is the concept suggesting historical progress of civilization. Fukuzawa`s idea of civilization is consist of two theories on human being and on state. Which one is the major part of Fukuzawa`s concept of civilization? The concept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helps us to understand it. The Kapsin Coup(甲申政變) was significant event to Fukuzawa`s theory of civilization. Kim Ok-kyun who played the major role in the Kapsin Coup(甲申政變) believed that the success of the civilization of Japan owed to the spirit of real mind and real thing. The idea of Japanese civilization theoretically proposed the civilized world based on the progress of human relationship and this was related to real mind and real thing. Kim Ok-kyun tried to adopt this concept when he joined the Kapsin Coup(甲申政變) but eventually this coup turned out failed. Fukuzawa was greatly disappointed with the failure of the Kapsin Coup(甲申政變) and shifted his focus on the theory of state when he developed his idea of civilization while he still trie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theories of human being and state.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understand these dual aspects of Fukuzawa`s civilization in the lens of the Enlightenment because I believe that his idea of civilization was one of several theories of the Enlightenment. In addition, I would like to rediscover the historical meaning of Fukuzwa`s civilization as the theory of modernization.

      • KCI등재

        국제법상 문명론의 현대적 함의

        오시진(OH Sijin) 대한국제법학회 2015 國際法學會論叢 Vol.60 No.2

        현 국제법체계에서 “문명”이란 개념은 사문화 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해 다시 논의해야 할 이유가 있을지 의문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은 국제사회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문명 개념이 미치는 영향을 주목할 필요가 충분히 존재한다고 본다. 먼저 국제법적 문제가 발생하는 근거 시점이 19세기나 20세기 초반일 경우에 시제법을 논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는 ICJ가 다수의 사례에서 당시 법을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당시 “식민주의적 세계관과 국제법의 정당성을 재확인해주는 위험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데에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적용할 수 있는 카메룬-나이지리아 간 영토분쟁 사건(2002)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 사건에서 ICJ는 시제법에 따라 영국과 나이지리아 부족 간에 체결된 19세기 보호조약의 법적 결과가 오늘날 유효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당시 식민지배 과정에 체결된 다수의 조약에 하자가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ICJ의 태도를 이해하기 어렵다. 조약이 강박에 의해 체결되거나 절차적 · 형식적 하자가 있을 경우에는 당시 국제법을 기준으로 보아도 해당 조약의 효력을 당연히 유효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ICJ소수의견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ICJ다수의견이 의미하는 시제법은 당시 유럽 국가들을 규제했던 국제법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개별의견을 표명했던 Ranjeva 재판관은 당시 국제법이 문명국과 비문명국을 구분하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즉, 문명국에게 적용되는 국제법이 있고, 비문명국에게 적용되는 법이 따로 있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보았을 때, ICJ가 의도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당시 식민지배의 법적 결과를 형식적으로 수용하여 당시 식민지배 관련 조약을 유효하다고 한다면, 의도치 않게 유럽 국가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던 문명론 또한 승인하는 결과를 가져올 위험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문명론의 현대적 함의를 간과하기 어렵다. 적어도 ICJ가 당시 식민지배를 정당화했던 국제법을 형식적으로 수용하는 시제법 원칙을 고수하는 한 오늘날 국제 분쟁에서도 문명 개념은 완전히 배제될 수 없기 때문이다. The concept of "civilization" has become a dead letter in today"s international legal system. Therefore, it could be a question whether this concept should be brought to surface once again.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despite the changes of international society, there still is a sufficient reason to pay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bove all, when the ground of international dispute is the 19th century or the early 20th century, it is difficult not to discuss the intertemporal law. An issue, however, is that ICJ mechanically applies the law at the time in many cases, and takes the risk of justifying colonial outlook along with the related international laws. In this paper, Cameroon v. Nigeria case will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apply the “awareness” of the issue at hand. In the case, ICJ confirmed that "Even if this mode of acquisition does not reflect current international law, the principle of intertemporal law requires that the legal consequences of the treaties concluded at that time in tire Niger delta be given effect today, in the present dispute."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were numerous legal defects during the treaty-making procedure in the practice of colonization,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stance of ICJ. If a treaty has serious defect as in the case of duress on tire representative of the treaty-making party, the treaty in concern shall not be effective even by the standard of intertemperal law. What can be deduced from tire minority opinions of ICJ is that ICJ is referring to a different set of international law. Judge Ranjeva points out that the law at the time distinguished the civilized and uncivilized nations; and international law applies to the former while colonial law applies to the latter. Therefore, regardless to the intention of ICJ, if ICJ takes the mechanical approach and take the legal effect of the treaties of the previous century as valid without further deliberation, ICJ is taking the risk of recognizing the concept of civilization as well. In this regard, it is difficult not to overlook tire implication of the civilization discourse in today"s international order. As long as ICJ takes formal approach to the principle of intertemporal law, the concept of civilization cannot be excluded from the current dispute entirely.

      • KCI등재

        손병희의 근대화운동과 자유민주주의사상의 확산

        조규태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2

        이 글은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였고, 갑진개화운동 후 천도교를 창시하였고, 민족대표로 3·1운동을 주도한 천도교의 3세 교주 손병희의 근대화운동과 자유민주주의사상의 확산에 대한 글이다. 구체적으로 손병희의 자유민주주의사상의 수용 시기와 이론, 자유민주주의사상의 천도교 내 반영 노력, 자유민주주의사상에 입각한 신인간 형성 활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손병희는 동학농민운동 후인 1890년대 후반 평안도 등 서북지역에 동학을 포교하면서 문명론을 접촉하였다. 미국의 문화와 문명을 경험해보기 위해 1901년 조선을 떠나 일본에 간 손병희는 조희연·권동진·오세창·박영효 등의 문명개화파 인사를 만나 문명론과 자유민주주의사상을 수용하였다. 그리고 그는 부강하고 신앙·언론·출판·집회·결사 등의 자유가 허용되는 미국·영국과 같은 자유문명국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1904년 진보회를 조직하고 문명개화운동을 추진한 그는 1905년 12월 동학을 천도교로 바꾼 후 교회의 제도를 자유민주적으로 개편하고, 3·1운동을 통하여 민주공화제의 자유민주적 독립국가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그는 자유·의지·조화의 정신을 갖춘 신인간을 형성함으로써 자유민주적 천도교의 이상사회를 구현하려고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천도교 내에 자유민주주의사상이 수용되어 확산된 후 제도의 변화와 교인의 사상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규명할 수 있다. 1920년대 천도교의 신파가 구파 및 연합회파와 분리되고, 1948년 평남의 천도교인들이 김일성체제에 반대한 이유를 밝힐 수 있다. 마지막으로 1920년대 민족운동 세력이 분화한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modernization movement and the spread of liberal democracy ideas of Son Byung-hee, the thirdgeneration leader of Cheondogyo, who was the leader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and founded Cheondogyo after the Gapjin Enlightenment Movement. Especially the timing and theory of Son Byung-hee’s acceptance of liberal democratic ideas, efforts to reflect liberal democratic ideas within the Cheondogyo Church, and activities to form ‘new human’ based on liberal democratic ideas were reviewed. In the late 1890s right after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Son Byung-hee came into contact with the theory of civilization while preaching Donghak in the northwest region such as Pyeongan-do. Son Byung-hee, who left Joseon in 1901 to experience American culture and civilization, met civilization enlightenment figures such as Cho Hee-yeon, Kwon Dong-jin, Oh Se-chang, and Park Young-hyo. And he accepted civilization and liberal democratic ideas. And he tried to establish a free civilization state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hich was rich and allowed freedom of faith, media, publishing, assembly, and association. In 1904, he organized Jinbohoe(進步會, the Progressive Society) and promoted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movement, changed Donghak to Cheondogyo in December 1905, reorganized the church system in a free and democratic manner, and tried to realize a free, democratic independent state of the Democratic Republic through the March 1st Movement. In addition, he tried to realize an ideal society of liberal democratic Cheondogyo by forming a new human with a spirit of freedom, will, and harmony.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ystem and the ideological change of believers after the liberal democratic idea is accepted and spread within Cheondogyo. It is possible to clarify why ‘the New Sect of Cheondogyo’ in the 1920s was separated from the Old faction and the United Reunion faction, and why Cheondogyo people in Pyeongnam opposed the Kim Il-sung system in 1948. Finally, it can help to clarify the cause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national movement forces in the 1920s.

      • KCI등재

        여행기에 반영된 문명론의 자의식: 이병한의 『유라시아 견문』 3부작을 중심으로

        전성욱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2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civilization and travel, focusing on Lee Byung-han’s Trilogy of Eurasian Landing. Prior to the full discussion, I wrote about the narrative nature inherent in the act of travel and the writing aspects of the passages that epically organize it.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ravel voyage that was spotlighted in the modern style and the aspect of postmodern change. Next, we looked at the related aspects of travel and civilization.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hierarchical civilization of civilization and uncivilization was discussed through the travel period as a traveler’s desire and power consciousness. In short, in the form of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ravel, the sense of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civilization possessed by the traveler is expressed. In line with this context, I have looked into the related aspects of civilization and travel in detail in the trilogy of Lee Byung-han’s <Eurasian Field Trip>. Lee Byung-han’s travel exemplifies the recognition of the end of Western modernity and the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as the opening of a post-Western era. The narrative composition evolves into a vivid oppositional structure between reaction (western modernity) and great power (new Eurasian age). The details can be summed up in the division and division from convergence and integration, from liberal democracy to the politics of civilization.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travel diary is composed of two layers of travel narrative and growth narrative in that it reflects the traveler’s growth process. The narrative of the journey, which examines the decline of Western modernity and the opening of the new Eurasian era, goes hand in hand with the narrative of the saint, in which the traveler who was a reformist was born again. In short, the characteristic of this journey is the epic fusion of the macroscopic change of world history, the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and the variation of the subjectivity of individual awakening and growth. Finally, I pointed out the problems of Lee’s travel record as follows. In short, it points to the irony of the theme of travel, which must overcome the logic of Western modernity, in accordance with modern dialectical logic. 본 논문은 문명과 여행의 관련 양상을 이병한의 『유라시아 견문』 3부작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여행이라는 행위 자체에 내재하는 서사적 성격과 그것을 서사적으로 조직하는 기행문의 글쓰기 양상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근대적인 양식으로 각광받았던 여행기의 의미와 그 탈근대적 변화의 양상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여행(기)와 문명(론)의 관련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문명과 미개라는 위계적인 문명론의 자의식이, 여행기를 통해 여행자의 욕망과 권력의식으로 드러나는 메커니즘을 논의하였다. 요컨대 여행기라는 서사적 재현의 형식에는 여행자가 갖고 있는 의식적 무의식적인 문명론의 감각이 표출되기 마련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 따라 이병한의 『유라시아 견문』 3부작을 사례로 문명과 여행의 관련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병한의 여행기는 서구적 근대의 종언과 탈서구적 시대의 개막이라는 문명의 전환에 대한 인식을 대전제를 이룬다. 서사적 구도는 반동(서구적 근대)과 대세(새로운 유라시아 시대) 간의 선명한 대립적 구도로 전개된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분할과 분단에서 융합과 통합으로, 자유민주주의에서 문명의 정치로의 이행과 전환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여행기의 서사구조는 여행자의 성장과정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여행서사와 성장서사의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서구적 근대의 쇠퇴와 새로운 유라시아 시대의 개막을 살피는 여행의 서사는 개화파였던 여행자가 개벽파로 거듭나는 성자의 서사와 병행한다. 요컨대 이 여행기의 특징은 문명의 대전환이라는 거시적인 세계사의 변동과 개인의 각성과 성장이라는 주체성의 변이를 서사적으로 융합하여 풀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병한의 여행기가 갖는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요컨대 그것은 서구적 근대의 논리를 극복해야 한다는 여행기의 주제가, 근대적인 변증법적 논리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 아이러니를 지적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