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의 모애착, 또래관계기술,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애착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선영운(宣永雲)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아동의 모애착, 또래관계기술,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애착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모애착, 부애착, 또래관계기술, 안녕감으로 구성된 구조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 1,0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형 적합도지수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고 모형의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연구모형이 자료에 부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모애착과 안녕감의 관계 그리고 부애착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모두 또래관계기술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모애착과 안녕감의 관계 그리고 모애착과 또래관계기술의 관계에서 모두 부애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모애착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또래관계기술의 매개효과가 부애착에 의해 조절되었다. 이 연구는 부애착이 모애착과 상호작용하여 아동의 또래관계기술과 안녕감에 대한 모애착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나타내 보임으로써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서 부애착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by paternal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attachment, peer relational skills, and well-being in children. A total of 1,014 children in 4th and 5th grade participa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oodness fit indices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provided an acceptable fit to the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secure maternal and paternal attachment we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related to better peer relational skills and higher well-being, (2) better peer relational skills were related to higher well-being, (3) both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attachment and well-being were mediated by peer relational skills, (4) paternal attachment moderated the both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well-being and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peer relational skills, and (5) the mediation of peer relation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well-being was moderated by paternal attachment. Implications for practice are discussed.

      • 모애착이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 성인애착과 부부관계 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수경,김해미,정미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임산부의 모애착, 성인애착, 부부관계의 질, 태아애착의 구조적 관계와 모애착과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성인애착과 부부관계의 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의 임산부 625명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애착과 성인애착은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모애착과 부부관계의 질, 모애착과 태아애착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성인애착과 부부관계의 질, 성인애착과 태아애착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부부관계의 질과 태아애착에서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모애착과 부부관계의 질이 태아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인애착은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애착이 부부관계의 질을 통해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경로와 모애착이 성인애착과 부부관계의 질을 통해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나 두 매개변인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산부의 태아애착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원부모와 배우자의 지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고등학생의 부,모 애착과 대인불안간의 관계-사회적지지와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승희 ( Seunghee Han ),김은하 ( Eunha Kim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4 No.-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과 대인불안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 애착과 대인불안간의 관계와 모애착과 대인불안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격려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강원도 지역에 거주하는 남, 녀 고등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부애착과 모애착은 대인불안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와 자기격려를 통제했을 때, 부애착과 모애착은 대인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격려가 모애착과 대인불안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격려를 많이 하는 고등학생은 모와의 애착이 안정적이지 않더라도 낮은 수준의 대인불안을 보였다. 이에 반해 자기격려는 부애착과 대인불안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부애착과 대인불안간의 관계, 모애착과 대인불안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생들의 대인불안을 예방 혹은 완화하기 위해서는 부애착, 모애착, 사회적 지지와 같은 대인관계변인보다는 자기 격려와 같은 내적변인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moth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nxiety, as well as whether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nxiety and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nxiety. A total of 407 participants from four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elf-report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both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were nega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anxiety. However, while controlling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father or mother attachment was no longer significant predictors of interpersonal anxiety. In addition, a moder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was fou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nxiety. Such result indicated that those high schools students who encourage themselves are less vulnerable to interpersonal anxiety, even when their perceived mother attachment w as unstable. Self-encouragement, however, was found not to moderate the relations hip between fath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nxiety. Finally, social suppor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or moth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nxiety. Taken together,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rather than interpersonal variables (i.e.,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and social support), what are important for preventing and alleviating symptoms of interpersonal anxie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re internal variables, namely self-encouragement.

      • KCI등재

        남자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애착과 학교적응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전경숙,이경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School adjustment is the continuous process where students adapt their behavior to produce a mor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school life. It is necessary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ir needs and capacities to meet their needs in school. School adjustment is a major concern at all stages of school life, especially during middle school. Early adolescents experience rapid growth an d development physically, sexually and emotionally, so adjustment problems peak at that age.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 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schoolwork, school friends, school teacher and school life). For this purpose, middle school students(n=290) reported on their perception of their parents attachment,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chool adjustment was associated with parent attachment and self-esteem. Self-esteem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Moreover,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particular schoolwork and school friends, was totally mediated b y self-esteem. These findings point to the potential for improving sel f-esteem to facilitate school adjustm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paternal attachment to male adolescents. 이 연구는 부・모 애착,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간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 애착과 학교적응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자 중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모 애착,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부・모 애착과 학교적응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 애착이냐 모 애착이냐에 따라 매개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부 애착의 경우 학교적응을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 애착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을 부분 매개하기는 하나, 학교적응의 하위 변인에 따라 부분 또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교적응의 하위 변인 가운데 학교공부와 학교친구와는 자아존중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학교교사와 학교생활은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 애착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 애착에 비해 모 애착은 학교공부와 학교친구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자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해서는 부・모 애착도 중요하지만 이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학교적응 가운데 학교공부와 학교친구에 관한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안정적인 애착 형성보다는 아버지와 애착 관계나 자아존중감을 향상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교육적 개입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자고등학생이 지각한 부, 모애착과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및 학교생활, 부모와의 관계 만족감 조절효과

        강경연(Kang, KyoungYeoun),이자명(Yi, JaMyoung),문영주(Mun, YongJoo),홍성숙(Hong, Su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본 연구는 여자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 모애착과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생활 및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자고등학생 875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 모애착은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부애착보다 모애착을 더 높게 지각했다. 모애착은 3학년, 1학년, 2학년 순으로, 부애착은 3학년, 2학년 순으로 학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 모에 대한 애착과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모애착, 부애착, 양육태도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여고생의 진로태도성숙도는 부, 모의 애착 중 소외감과 부모의 과잉간섭적 태도 및 감독적 태도에 유의 한 영향을 받았다. 넷째, 학교생활 만족감이나 부모와의 관계 만족감이 부모애착,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변인이 되는지를 확인한 결과, 여고생의 학교생활 만족감은 방임과 학대적인 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 치는 영향 있어서 조절효과를 보였고,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감은 모애착, 부애착, 방임과 학대적인 양육태도들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ents attachment, parenting attitudes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ptual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parent relationship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875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scores on mother attachment than father attachment. Specif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in mother attachment(3>1>2) and father attachment(3>2) according to school years. Second, mother attachment had the strongest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followed by father attachment and parenting attitudes. Third, alienation, intrusive child-rearing attitude, directed raising attitudes among sub-factors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to affect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Finally, perceptual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 abus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Perceptual satisfaction with parents relationshi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ttachment, father attachment, neglect abus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부 애착, 모 애착, 또래 애착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고영남(Ko Young-Na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청소년 초기의 중학생들이 지적하는 부, 모, 또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중학생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의 중학생 532명(남 273, 여 259)을 대상으로 부, 모, 또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부 애착과 모 애착에 대한 지각정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또래 애착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 모, 또래 애착 모두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부 애착은 부정적 정서와 높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삶의 만족도에는 모 애착이, 긍정적 정서에는 또래 애착이, 부정적 정서에는 부 애착이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라 부, 모, 또래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부 애착과 또래 애착이, 여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모 애착과 또래 애착이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청소년 초기의 중학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또래 애착이 친밀한 것으로 나타난 점, 주관적 안녕감 지각에 있어서 또래 애착과 부 애착의 중요성이 부각된 점,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 대한 모 애착의 상대적 설명력이 높게 나타난 점 등은 가정과 학교 현장에서 중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ather, mother, peer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532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of the middle school in Chungbuk province, Korea.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and the Scale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farther and mother attachment. This study supports recent literature in finding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gender effects for mother or father attachment. Second, the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attachment on peer than male students. This phenomenon may be explained by prior research indicating the female students" social relationships grow increasingly important as development progress and their peer relationships become more intimate. Third, both attachment to father and mothe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life satisfacti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finding that farther attachment is related to emotional adjustment. Finally, A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attachment to parents or attachment ot peers is more influential on adolescent well-being. Most studies have found that attachment to parents is more influential on adolescents" well-being than attachment to peer.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attachment to parents and attachment to peers contribute to different areas of an middle school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애착과 배려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

        안태용,김홍석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 i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4 students who were in the five or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The test tools were Parents attachment, Self-Esteem and Care. We applied the procedures in Preacher and Hayes(2008) on testing multiple medication models to conduct the main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 and maternal attachment were more powerful in relation to paternal attachment. Second, the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self-esteem and maternal attachment were more powerful in relation to paternal attachment. Third, the self-esteem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 Forth, the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ernal or maternal attachment and the care. Finally, Possible reasons for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애착과 배려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부애착, 모애착, 자존감, 배려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Preacher와 Hayes(2008)의 분석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배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모애착이 부애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배려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자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모애착이 부애착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존감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존감은 배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배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이 같은 결과가 의미하는 바와 함께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재혼가정 내 불안정애착 유아와 모의 미술치료사례

        유재은,최선남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3

        This study explored the intervention method and effects of art therapy on a child showing unstable attachment as her mother went through her marriage and divorce and had a dysfunctional attitude towards child rear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six year-old girl and her mother who had remarried. They participated in 28 art therapy sessions. The therapy consisted of individual art therapy and art therapy with both the mother and child togeth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iles and Huberman's matrix and network,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the unstable attachment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the symptoms and factors causing the symptoms, therapeutic factors, and therapy effect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factors that caused unstable attachment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were 'the mother's psychological uneasiness,' 'the child's unsatisfied desire, and 'a family from a second marriage.' Second, therapeutic factors were the two upper categories, 'therapist factor', and 'art therapy and medium intervention factor.' Third, the effects of art therapy were the five upper categories such as 'the mother being emotionally stable,' 'realizing the importance of mother's role,' 'causing a behavioral change in a child,' 'being sure that mother loves me,' and 'the therapist's learning through the client.' 본 연구는 이혼과 재혼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불안정애착으로 인해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와 역기능적 양육태도를 보이는 모를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파악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재혼가정의 6세 여아와 어머니로 개별 또는 모-유아를 함께 하는 형태로 28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질적분석 방법으로 Miles와 Huberman의 매트릭스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모-자녀의 불안정애착 증상의 유발요인, 치료적 요인,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모의 불안정 애착 유발요인으로는 모의 ‘심리적 불안’, ‘유아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 ‘재혼이라는 가족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적 요인으로는 ‘치료자 요인’, ‘미술치료 및 매체개입요인’으로 2개의 상위범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정애착 유아와 모의 미술치료효과에서는 ‘모가 심리적으로 안정됨’, ‘엄마역할의 중요함을 깨달음’, ‘유아의 행동변화가 야기됨’, ‘엄마는 나를 사랑한다고 확신함’, ‘치료자도 내담자를 통해 깨달음’의 5개 상위범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 미치는 감사의 매개효과

        김양운,김병석,최희철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gratitude variabl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 and life satisfaction. To compare the fit between research model and competitiveness model, 47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nswered for questionnaires- attachment to father and attachment to mother, gratitude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he effect of attachment to parents on life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gratitud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mother and life satisfa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gratitud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father and life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gratitude. Fourth, the attachment to mother and the attachment to father didn't have interactive effect on gratitude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부모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 대한 감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대학생 476명에게 부애착 척도, 모애착 척도, 감사 척도, 삶의 만족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감사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것은 부모애착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가 감사에 의하여 매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모애착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는 감사에 의해서 완전매개 되었다. 셋째, 부애착과 삶의 만족사이의 관계는 감사에 의해서 부분매개 되었다. 넷째, 모애착과 부애착의 감사와 삶의 만족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부애착의 정도에 따라 모애착과 감사, 모애착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의 강도가 달라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부모 및 또래애착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명화,박영자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3 가족과 상담 Vol.3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부애착과 모애착 그리고 또래애착이 그들의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이 과정에서 자동적사고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이를 위해 서울, 경기,인천 지역의 중학생 391명(남 192명,여 199명)을 대상으로 부애착,모애착,또래애착, 자동적사고,분노표현의 척도를 사용하였다.자료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상관분석,중 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또래신뢰감과 또래의사소통은 남녀 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하위유형들은 남녀의 차이가 없었다.둘째,부,모,또 래애착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세 변인간에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애착과 자동적 사고는 부적상관,애착과 분노표현도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셋째,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또래애착은 자동적 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넷째,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자동적 사고는 분노표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남학생과 여 학생 모두 부애착과 모애착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동적 사고는 완전매개를 하였 고,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또래애착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동적 사고는 부분매개 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분노표현에 개입함에 있어 자동적사 고의 중요성을 시사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