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모델 중심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전략적 고찰 :

        한승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최근 기업교육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 전략이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한 대안적 접근전략으로 활용가능한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검토를 통하여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 전략으로서의 역량모델의 개념과 적합한 개발 절차를 이해하고,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한 실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사례를 통하여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한 다음,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한 대안적 접근전략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첫째, 역량모델이 기업교육뿐 아니라 학교 교육분야에서도 교육과정 개발의 한 대안이 되기 위해서는 ‘역량’의 개념에 대하여 보다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종래의 단순 지식이나 기능만으로서가 아니라 창의적 사고 등 보다 고등한 사고능력으로까지 역량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접근이 활용차원에서뿐 아니라 이론과 원리를 보다 정교하게 하고 이를 실천·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기반교육이 단지 단순 지식이나 기술에 관한 것뿐 아니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지지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역량모델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교육·훈련의 상황적 특성에 따라 개발 모형과 기법이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안내되어야 한다. 등으로 요약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flect on a strategy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competency-based model. Every corporation focuses its attentions on seeking self-motivated employees who are able to demonstrate their full abilities on their tasks. The competency based HR management which is in the spotlight can be regard as a trial to achieve the self-motivated employees. Competency i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the ones with better performance level than the others with average level of performance. And competency based model is recently perceived as one of powerful strategies for develop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n busin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and answered. First, what are the general view, the basic ideas and the foundation of competency-based model. Second, what is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competency-based model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in business. Third, Is there any possibility of adapting the competency based model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made. If the competency based model would be used i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re must be clear definition about competency including higher thinking ability. And, there must be enough studies about specific procedures and methodologies in competency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대학생의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갈등을 감지하는 ChatGPT 기반의 챗봇 개발

        전신영,이현우 한국교육공학회 2024 교육공학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대학생들이 흔히 겪는 갈등을 조기에 감지하기 위한 갈등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갈등요인 분석 인공지능(AI) 분류 모델을 적용한 ChatGPT 기반의 챗봇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Varpio 외(2020)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개발 모델에 따라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의 갈등 프레임워크를 갈등유형과 원인 및 갈등수준과 단계를 포함하여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갈등유형은 크게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으로 분류하고, 세부적인 갈등요인은 총 10가지로 도출하였다. 개발된 갈등 프레임워크에 따라 S대학교 사범대학 팀 프로젝트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2023년 9월 25일-10월 25일까지 약 4주간 참여한 7개 팀의 각 4-5회 분량(1회당 100분 이상)에 해당하는 팀 활동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로 변환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통해 갈등이 표출되는 대화 세트를 갈등 요인별로 도출하 AI분류 모델 개발의 훈련 및 평가데이터로 사용하였다. ChatGPT-4를 기반으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대화 데이터를 분석하고 갈등요인을 감지하는 맞춤형 챗봇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모델은 다중클래스 분류모델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78.9%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AI 분류모델을 적용한 챗봇은 팀활동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나 학습상황을 교수자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AI 활용에 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research endeavors to develop a conflict detection framework and a ChatGPT-based chatbot designed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of conflicts with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s among college students. Drawing upon Varpio et al.’s (2020) model for conceptual framework development, conflicts are categorized into task and relationship types, with 10 specific conflict factors identified. Data from seven teams participating in a noncurricular program at S University were recorded over a four-weeks period. They were then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o extract dialogue sets indicative of conflict for AI model training and evaluation purposes. These dialogue sets served as both training and evaluation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AI classification model. Leveraging ChatGPT-4 and prompt engineering a customized chatbot was engineered to analyze dialogue data and detect conflict factors. Subsequently, the final model underwent performance evaluation, achieving a commendable accuracy rate of 78.9% in multi-class classification. This chatbot assists instructors in promptly addressing team conflicts and providing feedback, Thereby augmenting team project management and pioneering a novel approach to AI integration in education.

      • IT프로젝트 감리 사례 비교 연구 : 컴포넌트 기반 개발법(CBD Method)

        박기호(Ki ho Park)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5 No.1

        Different from traditional development methodology like waterfall model, the CBD (component-based development) uses a building block approach to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 The audit procedure and checklist for the traditional IS development methodology should also be modified for suitable use of the CBD. This research analyzed IS audit guidelines for the existing developing process and case projects applying component-based development process in order to explore possible ways of improving audit criteria. For purpose of the study, the governmental public project and the next-generation IS project of financial agency were employed as case projects. By comparing the existing IS audit checklist and the audited items of case projects, this study identified newly addable and proper check items for the CBD-centric audit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d new items to be added such as project control in management phase, usage case and conceptual model establishment, etc. in analysis design phase, and component evaluation and design, etc. in implementation phase, and so for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provides new items and guidelines suitable for the CBD projects and clues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applicatio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전통적 프로그램 개발방법론인 폭포수 모델 개발생명주기와 달리, 부품 형태의 컴포넌트를 조립하여 개발하는 방법론이 확산되고 있다. 컴포넌트 기반 개발(Component Based Development)의 감리에는 전통적 개발방법에 근간을 둔 감리기준이 아닌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에 적합한 감리가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개발방법론 근간의 감리기준과 CBD적용 프로젝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감리기준의 개선점여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사례로는 정부 공공프로젝트와 금융기관의 차세대정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선정하였다. 기존의 정보시스템감리 기본점검표와 사례에서 의 감리검토항목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감리검토항목의 개선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례분석의 결과로 CBD 프로젝트에 적합한 감리검토항목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의 효율성 제고 및 품질향상에 이바지 할 것이다.

      • KCI등재

        모델 검증 시스템을 활용한 함정전투체계 소프트웨어에 일관된 UML 모델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정승모(Seung-Mo Jung),이우진(Woo-Ji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5

        최근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하는 데 있어 불명확한 의사소통을 해결하기 위해 가독성이 높은 표준화된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모델 중심의 모델 기반 개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숙련도, 모델 및 모델링 도구의 이해도에 따라 대규모 소프트웨어에 일관성 있는 UML 모델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일관성 있는 UML 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모델 검증 시스템 개발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개발된 모델 검증 시스템을 함정 전투체계 소프트웨어 개발에 일부 적용하여 기능을 입증한다. 모델 검증 시스템은 개발자들이 작성한 모델들을 도메인 특성에 맞게 자동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 검증 시스템을 사용하면 함정 전투체계 소프트웨어 개발에 좀 더 쉽게 일관성 있는 UML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Recently, a model-based development method centered on highly readable and standardized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models has been applied to solve unclear communications in large-scale software develop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consistent UML models depending on software developers’ proficiency, understanding of models and modeling too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veloping a Model Verification System to apply an consistent UML model to software development. Then, the developed Model Verification System is partially applied to the Naval Combat System Software development to prove its function. The Model Verification System provides automatic verification of models created by developers according to domain characteristics. If the Model Verific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s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pply the consistent UML model more easily to Naval Combat System Software Development.

      • KCI등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모델 기반 통합 개발 도구

        정기원(Kiwon Chong),김주일(Juil Kim),이우진(Wooji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3 No.7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모델 기반의 통합 개발 도구를 제시한다. 제안하는 도구는 이클립스 플랫폼의 플러그인으로 개발되었으며,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모델 작성기, 설정정보 생성기, 모델 검증기, 소스코드 생성기 및 템플릿 저장소로 구성된다. 이 도구는 UML의 클래스다이어그램과 같은 표기법을 이용하여 구축하고자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모델링하고, 센서 네트워크 모델로부터 응용 프로그램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개발자들은 도구를 이용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모델을 작성하고, 모델에 속해 있는 각 센서들의 역할을 정의하여, 역할에 따른 속성값을 설정해 주기만 하면 각 센서들의 역할 수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또한 작성한 모델에 대한 설계를 검증하여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USN 응용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제안하는 도구를 이용하면, 개발자들은 하위레벨의 정보를 자세히 알지 못하더라도 다수의 센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쉽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A model-based integrated development tool for the development of USN application programs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tool has been implemented as a plug-in for Eclipse platform. The tool consists of Graphical User Interface, Modeler, Configuration Information Generator, Validity Checker, Source Code Generator and Templates Storage. Developers can implement USN applications from models of sensor networks using the tool. The developer can implement USN applications by automatic generation of execution code of each node in the sensor network after he/she designs a model of the sensor network.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each n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the validated USN model. Then, the execution c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the predefined templates. Through the tool of this paper, developers can easily implement valid USN applications even if they do not know the details of low-level information. Also, a large number of application programs can be generated at once because application programs are generated from sensor network model instead of models of applications. Accordingly, the development effort of USN applications will be decreased and developers can consistently construct USN applications from USN models using the proposed tool.

      • KCI등재

        대학에서의 팀기반 학습 설계모형 개발연구

        장선영(張善英),이정주(李挺株)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팀기반 학습을 위한 설계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팀기반 학습 및 설계모형과 관련된 문헌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1차모형을 개발하였다. 1차 모형에 대한 개선점을 확인하기 위해 4인의 전문가 검토와 초보 교수설계자 3인의 모형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검토 및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팀기반 학습 설계 적합성 분석, 학습자 분석, 팀 구성, 환경분석, 환경 설계, 과제설계, 과제 개발, 평가도구 개발, 수업전략 개발, 평가 체제 개발, 강의계획서 개발, 형성평가 실시, 팀기반 학습 실행, 총괄평가 실행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모형의 각 단계에 대한 설계활동 및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에서 팀기반학습을 설계하고 실행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최종 모형은 7인의 전문가 타당화를 거쳐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점과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Team-based learning(TBL) design model in higher education. The TBL desig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1) developing the 1st TBL design model in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2) getting the expert review on the first TBL design model, 3) getting test for use by four practicing instructional designers, and 4) getting model validation by seven experts. The developed TBL design model consists of "judgement of appropriateness of TBL in university class", "learner analysis", "team building", "learning-environment analysis", "learning -environment design", "task design", "task development", "evaluation tool development", "formative evaluation", "TBL instructional strategies design", "evaluation-system determination", "syllabus development", TBL implementation", and "summative evaluation". The TBL design model in high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ncludes specific guideline of each step of this model. The model was validated by seven experts. The results as follows: All of the CVI were over 0.8, and IRA was near 0.9.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TBL design model was both reliable and valid. The suggested model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design scaffolding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민효(Min Hyo Lee),남창우(Chang Woo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대학교육에 적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선행연구 문헌분석을 통해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초안의 구성요소와 설계 원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형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대학교육에서 핵심역량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DCA의 절차모형에 따라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세부 수행내용을 제시하고 11개의 하위 단계, 21개의 범주 63개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둘째,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은 Plan(계획), Do(실행), Check(평가), Act(개선)의 4단계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Plan(계획) 단계는 교육환경 분석, 핵심역량 개발, 교육목표 수립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Do(실행) 단계는 요구분석, 교육과정 설계, 대학의 인프라 분석, 평가방법 개발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구성하였다. Check(평가) 단계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평가, 학습자의 역량 향상 정도 평가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Act(개선) 단계는 강화를 위한 도약, 새로운 계획 수립의 주요 수행 내용으로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PDCA 라는 하나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역량기반 교육에 적용하여 PDCA 각 단계별로 교육과정 요소 및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자 및 운영자에게 실질적인 전략과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및 교수전략으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odel and an instructional design plan using PDCA model in university education. Methods To achive this purpose the components and design principles of the draft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using PDCA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three Delphi surveys on expert panels in the field. Results The components of the finaliz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re as follows. A total of 62 components in 21 categories with 11 sub-stages under four stages (Plan, Do, Check, and Act) were developed for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using the PDCA cycle. Components of the “Plan” Stage include educational environment analysis, core competency development, and educational goal establishment. The “Do” Stage comprises of needs analysis, university infrastructure analysis, curriculum design, and 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The “Check” Stage has components such as competency-based curriculum evaluation, and the assessment of learners’ competency improvement. The components of the “Act” Stage consist of leap-off toward reinforcement and new plan establish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a systematic, cyclical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in terms of the quality manag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using the PDCA cycle. In addition, for professors to provide competency-based classes, it developed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university education so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y.

      • KCI등재

        STEAM 교수 학습 원리를 활용한 진로교육 모형 개발

        김미수(Kim, MiSoo),임병노(Lim, Byungr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이 연구는 진로교육에서 진로개발역량 신장을 위한 교수 설계 모형 개발에 목표를 두고 있다. 기본적으로 진로개발역량은 진로와 관련한 상황에서의 지식 활용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 영역의 지식이 융합될 수 있는 체험 활동이 중심이 되면 서 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과 자기 성찰에서 개발될 수 있다. 이는 곧 삶과 연계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의 지식 융합을 기반으로 타인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자기 성찰을 거쳐 궁극적으로 실생활에서 지식 활용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STEAM 교육의 교수 학습 원리와 연계된다. 이에 본 연구는 모형 개발을 위해 국·내외 STEAM 교육의 특징 및 구성 요소, STEAM 모형을 분석하여 STEAM 교수학습 원리 및 핵심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내용으로서는 진로개발역량, 교육원 리로서는 STEAM, 교수전략으로는 PBL’ 이라는 세 가지 축에 기반하여 진로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후 이에 따른 프로그램을 중학교 2학년 남·여학생 70명에게 방학을 제외한 2015년 9월부터 2016년 3월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마인드맵 및 진로 개발역량 검사를 실시한 후, 사전⋅사후 t-검정을 통해 진로개발역량이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진로교육 모형이 진로교육의 본연의 목적을 실현하고, 진로개발역량 함양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future society needs active professionals who can adapt to changes and apply acquired knowledge in the real world. Focusing on career education which makes having competencies more important. This requires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areer education needs a teaching-learning strategy that promotes action for future jobs and paths in real life exper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lso, learning and real life need to be connected to gain competencies from career education. Various aspects need to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interaction between society and environmental elem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Career Education using STEAM (hereby referred to as CES) model. The CES model has five stages - 1st stage: analysis, 2nd stage: design, 3rd stage: development, 4th stage: practice and 5th stage: assessment and extension. The learner build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y utilizing integral knowledge of various fields, interaction with others and with environments, feedback from teachers, constant self-examination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creative works.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pre- and post-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mind mapping, career development and competency test. The results of comparison analyses showed that ‘self-understanding’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a conclusion, the CES model will help learners to make decisions regarding their future careers and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for experiences allowing them to show their competencies in their chosen career field in the future through learner-centered career education.

      • KCI등재

        모델기반 개발기술을 적용한 무인항공기 비행제어 소프트웨어 개발

        문정호(Jungho Moon),신성식(Sungsik Shin),최승기(Seungkie Choi),조신제(Shinje Cho),노은정(Eunjung Rho) 한국항공우주학회 2010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8 No.12

        본 논문은 근접감시 무인항공기(KUS-9)의 비행제어 소프트웨어(S/W) 개발 과정과 모델기반 개발 기술 적용 결과를 다룬다. 대표적인 상용 모델기반 설계도구인 MATLAB Simulink<SUP>®</SUP>를 활용하여 통합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비행제어법칙, 운용로직, 비행 시뮬레이션 모델, HILS(Hardware-in-the-Loop Simulation) 시스템 모델을 설계하였다. 설계 과정에서 요구사항 충족을 위한 시뮬레이션 및 동료검토를 수행하고 DO-178B 검증 도구를 이용하여 모델을 검증한 후 S/W시험 도구를 통해 C코드의 무결성을 검증하였다. 탑재 소프트웨어는 두 기종의 하드웨어 및 실시간운용체제(μC/OS-Ⅱ, VxWorks)에 탑재하여 HILS시험과 비행시험을 수행하였다. 모델기반 개발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S/W 재사용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고 자동코드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고신뢰 비행제어 S/W를 단기간에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Model-Based Development(MBD) process behind the flight control software of a close-range unmanned aerial vehicle(KUS-9).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was created using a commercial tool(MATLAB Simulink®), which was utilized to design. models for linear/nonlinear simulation, flight control law, operational logic and HILS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system. Software requirements were validated through flight simulations and peer reviews during the design process, whereas the models were verifi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DO-178B verification tool. The integrity of automatically generated C code was verified by using a separate S/W testing tool. The finished software product was embedded on two different types of hardware and real-time operating system(uC/OS-Ⅱ, VxWorks) to perform HILS and flight test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MBD Technology enables the development of a reusable and an extensible software product and auto-code generation technology allows the production of a highly reliable flight control software under a compressed time schedule.

      • KCI등재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개발을 기반으로 한 농산촌 발전 프로세스도입 방안 연구 : 충청북도 괴산군 사례를 중심으로

        장주연,김재현,박정윤,최현선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1

        본 논문은 지역자원(territorial resources)과 커뮤니티 발전(community development)을 기반으로 한 농 산촌 발전 프로세스(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를 현장에 적용하고, 국내에 효율 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2년 6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충북 괴 산군을 대상으로 총 3단계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괴산 내 지역자원조사를 실시하고 대표자원을 발굴하는 과정이다. 지역자원조사 결과, 대표자원으로 ‘산림’과 ‘귀농귀촌인’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는 지역자원과 커뮤니티발전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을 유도하는 단계로, 괴산의 대표자원으로 도출된 산림자원을 활용한 비즈니스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하였다. 산림자원을 활용한 지역주민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한 방법으로, 약 1개월간 모집·선발하였다. 3명 이상으로 조직된 팀별 지원을 원칙으로 했으며, 구성원으로 귀농귀촌인들을 반드시 포함할 것을 명시하여 원주민과 귀농귀촌 인의 연계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공모전 결과, 대부분의 아이디어는 임산물 생산판매와 산림휴양활동 에 집중되어 있었고, 최종 5개 커뮤니티가 선발되었다. 세 번째는 지역자원을 활용한 전략적 계획을 수 립하는 단계로 선발된 5개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산림자원을 활용한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사업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2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 커뮤니티의 사업모델을 도출하 였다. 괴산에 적용한 3단계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지역자원과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촌 발전 모델을 효 과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4가지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 영한 지역발전의 가이드라인과 핵심요소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는 지역주민들이 스스로가 조직을 구성하고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지역의 인적자원을 발굴하고 양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중간 지원조직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농산촌 지역개발에 있어 소홀히 되었던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발굴 및 교육을 강조한 연구로 지역자원과 커뮤니티를 연계한 농산촌 지역발전모델을 만들어 내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 볼 수 있다. 향 후 ABCD 프로세스 도입을 통한 지역발전의 효과성과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실증적인 연구가 추가적으 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rocesses of rural development based on territorial resources and community development to Korean rural areas and provide suggestions on implementing the processes effectively in Korea. From June 2012 to February 2014, 3 step-processes were applied to Goesan, in Chung-buk. The first step was to investigate territorial resources in Goesan and find representative resource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representative resources are categorized as “forest” and “migrants from urban cities”. The second step was to increase local people’s awareness of territorial resources and community development. To do so, this study proposed a contest among businesses to develop ideas for using forest in Goesan. Most ideas focused on making and selling forest products or on recreational activities that involve the forest. Consequently, 5 communities were selected. The last was to discuss strategies and plans for businesses using territorial resources.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4 communities set up such strategies and plans for about two month. Based on the application processes in Goesan, four factors are needed to implement the process effectively in Korea. First are guidelines and key factors for rural development. Second is a system through which local people are able to participate in and organize communities. This necessitates a third factor: an education system that identifies and cultivates human resources in rural area. Finally,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