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러닝 기반 한국어 교육 전공 수업 사례 연구 : ‘한국어교육과매체언어’ 수업을 중심으로

        정성헌(Jeong, Seong-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 전공과목인 <한국어교육과매체언어> 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수업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그 의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이에 본고에서는 플립러닝 방식으로 운영된 <한국어교육과매체언어> 수업의 수업 구성을 제안하고, 학습 결과물과 학습자의 성찰 일지, 수업 만족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전공 교과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얻게 되는 효과와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수강생들은 심화된 학습 활동을 할 수 있었고, 실무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실습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또한 교수와 학생 간 활발한 상호작용이 가능했으며, 학습자의 자기주도력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늘어난 학습량, 과제 및 협업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부담 등 보완할 부분도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전공 교과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그 수업 내용을 제안하고 수업의 효과와 한계를 다각도로 확인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학습량 및 협업 활동의 부담 등 플립러닝 수업의 개선 과제를 극복하고 플립러닝의 효과를 제고하는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lass, which are major subj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examine their significance.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es by proposing the class composition of the <Korean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lass operated in a flipped learning method and analyzing learning outcomes, learners reflective journal, and class satisfac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were able to engage in advanced learning activities and have practical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practical skil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ctiv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as possible, and that learners self-direction could be enhanced. However, some parts to be supplemented, such as the increased amount of learning, the burden of learners on tasks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were also confirm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that proposes the composition of the class by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ubjects and confirms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the class. This study expects follow-up studies to overcome the improvement tasks of flipped learning classes, such as the amount of learning and the burden of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 KCI등재후보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

        이창덕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7 No.-

        이 글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대중매체(매스미디어)와 국어교육의 접점의 하나로서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그 관련성을 토대로 라디오 방송을 국어교육에 어떻게 끌어을 것인가를 논의한다. 현재 우리 사회에 강력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매스미디어를 국어교육에서 적극 수용하고, 매스미디어를 어떻게 국어교육에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국민공통교육과정의 국어교과에 방송을 비롯한 매스미디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국어교육을 위해서 바람직하기만 한가, 체계적 적용이 가능한가를 따져보아야 하고, 미디어 교육이 국어교육에 바람직하고 적용 가능하다는 판단이 내려진다면 다양한 대중 매체 들을 어떻게 국어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것인가 등에 대해서 충분한 사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방송매체를 국어교육에 수용하되, 대중매체의 언어나 언어사용 원리를 중심으로 다루고, 매체 일반에 대한 교육이나 매체에서 다루는 담론 내용들에 대해서는 국어 교과 외의 영역에서 다루거나 다루더라도 그 비중이나 중요도를 낮추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현장에서 다룰 방송매체교육은 현장의 특성에 맞게 구체적 대상과 학습 방법을 개발해서 선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방송매체 교육을 국어교육에 도입한다면 방송언어에 교육의 초점을 맞추고, 라디오 방송의 경우에도 라디오 방송언어나 그 사용의 원리 등을 국어교과에서 익히고, 학생들이 라디오 방송을 직접 듣고 라디오 방송에 참여하며, 나아가서 라디오 방송 제작 등을 해 보면서 다양한 언어생활을 경험해 보는 것은 반드시 국어교과에서만 다루어야 한다고 고집할 것이 아니라 통합 교과 수업이나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을 통해서 다룰 수 있도록 개방적 입장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라디오 방송을 비롯한 대중매체에 대한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다루어지는 것은 필요하지만, 국어교육에서 다루어지는 매체교육은 그 대중매체들 전반에 관한 교육, 나아가 사회 전반에 나타나는 다양한 의미의 생성과 해석 과정 전반을 다루는 교육이 아니라 대중매체 언어와 언어사용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 대중매체와 국어교육,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 라디오 방송언어와 국어교육으로 층위를 나누어 살펴본다. 그리고 라디오 방송과 국마교육의 관계를 세우고, 라디오 방송 이해 교육, 라디오 방송 언어 이해 교육, 라디오방송 체험교육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ffective wa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with the language on the radio broadcastings in South Korea. Recently, the opinion that 'media literacy'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etting power of persuasion among schola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it needs to examine carefully t o include mass media education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media education, especially radio program education, has to be dealt at the low level involved only with the language being used in radio broadcasting. An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an education focusing on the principles which can explain various aspects of broadcasting language usages. It is argu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could be effectively performed not only in the Korean language classes but in the integrated subjects classes such as ethics and language classes, sociology and language classes etc.. . In chapter two, it is argue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role of broadcasting language in language education. The areas of broadcasting language education involved with language education in schools can be divided by many criteria, for instance, by the sorts of broadcasting network, characters of programmes, and purposes of education etc.. This paper suggests a series of categories of broadcasting language education by each criteria. In the following chapter, this article classifies the various ways to adopt radio broadcast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eing divided into layers, radio broadcas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sorted into education to understand radio broadcasting system, education to learn radio broadcasting language, and education to experience radio broadcasting. And each layer gives concrete shapes of classes teaching and training broadcasting language and its principles of usage.

      • KCI등재

        매체 언어의 국어과 교육과정 수용 방안 연구

        김영선(Kim Young Seon)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6

        이 연구는 언어와 매체가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가지는 위상에 대해서 살핀다. 이를 바탕으로 ‘매체 언어’와 관련된 내용이 보다 통합적으로 조정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국어과의 궁극적인 목적은 문식성(literacy)의 강화에 있다. 텍스트를 이해하고 비판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문식성 교육의 최종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음성 언어, 문자 언어와 더불어 매체 언어 또한 문식성 교육의 기초적인 수단이라는 점에는 이의가 없다. 그러나 매체 언어에 대한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지만 이들에 내재된 규칙성이나 교육 내용, 수업 방안 등 많은 부분이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매체 언어를 대하는 관련자의 입장 또한 교육 외적인 이유로 매체언어의 처리 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체 언어 교육의 목적이 문식성 확보에 있다는 전제 하에 본고는 매체 언어와 관련된 내용이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통합되어 있는지를 살핀다. 또한 매체 언어와 관련된 내용이 교육과정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서 매체 언어가 다른 내용과 충분히 통합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Language and Media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15. Based on this, they argue that content related to media language needs to be more integrated. The ultimate goal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to strengthen the literacy. Develop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ext and to voice oneself is the ultimate goal of a literacy education. In this regard,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media language, along with the existing voice language and text language, is also a fundamental means of literacy education. However, while the importance of the media language is increasingly emphasized, much of the rules,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inherent in them need to be discussed. The related person s position on media language is also affecting the processing of media language for reasons other than education. On the premise that the purpos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s to secure a literacy, it looks at how contents related to media language are integr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revised in 2015. We will also look at how media language-related content is being developed in the curriculum and argue that the media language can be adequately integrated with other contents.

      • KCI등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각매체 비교연구 - 중국 손짓언어를 중심으로

        이노미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2

        본 연구는 중국 손짓언어의 시각매체 교육효과와 학습자 관여도에 대한 특성과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이한 언어를 사용하는 한ㆍ중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손짓언어는 각기 다른 문화규범에 의해 형성된 상징기호인 까닭에 다의적인 메시지 해석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비언어 습득을 위한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당위성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주요목표는 상이한 문화구성원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비언어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학습자의 인지태도 변화를 유도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때문에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에서의 인지적 접근을 위한 시각매체의 활용은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촉구하여 비언어 정보취득에 유용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관점에 의해 중국 손짓언어 교육의 시각매체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효과에서는 한국 영상자료가 가장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으며 학습자 관여도에서는 중국영상과 한국영상, 사진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시각매체별 관여도에서는 학습자의 흥미가 학습효과에 효율적인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에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시각매체 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비언어 단서에 대한 새로운 지각과 함께 매체 자료내용이 학습과정에 유기적으로 통합되었는지에 대한 검토가 수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통한 문화갈등 해결 능력의 긍정적 효과가 보다 확대되도록 시각매체의 올바른 활용방안이 구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론적으로만 수행되었던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인지적 접근교육에 실용성을 부여함으로써 시각매체 교육방안의 실질적 단초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instructional media of chinese hand languag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learner’s involvement and seek ways to promote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inducing changes in cognitive attitude of learners with the acquisition of nonverbal information through smooth communications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for cognitive approach in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enhances the motivation of learners and works as a useful tool for the acquisition of nonverb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media of chinese hand language education from this perspective, in terms of effects of learning, Korean visual data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achievements and in regard to learners’ involvement, it was found that more learners were interested in Chinese images, Korean images, and photographs. Considering these results, in order to promote instructional media education in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along with raising new awareness about nonverbal signs, it should be reviewed if the contents of the media are organically integrated in the learning process. Furthermore, to expand the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cultural conflicts through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ways to properly use instructional media should be sough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nvolved practicality in the cognitive approach to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has only been made theoretically, and provided practical starting point for instructional media education.

      • KCI등재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김대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8 No.-

        이 연구의 목적은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의 과정을 모색하고, 메시지 생산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데 있다.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 과정을 ‘구상-생성-조직-재현’의 4단계로 설정하였다. 매체 언어 쓰기는 일반적인 쓰기와는 달리 영상 체계의 언어의 구조와 특질을 파악해야 하고, 인지적, 사회적 측면뿐만 아니라 기술적 측면까지를 고려하여야 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창의적인 언어로 소통할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만들어내는 일은 매체 언어 쓰기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매체를 통한 재현 방법, 매체 언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메시지 생산, 독자의 참여와 반응, 신념과 가치의 전달, 목적과 의도의 효과적인 전달과 같은 핵심 개념을 설정하여 언어적, 사회적, 기술적으로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텍스트의 생산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한 전략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며, 주어진 상황과 환경에 따라 표현의 다양화를 도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매체 언어 쓰기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범위를 확장하고, 인지경험의 공유와 기록, 문화적 전수 측면에서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oduction process of media and to discuss the courses of writing in media education. The discusses are focused on the core concepts to be considered in manufacturing media message. This study suggests the writing process ‘conception-formation-organization-representation’. The manufacturing media is very complicated progress to understand the structures and features of visual language system and to consider even cognitive, social and technical sides of media. Making messages to communicate efficiently using a creative language is very important problem and aim in media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suggests these courses:What are you writing and how to representate? Do you understand the media language structures(format, technology and factors) to need to make message? Have you determined the target audience and is your message engaging the audience? Do you frame values and points of views in the contents clearly? What purposes and intentions do you have? The producer has composed the meanings efficiently using obtained strategies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expressed variously according to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this context ‘writing media’ extends the area of haman's communication and includes linguistic,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the way of the sharing and recoding for cognitive experience and the inheriting sociocultural backgrounds.

      • KCI등재

        다문화 시대의 미디어 문식성 교육을 위하여

        이미숙(Lee Mi-soo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2

        본고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미디어 문식성이 갖는 의미와 그 문식성을 신장하기 위한 매체 언어 교육의 방향, 그리고 구체적인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정리한 논문이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미디어와 관련된 언어 능력이 갖는 더 중요한 의미는 미디어는 언어기능을 넘어서서 언어문화의 장이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소통에서 ‘미디어’의 위상은 ‘미디어’가 새로운 문화를 중계하고, 창조하는 현상의 중심에 있다는 점에서, 특히 다문화 교육과 중요한 관계를 맺는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에게 필요한 한국어 사용 능력에 ‘매체 언어 능력’이 고려되어야 한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에게 있어 미디어 문식성이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보았다. 먼저 언어 공동체로 편입 혹은 새로운 언어 공동체의 주체가 되고자 할 때에 멀티미디어 문식성이 이 학습자의 전통적 문식성을 확장하고 심화시키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다문화 공동체를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아가는 능력이 된다는 점을 살폈다. 이어 다문화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매체 언어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먼저 다문화적 정체성을 성찰하는 매체 언어 교육을 위해서 ‘일상생활 매체로부터 시작하기’,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 정체성 표현 기회를 제공하기’의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문화적 소통방식을 탐색하는 매체 언어 교육으로는 ‘시각이미지의 적극적 수용’과 ‘인터넷과 휴대전화 매체의 영향력 고려하기’와 관련한 내용들을 다루었다. 언어문화 경험은 한 개인의 정체성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언어 기능만 가르치는 다문화 교육으로는 부족하다는 현실 인식에서 출발하여, 매체 언어 교육을 통한 멀티미디어 문식성 신장을 새로운 목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a thesis which is organized based on cases for the significance that media literacy has on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objectiv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for raising such literacy and the specific methods. The more important significance that language ability related to media has on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that the media is a place for language culture which goes beyond the function of language. The position of 'media' in the communication of modern society forms an important relationship especially with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fact that 'media' relays a new culture and is at the center of creating status quo. The 'media language ability' has to be considered in the ability to use Korean which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ignificance which media literacy has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considered as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it is the fact that multimedia literacy plays a key role in extending and deepening the traditional literacy of the learner while entering the language community or trying to become a subject of new language community. Second, the fact that it becomes an ability to maintain and develop multicultural community has been examined. Next, a media language education objective for raising multi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has been proposed. First, the cases of 'starting from the daily life media' and 'providing the student an opportunity to express self identity' have been examined for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to self-examine the multicultural identity. And for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to search for multicultural communication method, the details related to 'active accommodation of visual image' and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internet and cellular phone media' have been dealt with. The language culture experience is in charge of a key role in developing the identity of one individual. Starting from the awareness of reality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ing only the language in the traditional standpoint, the extension of multimedia literacy through media language education was attempted to be presented as a new goal.

      • KCI등재

        문화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매체언어 교육의 방향

        박창균(Park, Chang-gyoon) 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0

        이 연구는 문화론적 관점에서 매체언어 교육의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문화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문화적 문식성 신장으로 보고, 매체언어 사용과 매체 텍스트 소통의 문화적 현상에 주목하여 매체언어 교육을 통한 문화적 문식성 신장 방안을 꾀한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화의 정의를 범주화하여 매체언어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문화 능력으로서 문화적 문식성을 규정하여 매체언어 교육에서의 교육 양상과 가능태를 점검하였다. 그리고 문화적 문식성과 매체 문식성의 관계를 설정한 후에 문화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매체언어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ought the dir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es on the cultural phenomenon of media language use and media text communication as the ultimate goal of cultural education a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literacy, and aims to promote cultural literacy through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is study, I tried to categorize the definition of culture and examined its relation with the media language, and then defining cultural literacy as cultural ability, I examined the aspect and possibility of education in media literacy education. After establishing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I proposed the direction of media language culture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literacy.

      • KCI등재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매체언어 교사의 존재상

        손예희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매체언어가 국어과의 새로운 교육내용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매체언어를 가르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매체언어교육에서 교사의 존재상은 매체언어교육을 통해 학습자에게 길러주고자 하는 능력이 과연 어떠한 것인가에 따라, 다시 말해 어떤 의미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육하고자 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매체언어교육에서 매체언어 교사의 존재상을 탐색해 보기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매체언어 교사를 양성하고 있는 기관들의 매체 관련 강좌 개설 현황과 비중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실천 상을 살피기 위해 실제 강의의 준거가 되는 강의계획서를 토대로 교육 내용을 분석,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매체언어 교사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가 매체 강좌 개설 및 운영을 위해서 전제되어야 하는 변화된 교수 학습의 관계에 주목하여 교수자의 새로운 위상을 정립해 보았다. 매체언어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다른 영역보다도 덜 권위적이어야 하고, 더 조직적일 필요가 있다. 매체언어교육의 학습 목표에 따라서 교사는 교수 학습 상황에서 조직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리고 변화된 학습자상에 따라 교사는 교수 학습 상황에서 매개자 내지는 촉매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Today a number of studies about media literacy are written, but in fact there are not a study of teacher as the subject of education. There have been concerns with various purpose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within Korean education for enhancing learner's media literacy. To identify the media language teacher,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stablishing a chair about media. And analyzed each curriculums for the media language teacher education. Through this analysi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new identity of media language teacher needs to achieve various purpose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to consider changing learners in the digital era. A teacher's rol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less authoritative and more organized than other fields. In short, the teacher's role is to be a organizer, mediator, and facilitator in the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media language.

      • KCI등재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 문법교육과 매체 언어 문화

        김은성 ( Eun Sung Kim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매체 언어 문화라는 국어교육의 주요한 배경을 문법교육의 시각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매체, 언어, 문화, 이 세 개의 핵심어는 국어교육 전체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핵적인 요소이지만, 이것은 그 자체로 가시적인 의미를 가지기는 힘들다. 이것은 국어교육이 기획되고 실천되는 실제적인 단위에서 비로소 구체적인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러한 실제적 단위로서 문법교육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문제를 설정하여 그 답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매체를 활용한 문법교육은 어떻게 새롭게 전개될 수 있을 것인가? 둘째, 매체 언어에 대한 문법교육의 기본 토대는 어떻게 확장되고 심화되어야 할 것인가? 셋째, 문법교육의 두 주체, 즉 교사와 학습자의 서로 다른 매체언어적 정체성은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 문법교육은 언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목적적 활동이다. 그러므로 문법교육에서는 그 대상인 언어에 대해 주의 깊게 집중하여 주목해야 하고, 언어의 생태 더 나아가서는 인간 언어 활동이 이루어지는 세계의 변화에 대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세 가지 연구문제들은 `매체`라는 변인이 우리의 언어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하여 더 정교하게 문법교육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grammar and the media language culture in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he three core words of Media, language, culture are nucleus factors in the overall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ey might not have practical meaning themselves. They will be eligible on the levels of concrete practice and design. Therefore, considering grammar education as a practical stage, this study poses these questions: First, how can grammar education using media be unfolded in a creative way? Second, how should the basic territory be extended and deepened? Third, how can the different media-linguistic identities between teacher and learner be approached? Grammar education is a purpose-oriented activity promoting deep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language. In the grammar class we should draw careful attention and focus, and swiftly address the transitions and changes of the world as well as those of the ecology of the language where the human language activities are activated. With the above aspects, those three questions posed by this study will help u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influences of media o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design a well-fitted model or scheme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 KCI우수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언어와 매체』 교과서 비교 연구 -‘매체 언어’의 구현 양상을 중심으로-

        서보영,박진희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7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five textbooks under consideration for theLanguage and Media course that was made available as an optioanl high school subject in the revised 2015 national curriculum. We fir looked at previous discussions on media and language education and then compared the books with the media-related content that was covered in the 2015 curriculum as well as the 2007 curriculum. The five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unit composition,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 We found that all textbooks consist with four or five unit and the combination of language and media is largely manifested in each chapter, especially in the nature and the attitude of media. Activity-based frameworks and creative and convergence activitie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extbooks. In our analysis of the textbook learning activities, we found that various materials such as webtoons focus on current media. Content for each of the books was different. This study highlighted that it is necessary for educators to identify where media language is integrated with media grammar in the books and where the two areas need separate discussion. In addition, activities-based and creative and convergence activities sometimes need to be strengthened to reflect current media. 이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 적용될 <언어와 매체> 교과서 5종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매체 및 매체 언어 교육에 관한 그간의 논의들을 우선적으로 살피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진 매체 관련 주요 내용을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5종 교과서의 구체적인 비교 분석은 단원 조직의 양상, 단원 구성의 체제 및 특징, 학습 활동 및 제재 수록 양상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 5종의 교과서가 네 개 혹은 다섯 개의 대단원 구성을 취한다는 점, 대체로 언어와 매체의 결합은 대단원에서 나타나며 특히 언어와 매체의 결합이 매체의 본질과 태도에서 드러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매체 언어에 비해 문법의 내용이 양적으로 많다는 점, 교과서별로 언어 중심, 언어와 매체의 균형 있는 제시 등으로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교과서별 단원 구성 및 체제 분석에서는 활동 중심의 체제 구성이나 창의‧융합 활동의 도입이 <언어와 매체> 교과서의 특징임을 알 수 있었으며, 교과서 학습 활동 및 제재 수록 양상 분석에서는 매체 자료의 실제성에 주목하여 웹툰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다양한 매체 자료들이 제재로 활용되고 있으나 그 내용은 교과서마다 달리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매체 언어가 ‘언어’를 중심으로 문법과 합치될 수 있는 부분은 어디이고 함께 이야기될 수 없는 부분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일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활동 중심의 체제 구성이나 창의‧융합 활동의 구성은 매체 언어의 교육 내용을 반영하는 틀로서 주목할 만한 지점이나, 제재 면에서는 학습자들의 학교 밖 매체 문식력을 고려한 자료의 ‘실제성’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