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디지털 기반 전략경영에 관한 연구

        노규성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는 뉴노멀 시대에의 경쟁우위 확보 및 생존을 위한 전략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경영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기업 CEO 10인의 집중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19에 의한 뉴노멀 과 이로 인해 야기된 경영환경 변화 트렌드 및 대응 전략 유형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과 분야에서 전개될 수 있는 전략 대안 가운데 기업의 디지털 기반 경영 및 사업 수준의 전략 대안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기업 수준 의 디지털 기반 전략 대안으로는 사업구조 리디자인 전략,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 ESG 경영전략, 디지털 트랜스포메이 션 전략을 제시하였다. 사업 수준의 디지털 기반 전략 대안으로는 산업구조 리딩의 디지털전략, 디지털 혁신의 경쟁전 략, 개방형 혁신의 플랫폼 전략, 고객 가치 지향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의 전략을 보다 체계화하고 자 하는 시도였다는 점과 어려운 상황을 슬기롭게 대처해야 하는 기업들의 전략적 대응을 보다 체계적으로 시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여를 하였다. This study decid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ent a strategy for survival in the new normal era and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tried to suggest a management strategic alternative. To this end, this study derives the new normal caused by Corona 19 and the business environment change trend and response strategy type caused by thi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nsive interviews of 10 corporate CEOs.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the study to the digital-based management and business-level strategic alternatives among strategic alternatives that can be deployed in various fields and areas. Business structure redesign strategy, resilience reinforcement strategy, ESG management strategy, and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to corporate-level digital-based strategies. As an alternative to business-level digital-based strategies, a digital strategy for industrial structure leading, a competitive strategy for digital innovation, an open innovation platform strategy, and a customer value-oriented strategy were suggested. It contributed in that it was an attempt to systematize a digital-based strategy more and it contributed in that it can support companies who have to deal with difficult situations wisely to implement strategic responses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한국 대학생들의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 사용에 관한 요인 분석

        김규미(Kim. Gyoomi),배지영(Bae,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충청 소재 두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의 디지털 학습 전략 사용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에 중점을 두고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디지털 학습 환경에서의 영어 학습 전략은 어떠한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초점이었다.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을 측정하고자 하는 도구는 Oxford(1990)의 SILL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였고, 총 40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7년 2학기동안 디지털 학습 전략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 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비롯된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을 구분하는 7개의 하위 전략 요인들과 다른 유형의 전략 요인들로 분류되었으며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도 기존의 문항 구성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총 9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1개는 정의적 요인, 그리고 나머지 8개는 학습 전략 요인으로 재분류되었다. 9개의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 요인들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전략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서로 중간 크기 이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영어 학습 전략 측정 도구의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나아가 디지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적절한 양·질의 학습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략 사용에 관한 교육적 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t two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factors constitute the English learn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The measurement of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was reconstructed based on Oxford s (1990) SILL. A total of 400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over the fall semester, 2017,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types of strategic factors that distinguished the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that origina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items of each factor showed a different aspect from the existing question composition. There were nine factors in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y inventory, one of which was reclassified as a positive factor and the other eight as a learning strateg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new factors of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ies, most factors showed more than medium levels of correlation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the inventory of digital English learning strategy measurement tool. Furthermore, the need for educational strategy training is also suggested in order to enable learners to use appropriate quantity and quality learning strategies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메가 플래그십 스토어를 통한 나이키의 디지털 브랜딩 전략에 관한 연구 -국외 최첨단 스토어를 중심으로-

        박수빈,김주연,임선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펜데믹 시대와 더불어 오프라인 플래그십 스토어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온라인 스토어의 매출은 증가하였지만, 전국적으로 오프라인 플래그십 스토어는 약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이키는 새로운 판매 전략을 내세우고 있는데, 직영 판매 전략(D2C)과 메가 디지털 스토어의 제안으로 나이키는 펜데믹과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전체 매출을 끌어올리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의 편의성과 오프라인의 경험성을 결합한 나이키 메가 스토어의 디지털 브랜딩 전략을 통해 앞으로의 리테일 매장이 어떻게 진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나이키의 새로운 디지털 전략이 적용된 하우스 오브 이노베이션 컨셉의 대형 플래그십 스토어인 국외의 스토어 세 가지 사례를 연구범위로 설정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플래그십 스토어의 역할과 주요 효과 및 스포츠 플래그십 스토어의 경향을 고찰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펜데믹 시대의 디지털 브랜딩 전략을 도출하여 새롭게 대두되는 브랜딩 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전략을 통해 나이키의 공간 구성과 디지털 브랜딩 전략의 요소들을 도출하여 사례에 대입할 연구모형을 제작한다. 넷째, 앞서 제작한 모형을 사례에 대입하여 국외의 메가 플래그십 스토어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나이키의 디지털 브랜딩 전략의 주요 요소들을 수치화하여 분석한다. 다섯째, 앞서 조사한 나이키 메가 스토어의 디지털 브랜딩 전략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리테일 매장이 가져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 세 매장의 가장 큰 차이점은 OMO 전략을 통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OMO 전략이 강하게 드러나는 매장의 순서는 상하이 = 파리 > 뉴욕 순서이다. OMO 서비스는 뉴욕의 매장보다는 상하이와 파리의 매장에서 강하게 드러나는데, 상하이는 1층 입구 메인 디스플레이에 농구 체험을 할 수 있는 코트를 두어 EXPERIENCE ZONE을 강화하였고, 기존의 Center Court는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을 통해 소비자 반응형 게임, 스포츠 데이터 경쟁 등을 할 수 있도록 하여 OMO 전략을 실현하였다. 이는 앞서 조사한 매장의 공간 중에서 OMO 전략이 가장 강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다. (결론) 나이키는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맞는 최첨단 플래그십 스토어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단절되어있던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결시켜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쇼핑 환경을 제공하였다. 앞으로의 리테일 스토어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쇼핑을 개인화시키고 디지털로 연결된 쇼핑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끔 디지털 브랜딩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화된 소비 시장 속에서 소비자들이 행동하고 느끼는 것에 대한 체험을 디자인하고, 온·오프라인의 공간적 상호작용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연구한 바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미술관 소셜 플랫폼을 통한 경험 확장과 전략 실행에 관한 모델 제안

        이언주(Lee, Eon Ju)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동시대 미술관은 소셜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컬렉션을 창조적이고 실험적인 방식으로 확장해야 할 과제를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현재와 미래의 가치 및 행위로서 자리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자들의 경험을 유도하고 교류해야 하는 사명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전략 실행으로 미술관의 효용성 있는 가치 전달이 요구되나, 다수의 미술관에서 이러한 전략의 제시, 형성, 실행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고 연구 또한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의 미술관 소셜 플랫폼 중, 디지털 전략에 비중을 두고 있는 뉴욕현대미술관과 테이트 갤러리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경험 확장을 목표로 한 전략 및 실행을 분석하였다. 미술관은 다양하고 심오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컬렉션 활용과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프로젝트의 전달 여부도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에서 뉴욕현대미술관은 학습을 바탕으로한 풍부한 콘텐츠와 유명 매체를 활용하여 디지털 경험과 실제 경험을 위한 연결을 추진하고 있었다. 테이트 갤러리는 몇 년 단위로 구체적인 디지털 전략 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소셜 플랫폼을 통해서 창의적인 프로젝트와 전략적인 메시지 전달로 이행하며 디지털영역에서 선두적인 미술관이 되려는 야심을 보였다. 또 뉴욕현대미술관과 테이트 갤러리는 소셜 플랫폼을 활용하여 홈페이지의 지식 및 정보로 사용자들을 유도하고 독자적인 온라인 공간을 구축하려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경험에 관한 문헌을 참고하고 사례 분석을 토대로, 소셜 플랫폼에서 미술관 경험을 위한 전략의 실행 방법과 확장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는 미술관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전략과 사용자와의 교류가 디지털 경험으로 확장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핵심 전략 사항이 소셜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의 경험을 위한 교류로 실행되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실천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활동은 이제 미술관 안팎에서 역동적으로 드러나며, 미술관의 문화적 가치를 변화하고 확장하는데 동참하게 될 것이다. 동시에 미술관은 사용자들이 예술에 대한 경험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잊지 않고 그들을 자극하고 선동하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제안한 모델과 같이 미술관 소셜 플랫폼에서 전략 실행, 역량의 응용, 이에 따른 융복합적 사고의 수용 및 연구가 요구된다. Contemporary art museums have the task of expanding digital collection in a creative and experimental way through social platforms. That is,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are required because of the need to deliver cultural values in a useful way. However, in many museums, the awareness of the presentation, formation, and execution of these strategies is insufficient and research is not actively conduct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analyzed the core strategies and practices aimed at expanding the digital experience centered on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and the Tate Gallery, focusing on digital strategies among the social platforms of art museums. Museum of Modern Art was using learning-based contents and popular media to promote connections for digital experiences and real-life experiences. In recent years, Tate Gallery has shown its ambition to be a leading museum in the digital area by presenting digital strategies in concrete terms, implementing them on social platforms, delivering creative projects and strategic messages. In addition, Museum of Modern Art and Tate Gallery attract users to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ir homepages using social platforms, and establish their own online space. Finally, this study refers to the literature on digital experience and suggests implementing strategies and expanding model for art museum experience on social platforms based on case analysis. This emphasizes that the strategy that is forme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museum and the interaction of the user should be expanded to digital experience and that the core strategy should be implemented as an exchange for the art experience on the social platform. In the course of this practice, users’ activities are now dynamic in and out of the museum, it will be involved in changing and expanding the cultural value of the art museum. At the same time, art museums should not forget that users can create experience of art. Also they should play a role as a place to stimulate and instigate them. In the future, social platform of art museums requires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and application of capabilities.

      • KCI등재

        21세기 디지털 콘텐츠 영역의 불교문화 콘텐츠 개선 방안 -청소년 대상 포교 전략을 중심과 불교교육을 시사점을 중심으로-

        정경식 한국종교교육학회 2021 宗敎敎育學硏究 Vol.65 No.-

        청소년들의 디지털 매체 소비는 너무 과도하여 문제다. 게임, 선정적 영상, 폭력적 주제의 매체에 대해 상당한 청소년들이 중독의 수준을 넘고 있다. 그러나 양에 비해서 그 품질은 심각할 정도로 저급하다. 오로지 상업적으로 기획된 이들 매체의 맹목적 소비자이자 희생자인 청소년들을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소비자로 성장시키고, 그들의 도덕성을 지켜낼 방안이시급하게 요청된다. 이 논구의 목적은 불교문화 디지털 콘텐츠의 발전적 혁신을 통한 청소년 포교의 방향과 대안의 제시이다. 이에본연구는먼저불교문화콘텐츠가종교문화콘텐츠의기본정향(定向)인종교성, 공공성, 대중성을모두성취해야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소비와 관련하여, 청소년 소비행동 특성, 상호교환 작용의 활발성, 정서적 불안심리, 맹목적우상추종, 사회심리적지지필요등의배경을확인하였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서, 현재의 불교문화 디지털 콘텐츠가 청소년 특성을 일부 만족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에 온전히 대응하기에는 아직 수준별 맞춤 콘텐츠 부재, 흥밋거리 반영 미흡, 콘텐츠 활용을 통한 관리 미흡 등의한계를 더 크게 확인하였다. 이들 한계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앞서 불교문화 디지털 콘텐츠 정향으로 제시한 종교성, 공공성, 대중성을증진할대안을제시하였다. 첫째, 종교성 개선을 위해서, 24시간 인터넷 오디오 서비스인 ‘공감’을 예로 삼아 다음 5개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청소년불자들을 위한 불교 명상음악을 초・중・고급의 수준에 따라 선곡함으로써 난이도에 따른 음악 제공하기, 청소년이 선호하는 팝, 가요 등에서 감정을 순화하는 부드러운 곡들을 선별적으로 제공하기, 청소년 전용 DJ를 두어 청소년에 최적화된 의사소통, 정신적멘토기능, 심리・사회적 지지를위한유용한어드바이스제공하기, 수준별 맞춤콘텐츠와청소년의흥미를반영하는콘텐츠제공하기, 그리고해당콘텐츠를활용한청소년에관한관리체계확보하기등이다. 둘째, 공공성 개선을 위해서는, ‘불교 크리에이터’를 예로 삼아 다음 4개 대안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흥미를 고려해 그들창작물을각종불교게임테마송등에적합히활용, 그범위를확장하기위한고심의필요성, 그과정에있어청소년캠프등다양한 이벤트 개최를 통한 친목도모, 더 나은 아이디어를 위해 활동비 지원, 당선된 청소년 간 친목도모 지원으로 더 지속가능한 이상적 창착물 기대, 아이디어 창출에 있어 디지털 환경에서 사회적 공익과 정의가 십분 반영되도록 다양한 멘토기능과코멘트제공을제안하였다. 셋째, 대중성개선을위해서는, 불교게임인 ‘아바로’의경우다음과같은 4개의개선된대안을제시하였다. 예컨대부처님도를 게임을 통해 전달함에 있어 실생활 인간관계에서 과연 관세음보살 42수주를 어떻게 적용할지 연결고리를 팝업창 등을 통해 제시할 것, 모험 중심 게임 스토리 전개에서 다양한 유명인 이미지 케릭터를 만나며 인간관계 갈등을 해결하는 식의 스토리 구성,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다양한 유저 간 의사소통 활성화, 차후 유저들의 실생활 문제를 제시, 채택하여 경품제공등진행, 온라인상에서발생하는다양한갈등을게임에적용, 이를불교적차원에서현명하게해결하는주인공모습을통해 온라인 상의 예절 교육, 주어진 콘텐츠를 건강한 방향으로 창작, 개선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의 게임화이다. 이 논문은결 ...

      • KCI등재

        디지털 포엠의 시적 전략과 디카시의 변화 방향성

        장노현 ( Jang Nohyun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5

        이 논문은 국내의 ‘디카시 운동’을 디지털 포엠의 시적 전략 측면에서 검토하고 변화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디지털 포엠의 시적 전략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필자가 제시하는 디지털 포엠의 시적 전략은 역동적 문자화 전략, 멀티미디어화 전략, 인터랙션 전략, 하이퍼텍스트화 전략 등 크게 4가지로 정리된다. 역동적 문자화 전략은 시어로 사용된 문자의 비정형적 배열과 배치를 통해 문자의 시각성과 물질성을 강화하는 전략이다. 문자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것도 여기에 속한다. 멀티미디어화 전략은 전통적인 문자매체를 시각적 혹은 청각적 오브제로 대체하거나 결합하는 매체 혼종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시의 경계는 크게 확장될 수 있다. 인터랙션 전략은 수용자의 참여와 소통, 그리고 공감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최근에는 시를 매개로 다수 수용자들 간에 발생하는 인터랙션이 주목받고 있다. 마지막으로 하이퍼텍스트화 전략은 시를 작은 유닛으로 쪼개고 이를 다시 링크로 연결하여 비선형적 읽기가 가능하게 하는 전략이다. 이런 4가지 전략을 통해 디지털 포엠은 텍스트 생성적이며 수용자 중심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국내의 디카시 운동은 기본적으로 디지털 포엠을 표방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전통적인 시적 관행과 이론 속으로 급속하게 퇴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디카시가 과거의 시적 전통을 반복하는 또 하나의 낡은 사례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디지털 포엠의 시적 전략을 충분히 활용하고 강화해야 한다. 우선 디카시는 ‘날시’를 버리고 사진 이미지를 편집함으로써 멀티미디어화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디카시는 문자 유닛의 다양한 해체적 배열과 비선형적 배치를 통해 역동적 문자화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닛들의 자유로운 공유 연결 리믹스의 생성적 과정이 끊임없이 발생할 수 있는 집단적 인터랙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change of the ‘Dica Poem movement’ in Korea in terms of the poetic strategy of Digital Poetry.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what the poetic strategy of digital poetry is. The poetic strategies of digital poetry presented by me ar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dynamic characterization strategy, multimediaization strategy, interaction strategy, and hypertextualization strategy. The dynamic characterization strategy is a strategy to strengthen the visibility and materiality of characters through the untypical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characters used in poetry. Giving movement to the characters is also included here. The multimediaization strategy is a media hybridization strategy that replaces or combines traditional characters with visual or auditory objects. In this way,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poetry can be greatly expanded. The interaction strategy is a strategy to induce audience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empathy. Recently, the interaction that occurs between multiple audiences through poetry is attracting attention. Lastly, the hypertextualization strategy is a strategy to break the poem into small units and link them back to make non-linear reading possible. Through these four strategies, digital poetry has text-generating and audience-centered characteristics. The Dica Poem movement in Korea basically stands for Digital Poetry. In practice, however, there appears to be a rapid regression into traditional poetic practices and theories. In order not to degenerate into another outdated case of repeating the poetic tradition of the past, the poetic strategy of Digital Poetry should be fully utilized and strengthened. First of all, Dica Poem should abandon the ‘nalsi’ and enhance its multimedia strategy by editing digital photo images. Second, the dynamic characterization strategy should be strengthened by deconstructively arranging and non-linearly arranging the character units of Dica Poem and integrating them into the visual structure of digital photo imag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llective interaction environment where the generative process of sharing, connecting, and remixing units freely among multiple audiences can occur constantly.

      • KCI등재

        비즈니스 전략으로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관한 연구: 유통의‘토탈 디지털 비즈니스 프레임워크’구축 전략

        이완형 한국유통경영학회 2019 유통경영학회지 Vol.22 No.3

        The advent of the industry 4.0 era is driving each industry to change into a new paradigm. There are eight key issues in the distribution 4.0 era presented in this study. Last mile, on demand service, platform business, O2O commerce, CBT, cell market, Omni channel and fullfilment. The function of distribution is no longer limited to intermediary functions. In the era of distribution 4.0 the value chain is networked parallel, not limited to sequential linearity. Smart and flexible customers in this cycle are connected to MOT(moment of truth) in a variety of phased or simultaneous ways. Thus, in a new business environment, the value of an enterprise depends not just on the convenience through digital devices, but on how flexible and agile it will meet the needs of its customers in a consumer-centric on demand market. But the digital transformation that has been going on so far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Now it is time to take a strategic approach to the entire enterprise view.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rough the success and failur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s well as theoretical prior studi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should approach not as a technology but as a business 'total digital business strategy framework.' This systematized four strategic levers allows digital transformation to flexibly respond to the business and to enact strategies from a corporate perspective. The framework's four strategic levers are: first, total business strategy, second, digital technology drivers, third, distribution value chain and fourth, digital maturity. 산업 4.0시대의 도래는 산업마다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통 4.0시대의 핵심이슈는 8가지이다. 라스트마일, 온 디맨드 서비스, 플랫폼 비즈니스, O2O 커머스, CBT, 세포마켓, 옴니채널, 풀필먼트 이다. 유통의 기능이 더 이상 중개기능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통4.0 가치사슬은 순차형 일직선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적 병렬형이다. 이 사이클에서 스마트하고 유연한 고객은 단계별 또는 동시다발적인 다양한 방법으로 개인접점에 연결된다. 따라서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의 가치는 단지 디지털 기기를 통한 편리함이 아니라 수요자중심의 온 디맨드 시장에서 얼마나 유연하고 민첩하게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것이냐에 달려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단면적인 측면에서의 디지털 기술의 적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제는 기업 전체적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선행연구는 물론 국내외 기업들의 성공 및 실패사례를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기술로서가 아닌 비즈니스로서 ‘토탈 디지털 비즈니스 전략 프레임워크’로 접근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4가지 전략적 수단(strategic lever)을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비즈니스에 유연하게 대응하게 하고 기업 전체적 관점의 전략을 체계화하였다. 이 4가지 전략적 수단은 첫째, 토탈 비즈니스 전략(total business strategy), 둘째, 디지털 기술의 역량(digital technology drivers), 셋째, 유통가치사슬(distribution value chain), 넷째, 디지털 성숙도(digital maturity)이다.

      • KCI등재

        N-스크린 환경 도래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전략

        김대원(Daewon Kim),우혜진(Hyejin Woo),김성철(Seongcheol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N-스크린 시대의 미국, 영국, 일본의 유력 신문사의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전략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의 틀로는 디지털 콘텐츠의 유료화 시점, 시장 세분화 여부, 4P 마케팅 믹스 전략이 활용됐다. 해외 주요 신문사들의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전략은 2000년을 전후로 시작된 후, 2000년 초중반 캐즘을 겪었고 2010년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본격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대상 신문사 대부분은 상품 측면에서 시장을 세분화하는 모습을 보이진 않았다. 4P 전략의 관점에서 상품 전략의 경우, e-paper와 디지털 콘텐츠를 축으로 프리미엄 서비스가 부가되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가격 전략은 연성 체계와 혼합 체계가 주로 활용됐다. 유통전략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세분화 여부에 따라 대별됐다.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경로는 ‘디지털’로 묶어 하나의 대상으로 간주하면 단일 요금제, 그렇지 않고 각각의 단말기마다 세분화 한 경우에는 복합 요금제가 선택됐다. 판촉 전략에서는 종이신문과의 번들링 전략이 주로 채택되는 가운데, 시범 이용을 두고 분석 결과가 서구(미국과 영국)와 일본 간 상이하게 나타났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N-Screen strategies of paid digital contents of foreign newspapers belonging to advanced companies: USA, United Kingdom, and Japan. This research employed the time to launch paid digital content business, whether or not to segment market, and 4p marketing mix strategies for analyzing the strateg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rategies, starting around the year 2000, had experience chasm, and then revived since the year 2010, when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devices proliferated. Most newspapers still supply content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y paly in a mass market. The items of paid digital contents are mainly composed of e-paper and digital contents. Regarding the price strategy, soft paywall and combination paywall are largely used. Distribution strategy is subject to whether or not to discriminate the path of digital contents. As for promotion strategy, bundling strategy with newspaper is mostly utilized. The difference between western countries and Japan was found in term of the free trial service.

      • KCI등재

        디지털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

        박유희(Park Yu-hee)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이 글은 〈디지털삼인삼색〉에 나타난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여 디지털 매체를 운용하는 영화생산자의 전략과 디지털 영화의 특징을 알아보고 디지털 영화의 향후 전망을 가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주국제영화제의 ‘디지털삼인삼색 프로젝트’는 독립영화로서의 디지털영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획으로서 전주국제영화제의 간판 프로그램이자 디지털영화의 대표적인 프로젝트로 진행되어 왔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처음 상영하는 것을 전제로 세 명의 유명 감독들에게 매체, 자본, 시간에 대한 일정한 형식을 제시한다. ‘디지털 카메라, 5,000만원의 제작비, 30분 내외의 상영시간’이 그것이다. 이는 디지털 기술과 저예산 대안영화를 실험할 수 있는 형식적 제약으로 작용하며 자연히 디지털 매체의 본질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져 왔다. 따라서 지금까지 〈디지털삼인삼색〉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전략을 살펴보는 것은 현재 디지털영화의 특성과 향후 디지털영화의 전망을 밝히는 데 매우 유용하다. 지금까지 〈디지털삼인삼색〉(2000~2007)에 참여한 감독은 24명으로 24편의 영화가 출품되었다. 이 영화의 대부분은 좁은 공간에서 인물에 밀착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는 짧은 시간에 적은 예산으로 영화를 찍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불가피한 형식이기도 하지만, 가볍고 움직임이 간편하며 빛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아 환경의 구애를 덜 받는다는 디지털 카메라의 장점을 최대한 살린 것이기도 하다. 또한 카메라가 간편하여 인물에 밀착할 수 있다는 것은 카메라의 권위가 약해지는 것과 연관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저쪽에 있는 피사체의 상황성과 카메라를 운용하는 주체의 상황성이 서로 넘나드는 현상이 일어난다. 경우에 따라서 이는 감독이 의도적으로 채택한 전략이기도 하고 의도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작업에 수반되어 드러나는 일종의 발견이기도 하다. 이러한 전략이나 발견은 각 영화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난다. 봉준호의 〈인플루엔자〉에서는 가짜 다큐멘터리 형식을 통해 ‘실제’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고, 에릭 쿠의 〈휴일 없는 삶〉에서는 카메라의 권위를 최대한 약화시킴으로써 피사체인 인물과 관객의 심리적 거리를 근접시킨다. 이러한 경향은 츠카모토 신야의 〈혼몽〉에서는 더욱 강화되어 관객이 영화 속 인물의 육체적인 감각까지 지각하는 듯한 환각의 경지가 실험된다. 송일곤의 〈마법사들〉은 철저한 통제를 통해 오히려 디지털적인 특징이 발견된 경우이다. 〈마법사들〉에서는 영화 전체를 원테이크로 만들기를 시도함으로써 디지털카메라의 즉흥성과 유연성을 차단하려 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러한 통제 안에서 오히려 우발적인 형태로 경계를 넘나드는 디지털적인 특징이 강하게 드러난다. 이와 같이 〈디지털삼인삼색〉이 보여준 다양한 양상에서 드러나는 전략은 ‘실제, 경계, 디지털의 본질을 탐색하는 방식들’로 요약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궁극적으로 ‘디지털에 대한 질문과 실험’으로 수렴된다. 이제 디지털은 새로운 매체가 아니라 우리의 존재기반이 되었다. 디지털이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미래를 보장해 주리라는 낙관적인 전망은 점차 퇴색하면서 디지털의 운용방식과 그 관점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할리우드 영화가 디지털을 수용하는 방식과 〈디지털삼인삼색〉과 같은 실험적인 프로젝트에서 디지털을 다루는 방식, 그리고 각각의 방식이 처한 상황을 비교해 보면 잘 드러난다. 문제는 기존 할리우드 필름영화가 거대자본의 힘으로 스크린을 장악했던 것처럼 상업적 디지털 영화가 자본의 힘으로 다양한 창구를 선점해 버린다면 민주적인 매체로서의 디지털의 가능성이 사라질 우려까지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디지털 매체가 지닌 유연성과 보편성을 가지고 거대자본의 힘으로 합종연횡(合種聯橫)하는 할리우드식 영화 비즈니스와는 다른 대안적인 영화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에 대한 실험과 질문을 멈추지 않아야 한다. 그것은 우리의 존재 위상과 정체성을 묻는 일이며 21세기의 삶에서 길을 잃지 않는 길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orytelling strategy on digital films and a prospect of the digital film through analyzing Digital Short Films by Three Film-maker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rogram of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digital film projects as the independent film and the experimental film to grope for an alternative culture in the 21th century. Digital Short Films by Three Film-makers have had the consistent form which consisted of the use of digital camera, the production cost of fifty million won, the running time of more or less thirty minutes, and the premier screening in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ince 2000 years that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egan on. Twenty-four directors such like Bong Junho, Eric Khoo, Bahman Ghobadi, Tsukamoto Shinya, Harun Farocki, Pedro Costa etc. participated in Digital Short Films by Three Film-makers for eight years from 2000 to 2007 and twenty-four films were producted. Most of this films use the strategy to keep up close converge to characters, to cross over between characters inside of the film and spectators outside of the film, and to break up the analogue boundaries such as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maker and the user, the division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viewer, the distinction of the professional and the amateur, furthermore discrimination between fiction and fact. These are somewhat inevitable ways to make films within the estimated cost, the digital media, and the limited time. These are also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film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of digital film and the question about the essence of the digital. The digital become the base of contemporary life as we call the present time the digital age generally. The digital is neutral and average, and universal. So how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the torrent of the huge capital is the important subject not only in the films but also in the culture. Digital Short Films by Three Film-makers have showed a possibility of the digital film by way of the attitude to continue experiment and question about the essence of the digital.

      • KCI등재

        디지털화 시대의 PR 패러다임

        James E. Grunig,김정남,이혜림 한국PR학회 2021 PR연구 Vol.25 No.1

        Objectives New media can make the PR field more global, symmetrical, and dialogical; and they can help organizations fulfill more social responsibilities. However, many PR practitioners understand or use the new media only as a tool to dump messages to the entire population. Practitioners and scholars need to reinstitutionalize PR with a strategic behavioral paradigm, which requires a more effective and participatory PR strategy model that uses digital media. Based on our previous discussions of PR theory, this article discusses such a PR strategy model for the digital age.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our strategic behavioral paradigm (Grunig & Kim, 2011), we discussed the strategic functioning of PR (strategizing), strategic management models, and how generic principles can be fus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presented in Excellence in Communication Management Theory (Grunig, Grunig, & Dozier, 2002). Results This review of our previous theorizing and our discussion of the changes that digital media bring to PR demonstrate that new media offer an opportunity to make PR more symmetrical and more strategic. However, current misuse of digital media to misrepresent and misinform provides a challenge that strategic, symmetrical communicators must overcome. Conclusions The generic principles of the Excellence Theory, which emphasize symmetric communication and strategic relationships with publics, is even more important in the digital age. Too many PR practitioners and scholars still regard the function and role of PR only as symbolic, which they believe can be used to influence and control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s of publics.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stead, PR should be reinstitutionalized as a behavioral management paradigm in which PR participates in the organization's decision-making process and seeks strategic actions. 배경 및 목적뉴미디어는 PR 분야를 더욱 글로벌하게, 더욱 균형적(symmetrical)으로, 더욱 대화적(dialogical)으로 만들 수 있으며, 조직이 사회적으로 더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PR 실무자들이 뉴미디어를 일반 대중에게 메시지를 살포하는(dumping) 수단으로만 이해하거나 활용하고 있다. 실무자와 학자들은 행동적이고 전략적인 경영 패러다임(strategic behavioral paradigm)으로 PR을 재정립(reinstitutionalize)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더 효과적이고 참여적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는PR 전략 모델이 필요하다. 이전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에 맞는 PR 전략 모델에 관해 고민해 보았다. 방법행동중심 전략경영 이론(strategic behavioral paradigm, Grunig & Kim, 2011)의 관점에서Excellence in Communication Management Theory(이하 엑설런스 이론)(Grunig, Grunig, & Dozier, 2002)에서 제시한 PR의 전략적 기능(strategizing)과 전략경영 모델 그리고 일반 원칙(generic principles)이 어떻게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융화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결과디지털 미디어가 PR에 가져오는 변화에 관한 현재까지의 이론들을 검토 및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미디어가 PR을 보다 균형적이고 보다 더 전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과 기회를 조성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그러나 잘못된 디지털 미디어 활용 방식은 전략적, 균형적 커뮤니케이터가 반드시 극복할 과제로 남아 있다. 논의 및 결론공중과의 균형적 커뮤니케이션과 전략적 관계를 강조하는 엑설런스 이론의 일반 원칙은 디지털 시대에 더욱중요하다. 일부 PR 실무자와 학자들은 PR의 기능과 역할을 아직도 상징적으로만 여기고 있으나, 공중의 주관적 해석에 영향을 주고, 통제하려는 상징적 PR 패러다임의 관성적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디지털 환경에서는 PR이 조직의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전략적 행위를 모색하는 행동중심 경영 패러다임으로 PR을재제도화(reinstitutionalize)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