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화분석을 활용한 국내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 현황과 과제
이지원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연구 Vol.61 No.-
Conversation analysis is a field pioneered by sociologists such as Harvey Sacks in the 1960s and aims to analyze the functions of various social interactions that speakers achieve through conversation and reveal the structural systematicity of social behavior. Recently, conversation analysis has become interested in the field of applied linguistics to solve real-life problems related to language based on interest in daily conversation as a social act. Applied linguistics using conversational analysis is developing in a variety of ways, showing that systematic research between various disciplines and academic systems is possible, including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 professional and workplace interaction, language and other problems. Currently, many studies on conversation analysis in applied linguistic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Europe and Japan beyond the U.S. region where conversation analysis originated. Since 2000, Chinese applied linguistics research using conversation analysis has begun to appear in Korea, but there are no studies examining research trend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mmarizes research trends and analyzes major discussions of previous studies on conversation analysis in applied linguistics. This study firstly established a database of related research lists through a complete eunmeration survey of research articles by Korean research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books. Based on the database, this study summarized research trends of preceding studies by fields, by topics, by methodologies, and by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task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Conversation analysis as a mode of inquiry is addressed to all forms of talk and other conduct in interaction, and, accordingly, has increasingly contributed to several established fields in applied linguistics. This study indicates past or potential points of contact with applied linguistics.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은 1960년대 Harvey Sacks 등 사회학자들에 의해서 개척된 분야로 화자들이 대화를 통하여 성취하는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사회적 행위의 구조적 체계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대화분석은 사회적 행위로서의 일상대화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언어와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응용언어학 분야에까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대화분석을 활용한 응용언어학은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 전문적 및 직장 상호작용, 언어 및 기타 문제에 대한 학습, 교육 및 평가 등 언어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다양한 학문과 학제 간의 체계적인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주면서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대화분석에 기반하는 응용언어학 연구는 대화분석이 발원한 미국 지역을 넘어 유럽과 일본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00년도 이후 국내에서도 대화분석을 활용한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나 이와 관련해서 연구 동향을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계에서의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화분석과 관련하여 중국어 응용언어학이 국내 학계에 수용되어 발전해 온 모습을 조명하고 향후 국내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가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행된 중국어 응용언어학 관련 연구를 발간 시기, 분야,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으로 나누어 양적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중국어 응용언어학의 연구 분야, 연구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에서 나타나는 질적 수준이나 문제점들을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대화분석과 관련된 국내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우진(Han, woojin),이상수(Lee, sang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대화 분석범주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효과적인 수업대화 분석도구의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이후 문헌분석과 전문가검토 및 관찰자간 신뢰도 검증을 포함하는 개발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현장에 실천, 적용 가능한 수 업대화 분석범주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분석범주는 교사 영역과 학생 영역 총 19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분석도구와 차별화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화의 유형과 대화의 구조를 동시에 분석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수업대화에서 학생들 의 역할이 보다 능동적임을 강조하였다. 셋째, 기존 수업대화 분류체계의 분절적인접근을 통합하여 수업대화 전반을 분석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수업대화 분석범주는 학교급에 관계없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tegori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analysis.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past studies to find the issues that the existing analysis categories may have and the principles that effective instructional communication analysis tool should have. The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ed, expert judging panel reviews, we developed categori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analysis. Reliability between observers was tested. The categories of an analysis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 of 19 categories in the teacher domain and the student domain, and its characteristic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analysis tool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tegories allow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types of speech and the structures of conversation. Second, we emphasized that students role in instructional communication is more active. Third, the existing analysis categories which were partially presented were integrated. The categori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analysis can be utilized in all educational fields using direct teaching method, regardless of levels of schools.
CCRT 방법과 대화분석 방법을 통한 내담자의 핵심갈등관계 분석
김경희,김인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2
The current study aimed to analyze client's core conflictual relationship by Core Conflictual Relationship Theme(CCRT) and conversation analysis methods. Analysis was processed as follows: 1) abstracting relation episodes from counseling scripts; 2) rating client's CCRT; and 3) analyzing client's patterns by CCRT and writing down relation episodes based on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produced more verbally and non-unverbal reaction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CCRT method did. Different response patterns found by the two analysis methods, alternative use of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in counseling, and cultural limitations of categories used in CCRT were discussed. Given advantages of the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and limitations of CCRT, authors claimed that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should be used more often for diverse counseling cases. The current study was valuable a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a counseling case by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rarely used in counseling study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상담과정 중에 드러나는 내담자의 핵심갈등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CCRT (Core Conflictual Relationship Theme: CCRT) 방법과 대화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내담자의 반응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절차는 상담 축어록에서 관계일화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계일화 속에서 나타나는 내담자의 CCRT를 평정하였다. 한편 추출된 관계일화를 대화분석 방법으로 전사한 다음 CCRT 구성요소에 따른 내담자의 반응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표준범주의 빈도를 중심으로 내담자의 반응패턴을 분석하는 CCRT 방법 이상으로 대화분석 방법에서 더욱 미세하고 풍부한 내담자의 언어적, 부수언어적인 반응특성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CCRT 방법과 대화분석 방법에 따라 다르게 발견되는 내담자의 핵심갈등관계에 대한 반응특성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담현장에서의 대화분석 전사자료를 활용한 사례분석, CCRT 표준범주의 문화적인 한계 등을 논의하였고, 추후 다양한 사례를 대상으로 하는 대화분석 방법을 적용한 사례연구가 필요한 점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상담학계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상담사례 연구에 대화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정혜정 한국가족치료학회 2011 가족과 가족치료 Vol.19 No.1
Derived from ethnomethodology, Conversation analysis (CA) focuses on patterns and/or structures across naturally occurring conversations in various contexts, including family therapy sessions.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the development, basic features, and assumptions of CA in order to explore its usefulness as a method for family therapy research and for helping to develop a Korean model of family therapy. In addition, the article introduces basic CA research procedures and surveys previous CA research, conducted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s.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family therapy researchers and clinicians. 대화분석은 가족치료와 같은 미시적 수준의 상호작용 대화가 특정한 관계와 성과를 어떻게 이끄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는 가족치료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로서 대화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가족치료 연구에 구체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대화분석의 특징과 기본 가정 및 상호작용 대화의 기본 구조, 그리고 대화분석의 절차를 소개하고, 그것이 가족치료 맥락에 어떻게 적용되고 연구될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대화분석을 활용한 가족치료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국내 가족치료 연구를 위한 대화분석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화분석 연구가 가족치료 분야에 갖는 시사점과 더불어 대화분석의 한계점 및 대화분석과 다른 질적 연구를 조합한 연구방법을 가족치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화용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분석 연구 - 인접쌍을 중심으로 -
김주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학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화용적 관점을 통해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용 교육의 양상과 그 지향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 5종 34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대화문에 나타난 인접쌍 양상 및 응답 구조를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보완점 및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을 통해 알게 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접쌍의 하위 유형 중 [질문-대답]이 다른 유형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응답 구조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선호 구조가 비선호 구조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선행 발화가 감사, 요청, 제안 등일 때 응답 표현이 부재한 경우가 많았다. 넷째, 대화 참여자의 역할 교대나 대화 구조 측면에서 실제성이 결여된 부자연스러운 대화가 다수 발견되었다. 다섯째, 한국의 언어문화적인 특수성과 화행 전략을 반영한 대화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가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 자료를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Korean textbooks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to identify different aspects and orientations of pragmatic education. We analyzed 34 volumes of Korean textbooks classified into 5 types to explore the patterns of adjacency pairs and response structures in textbook dialogues. Additionally, we discussed the directions and areas of improvement regarding the dialogues and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adjacency pair types occurring in the dialogues mainly consisted of the question-and-answer type; Seco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eferred structure appeared more than the dispreferred structure after confirming the realization pattern of the response structure; Third, many cases did not provide responses when the preceding speech involved a show of gratitude, requests, or suggestions; Fourth, several instances of unnatural conversations, lacking authenticity in terms of role alternation of conversation participants and conversation structure, were identified; And fifth, dialogues reflecting linguistic and cultural specificity of Korea, incorporating speech act strategies, were explore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o enhance Korean learners’ pragmatic competence.
논문 : 국어학 ; 한국어능력시험 대화문에 나타난 거절 화행 분석
최혜민 ( Hye Min Cho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4 No.-
본고에서는 한국어 능력시험에 나타난 대화문 중에서 거절의 의사를 표시하는 대화문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토픽에 제시된 거절 대화문을 추출한 후, 거절을 이끌어내기 위해 제시된 상황, 거절 화행 전략, 대화자 간의 사회적 변인의 세 가지의 분석 기준을 통하여 대화문을 분석하였다. 대화문을 분석한 결과, 거절을 이끌어내는 유도 화행은 요청, 제공, 제안, 초대 상황으로 분석할 수 있었는데, 요청, 제안 상황은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난 반면 제공, 초대 상황은 매우 낮은 빈도로 나타나 있어 거절 발화 장면이 요청과 제안 상황으로 치우쳐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고에서 거절 화행의 분석의 틀로 삼은 이해영(2003)에서 거절 화행 분석 기준으로 제시한 화행 전략 중 다수의 전략이 전혀사용되고 있지 않은 점을 보아 한국어 능력시험 대화문에서는 다양한 거절 전략이 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문제를 풀기 위해 제시되는 대화문의 특성상 대화를 통해 대화자 간의 관계가 정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아 정확한 사회적 변인을 분석할 수는 없었으나, 관계가 제시된 경우를 살펴볼 때 판매원과 손님 관계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한국어 능력시험 거절 대화문에는 다양한 대화 상황과 대화자의 관계, 거절 전략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겠다. 한국어 능력시험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접하기 쉬운 자료 중의 하나로, 한국어 능력시험에 나타난 거절 대화문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어 거절 전략을 간접적으로 학습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양한 거절의 상황과 전략, 대화자의 관계가 제시되어야 하겠다고 본다. This study analyzed dialogues that express the intention to refuse among dialogues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fter extracting dialogues that contain refusals in the TOPIK, the study analyzed dialogues based on three standards of refusal situations, strategies for the speech act of refusals, and social factors between speake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acts that induce refusal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request, provision, suggestion, and invitation. While the situations of request and suggestion exhibited high frequencies, the situations of provision and invitation were at visibly low frequencies. In other words, the scenes that prompted refusals in the TOPIK were inclined toward situations of request and suggestion. Moreover, given that many of the strategies for the act of speech proposed by Hae-Yeong Lee(2003) were not used at all, this study confirmed that dialogues in the TOPIK did not suggest various refusal strateg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ers, salesmen and custom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of the dialogues. This analysis revealed that refusal-based dialogues in the TOPIK did not offer a variety of conversational situations,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and refusal strategies. The TOPIK is one of the most accessible materials for Korean learners. Therefore, a number of Korean learners are likely to learn refusal strategies in Korean through dialogues exhibited in the TOPIK. Therefore, the TOPIK should be modified to suggest various refusal situations, strateg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정성미(Jung, Sung-mi)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본고에서는 부부갈등대화의 특징과 구조를 고찰하기 위해 부부갈등이 표현되는 부부간의 대화를 고트만의 갈등부부대화의 네 가지 특징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대화분석 방법으로 부부갈등대화를 분석하였다. 고트만의 유형분류는 분류기준이 객관적이지 않아서 유형별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네 가지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예외적인 유형도 있었다. 부부갈등대화의 유형 분류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부부갈등대화의 구조적 특징을 대화분석을 통해 살펴 보았다. 부부갈등대화는 첫째 생략 현상이 빈번이 일어난다. 생략은 비난, 화제거부, 분노, 인내, 자신감 결여, 대화의 불성실 등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다. 둘째 부부 갈등대화에서는 중복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중복은 발화교체 시도, 발화 저지, 공격, 빠른 수긍, 언어습관, 위축된 심리 등과 연관된다. 부부갈등대화에서의 중복은 갈등사안을 충분히 언급하지 못하게 하거나, 공격적으로 반응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부부갈등대화에서는 질문-대답의 대응 쌍을 무시한 대화가 빈번하게 발견된다. 질문은 대답으로 이어지지 않고, 화자, 청자 모두 대답을 기대하거나 반응하지 않고, 재질문 형식으로 반복하기도 한다. 질문-대답의 형식을 유지하는 경우도 대답이 질문자가 원하는 대답을 의도적으로 피하는 대답으로 비난하고 공격하게 된다. 부부갈등대화는 프랑케의 최소대화 유형과 달리 대화구조가 단절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이것이 갈등을 심화시키는 데 일조하였다. In this paper,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couples’ conflict dialogue, the dialogue between a husband and wife was represented at the center of the four features of Gottman’s couple-conflict dialogue, and was analyzed using dialogue analysis. The following were some features of the couple’s conflict dialogue. First, the couple frequently used ellipsis in their conversation. Second, duplication phenomena occurred after it is related with dialogue replacement, its interference, assault, quick nods, speaking habits, and so on. Third, the couple tended to ignore the process of question and answer, as a result of which their conversation could not flow into their partner"s answer.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애플리케이션 개발 - ChatGPT API를 이용하여 -
이상수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거대 언어 모델의 대표적 ChatGPT를 이용하여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애플리케이션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개발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은 ChatGPT API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클로바노트, Python, ChatGPT, Markdown, Streamlit, Plotly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타당화 방법으로 ChatGPT 분석 결과 간 그리고 전문가 분석 결과 간 일치도 분석을 위해 평정자 간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애플리케이션은 클로바노트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대화를 녹취와 전사를 하여 분석을 위한 전처리를 실시 하였으며,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참가자별 대화가 추출되고 문장별로 평정척도를 적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결과제시는 참여자 별로 사회정서역량 점수와 분석 근거가 제시되고 오각형 점수를 통한 직관적 점수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을 타당화하기 위하여 ChatGPT 결과간 그리고 전문가 분석 점수 간 내적 합치도를 분석하였고 높은 내적 합치도로 타당한 것으로 결과는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ChatGPT API를 이용하여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거대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사회과학적 문자 데이터을 분석하고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tha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social emotional competency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using ChatGPT, a representative macro language model. Method: This study used the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The applic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ChatGPT API, and programs such as Clovanote, Python, ChatGPT, Markdown, Streamlit, and Plotly were used for application development.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greement between ChatGPT analysis results and expert analysis results as a validation method of the application. Results: The application automatically recorded and transcribed conversations using Clovanote to perform preprocessing for analysis. When the data was uploaded, conversations by participant were extracted and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a rating scale for each sentence. In addition, in the presentation of the results,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score and the basis for analysis were presented for each participant, and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tuitive score through the pentagon score. In order to justify the application, the internal agreement between the ChatGPT results and the expert analysis scores was analyzed, and the result was found to be valid with a high internal agreement.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social emotional competency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using the ChatGPT API, and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and studying social scientific text data using a large language model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김평원 ( Pyoung Won Kim ) 한국화법학회 2015 화법연구 Vol.0 No.27
녹음 또는 녹화한 자료를 전사하면서 연구자가 해석하는 방식의 대화 분석법은 대화 참여자의 정서 반응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한 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화 참여자들의 맥파를 실시간으로 측정 하여 정서 반응을 파악할 수 있는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대화 분 석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시도한 방법은 맥파의 파형을 분석하여 혈관의 상태를 추론하는 임상적인 분석이 아니라, 맥 파의 최댓값인 P파와 P파 사이의 간격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 는 지를 추적하여 대화 중에 일어나는 정서 반응을 실시간으로 파악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파일을 통해 대화 참여자의 미묘한 정서 변 화를 읽어냄으로써 대화 분석의 타당도를 높일 수 있다. 분석 방법의 가능성을 9쌍의 부모-자녀 대화 분석에 적용한 결과, 녹음이나 녹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사하는 기존의 대화 분석 방법을 보완하여 타당 도 높은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re is its limitation in conventional conversation analysis. In conventional conversation analysis, transcribing and interpreting recorded data makes it difficult to objectively identify the emotional responses of participants of conversation. In this study, I devised methods to produce profiles that take real-time measurements of Photoplethysmography(PPG) of people who have conversations, to identify their emotional responses to it, and to be used for conversation analysis. This study is not for clinical analysis of Photoplethysmography to infer the condition of blood vessel, but for the real-time identification of emotional responses during the conversation, tracking how P-P interval (the peak of Photoplethysmography curve) change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profiles increase the validity of conversation analysis by detecting the subtle emotional responses during the conversation. The test result of analysis model confirms that observational behavioral coding is more effective than conversational analysis that transcribes recorded data.
이소영(Lee, So-yo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7 No.1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대화문의 학습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재에는 표준적인 대화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 대화문을 살펴보면 자연스러운 대화와는 거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성 있는 대화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오랜 세월 의사소통을 하면서 형성된 대화의 원형을 한국어교재 대화문에 적용하는 작업이 유용할 것이다. 대화의 원형을 구성하는 일은 한국어 화자의 실제 대화문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가운데 관계중심적 대화문중 ‘가족, 취미’를 주제로 한 대화문을 선정하여 대화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말뭉치의 일상 대화를 전사한 자료를 분석하여 ‘가족, 취미’를 주제로 이루어진 대화문의 원형을 구성해 보았다. 구성된 대화문의 원형을 초급 한국어 교재와 대비하여 원형에 가깝도록 수정하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특히 초급 한국어교재의 경우는 각 단원의 문법, 어휘 학습을 위해 실제성이 떨어지는 대화문이 제시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의사소통을 위하기보다는 언어 규칙을 배우기 위한 장으로 대화문이 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한국어 화자들이 구성한 실제 대화문의 원형을 근간으로 해서 대화문이 구성된다면 한국어 학습자는 실제성 있고 표준적인 대화문 학습을 통해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For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with Korean, it is necessary for foreigners to learn Korean dialogue in Korean textbooks. Therefore Korean textbooks have to provide the standard dialogue. But we can know they are far from the natural dialogue if we examine closely these dialogues. It is useful to adjust the archetype of dialogue to dialogue of Korean textbooks. The archetype of dialogue is formed in Korean native speakers through long time. I analyzed the contents of dialogues are related to topic ‘family’ and ‘hobby’ which are handled in beginning level in detail. And I tried to construct the archetype of dialogue from spoken corpus. And comparing to textbooks, suggested to introduce modification dialogue. Till now the dialogue of textbooks are composed for learning grammar, vocabulary not for actual communication. But if the dialogue of textbooks are made being based on the archetype of dialogue, Korean learners will arrive at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with Korean through the standard, acutual, natural dialo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