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중국의 대화분석 연구 경향 및 평가

        이지원 한국중문학회 2021 中國文學硏究 Vol.- No.83

        이 연구는 2017년 이후 중국의 대화분석 연구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최근 4년간 중국에서 발표된 대화분석 연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석 대상인 논문들을 대화 유형별로 나누어 어떠한 주제, 방법과 시각에서 진행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들 연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근거로 대화분석 이론, 대화 자료 및 전사, 대화분석 내용 및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상당수의 중국 대화분석 연구들은 대화분석을 담화분석의 하위 유형으로 이해하면서 서로 다른 학문 분야인 대화분석과 담화분석에서 나타나는 이론적, 방법론적 차이를 구분하지 않고 있었다. 중국에서 국제적인 대화분석 학계에서 인정하는 진정한 의미의 대화분석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화분석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는 최신 대화분석 이론과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scribes recent developments in conversation analysis (CA) in Mainland China, presenting an overview of how Chinese researchers have conducted CA studies. Papers published from 2017 to 2020 are reviewed and categorized in terms of notable trends in research topics, theories,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Many Chinese CA researchers do not recognize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stinctions between the disciplines of CA and discourse analysis and perceive CA as merely a subtype of discourse analysis. In addition, Chinese CA researchers have taken a negative stance on traditional CA, which has strict and independent theories and methodologies. This has resulted in a recent sharp decline in CA research in China. To develop a Chinese CA approach that the international CA academia recognizes, we must accurately understand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CA and embrace its continuous development.

      • KCI등재

        대화분석을 활용한 국내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 현황과 과제

        이지원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연구 Vol.61 No.-

        Conversation analysis is a field pioneered by sociologists such as Harvey Sacks in the 1960s and aims to analyze the functions of various social interactions that speakers achieve through conversation and reveal the structural systematicity of social behavior. Recently, conversation analysis has become interested in the field of applied linguistics to solve real-life problems related to language based on interest in daily conversation as a social act. Applied linguistics using conversational analysis is developing in a variety of ways, showing that systematic research between various disciplines and academic systems is possible, including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 professional and workplace interaction, language and other problems. Currently, many studies on conversation analysis in applied linguistic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Europe and Japan beyond the U.S. region where conversation analysis originated. Since 2000, Chinese applied linguistics research using conversation analysis has begun to appear in Korea, but there are no studies examining research trend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mmarizes research trends and analyzes major discussions of previous studies on conversation analysis in applied linguistics. This study firstly established a database of related research lists through a complete eunmeration survey of research articles by Korean research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books. Based on the database, this study summarized research trends of preceding studies by fields, by topics, by methodologies, and by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task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Conversation analysis as a mode of inquiry is addressed to all forms of talk and other conduct in interaction, and, accordingly, has increasingly contributed to several established fields in applied linguistics. This study indicates past or potential points of contact with applied linguistics.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은 1960년대 Harvey Sacks 등 사회학자들에 의해서 개척된 분야로 화자들이 대화를 통하여 성취하는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사회적 행위의 구조적 체계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대화분석은 사회적 행위로서의 일상대화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언어와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응용언어학 분야에까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대화분석을 활용한 응용언어학은 언어와 사회적 상호작용, 전문적 및 직장 상호작용, 언어 및 기타 문제에 대한 학습, 교육 및 평가 등 언어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다양한 학문과 학제 간의 체계적인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주면서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대화분석에 기반하는 응용언어학 연구는 대화분석이 발원한 미국 지역을 넘어 유럽과 일본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00년도 이후 국내에서도 대화분석을 활용한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나 이와 관련해서 연구 동향을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계에서의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화분석과 관련하여 중국어 응용언어학이 국내 학계에 수용되어 발전해 온 모습을 조명하고 향후 국내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가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행된 중국어 응용언어학 관련 연구를 발간 시기, 분야,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으로 나누어 양적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중국어 응용언어학의 연구 분야, 연구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에서 나타나는 질적 수준이나 문제점들을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대화분석과 관련된 국내 중국어 응용언어학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수업대화 분석범주 개발

        한우진(Han, woojin),이상수(Lee, sang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대화 분석범주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효과적인 수업대화 분석도구의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이후 문헌분석과 전문가검토 및 관찰자간 신뢰도 검증을 포함하는 개발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현장에 실천, 적용 가능한 수 업대화 분석범주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분석범주는 교사 영역과 학생 영역 총 19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분석도구와 차별화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화의 유형과 대화의 구조를 동시에 분석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수업대화에서 학생들 의 역할이 보다 능동적임을 강조하였다. 셋째, 기존 수업대화 분류체계의 분절적인접근을 통합하여 수업대화 전반을 분석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수업대화 분석범주는 학교급에 관계없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tegori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analysis.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past studies to find the issues that the existing analysis categories may have and the principles that effective instructional communication analysis tool should have. The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ed, expert judging panel reviews, we developed categori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analysis. Reliability between observers was tested. The categories of an analysis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 of 19 categories in the teacher domain and the student domain, and its characteristic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analysis tool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tegories allow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types of speech and the structures of conversation. Second, we emphasized that students role in instructional communication is more active. Third, the existing analysis categories which were partially presented were integrated. The categori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analysis can be utilized in all educational fields using direct teaching method, regardless of levels of schools.

      • KCI등재

        국내 ‘대화 분석’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양영하(Youngha Yang),이다니엘(Danielle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고의 목적은 국내에 출간된 ‘대화 분석’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통해 2002년부터 2023년 7월까지 출간된 ‘대화 분석’ 논문 459편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우선, 출간된 논문의 규모와 논문이 출간된 학술지 및 학술지가 속하는 학술 분야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논문을 참고문헌으로 활용한 인용 논문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용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대화 분석’ 논문이 갖는 학문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대화 분석’ 논문은 2010년을 기점으로 이전 10년(2002-2010)에 비해 연구 논문과 참여 연구자의 규모가 각각 2.9배와 2.6배 증가하였다. 이들 논문에서는 ‘담화 분석’, ‘의사소통’, ‘화행’, ‘상호작용’이 많이 연구되었다. 국내 ‘대화 분석’ 논문은 740편의 인용 논문에 848회 참고되었고 이는 출간된 후 5년 동안 평균 3.9회 피인용 되었음을나타낸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국내 ‘대화 분석’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다양하게 파악하는 것은 물론, 기존 연구에서 살펴보지 않은 피인용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연구들이 갖는 학문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conversation analysis’ research published domestically. A total of 459 relevant papers published from 2002 to July 2023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Korean Citation Index. First, the size of the published paper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journals in which the papers were published, as well as the academic fields to which the journals belong, were analyze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ing papers that used these papers as references were identified, in order to analyze the academic influ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not only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overall trends in domestic ‘conversation analysis’ research but also analyzing citation patterns that have not been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to determine the academic influence of these research papers.

      • KCI등재

        CCRT 방법과 대화분석 방법을 통한 내담자의 핵심갈등관계 분석

        김경희,김인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2

        The current study aimed to analyze client's core conflictual relationship by Core Conflictual Relationship Theme(CCRT) and conversation analysis methods. Analysis was processed as follows: 1) abstracting relation episodes from counseling scripts; 2) rating client's CCRT; and 3) analyzing client's patterns by CCRT and writing down relation episodes based on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produced more verbally and non-unverbal reaction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CCRT method did. Different response patterns found by the two analysis methods, alternative use of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in counseling, and cultural limitations of categories used in CCRT were discussed. Given advantages of the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and limitations of CCRT, authors claimed that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should be used more often for diverse counseling cases. The current study was valuable a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a counseling case by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rarely used in counseling study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상담과정 중에 드러나는 내담자의 핵심갈등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CCRT (Core Conflictual Relationship Theme: CCRT) 방법과 대화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내담자의 반응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절차는 상담 축어록에서 관계일화를 추출하고 추출된 관계일화 속에서 나타나는 내담자의 CCRT를 평정하였다. 한편 추출된 관계일화를 대화분석 방법으로 전사한 다음 CCRT 구성요소에 따른 내담자의 반응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표준범주의 빈도를 중심으로 내담자의 반응패턴을 분석하는 CCRT 방법 이상으로 대화분석 방법에서 더욱 미세하고 풍부한 내담자의 언어적, 부수언어적인 반응특성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CCRT 방법과 대화분석 방법에 따라 다르게 발견되는 내담자의 핵심갈등관계에 대한 반응특성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담현장에서의 대화분석 전사자료를 활용한 사례분석, CCRT 표준범주의 문화적인 한계 등을 논의하였고, 추후 다양한 사례를 대상으로 하는 대화분석 방법을 적용한 사례연구가 필요한 점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상담학계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상담사례 연구에 대화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화용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분석 연구 - 인접쌍을 중심으로 -

        김주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학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화용적 관점을 통해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용 교육의 양상과 그 지향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 5종 34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대화문에 나타난 인접쌍 양상 및 응답 구조를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보완점 및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을 통해 알게 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접쌍의 하위 유형 중 [질문-대답]이 다른 유형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응답 구조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선호 구조가 비선호 구조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선행 발화가 감사, 요청, 제안 등일 때 응답 표현이 부재한 경우가 많았다. 넷째, 대화 참여자의 역할 교대나 대화 구조 측면에서 실제성이 결여된 부자연스러운 대화가 다수 발견되었다. 다섯째, 한국의 언어문화적인 특수성과 화행 전략을 반영한 대화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가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 자료를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Korean textbooks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to identify different aspects and orientations of pragmatic education. We analyzed 34 volumes of Korean textbooks classified into 5 types to explore the patterns of adjacency pairs and response structures in textbook dialogues. Additionally, we discussed the directions and areas of improvement regarding the dialogues and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adjacency pair types occurring in the dialogues mainly consisted of the question-and-answer type; Seco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eferred structure appeared more than the dispreferred structure after confirming the realization pattern of the response structure; Third, many cases did not provide responses when the preceding speech involved a show of gratitude, requests, or suggestions; Fourth, several instances of unnatural conversations, lacking authenticity in terms of role alternation of conversation participants and conversation structure, were identified; And fifth, dialogues reflecting linguistic and cultural specificity of Korea, incorporating speech act strategies, were explore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o enhance Korean learners’ pragmatic competence.

      • 논문 : 국어학 ; 한국어능력시험 대화문에 나타난 거절 화행 분석

        최혜민 ( Hye Min Cho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4 No.-

        본고에서는 한국어 능력시험에 나타난 대화문 중에서 거절의 의사를 표시하는 대화문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토픽에 제시된 거절 대화문을 추출한 후, 거절을 이끌어내기 위해 제시된 상황, 거절 화행 전략, 대화자 간의 사회적 변인의 세 가지의 분석 기준을 통하여 대화문을 분석하였다. 대화문을 분석한 결과, 거절을 이끌어내는 유도 화행은 요청, 제공, 제안, 초대 상황으로 분석할 수 있었는데, 요청, 제안 상황은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난 반면 제공, 초대 상황은 매우 낮은 빈도로 나타나 있어 거절 발화 장면이 요청과 제안 상황으로 치우쳐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고에서 거절 화행의 분석의 틀로 삼은 이해영(2003)에서 거절 화행 분석 기준으로 제시한 화행 전략 중 다수의 전략이 전혀사용되고 있지 않은 점을 보아 한국어 능력시험 대화문에서는 다양한 거절 전략이 제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문제를 풀기 위해 제시되는 대화문의 특성상 대화를 통해 대화자 간의 관계가 정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아 정확한 사회적 변인을 분석할 수는 없었으나, 관계가 제시된 경우를 살펴볼 때 판매원과 손님 관계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한국어 능력시험 거절 대화문에는 다양한 대화 상황과 대화자의 관계, 거절 전략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겠다. 한국어 능력시험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접하기 쉬운 자료 중의 하나로, 한국어 능력시험에 나타난 거절 대화문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어 거절 전략을 간접적으로 학습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양한 거절의 상황과 전략, 대화자의 관계가 제시되어야 하겠다고 본다. This study analyzed dialogues that express the intention to refuse among dialogues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fter extracting dialogues that contain refusals in the TOPIK, the study analyzed dialogues based on three standards of refusal situations, strategies for the speech act of refusals, and social factors between speake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acts that induce refusal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request, provision, suggestion, and invitation. While the situations of request and suggestion exhibited high frequencies, the situations of provision and invitation were at visibly low frequencies. In other words, the scenes that prompted refusals in the TOPIK were inclined toward situations of request and suggestion. Moreover, given that many of the strategies for the act of speech proposed by Hae-Yeong Lee(2003) were not used at all, this study confirmed that dialogues in the TOPIK did not suggest various refusal strateg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ers, salesmen and custom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of the dialogues. This analysis revealed that refusal-based dialogues in the TOPIK did not offer a variety of conversational situations,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and refusal strategies. The TOPIK is one of the most accessible materials for Korean learners. Therefore, a number of Korean learners are likely to learn refusal strategies in Korean through dialogues exhibited in the TOPIK. Therefore, the TOPIK should be modified to suggest various refusal situations, strateg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 KCI등재

        가족치료 연구를 위한 대화분석 방법의 이해와 적용

        정혜정 한국가족치료학회 2011 가족과 가족치료 Vol.19 No.1

        Derived from ethnomethodology, Conversation analysis (CA) focuses on patterns and/or structures across naturally occurring conversations in various contexts, including family therapy sessions.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the development, basic features, and assumptions of CA in order to explore its usefulness as a method for family therapy research and for helping to develop a Korean model of family therapy. In addition, the article introduces basic CA research procedures and surveys previous CA research, conducted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s.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family therapy researchers and clinicians. 대화분석은 가족치료와 같은 미시적 수준의 상호작용 대화가 특정한 관계와 성과를 어떻게 이끄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는 가족치료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로서 대화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가족치료 연구에 구체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대화분석의 특징과 기본 가정 및 상호작용 대화의 기본 구조, 그리고 대화분석의 절차를 소개하고, 그것이 가족치료 맥락에 어떻게 적용되고 연구될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대화분석을 활용한 가족치료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국내 가족치료 연구를 위한 대화분석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화분석 연구가 가족치료 분야에 갖는 시사점과 더불어 대화분석의 한계점 및 대화분석과 다른 질적 연구를 조합한 연구방법을 가족치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의료대화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대화분석연구 - 초진대화를 중심으로

        서민순 한국독어학회 2007 독어학 Vol.15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Strukturen und Funktionen im medizinischen (Erst)Gespräch nach der Dialoggrammatiktheorie zu analysieren und dadurch die Kommunikationsstile und Kommunikationsstrategie der Ärzten herauszufinden. Die Analysen zeigten, dass sich die Funktionen des medizinischen (Erst)Gespräches in drei Phasen gliedern lassen. Sie sind Frage-Phase, (Körperliche)Anamnese-Phase und Rezept-Phase genannt. Die jeweilige Gesprächssequenz ist folgendermaßen zu nennen: (1) Frage-Phase: Frage-Antwort Sequenz, Frage-Schmerzbeschwerde Sequenz (2) (Körperliche)Anamnese-Phase: Vorschrift-Aufnahme Sequenz (3) Rezept-Phase: Vorschrift, Vorschlag-Aufnahme Sequenz Diese Ergebnisse sollen noch überprüft werden. Dabei sollen Kommunikationskontext und anderen Faktoren miteinbezogen werden. Darum soll das Ergebnis dieser Arbeit durch die Arbeit an den Gesprächsmaterialen noch revidiert und erweitert werden. 본 연구는 의사 환자 간 관계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초진대화에 기저 하는 의사소통구조와 기능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대화방식과 대화환경을 재조명해 보았고, 이 원형연구의 유용성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았다. 연구결과로서 초진대화의 기본 구조인 기능단계는 문진, 진찰, 처방으로 나타났고, 문진단계는 질문-대답의 대화연속체로 이루어졌으며, 이 단계의 변이형인 의사 질문에 대한 환자의 반응인 통증호소 대화형태로 분석됐다. 여기서 의사의 질문은 간단한 대답을 요구하는 선택적이고, 폐쇄적인 질문이고, 의사가 알고자하는 정보에 근거한다. 진찰단계에서는 지시-수용의 연속체로서 진료행위를 동반하는 대화유형으로, 의사는 환자에게 일방적으로 지시를 내리고, 이에 환자는 수용 혹은 거부하거나 거절하는 반응화행을 이행했다. 처방단계는 지시, 제안-수용의 대화연속체로 구성됐고, 의사가 적절한 치료책을 환자에게 지시하거나 제안을 하고 환자는 이를 수용, 반박 또는 거부하는 대화 유형으로 규정되었다. 이 단계에서 의사는 자발적으로 환자에게 진단과 처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설명을 하는 경우는 드물었고 환자가 질문을 했을 경우에 한해서, 짧은 대답을 수행했다. 여기에 이 원형연구가 가지는 한계로 대화구성원 간의 개인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분석대상에서 제외되는 점 등을 밝혔다. 앞으로 더 다양한 많은 대화자료 확보와 더불어 다른 분석 기제를 이용하여, 이 논문에서 미처 확인하지 못한 측면을 조명해보는 작업도 의미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의료대화의 전체적인 이해와 전망을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그 의를 찾아볼 수 있고, 나아가 의료대화 혹은 대화원형을 연구할 경우 이 논문이 비교분석연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초급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대화 원형 연구

        이소영(Lee, So-yo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7 No.1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대화문의 학습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재에는 표준적인 대화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 대화문을 살펴보면 자연스러운 대화와는 거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성 있는 대화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오랜 세월 의사소통을 하면서 형성된 대화의 원형을 한국어교재 대화문에 적용하는 작업이 유용할 것이다. 대화의 원형을 구성하는 일은 한국어 화자의 실제 대화문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가운데 관계중심적 대화문중 ‘가족, 취미’를 주제로 한 대화문을 선정하여 대화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말뭉치의 일상 대화를 전사한 자료를 분석하여 ‘가족, 취미’를 주제로 이루어진 대화문의 원형을 구성해 보았다. 구성된 대화문의 원형을 초급 한국어 교재와 대비하여 원형에 가깝도록 수정하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특히 초급 한국어교재의 경우는 각 단원의 문법, 어휘 학습을 위해 실제성이 떨어지는 대화문이 제시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의사소통을 위하기보다는 언어 규칙을 배우기 위한 장으로 대화문이 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한국어 화자들이 구성한 실제 대화문의 원형을 근간으로 해서 대화문이 구성된다면 한국어 학습자는 실제성 있고 표준적인 대화문 학습을 통해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For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with Korean, it is necessary for foreigners to learn Korean dialogue in Korean textbooks. Therefore Korean textbooks have to provide the standard dialogue. But we can know they are far from the natural dialogue if we examine closely these dialogues. It is useful to adjust the archetype of dialogue to dialogue of Korean textbooks. The archetype of dialogue is formed in Korean native speakers through long time. I analyzed the contents of dialogues are related to topic ‘family’ and ‘hobby’ which are handled in beginning level in detail. And I tried to construct the archetype of dialogue from spoken corpus. And comparing to textbooks, suggested to introduce modification dialogue. Till now the dialogue of textbooks are composed for learning grammar, vocabulary not for actual communication. But if the dialogue of textbooks are made being based on the archetype of dialogue, Korean learners will arrive at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with Korean through the standard, acutual, natural dialo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