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성과와 과제

        서지영,서화정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 2022 에듀테인먼트연구 Vol.4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대학기관평가인증 운영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안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실시 근거인 「고등교육법」제11조의2(평가)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의 맥락에서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의미와 기능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1주기(2011∼2015년), 2주기(2016∼2020년) 대학기관평가인증 운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각 주기별 대학기관평가인증 각각의 평가내용, 평가절차, 평가결과 등의 운영 결과와 성과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다. 대학기관평가인증 성과에 대한 인식은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된 선행연구의 조사결과를 재해석하여 정리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학기관평가인증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평가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투입 요소로 대학 스스로의 노력으로 조정이 가능한 지표들은 대체적으로 개선되었다. 이와 같은 정량지표 상승 추세는 정부의 재정지원사업과 대학기본역량진단 등의 경쟁적 평가 속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된 지표로 정책적 영향이라 보여진다. 둘째, 미인증대학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미인증대학들이 대학기관평가인증을 스스로 질 제고를 위해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학 특성을 반영하는 대학 모형을 적용하는 것과 판정 유형에 예비 인증을 신설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평가 방식 변화에 따른 대학평점 변인 및 효과 분석 : 코로나19로 인한 A대학의 평가 방식 변화를 중심으로

        이상우(Lee Sang Woo),박기범(Park Ki Beo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코로나19로 2020학년도에 우리나라 많은 대학에서 평가 방식을 이전의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하였다. 이 같은 변화가 갑자기 이루어짐에 따라 절대평가 방식이 대학 교육에 도입되었을 때 실제로 어떠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결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가 방식의 변화에 따라 대학평점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지방 소재의 중형 대학인 A대학의 사례를 대상으로 학생의 성별, 대학평점, 고교 내신성적 등을 변수로 분석하였는데,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방식이 적용된 학기별로 고교 내신성적이 대학평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할 때는 t 검정, 변수 간의 단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상관계수 분석을 하였고, 고교 내신성적과 대학평점의 관계는 단순회귀분석과 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학생들의 대학평점이 대략 한 등급 정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상위권 학생의 성적 변별력은 약화했지만, 중위권 학생의 변별력은 강화되었다. 또한 학점 인플레이션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기초 학업능력이나 성별이 대학평점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발생한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결론 대학에서 교육의 수월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평가 방식의 효과성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 평가 방식의 변화에 따른 변인과 효과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학 교육에서 어떠한 평가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정책적 결정을 하는 데 기초적인 실증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Due to the pandemic of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many universities in Korea switched the evaluation method from the previous relative evaluation to the absolute evaluation in 2020. Method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university s rating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valuation method, with the case of A University, an intermediate-sized university located in a reg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 s score increased by about one grade. As a result, the high ranking students ability to discriminate against grades was weakened, while the middle ranking students ability to discriminate was strengthened. It was also found that despite the side effects of university grade inflation,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basic academic ability, gender, and university grades. In order to ensure the excellence of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method should also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empirical data for making policy decisions on what kind of evaluation method is desirable to adopt in university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by analyzing the variables and effects of the change in university evaluation method.

      • KCI등재

        주요국의 대학평가체제 비교 분석

        최금진(Keum-jin Choi)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미래교육학연구 Vol.17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valuation system of academic organization evaluation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 university[colleg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cide o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So various countries are strengthening evaluation about higher education to manage quality of university. This study was purposed to understand the evaluation system of academic organization evaluation and to acquire suggestion on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Evaluation system consist of evaluation subjects, evaluation purposes,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result utiliz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ngland, Japan, and Korea. An academic evaluation of each nation was according to evaluation purposes and direction of academic policy. However, there were some common factors on the whole. The common elements of the evaluatio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all countries(America, England, Japan) operate the independent assessment organization to evaluat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Second, the purpose of an academic evaluation is to manag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ird, each countries(America, England, Japan) take self-evaluation of University[college] seriously. Fourth, external expert execute on-site evaluation. Finally, evaluation results is reported to University[college] quickly and accurately. The research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ndependent assessment organization to assure the specialization and to conduct proper and fair college evaluations. 오늘날 대학교육이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됨에 따라 세계 각 국에서는 대학의 질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대학에 대한 평가 및 평가인정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의 대학평가와 우리나라 대학평가인정제의 평가체제를 비교 분석한 연구로 국가별로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 대학평가의 평가체제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대학평가인정제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대학평가체제는 평가주체, 평가목적, 평가대상,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활용 등으로 구성되며, 각 국의 대학평가는 대학정책의 방향과 평가목적에 따라 평가방법이 달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몇 가지 공통적인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고등교육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적인 평가기구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 , 둘째 ,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 셋째, 대학의 자체평가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 넷째, 외부전문가가 현지방문평가를 수행하고 있다는 점, 다섯째, 평가결과는 대학에 신속ㆍ정확하게 보고된다는 점 등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대학평가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대학평가를 전담하는 전문적인 평가기구의 설립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 순위평가의 국가간 비교 연구

        이영학(Lee Younghak)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3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대학의 순위가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세계 대학순위는 대학의 국제경쟁력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심을 반영하여 세계의 주요 대학순위평가에 대하여 조사하고 비교분석하고 순위평가의 발전을 위한 제안을 하였다.<BR>  비교분석은 대학을 대상을 하는 각종 순위평가를 대학경쟁력 순위평가, 학술역량 순위평가, 기타 순위평가로 분류한 후 각각의 영역에서 대표적인 순위평가들의 평가지표, 가중치 및 방법론에 주안점을 두고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이들 대학순위들의 형식과 방법론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영역 구성, 지표수, 점수계산법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BR>  대학순위평가는 대학의 상호경쟁을 통하여 국가경쟁력을 상향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순위를 위한 지나친 경쟁과 관심은 오히려 대학교육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University ranking is becoming one of major concerns in korea recently. World university ranking, especially, is regarded a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ach universities. I analysis eight major university rankings and suggest several plans for it"s development.<BR>  I classify University rankings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major purpose : university competitiveness ranking, academic ranking and others. And then, I make a comparative study of their format, content, and methodology focus on criteria, item, weight, and calculating method, The eight rankings I examine differ in their format, content, and methodology. Most importantly, the number and the nature of the measures that the rankings include vary significantly.<BR>  It is unquestioned that university ranking is contribute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from mutual competition. But, We should remember that excessive concern and competion on ranking lead university to side way.

      • KCI등재

        해외 유력 연구중심대학 순위평가 : 국내 대학평가에 주는 시사점

        이창수(Lee, Chang-Soo),이장규(Lee, Chang-Kyu),송백훈(Song, Back-Hoon) 韓國比較敎育學會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해외유명 대학순위평가의 대부분은 연구중심대학의 대학원 평가이고, 학부를 평가할 경우 이와 다른 평가도구를 사용한다. 이에 비해 국내 대학평가는 연구중심 대학, 전환 중에 있거나 전환 전의 대학을 구별하지 않으며, 학부와 대학원을 통합하여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 유명 대학평가를 학부와 대학원 평가로 양분하여 각 평가 도구를 고찰하고 국내언론사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 학부교육의 질을 강조하는 학부평가와 연구 성과 위주의 대학원 평가를 구별해야 한다. (2) 학부평가 시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성집단 별로 평가해야 한다. World famous rankings mainly consider and evaluate research universities focusing on graduate school, and they employ different ranking metrics when evaluating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In contrast, Korean rankings evaluate college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 performance as one unity, and employ one specific metric to rank all universities without grouping considering different features such as the level of development towards research university, the focus on college education and the size and league of university(national or regional). This study categorizes world famous rankings into two(graduate school rankings and college rankings) and reviews each evaluation structure systematically to derive implications to Korean rankings. First, the ranking metrics need to be transformed into two: one measuring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the other measuring research and other performances of graduate school. Second, college evaluation should be done within the same group after grouping all universities into national research universities, national colleges(focusing on college education), regional universities, and regional colleges, for example.

      • KCI우수등재

        정부 대학평가에 대한 대학 특성별 인식 비교

        서지영(Seo, Jiyoung),서화정(Seo, Hwajoung),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구조개혁평가와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내용, 평가운영과 관련된 사항과, 정부의 대학평가 체제 정립에 있어 주요 문제로 제기되는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관계 설정 등에 대한 대학 특성별 인식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한 주요 논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내용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진단) 지표 유지 여부에 있어서는 수도권대학과 대규모대학은 학생 충원율(신입생 충원율, 재학생 충원율), 졸업생의 취업률 등의 성과 측면에, 비수도권대학과 중규모대학은 교양교육과정, 전공교육과정, 학생 학습역량지원, 진로 및 심리상담 등 과정 측면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다. 학생 충원율이나 졸업생 취업률의 경우에는 오롯이 대학만의 노력으로 개선하기가 쉽지 않으며, 3차례에 걸친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대학의 조직운영, 학과구조, 교육과정, 교수임용, 학사관리 등은 상당정도 평가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현재의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지표 설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 운영과 관련된 인식에 있어 진단지표의 타당성 제고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음에도 국·공립대학, 비수도권대학, 중규모대학은 평가의 지속 여부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진단 결과가 대학혁신지원사업과 연계되면서 일부 대학에서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등록금 동결이라는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진단 결과가 재정지원을 위한 선별 기능과 수요자의 대학 선택 정보로서의 기능 이외에 대학이 진단 결과를 스스로 확인하고 향후 대학 운영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관계 설정에 있어 정량지표 산출식 연계와 함께 대학의 평가 부담 완화를 위해 정량지표, 정성지표의 지표 특성을 반영한 역할 분담, 재정지원 대상 선정을 위한 선정평가와 운영 현황에 대한 성과평가로의 역할 분담 등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perceptions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and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problematic in establishing the government s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In this study, discussions and conclusions focus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The evaluation contents, evaluation procedures,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and large universities ranked relatively high in terms of student recruitment rates and the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while universities in non-metropolitan areas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ranked relatively high in terms of liberal arts curriculum, student learning skills, and career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n the case of student recruitment rates and the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it did not appear easy for universities to improve solely by their own mea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spond to the COVID-19 pandemic with governmental assistance and reset indicators for higher education innovation. Second, there was a relatively high awareness of the need for enhancing the feasi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evaluation process. However, the perception of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non-capital-area universities,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was relatively high. This is because the financial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freezing of college tuition fees have forced universities to try to solve their financial problems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the way universities comply with the assessment is expected to require improv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should be actively reviewed, including quantitative indicators, role shar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indica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 대학평가의 정치학: 대안적 논의

        이차영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

        대학평가는 대학에 대한 평가이다. 누가,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는가에 따라 대학평가 의 양상은 천태만상이고 평가에 따르는 영향력 또한 천차만별이다. 한 예로 정부가, 대학의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대학의 교육여건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정부가 대학에 대해 차등적인 행?재정적 조치를 하는 평가가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한 쌍의 청춘 남녀가, 적당한 데이트 코스를 찾기 위해, 대학 캠퍼스의 경관에 대한 누리꾼들의 인상비평 을 참고하여, 가보고 싶은 대학의 순위를 정해 연휴 일정을 짜는 대학평가를 할 수도 있다. 전자 의 평가는 상당한 공식성을 띠면서 대학에 큰 영향을 미치겠지만, 후자의 평가는 개인의 주관적 정서에 의존하며 대학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미할 것이다.

      • KCI등재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최정윤(Jeung-Yun Choi),정진철(Jinchul Jeong),이정미(Jung-Mi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1

        대학의 기능 수행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되어 대학의 질 제고와 대학의 질 평가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대학의 질 개념을 정립하고, 정립된 질 개념에 터하여 대학의 질적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을 두었다. 종합적인 문헌분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목표/목적 달성, 고객요구충족, 가치부가 측면을 강조한 투입-과정-산출 체제로서의 대학의 질 개념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대학의 질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주요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학기관인증평가, 대학순위평가, 학생설문조사, 학습성과평가 등 4가지 유형의 질적 수준 분석 도구에 포함된 지표들(6개국 13개 평가도구)을 분석한 뒤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초안을 마련하였고, 전문가 검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최종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은 투입-과정-산출 차원에서 기관목표, 인적자원, 물적자원, 교육과정, 학습활동, 교육산출, 연구산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지표가 대학의 질 제고를 유도하는 순기능 역할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사항들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conceptual scheme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and to develop a set of structured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approaches in foreign countries. Reviewing extensive literatures regard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 conceptual scheme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in which three representative approaches such as a goal-accomplishment approach, a customer-satisfaction approach, and a value-added approach were emphasized, was proposed and the quality of university was defined as a function of harmonization of input-process-output elements of universities. To develop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four types of approaches including university accreditation system, commercially- producted university ranking system, college student survey, and direct assessment of students' learning outcomes were reviewed. Finally thirteen sets of evaluation indicators out of six countri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analyses focused on the format, the content, and the primary concept of the quality in each instrument and a draft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structured. The draft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verified through a panel of professionals. The final indicators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consist of three dimensions and seven areas. The input dimension comprised institutional goals,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resources. In the process dimension, curriculum and learning process areas were included. And, finally, the output dimension consists of educational outputs and research outputs.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study, th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and utiliz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 KCI등재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이 본 박근혜 정부 대학구조개혁평가의 공과 분석과 향후 발전방향

        변기용(Byun Ki yong),변수연(Byoun Su Youn),이석열(Lee Suk yeol),송경오(Song Kyoung oh),라은종(Ra Eun j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에서 시행된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 발전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혼합연구 방식을 채택하여 2016년 6월 전국 195개 4년제 대학의 평가 관련 보직자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네 개 대학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두 연구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였을 때 대학들은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목표와 시행방식, 평가 지표의 적절성과 타당성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소재지나 규모, 설립주체(국·사립) 등 대학의 기본 여건에 의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가 2017.3.9일 발표한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의 내용과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단기적, 중장기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irst-round institutional assessment for restructuring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ector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second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the case study, to identify what are the prerequisites of the success of the second-round assessment that is scheduled to start in 2018. By and large, administrators and staff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valuated negatively various features of the first-round assessment. The analysis of the four- college- cas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second-round assessment. Policy implications from a short-term as well as a long-term perspective were presented.

      • KCI등재

        구조개혁평가대학의 평가기준 분류와 재무비율의 경영성과 관계 연구

        이상호,김혁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1

        2014년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추진계획은 대학의 입학자원이 급감하고, 2018년부터 대입정원과 고교졸업자 수의 역전현상이 발생되어 대학들의 미충원이 가시화됨에 따라 향후 대학교육의 입학 정원 수급 전망에 따른 대응이 필요했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 간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대학의 경영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유도하고, 학생의 학습권 보장에 필요한 교육수준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마련이 필요하여 양적규모는 대폭 줄이며 교육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대학들의 구조개혁 방안의 추진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구조개혁평가의 평가지표와 재무비율의 관계를 A등급, B등급, C등급과 재정지원 제한 대학인 D등급을 판별하는 변수의 정확도의 분석과 함께, 사립대학의 구조개혁평가 등급별로 평가지표와 재무비율의 차이를 확인하여 사립대학의 재무구조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서 사립대학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유도하여 미래의 정원감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립대학의 재정기반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등록금의존율이 높은 사립대학이 재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대학 경영성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재무비율과 경영성과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대학구조개혁평가의 1단계 평가지표가 되는 평가지표와 재무비율의 관계를 분석하고, 대학구조개혁 평가 등급별로 A등급, B등급, C등급과 재정지원 제한 대학인 D등급을 판별하는 변수의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A등급, B등급, C등급과 D등급 간의 평가지표와 재무비율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연구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구조개혁평가의 평가지표인 전임교육원확보율, 신입생충원율, 대학생충원율, 등록금의존율, 졸업생취업율과 재무비율의 관계와 방향을 살펴보고자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구조개혁평가지표로 구분된 재정지원 제한대학인 D등급의 부실대학과 부실대학으로 선정되지 않은 A등급, B등급, C등급에 대한 비부실대학의 등급 구분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확인하고자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구조개혁평가지표로 구분된 사립대학의 평가지표와 재무비율의 독립변수들이 구조개혁평가대학 등급 간에 차이를 확인하고자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In 2014, the Ministry of Education's plan for reforming the university's structural reforms is that the admission resources of universities are declining and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is reversed from 2018. As a result,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basis to improve the management level of universities that are less competitive and to improve the education level of the whole university. Therefore, the scale of the quantitative scale is greatly reduced, but the quality of education is raised, And the need for the promotion of the need for the publication of the background was announ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index and the financial ratios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on the accuracy of the variables that discriminate grade A, B and C and grade D, The analysis of the financial structure of private universities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valuation index and the financial ratios will lead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growth of private universities and provide measures for the financial base of privat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the financial ratio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at can secure the financial transparency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university management performance with the high dependency ratio of tuition f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ncial indicators and the evaluation index, which is the first stage evaluation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nd to classify the A, B, and C grades We want to analyze the accuracy of the variables.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nancial ratios and the evaluation index between Class A, Class B, Class C and Class D. The study method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 and direction between the rate of full - time education, university recruitment rate, tuition dependency rate, graduate employment rate and financial ratio. Second,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the grades of grade A, B, and C non-malpractice universities, which are classified as D-grade and D-grade, Analysis. Third,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valuation indexes of independent universities classified as structural reform index and financial rati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