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나라"의 의미 -백석의 경우

        소래섭 ( Rae Sub S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9

        현재 통용되는 ``나라``라는 말의 의미는 이중적이다. 그 하나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지역에서 왕조의 교체와 상관없이 지속되어온 역 사공동체이자 정치공동체를 가리키는 말이고, 나머지 하나는 근대국가를 가리키는 ``국가``의 순 우리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보자면 해방 이전의 문 학은 ``나라 찾기``가 아니라 ``나라 만들기``로 이해해야 한다. 해방 이전까지 근대국가로서의 온전한 ``나라``는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나라를 찾는 일은 지향해야 할 나라를 만드는 일과 같은 것이었다. 백석의 시 또한 ``나라 만 들기``의 유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백석 시에 나타난 ``나라 만들기``의 양상은 미각의 특성과 관련되어 있 다. 백석 시에서 미각 혹은 맛은 신체, 가정, 공동체, 지역 등 다양한 장소 들과 관련되어 있다. 백석이 다양한 ``장소의 맛``을 언급하고 있는 것은, ``장 소의 맛``이 정체성과 결부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는 과거의 시간이 아니라 그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장소들에서 자신과 자신이 소속된 집단의 정체 성을 발견했다. 그리고 그러한 장소들은 백석이 최종적으로 지향했던 ``나 라``의 일부로서 나타난다. 백석 시에 나타난 ``나라``는 민족, 국가, 세계와 다르면서도 그 모두를 아우르는 독특한 개념이다. 백석의 ``나라``는 배타적 인 인위적 경계 대신에 서로 넘나들 수 있는 자연적 경계로 이루어져 있 다. 또 그 ``나라``는 보편적 인류애보다 더 확장된 범생명주의를 통해 구성 된다. 백석의 시는 그 ``나라``를 가득 채웠던 ``마음``들이 어디에 어떻게 존재 하는가, 그 마음들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에 관해 이야기하려 하는 것 이다. 모든 존재들이 평화롭게 어울려 살아가던 나라는 지도에서 지워졌 지만, 그는 오랜 탐색 끝에 그러한 나라의 흔적이 마음을 통해 끈질긴 생 명력을 이어오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백석이 그 마음들을 가 장 선명하게 감지해내는 것은 바로 음식들이다. In Korea, the word ``Nara`` has a double meaning. The first meaning is a word indicating a political community and a historical community having persisted without replacement of a dynasty in Korean peninsula. The second meaning is a Korean word indicating a modern nation state. Therefore, literature before independence in 1945 shall be defined to ``Nara making`` not being for ``looking for a Nara``. ``Nara`` as a modern nation state did not exist before independence in 1945. So ``looking for a Nara`` was just like the ``Nara making``. Baek Seok`s poetry was one of the types of ``Nara making``. An aspect of the ``Nara making`` which appeared in case of Baek Seok`s poetry is related with a characteristic of the sense of taste. The sense of taste is related with various places such as body, home, a community, a region in Baek Seok`s poetry. The reason why Baek Seok is mentioning the various tastes of place is that taste of place is joined with identity. He found out own identity and identity of group which he belonged to at the places which he thought valuably about not being historic time. And that kind of places appear as parts of the ``Nara`` which Baek Seok aimed finally at. Though ``Nara`` is different from a nation, a state, the global, it is distinctive concept embracing the all in Baek Seok`s poetry. Baek Seok`s Nara has a natural boundary which all living things can go in and out instead of exclusive artificial boundaries. And it has a panvitalism extended than general love of mankind. Throughout long search, he realizes the fact that the signs of Nara maintained a tenacious vitality through the mind. Baek Seok`s poetry finally talk about the following fact. ``Where and how do minds which have filled with the Nara exist?`` ``How can we recognize that minds?``

      • KCI등재

        도쿄 팝의 이단자 요시토모 나라: 펑크 록과 예술가의 팬

        고동연 미술사학연구회 2014 美術史學報 Vol.- No.43

        “Nara, Tokyo Pop Art's Dissident: Punk Rock and Artist's Fan” will focus on an array of Yoshitomo Nara's artistic oeuvre and activities in light of his love of Punk Rock music and his distinctive way of aligning himself with his audiences--what has been dubbed as his fans in a number of art reviews. Nara, one of the most successful figures in contemporary art market during the late 1990s and onward, is frequently cited as the elder of the 1965 Generation in Japan. Not unlike other Tokyo Pop Artists, who strived to combine the influence of subculture in the context of Western pop art, Nara's works and characters are associated with Japanese mangas and animations for their shared traits of being overly cute. Contrary to the dominant approach to Nara, the artist's preoccupation with Punk music throughout his artistic career, above all, his intimate relationships that the artist himself has established with his audience via SNS (Social Network Service), calls from novel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Nara. The essay will situate Nara in the context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and society for the last two decades with an aim of highlighting how Nara's attitude toward the lay public and collaboration with Y.N.G (Yoshitomo Nara + Graf) can illustrate the artist's new found role among the self-help art and design movements in Japan; it also aims to provide a chance to re-consider the nihilistic and conceptual strategies of Pop Art that equally emphasized the open and less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fine artists and their audiences. “도쿄 팝의 이단자 요시토모 나라: 펑크 록과 예술가의 팬”은 1965세대의 작가들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작가중의 한명으로 알려진 요시토모 나라의 작업과 각종 행보들을 펑크 음악, 관객들과의 관계의 측면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나라는 1965세대의 연장자로서 도쿄 팝의 주요 작가들의 그룹전에 참여하면서 일본의 만화나 하위문화를 가리키는 오타쿠와 깊은 관계를 맺어 왔다. 하지만 실상 나라의 작업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 펑크록이나 작가의 블로그를 통해서 관찰되는 작가와 그의 관객, 즉 팬과의 관계는 단순히 그를 팝아트나 도쿄 팝아트의 연관성이 아닌 다른 맥락에서 살펴할 필요성을 제기하여 왔다. 이에 연구자는 나라를 기존의 오타쿠 문화와의 연관성이 아닌 1990년대 일본 사회와 예술의 맥락에 위치시키고, 그라프와 같은 디자인 소그룹이나 커뮤니티와 연계된 나라의 행보나 블로그나 기타 소셜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관객들과 소통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자한다. 이를 통하여 나라가 어떻게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 사회에서 젊은이들의 각종 자기 재활, 생존 운동들과연관되고 나아가서 팝아트에서 강조하여온 관객과 예술가의 우월적인 관계를 새로운 방식으로 타파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KCI등재후보

        침구 산업의 현황과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배일현(Bae, Il-Hyun),한재룡(Han, Jael-Ryong),이정호(Lee, Joung-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의류산업과 함께 침구산업은 전통적인 섬유제품으로 분류되는데 경쟁이 매우 치열한 산업군에 속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침구산업에서 1997년 창립 이후 ‘아름다운 생활공간’이라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패브릭, 웰빙 제품으로 편안하고 트랜디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여 고객만족을 실천하고 있는 ㈜나라코퍼레이션의 성공사례를 분석하고자 연구되었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라코퍼레이션은 대표이사의 제품에 대한 외고집 열정이 해당 산업에서 생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나라코퍼레이션은 대표이사의 경영마인드와 기업경영방식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변화와 도전을 통한 새로운 혁신이 또 하나의 성공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나라코퍼레이션은 그 동안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인천을 떠나 2014년 충남 예산 산업단지에 9,200평의 새로운 공장을 설립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침구업계의 선도기업이 될 수 있었다. 넷째,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여 고객을 만족시키는 것 또한 고객의 재구매에 큰 영향을 미쳐 기업의 성공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불만족한 고객에 대한 처리 또한 타기업과는 경쟁이 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고 정확한 프로세스로 고객의 불만족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나라코퍼레이션의 성공요인은 한 산업분야에서 고곤부투하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ccess factors of Nara Corporation, which competes in bedclothes industry with the slogan, “Beautiful Living Space”. First, this case study onNara Corporation shows CEO’s headstrong enthusiasmfor their products is an important role for the survival in bedclothes industry. Second, this study points out CEO’s business mind and management approach are important to sustainable growth. Third, this shows innovation through changes and challenges is another success factor. Forth, impact on the repurchase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providing high quality products is also key success factor. Finally, the quick response process for dissatisfied customers minimize customer dissatisf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hese success factors of Nara Corporation are applied to SMEs. 의류산업과 함께 침구산업은 전통적인 섬유제품으로 분류되는데 경쟁이 매우 치열한 산업군에 속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침구산업에서 1997년 창립 이후 ‘아름다운 생활공간’이라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패브릭, 웰빙 제품으로 편안하고 트랜디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여 고객만족을 실천하고 있는 ㈜나라코퍼레이션의 성공사례를 분석하고자 연구되었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라코퍼레이션은 대표이사의 제품에 대한 외고집 열정이 해당 산업에서 생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나라코퍼레이션은 대표이사의 경영마인드와 기업경영방식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변화와 도전을 통한 새로운 혁신이 또 하나의 성공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나라코퍼레이션은 그 동안 생산기지로 활용했던 인천을 떠나 2014년 충남 예산 산업단지에 9,200평의 새로운 공장을 설립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침구업계의 선도기업이 될 수 있었다. 넷째,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여 고객을 만족시키는 것 또한 고객의 재구매에 큰 영향을 미쳐 기업의 성공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불만족한 고객에 대한 처리 또한 타기업과는 경쟁이 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고 정확한 프로세스로 고객의 불만족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나라코퍼레이션의 성공요인은 한 산업분야에서 고곤부투하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ccess factors of Nara Corporation, which competes in bedclothes industry with the slogan, “Beautiful Living Space”. First, this case study onNara Corporation shows CEO’s headstrong enthusiasmfor their products is an important role for the survival in bedclothes industry. Second, this study points out CEO’s business mind and management approach are important to sustainable growth. Third, this shows innovation through changes and challenges is another success factor. Forth, impact on the repurchase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providing high quality products is also key success factor. Finally, the quick response process for dissatisfied customers minimize customer dissatisf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hese success factors of Nara Corporation are applied to SMEs.

      • KCI등재

        일본 ‘네오 팝’과 ‘요시토모 나라’의 연관성 연구

        김범준,서정호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4

        이 연구는 일본 네오 팝의 대표적인 작가 요시토모 나라의 작품을 네오 팝의 발생과 함께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연구다.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이를 위해 먼저 일본 네오 팝의 탄생 배경을 살펴보았고 네오 팝의 특징을 3가지로 분류해 연구했다. 그 특징은 먼저 오타쿠로 대변되는 ‘서브 컬처’, 그리고 전후 축소 지향적이고 귀여움을 전략적으로 내세운 ‘가와이’, 끝으로 고대 일본 문화로부터 현재까지 파생되고 있는 ‘그로테스크’ 미학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다음으로 ‘요시토모 나라’와 ‘네오 팝’의 상관관계를 양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지난 1990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국내에 보도된 언론 기사 모두 1,300여 건을 대상을 워드 클러스터링 해서, 요시토모 나라와 네오 팝의 상관관계를 수치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요시토모 나라와 네오 팝은 양적 선형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요시토모 나라의 연관 검색어 분석을 통해서 동료 ‘1965’ 작가인 무라카미 다카시의 연관성, 일본 대중문화를 이끄는 네오 팝의 대표작가 등의 단어를 빈도수와 가중치에 따라 유의미하게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와 같은 네오 팝의 3가지 특징을 기반으로, 요시토모 나라의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본 네오 팝의 연관성을 탐색적으로 연구하고자 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ork of Yoshitomo Nara, a representative Japanese neo-pop artist, along with the occurrence of neo-pop. To this end,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Neo-pop in Japan, and then classified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Neo-pop into three categories. Its characteristics were firstly 'subculture' represented by otaku, 'kawaii', which strategically emphasized postwar reduction-oriented and cuteness, and finally 'grotesque' aesthetics derived from ancient Japanese culture to the present. Next, in order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Yoshitomo Nara' and 'Neo Pop', word clustering of over 1,300 media articles reported in Korea from January 1, 1990 to the present, was conducted with Yoshitomo Nara. The correlation of Neo Pop was examined numeric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Yoshitomo Nara and Neo Pop had a quantitative linear relationship. Next,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search words by Yoshitomo Nara, we were able to derive meaningful word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ellow ‘1965’ author Takashi Murakami, and the leading Neo-Pop artist who leads Japanese popular cult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weight. Lastly, based o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of neo-pop, I tried to reflect on the relevance of Japanese neo-pop by examining Nara Yoshimoto's work in detail.

      • KCI등재

        특집 : 한국 고대 동아시아 사상의 교류 ; 일본불교의 원측에 대한 인식 -나라시대를 중심으로-

        김천학 ( Cheon Hak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본고는 일본 불교에서의 원측 이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첫째, 일본 쇼소인(正倉院) 고문서에 기록되어 있는 원측 저술의 필사 기록을 조사하여 원측 저술의 유통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는 나라시대 법상종 문헌에서의 원측 인용에 대한 한 예를 검토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일본 나라시대에 중국 법상종에 대한 정통의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기존 견해를 방증하는 결론에 이를 것이고, 나아가 일면 신라의 원측이 중국의 기보다 더 중시되었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도출할 것이다. 나라(奈良)시대에는 사경소가 설치되어 많은 불교 저술이 필사된다. 쇼소인에는 이와 같은 8세기의 고문서가 1만여 점 정도 전해진다. 나라시대에 필사되었던 원측의 저술은 총 9종류이다. 원측의 저술은 731년부터 774년까지 44년에 걸쳐 꾸준히 필사기록이 보이는데, 특히, 747년과 751년에 가장 많이 필사된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된 저술은 『성유식론소』로 30여 회 필사기록이 남아 있다. 한편, 나라시대에 필사된 기의 저술은 원측 저술의 2 배인 19여종에 이른다. 그의 저술도 역시 731년부터 필사되기 시작한다. 95여회의 필사기록이 있는 원측보다 30여회 많아 122회에 달한다. 하지만, 필사된 기의 저술 종류가 원측 저술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볼 때, 일본에서 기의 저술을 원측의 저술보다 특별히 더 중시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되는 것이 『법화경소』의 명칭으로 필사된 『법화현찬』 10권이다. 반면에 『성유식론소』는 14회 정도 필사된다. 반면에 원측의 『성유식론소』는 30여회 필사된다. 이 같은 통계로부터 770년대까지는 『성유식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원측의 『성유식론소』가 기의 『성유식론소』보다 더 중시되었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추측도 가능하다. 원측의 제자 도증과 기의 제자 혜소에 대한 필사 기록에도 거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 즉 도증과 혜소의 학파 상승관계를 염두에 두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혜소의 저술로서는 『최승왕경소』가 많이 필사되는데 일본에서 호국경전으로서 중시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나라시대 말 젠주의 저술 『증명기』와 젠주 다음에 활약했던 고묘를 통해 볼 때, 당시, 특별히 원측과 기를 차별하려는 입장이나 신라와 중국을 구별하려는 학문적 태도를 확인할 수 없다. 향후 일본에서의 원측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젠주 뿐 아니라 젠주 이외의 유식문헌과 유식문헌 이외에서의 원측인용의 예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Japanese Buddhism of the Nara period. In this study, firstly, I researched the circulation of Wonchuk`s writings by investigating the recordings on the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presented in the ancient documents of Shosoin(正倉院) in Japan. Secondly, I probed an example of citation of Wonchuk`s writings in the documents of the Hosso school in the Nara period. Thu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supports the existing supposition that there had been no consciousness on the orthodoxness of the Chinese Fashang school in the Nara period, with the possibility that Wonchuk from Silla might have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Chinese Chi. In the Nara period, there have been many transcriptions of Buddhist writings with the establishment of transcription offices in many places. In Shosoin, there remains about ten thousand pieces of such ancient documents from 8th century. In total, 9 kinds of Wonchuk`s writings had been transcribed in the Nara period. From 731 AD to 774 AD, for 44 years, there are recordings on continuous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especially in the years of 747 AD and 751 AD. The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30 times, which shows its popularity excelling the other works of Wonchuk. On the other hand, the transcription of Chi`s writings in the Nara period is recorded to have been done in 18 kinds, which are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s writings. His writings also began to be transcribed in the year of 731 AD. The number of times being transcribed in the case of Chi`s writings surpasses the one in the case of Wonchuk`s writings by 34 times, its being 126 times compared to 92 times in the latter case. Considering the kinds of Chi`s writings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 however, I could not come to the conclusion that Chi`s writings have been transcribed saliently more often than Wonchuk`s writings. Among Chi`s writings, the Fahuaxuanzan(法華玄贊) in 10 volumes, in the name of the Fahuajingshu(法華經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most often, while 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17 times. From such statistical analysis, until the decades of 770 A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engweishilun(成惟識論), Japanese Buddhist scholars might be carefully supposed to have focused on Wonchuk`s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more than on C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Considering the writings of Jenju(善珠) and Gomyo(護明) in the end of the Nara period, I could not ascertain their scholarly attitude to distinguish Wonchuk and Chi or to distinguish Silla and China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eishi(惟識) school. In the future, there remains the necessity to analyze more critically the cases of their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Weishi and other docu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more thoroughl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Japan.

      • KCI등재

        일제하 나라여자고등사범학교 유학생의 삶

        김광규 한국여성사학회 2022 여성과 역사 Vol.- No.37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일본의 관립 여성고등교육기관인 나라여자고등사범학교(나라여고사)의 조선인 유학생에 대해 유학 과정과 유학 생활, 귀국후의 삶에 대해 계급적, 민족적, 젠더적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계급적 측면에서 볼 때, 나라여고사 유학생들은 극소수의 혜택 받은 여성이었다. 이들은 일본 유학과 고등교육이라는 같은 계층의 남성조차도 쉽게갖기 어려웠던 기회를 누렸고, 학력을 바탕으로 중등교원이라는 직업과 결혼을 통해 계층 유지 또는 상승에 성공했다. 나라여고사 유학생들이 귀국후 사회단체 활동이나 민족운동에 참여했던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본인과 친정, 배우자, 시집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할 때, 이들 대부분은 일제강점기에 경제적 어려움이나 식민지배의 폭력과 억압을 직접 경험할 일이거의 없는 삶을 살았다고 볼 수 있다. 즉 이들의 삶은 민족적 측면에서 볼때 지극히 개인적이었다.

      • KCI등재

        광역소방행정체제 하에서 소방행정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협력방안 - 일본 나라현(奈良県)의 소방조합 도입 논의를 중심으로 -

        Ju Ho Lee,Ying Hua Piao,Masatsugu Nemoto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6

        본 연구는 2012년 일본 총무성 소방청의 기초소방자치의 광역화 추진 과정에서 소방재정의 효율적 분담과 소방력 운영을 위해 나라현(奈良県)이 도입한 자치단체간 소방조합 체제 도입과 운영을 탐색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을 통한 소방행정체제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일본 나라현의 광역소방조합 사례를 고찰한 결과, 나라현은 관할 구역의 시정촌과 광역소방조합을 설립하여 광역소방행정체제로 전환을 추진과 함께 재정운용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방시설 및 장비, 인력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중복투자의 비효율성을 낮추는 한편, 사무효율화의 기반을 마련하여 현장 중심의 신속성․대응성․현장성을 강화하고 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의 경우도 소방재정의 확충, 소방공무원의 근무여건과 환경개선, 국가에 대한 소방재원 대책 요구 등의 논의 뿐만 아니라 고객 중심에서 소방행정서비스의 안정적 공급과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방안 등의 새로운 제도적 설계 모색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wide-area fire administration system of a municipal corporation at Nara prefecture in Japan to educe management methods for optimizing fire administrative body. A 'Nara Wide-Area Corporation for Fire Fighting' is composed of its affiliate corporations for fire fighting which are financed by relevant municipalities such as cities, towns and villages. Then 'Nara Wide Area Corporation for Fire Fighting' is restructuring its cooperation network of fire stations, fire fighting officials and fire fighters to avoid duplication of facility investments among the existing affiliate corporations concurrently with to improve fire services more efficiently and rapidly in their areas. Thus not only increasing budget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but also consideration to optimize fire service resources for its efficient, rapid and sustainable provision are requisite especially in local governmental level.

      • KCI등재

        일본 고대문화 형성기의 도비인식(都鄙認識) 고찰

        이권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9 일본사상 Vol.0 No.36

        본고는 일본이 고대국가의 모습을 갖추어 가는 5~6세기를 거쳐 율령제(律令制)를 근간으로 하는 정치 체제하에서 일본 고대문화의 최성기를 자랑하는 8세기 나라(奈良) 시대까지, 문화사적 시대구분으로 볼 때 이른바 아스카(飛鳥)․나라(奈良) 시대에 해당하는 일본 고대문화 형성기에 있어 권력과 문화가 집중하는 중앙도시의 출현과 이와는 대극에 있는 지방을 고대 일본의 문화사적 흐름 속에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사기, 일본서기, 만엽집 등 상대의 문헌 자료 분석을 통해 고대 일본인들이 ‘중앙(都)’과 ‘지방(鄙)’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를 표상(表象)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했다. 근세 시대 이전까지 ‘교비토(京人)’들의 주변부 인식이라는 것은 거의 무시에 가깝다. 고사기나 일본서기에 보이는 아즈마노쿠니(東國)를 중심으로 하는 주변부와 그곳에 사는 민중들은 야마토 조정에 불복해 무력으로 맞서는 정벌해야 할 야만인으로서 그려지고 있으며 온갖 잡신들이 우글대는 혼란스러운 땅으로 묘사되고 있다. 또한, 만엽집 속 ‘히나(鄙)’는 ‘미야코(都)’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비일상적 공간으로서 미야코를 그리워하며 노래하는 하나의 소재에 지나지 않는다. 히나를 소재로 하는 그 어떤 노래도 히나 자체를 대상화하여 노래하거나 이를 긍정하는 노래는 없다. 반면 나라(奈良)로 대표되는 미야코는 꽃향기가 가득하고 풍류가 있으며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교비토의 마음속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는 고대인들의 심상 공간이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고대인들의 심상은 헤이안쿄(平安京)로 이어져 나라와 헤이안쿄는 일본인들의 마음속 원향(原鄕)으로 기억되고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period from the 5th to the 6th century, when Japan gradually took shape of the ancient state, and under the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 rule system, until the 8th century Nara(奈良) period , Asuka (飛鳥) in terms of so-called cultural history era, the emergence of a central city where power and culture concentrate in the Japanese ancient culture forma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Nara period, I will try to settle in the big cultural history flow. Specifically, we examine the analysis of Japanese counterparts such as Kojiki(古事記), Nihonshoki(日本書紀), and Manyoshu(万葉集)to see how the ancient Japanese perceived and expressed the ‘capital(都)’ and ‘local (鄙)’. Before the modern era, the perception of ‘Kyobito(京人)’ peripherals is almost ignorant. The periphery around Azuma-kuni(東國), which is depicted in Kojiki and Nihonshiki, and the people living there are depicted as barbarous people who oppose the Yamato control and face the force, do not know how to punish them, It is depicted as a confused land. In addition, the change in Manchuria, that is, Hina is nothing but a material to sing Miyako as a non-routine space away from Miyako. No song with a hina song singing hina itself or singing affirms hina. On the other hand, Miyako, represented by Nara, was an image space of the ancients who were filled with the scent of flowers and the beautiful scenery and were located far away in the heart. And these images of ancient people lead to Kyoto, and Nara and Kyoto are remembered deeply in the hearts of the Japanese as the Japanese origin.

      • KCI등재

        『三論玄義』의 성립배경에 대한 검토

        최연식(Choe, Yeon Shik) 한국불교연구원 2014 불교연구 Vol.41 No.-

        吉藏의 저술로 전하는 현재의『삼론현의』는 일본 불교계에서만 전해진 문헌이며, 이 책은 9세기의 문헌에 처음으로 나타나고 있다. 9세기에 활동한 安澄, 玄叡등의 저술에 이 책이 처음으로 인용되고 있고, 10세기의 불전목록에 길장의 저술로 확실하게 나타나고 있다. 9세기 이전의 자료들 중에도『삼론현의』라는 책 이름이 보이고 있지만 이 책은 현재 吉藏의 저술로 전하는『삼론현의』와는 별개의 책으로 확인된다. 나라시대의 寫經관련 고문서들에『삼론현의』라는 책이 보이지만, 이 책은 元曉의 저술로서 審詳이 8세기 중엽 일본에 전래한 문헌 중 하나로 확인된다. 현재『삼론현의』는 단일한 문헌으로 유통되고 있지만 내용을 검토해 보면『中論』『百論』『十二門論』등 三論의 근본취지[大歸]를‘破邪’와 ‘顯正’으로 설명하고 있는 전반부와 三論각각의 특성과 상호 관계를 논하고 있는 후반부는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삼론학 논서들을 전반부에서는 三論이라고 표현하는데 반해 후반부에서는 四論이러고 일컫고 있다. 또한 『中論』의 이름을 전반부에서는 正觀論이라고 부르는데 반해 후반부에서는 中觀論이라고 일컫고 있다. 전반부와 후반부의 연결도 자연스럽지 않다. 현재의『삼론현의』는 서두에서 책이 크게 두 부분 즉 ‘通序大歸’와 ‘別釋衆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히고 있는데, 전반부의 내용은 ‘通序大歸’에 해당하지만 후반부의 내용은 ‘別釋衆品’으로 보기 힘들다. 내용상으로도 후반부 처음에 나오는 ‘次明經論相資’는 앞부분과 잘 이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삼론현의』는 전반부와 후반부의 성격이 서로 다르고, 연결도 자연스럽지 않아서 두 개의 다른 두 문헌을 결합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나라시대의 寫經문서들에는 나타나지만 헤이안시대 이후에는 보이지 않는 삼론학 문헌인 『三論玄義』,『中觀論宗要』,『三論宗要記』,『中觀論記』등이 주목된다. 이들은 제목으로 볼 때 三論혹은 그 대표격인『中論』의 핵심 사상을 정리한 綱要書성격의 문헌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현재의『삼론현의』의 성격과 상통하는 것이다. 그런데 고문서에 나오는 모습으로 볼때『三論玄義』와『중관론기(현)』,『중관론종요』와『삼론종요(기)』는 각기 동일한 문헌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의『삼론현의』전반부와 후반부를 두 문헌에 대비해보면 내용상 전반부는『중관론종요』(=『삼론종요(기)』), 후반부는『삼론현의』(=『중관론기(현)』)에 대응되는데, 분량상으로도 나라시대 고문서에 보이는『三論宗要』(16紙)와『中觀論記』(20紙)의 분량은 현재 大正藏에 수록되어 있는『三論玄義』의 분량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상의 상황으로 볼 때 현재의『삼론현의』는 나라시대 사경 문서에 보이는『중관론종요』(=『삼론종요』)와『삼론현의』(=『중관론기』)를 결합하여 새롭게 편집한 책일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고 생각된다. 두 책은 모두 심상이 신라에서 일본으로 전래한 문헌들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렇다면 현재의『삼론현의』는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吉藏의 저술이 아니라 신라에서 편찬된 삼론학 관련 문헌들을 토대로 일본에서 새롭게 편찬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삼론현의』의 저본이 된 책들의 성격, 특히 길장 저술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욱 자세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Sanlunxuanyi , the famous catechism of Sanlun philosophy regarded to be a work of Jizang, was circulated only in Japan before 19th century. The earliest mentions of this book was found in the 9th century Japanese Sanlun literature and the 10th century Buddhist catalogues clearly recognized it as Jizang’s work. Though the same title is found in some lists of buddhist books contained in the documents of Nara period, it was different from the present Jizang’s work. It was the Wonhyo’s lost work and one of the books brought to Japan from Shilla by Shinzo in 8th century according to the documents. The present Sanlunxuanyi consists of two parts; the former tells about the intents of the main texts of Sanlun philosophy, while the latter explains the peculiarities and greatness of Sanlun texts and the samenes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Though they are the components of the same book, the two parts show some differences in style. The former uses the term ‘Sanlun(three sastras)’ to mention the main texts of the school, while the latter uses‘Silun(four sastras).’ Also the former calls the Zhonglun, the core text of the school, as Zhengguanlun, while the latter calls it Zhongguanlun. The connection of both part is unnatural. At the beginning of the book it is said that it is composed of the general explanation of the intents of the Sanlun texts and the specific explanations on the individual chapters of the texts. The former part can be regarded as the general explanation, but the latter part can not be the specific explanations on the individual chapters. There is no reason that the first passage of the latter part should follow the last passage of the former part. Seeing the differences in the style and the incongruity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parts of the present Sanlunxuanyi , it is very probable that the work is a compound of two different works. With this, the Sanlun works such as the Sanlunxuanyi , the Zhongguanlun zhongyao, the Sanlun zhongyaoji and the Zhongguanlunji which were shown in the Nara period documents but missed in the Buddhist catalogues of Heian period are attended. Considering the titles, these works must have been the catechisms or introductions to the Sanlun philosophy like the present Sanlunxuanyi . Comparing the book lists which contain the works, it is very probable that the Sanlunxuanyi is identical with the Zhongguanlunji and the Zhongguanlun zhongyao with the Sanlun zhongyaoji . Considering the titles, the former part of the present Sanlunxuanyi matches with the Zhongguanlun zhongyao or the Sanlun zhongyaoji , and the latter part with the Sanlunxuanyi or the Zhongguanlunji . Also the volume of the Zhongguanlunji and the Sanlun zhongyaoji recorded in the Nara period documents is the same with that of the former part and latter part respectively. Considering these things, it is very probable that the present Sanlunxuanyi is the compound of the Zhongguanlun zhongyao and the Sanlunxuanyi of Nara period. It is noticeable that the two works which consist the present Sanlunxuanyi were brought to Japan by Shinzo who had studied in Shilla. They might have been written in Shilla by Shilla monks. Then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Sanlunxuanyi is not a work of Jizang, but a compound made in Japan with the works written in Shilla.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works, especially the relations with the works of Jizang, should be examined in detail.

      • KCI등재

        월지국.목지국의 우리말 이름과 위치에 관한 연구: 굴절.반사된 역사적 명칭의 우리말 복원을 위한 음소분석조합법 시론

        최봉수 ( Bongsu Choi ) 한국행정사학회 2014 韓國行政史學誌 Vol.34 No.-

        본 연구는 ‘음소분석조합법’을 활용하여 ‘월지국’과 ‘목지국’의 우리말 명칭을 복원하고 그 위치를 추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음소분석 대상이 중국 사서의 기록인 경우에는 B. Karlgren의 중국 고대발음을 기준으로 했고 한국의 사서일 경우는 「동국정운」과 「훈몽자회」를 기준으로 했다. 연구결과 ‘월지국’의 우리말 명칭은 ‘윗 나라’로서 지배적인 국가의 위상을 나타낸 이름이다. 또 목지국’은 ‘못 나라’로 복원되는데, 이는 농경사회의 생산시설인 못을 보유·관리하는 국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월지국’은 맹주국가의 위상을 표현한 것이고 ‘목지국’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실제의 국가명칭인 것이다. 이것은 ‘월지국’이 ‘목지국’을 잘못 기록한 것이라는 기존의 다수설과 다르며, 동일한 마한의 지배국가를 ‘윗 나라’ 또는 ‘못 나라’로 같이 불렀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마한’의 우리말 뜻이 ‘남한’이라고 할 때, 마한의 도읍은 익산 이남의 지역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벽골지’의 우리말 명칭은 ‘벼 고을 못’이 되는데, 이는 ‘못 나라’의 의미와 상통하는 것이다. 따라서 삼한시대에 주요 쌀 생산지로서 ‘벼 고을’이었던 김제지역이 목지국이었거나, 김제지역의 풍요로움을 함께 향유할 수 있었던 인근지역이 목지국의 영역이었다고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original Korean names of Walljiguk & Mokjiguk which had been refracted and reflected with Chinese characters by essaying to use the phonetic analysis compounding methode and to find out the areas in which they had been located. I use the ancient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reconstructed by K. Karlgren if the Korean historical names were recorded in the Chines books. When they were recorded in Korean books, then I use the books of Donggukjeongun and Hunmongjaho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constructed original Korean name of Walljiguk is ‘Wit-nara’ which meant the dominating superior country; the original Korean name of Mokjiguk is ‘Mot-nara’ which meant the owner and manager country of large lake which had been constructed to cultivate rice or for other agricultural purposes. These implies that Walljiguk and Mokjiguk are possibly the same country. And it would be against the existing theory that the Walljiguk is a clerical error of the Mokjiguk. Finally, we could find out the location of the Mokjiguk by using the Korean name of the ‘Mahan’ ― the ‘South Han’. The Mokjiguk which was the capital of Mahan had to be located to the south of the Iksan which was the capital of Han. Further reconstruction of Korean name of ‘Byeokgol’ led us to recognize that it was the ‘Byeo goeul’ which meant the famous town where produced a great deal of rice. As so we could estimate that Mokjiguk had been located in Gimje of which ancient name was ‘Byeokgol’ or in a region where the richness of Gimje could be sh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