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성격유형별성취목표ㆍ학습기술ㆍ학업성취간의 관계탐색

        김영미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성격유형에 따른 성취목표, 학습기술, 학업성취도의 구조적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후, 성취목표, 학습기술, 학업성취도의 구조모형에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진로지도에서 진로탐색시기로 중요한 중학교 학생 761명 이며, 설문은 홀랜드 진로탐색검사지, 성취목표질문지, 학습기술질문지로 구성하였고, 학업성취도는 표집대상 중학교 학생의 교과별 성적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홀랜드 진로성격유형, 성취목표, 학습기술, 학업성취도간에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홀랜드 진로성격유형별로 성취목표, 학습기술과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학교현장에서 개인의 진로성격유형에 따른 진로탐색 및 그에 따른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고, 학업성취의 향상 및 효과적인 진로지도의 영역을 넓히고자 하였다는데 의의를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향후 연구의 방향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achievement goal, academic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olland’s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research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cademic goal, academic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examined and verified them has any moderating effect among themsel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61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at the critical stage in career guidance and counselling, and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for Holland’s career counselling questionnaire, academic goal questionnaire, and academic skills questionnaire.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represented by the scores of the subject 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differ among achievement goal, academic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erning Holland’s six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kills on the basis of Holland’s six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shows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provided us with the implications on how to guide students in the field with regards to their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which expected to lead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counsell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suggestions for further investig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학업우수집단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의 학습기술 분석

        이경화,손원경 한국교육방법학회 2005 교육방법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학업우수집단과 부진집단 간 학습기술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집단 내 학습기술 하위요인 간 차이가 있는지, 학업우수집단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학습기술의 하위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510명의 학업성취 및 학습기술 검사자료를 수집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 및 대응표본 t-검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우수집단이 부진집단보다 학습기술 및 학습기술의 하위요인에 있어 높은 점수를 얻었고 그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둘째, 각각의 집단 내에서 학습기술 전체점수와 자기관리, 과제해결, 시험치기기술점수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수업참여기술과 정보처리기술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학업우수집단의 학업성취에 대해서는 학습기술 하위요인 중 수업참여기술과 정보처리기술이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학습기술은 학업성취의 중요한 변인이며 학습기술 하위요인 중 수업참여기술과 정보처리기술은 학업우수집단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요인으로서 의미를 갖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수업참여기술과 정보처리기술을 구체화하여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나아가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증진을 돕기 위하여 이러한 학습기술의 지도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academic performances and study skills of 510 fifth-grade students. Having divided the cases into high academic achiever group and its counterpart,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study skills between two groups, and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study skills of each within-group, and sub-factors of study skills predicting academic performances of high achiever group. The study results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s, paired sample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s shows that: first, high achiever group acquired higer scores in over-all study skills and their sub-factors than its counterpar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having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total scores of study skills and scores of their sub-factors, self-management, assignment-solving, taking-examination skill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class-participating skills and information-processing skills did not; third, class-participating skill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as study skill sub-factors was significant predictors for academic performances of high academic achiever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y skills are significant factors for academic achievements, and class-participating skills and information-processing skills have critical meaning as academic performance predictors of high achiever group. Realization of training programs focusing class-participating skills and information-processing skills is required, and these programs should be applied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s of those students having difficulties in learning.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환경, 학업촉진자, 학업기술, 학업성취의 관계

        신현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instructional context, academic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e., mid-term and final exam scores in Korean, English, Ma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Academic competence was construed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nsisting of academic enablers (i.e., motiv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engagement, self-management) and academic skills (i.e., reading, writing, math, information processing). Paper-pencil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95 seventh grader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theoretical model with all the paths depicting the influences of each latent variable on the next, 'instructional context → academic skills J and 'academic enablers → academic achievement J paths were not significant. Second, the modified model with the two non-significant paths deleted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etitive model with the 'instructional context → academic achievement J path deleted besides the two paths. Third, in the modified model, both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ablers in the relation between instructional context and academic skills and that of academic skills i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enablers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Fourth, the direct effect of instructional contex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egative; however, as academic enablers and academic skills were assumed as mediators, such negative effect was suppresse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ositive influences of desirable instructional context up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annot be guaranteed without the mediation of academic enablers and academic skills. Therefore, efforts to enhance students' motivational, attitudi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use of academic skills are essential if teachers and other school personnel intend to increa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altering instructional contexts. 이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환경, 학업촉진자{academic enablers; 동기, 대인관계, 수업참여행동, 자기관리), 학업기술(academic skills; 읽기, 쓰기, 수리적 기술, 정보처리기술), 학업성취(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 목의 중간시험과 기말시험 성적)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l 학년 295 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지각된 수업환경, 학업촉진자, 학업기 술,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세 가지 모형을 설정하고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수 업환경, 학업촉진자, 학업기술, 학업성취의 각 잠재변인이 다른 잠재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경로를 가정 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연구모형에서 유의하지 않은 경로를 제거하여 수정모형을 설정하였고, 수정모 형과 적합도를 비교하기 위해 수업환경이 학업성취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추가로 제거하여 경합모형 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경험적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 중 Aroian 방정식을 적용하였다 연구모형에서 「수업환경 → 학업 기술」 경로와 「학업촉진자 → 학업성취」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두 경로를 제거한 수정모형 이 경합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수업환경과 학업기술의 관계에서 학업촉진자 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학업촉진자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업기술의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중학생 의 학업성취에 대한 수업환경의 직접 효과가 부적이었지만, 학업촉진자와 학업기술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경우에 수업환경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억압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수업환경의 개선 노 력이 궁극적으로 학업성취의 향상으로 이어지려면 학업촉진적인 동기, 정서, 행동과 인지적 학업기술의 향상 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음악 인지기술과 수학 및 과학 학습기술과의 관계

        정현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인지기술과 학습기술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음악 인지기술 훈련이 학습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첫째, 상관관계 연구에서는 총 70명의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음악인지기술검사(MCST)를 실시하여 수집된 결과와 학생들의 수학과 과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는 70명의 학생 중 하위 20%내의 학업성취도를 보인 15명을 대상으로 16주 동안 주 2회의 음악인지기술훈련에 참여하여 학업성취도 검사를 재실시한 후, 음악인지기술훈련이 학업성취도의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상관관계 연구에서는 음악인지기술 검사의 하위항목들 중 수학은 리듬(p=.026)과 선율 모방기술(p=.035)과 각각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과학은 리듬 모방기술(p= .044)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음악지각인지훈련 이후 수학(p=.000)과 과학(p=.000)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리듬 모방 기술(p=.004)과 선율모방 기술(p=.006)간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음악활동에서 소리 정보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기본 인지기술이 학습 과정에서도 필요시 되는 기술이며, 구조화된 음악활동은 학습에서 필요로 하는 관련기술들을 촉진하고 강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따라서 학습동기가 결여된 학생들에게 구조화된 음악활동을 통해 학습에 필요한 정보처리능력과 집중력을 강화시킴으로써 학업성취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examine if various cognitive skills in musical tasks correlate with academic performance in mathematics and science, and secondly to see if structured music cognitive skills training program enhances academic performance in mathematics and science. For the first part of the study, a total of 70 elementary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participated in the study. Music Cognitive Skills Test (MCST) was developed to assess various sub-skills for music processing. Students’ MCST scores and academic achievement scor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Secondly, the study examined i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enhanced through implementation of a music cognitive skills training program. A total of 15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ho are performing in the bottom 20% in the class participated in 32 sessions for 16 week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ubcategories of music cognitive skills and academic performances. The rhythm and melody imitation skill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s in mathematics and science after the music cognitive skills training. The study further discussed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hat structured music activities may facilitate basic academic skills and motivate task participation in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 KCI등재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간의 관계 분석

        이은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Researcher administered a survey that measured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o 382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ighth grade, consisting of 185 boys and 197 girls. Researcher analyzed the survey data using path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visualization tendency is the key factor that affects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overal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visualization tendency were derived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82명(남 : 185, 여 : 197)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를 측정하였으며, 경로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학업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를 매개하여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화 경향성이 기술 학습 태도 및 학업 성취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핵심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 「건설기술의 기초」 단원에서 협동 학습을 통한 체험 활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박종석,이건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기술문명을 이해하고, 고도정보화 사회에 부합할 수 있는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건설 기술의 기초” 단원에서 협동 학습을 통한 모형 교량 만들기 체험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험 활동 중심 수업과 전통식 수업간의 학업 성취도, 학습방법, 성별, 학습 능력의 차이 등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 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개별 학습을 실시한 집단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교육 목표 영역인 인지적, 정의적, 심리·운동적에 비교한 결과 협동 학습은 인지적 영역의 학업 성취도는 두 집단간 차이는 없으나, 정의적, 심리·운동적 영역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간 학업 능력에 따른 학업 성취를 비교한 결과는 상위집단과 중위집단의 수준에는 차이가 없으나 하위 집단에서 더 큰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협동학습을 통한 체험 활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명히 밝혔고, 학교 현장에서 단원의 성격에 따라 강의식 수업과 체험 학습 모형을 적절히 조화시켜 학습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협동학습 개발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technological culture, and consider how the experience of building the model bridges at the basic level of “ basics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high school technology class, play on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the following;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hands-on experience based classes(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classes(controlled group), what are the differences in academical ability between the genders.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is as the following. Firstly,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gained by the cooperative study group and the group the underwent individual study was very minimal. Secondly, when the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developing intelligence, skills of defining, and in psychological exercis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 of developing intellig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cooperative study group showed improved developments for skills of defining, and psychological exercise. Thirdly, in terms of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al development subsequent to the academical abil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and the middle group, but the effectiveness was very clear in the lower group. This research clearly demonstrates the effects of hands-on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cooperated efforts on the academical development,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an importan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study activities that will maximize the study effectiveness by optimally mixing the lecture based class and the hands-on experience based class, according to the class members of the school.

      • KCI등재

        한자능력(漢字能力)과 학업성취도(學業成就度)와의 상관성(相關性)에 관한 연구

        이광오 ( Kwang Oh Yi ),이현진 ( Hyeon Jin Lee ),송병렬 ( Pyungnyul So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8 No.-

        한자능력과 학업능력 사이의 상관은 오랫동안 한문교육자뿐만 아니라 인지과학자, 신경과학자 등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한자능력과 學業成就度 사이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밝히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자능력과 學業成就度의 상관관계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 교생들의 學業成就와 관련되는 인지능력들을 검사하였다. 우선 言語知能으로서 言語理解力, 어휘력 등을 측정하고, 아울러 單語 認識 能力으로서 形態素 認識力을 검사하고, 한자발음, 한자의미, 한자 활용 등을 측정하는 일반 한자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視覺的 技術을 측정하였다. 視覺的 技術은 한자 읽기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사 결과, 고교생의 학업 성취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것은 形態素 認識力이었고, 이어서 言語知能, 視覺的 技術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자능력은 學業成就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形態素 認識力, 어휘력, 視覺的 技術과 비교하였을 때는 설명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자 능력이 학업성취에 직접 관여하기보다는 형태소 인식력, 시각적 기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여되어 있을 가능성을 가리킨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자어 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향을 지시하며, 아울러 한자 능력의 검사 방법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한다. The idea that the abilities to read and write Chinese (Han) characters improve school achievement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a variety of scholars such as Chinese (Han) character educators, cognitive scientists, and neuroscientist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addressed the issue using scientific methods in Korea. We thus attempted to analys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nowledge of Chinese (Han) characters and school achievement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ive tests were used. We first measured the students’ abilities to pronounce, understand, and use Chinese (Han) characters. The verbal intelligence was also measured with both vocabulary and language comprehension sub-tests from K-WISC-III. We also measured the students’ morphological awareness and their copying skills with difficult Chinese (Han) and Korean characters. The mid-term scores for Korean language, Mathematics, Practical English, and Economics were obtained and used as each student’s school achie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was the best variable to account for the variance of the students’ school achievements. And then verbal intelligence, especially vocabulary, and copying skills were also found to account for the significant amounts of variance of school achievement. However, the knowledge of Chinese (Han) characters accounted for only a small portion of variance of school achievement. We suggest that the poor explanatory power might be attributed to indirect connections from the knowledge of Chinese (Han) character to school achievement via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isual skills .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indicate a new direction in Chinese (Han) character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call for the tests of Chinese (Han) character knowledge using the scientific methods.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의 관계

        조한익,권혜연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1

        본 연구는 학습내용이 심화되고, 학습량이 급격히 늘어남과 동시에 성적이 더욱 엄격한 기준에 따라 산정되고, 그 결과가 더 중요해 지는 등 학업에서의 성취가 강조되기 시작하는 중학교 시기의 학생들에게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기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교에 다니는 1, 2, 3학년 학생 458명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척도, 학습기술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의 1학기 중간고사 점수를 토대로 학업성취도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중 내재적, 동일시, 내사동기는 학습기술 및 학업성취와 정적상관을 보이며, 외사, 무동기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1학년 학생에 비해 2, 3학년 학생의 경우 학업성취에 학습기술이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셋째, 학습동기는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습기술에 부분매개되었다. 또한 학습동기의 하위 유형인 동일시동기, 무동기도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습기술에 부분매개되었다. 그러나 내재적, 내사, 외사동기의 경우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습기술에 의해 완전매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들이 갖는 시사점 및 제한점에 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study skil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whether study skil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58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for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compare relative power. Lastly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y skill on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operated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procedure which was proposed by Barron & Kenny(1986).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ellow. First, Self-determination of the internal, identification, intrinsic motivation, study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a positve correlation. But extrinsic, non-motivation was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2nd, 3rd grad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greater impact on study skill than 1st grade. Third, study skill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iscussion follows about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ARCS 모형을 적용한 ‘기계 운동의 원리’ 단원 수업의 효과

        송계남,최준섭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chnology instructionusing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model on the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To accomplishthis purpose, teaching-learning plans were developed for six class periods,implemented and evaluated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desig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cross two groups, as follows: one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instruction using ARCS model, and anothercontrol group that received conventional type instruction. The pretest-posttest scores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The scores were analyzed andevaluated by t-test at .05 significance level methods using SPSS/win 12.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using the pre-experimental design, thelearning motivation and all the motivating factors (Attention, Relevance,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id not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hile in the post-experimental design,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Moreover, bothlearning motivation and all of the motivating factors(ARCS) were higher in the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s. Therefore, Technology instructionapplying the ARCS model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than conventional type instru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using the pre-experimental design, theacademic achievement of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id not show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hile in the post-experimental design, there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Moreover, the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groups. Thus, Technology instruction applying the ARCS model was more effectivein increasing the academic achievement than conventional type instruction. Therefore, we verified that the instruction using the ARCS model improved thelearners'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instru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 교과 수업에 ARCS 동기유발전략을 적용하여수업자료를 개발한 후 이 수업이 학습 동기와 학업성취도에 효과를 주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RCS 모형을 적용한 기술과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총 6차시 개발하였고,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은 ARCS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수업을 적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 유의도 .05 수준에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동기에 대해서 사전에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학습 동기와학습 동기 하위 영역(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사후에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습 동기와 학습동기 하위 영역 모두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ARCS 모형을 적용한 기술과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기술과 수업에 대한 학습 동기를 증가시키는데 더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업 성취도에 대해서 사전에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통계적으로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사후에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를 보였고,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더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ARCS 모형을 적용한 기술과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업 성취도를증가시키는데 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는 ARCS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기술과 수업이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시켜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가 향상됨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기술교과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남승권,윤자룡,최완식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 that influence on technology subject study achievement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to activate the technology subject educational activities.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directly influence on the technology subject study achievement were home environment, internal motivation, and study strategy. So in order to enhance the technology subject study achievement we should prepare the method to make the good home environment, and to enhance the student's internal motivation and study strategy. Second, to make the good home environment we should make an effort through cooperation with parent to enhance the parent's support or parent's intellectual stimulation than parent's supervision or parent's pressure. Third, to enhance the internal motivation we should make the method to enhance the external motivation and study strategy, and make the good school environment such as teacher, friend, and class. Fourth, to enhance the student's study strategy we should make the method to enhance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such as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curious disposition, and make the good school environment such as teacher, friend, and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 교육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기술교과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과 학업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정환경, 내적동기, 학습전략이었다. 즉 기술교과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가정환경을 잘 조성하고 학생들의 내적동기와 학습전략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가정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학부모와 협조하여 부모의 감독이나 부모의 압력 보다는 부모의 지지나 부모의 지적자극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내적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외적동기와 학습전략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교사, 친구, 수업 등의 학교환경을 잘 조성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의 학습전략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적 조작 성향과 기술적 호기심 성향 등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교사, 친구, 수업 등의 학교환경을 잘 조성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