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글쓰기 교육 효과 연구

        박해랑(Park, Hae R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본 연구는 2017학년도 1학기 서원대학교 교양교과목 <사고와 표현>에서 실시한 수업을 토대로 학생들의 사례 글을 중심으로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고, 구체화하는데 목적을 둔다. 성찰적 글쓰기는 4회로 구성하였다. 그 주제는 ‘패러다임의 전환’, ‘나를 소개합니다’, ‘내 인생의 주요 사건-인생 그래프 그리기’, ‘10년 후 나의 모습’이라는 주제로 진행하였다. 각 주제별 학생들의 글을 살펴 본 결과 성찰적 글쓰기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그 효과는 첫째, 학생들은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자기의 삶을 반성하고 자기를 이해하는 기회를 가지게 하였다. 둘째,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자신의 상처를 드러내고 치유의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었다. 셋째,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삶을 제시하였다. 넷째, 글쓰기의 질적 양적 확대와 사고 역량이 자연스럽게 늘어났다. 성찰적 글쓰기는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효과적인 글쓰기 실력의 향상과 더불어 자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writing example of students which is focused on the lecture conducted in Liberal arts subjects <Thinking & Expression> of Seowon University in 1st semester 2017. 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ursue the effects of writing through the introspective writing to clarify it. Introspective writing was composed of the fourth installment following. The writing was made up of the topics, ‘Paradigm Shift’, ‘Let me introduce myself’, ‘The main event of my life-Life curve graph to draw’, ‘Myself after ten years’. Introspective writing has been proved that it was an effective writing education method in writing education of the university. The effects, firstly, were that students had a chance to reflect on one’s life and understand oneself via introspective writing. Second, we had the expectation that students would have effects of healing and revealing one’s wound, looking back. Third, it showed a positive life for future. Fourth,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capabilities was spontaneously increased. Introspective writing decreases students’ burden about writing and can expect not only to improve effective writing skills but also to widen the breadth of the self-understanding.

      • KCI등재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 분석

        차봉준(Cha Bong-Jun),한윤영(Han Yun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이 논문은 S대학이 교양필수로 개설하고 있는 글쓰기 교과목의 수업 효과성 검증을 통해 해당 교과목이 재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S대학의 글쓰기 교과목은 이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연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수업 효과성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나게 한 원인 분석을 위해 S대학 글쓰기 교육과정의 구성상 특성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연계하여 수업 효과성을 조사하기 위해 활용한 진단도구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를 순차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특히 의사소통 수업 효과성에 대한 분석은 기본역량과 특수역량의 두 범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계열별 효과성을 비교 검증함으로써 향후 해당 교과목의 개선을 위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대학의 의사소통의 기본역량 전체평균은 2.14점이었으며, 특수역량 전체평균은 2.80으로 특수역량이 기본역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S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을 평가해 볼 때 해당 교과과정은 재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증진에 의미 있는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의사소통의 기본역량 중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성을 보인 이해(△M=.25)와 특수역량 중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성을 보인 동기(△M=.15) 부분에 대한 증진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아울러 계열별 효과성 분석 결과, 법학계열의 의사소통 역량 증진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계열별 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 및 교재개발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요구된다. 그리고 글쓰기 교과가 실용적 측면에서의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목표는 달성하지만, 자아 성찰적 성장을 통해 인성을 함양하는 전인교육의 차원은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교육 내용인 글쓰기 주제 측면에서도 깊이 있는 고민과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confirm how the writing courses that is S university requirement classes to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affect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courses. In particular, the writing courses are characterized by rather linki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an conducting theory-centered practices. This paper first examines structural uniqueness of the writing courses and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uses that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ourses. Then, it introduc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diagnostic tools us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and explor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sequentially. Specifically, the analysis on their effectivenes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asic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At last, this study is concluded by comparing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to find directions and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future. The findings shows that the special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basic one(total average of special competency: 2.80/ total average of basic competency; 2.14). Th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urriculum has an effect on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Meanwhile, the findings require to improve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understanding in basic communication competency(△M=.251) and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motivation in special ones(△M=.147). Furthermore, the singularity is that the law department shows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suggests that academic discuss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xtbook development suitable for each department be required. Second, the writing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for students‘ self-reflection growth with various topic and composition in order to achieve their multi-layered goals.

      • KCI등재후보

        진단 평가를 활용한 글쓰기 과정과 전략의 지도 방안

        김민정 ( Min Jeong Kim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9

        대학에서의 글쓰기(writing) 교과목은 다른 교과목에 비해 학생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가 특히 어렵다. 그리고 이러한 동기부여의 어려움은 궁극적인 학습 효과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은 글쓰기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자발적인 학습 동기를 불러일으킴으로써 학습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진단평가(diagnosis evaluation)’ 및 ‘진단용 텍스트와 그 글쓰기 과정을 교수-학습(teaching-learning) 단계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교수는 본격적인 교수-학습 과정 전에 학생에게 글쓰기 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글을 쓰도록 한다. 이때 진단용 텍스트에 대한 평가는 그 텍스트의 완성도를 기준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글쓰기의 과정과 전략에 대한 필자의 인지적 능력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이러한 진단평가 과정을 통해 학생은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교수는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수준에 맞는 학습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다음, 진단용 텍스트와 그 글쓰기 과정은 본격적인 교수-학습 단계에 활용됨으로써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왜냐하면, 글쓰기의 인지적 과정과 전략에 대한 학습에서 필자는 자기진단을 위해 글을 썼던 과정을 비판적으로 되돌아보고 그 결과물을 직접 수정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진단평가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은 학생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의 효과를 최대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Compared with other subjects, writing is especially difficult to motivate students for learning. Thi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learning effect. This thesis was written to maximize learning effect by motivating students who learn writing. To this end, ``the scheme that applies "diagnosis evaluation process" and "diagnostic text"`` to teaching-learning process was proposed. First, teacher leads students to write a composition to diagnose student`s writing ability before serious teaching - learning process. The evaluation of diagnostic text should take cognitive ability of writers for writing process and strategy as criteria instead of completeness of text. Through this diagnostic evaluation process, students can find their own writing abilities objectively and then teacher should motivate students for study by providing students with learning methods that are suitable for writing ability of each student and sufficient information on writing that is customized to each student. Diagnostic text and the process can enhance educational effect by being applied to serious teaching - learning process for writers can review the process of writing critically and correct the result of writing firsthand. As mentioned above, writing education that utilizes diagnostic evaluation is very effective in motivating students for study and maximizing learning effect.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교육 효과 분석 ― 글쓰기 과정과 인과와 영향 글쓰기를 중심으로 ―

        박선옥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사고와 표현(읽기와 쓰기)> 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글쓰기 과정’과 ‘인과와 영향’의 글 내용 전개 방식 학습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학습자 52명을 대상으로 ‘글쓰기 과정’과 ‘인과 영향’에 대한 학습을 하기 전에 이에 대한 자기효능감 사전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글을 작성하고 첨삭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본 글쓰기를 하게 한 후 자기효능감 사후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과 ‘인과와 영향’ 글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에서 모두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학습을 하기 전에 비하여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쓰고 난 후 자신의 능력이 더 좋아졌다고 판단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글쓰기 과정을 고려하며 ‘인과와 영향’의 글을 쓰는 활동은 학습자의 글쓰기 역량 증진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교육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많은 대학이 필수 과목으로 글쓰기 교과를 운영하는데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을 바탕으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는 데 의의가 있다.

      •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교수방안 연구 : 전북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양(Park Seon Yang) 국어문학회 2010 국어문학 Vol.49 No.-

        현대 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 해결력이다. 이를 기르기 위해 사고와 표현 능력을 함양하는 주요 교과로 〈글쓰기〉 교육이 있다. 이공계 글쓰기 교육은 교양 교육이면서 공학교육인증 등의 실용적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는 현행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살피고 그 한계를 보완하는 효과적 교수방안의 구체적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공계 특성과 그에 따른 글쓰기 교육에 대해 알아본다. 대학마다 사정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개설된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현행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한계점을 분석한다. 특히 전북대학교〈글쓰기〉 교과연구회의 논의를 바탕으로 전북대학교의 이공계 글쓰기 교재와 교육의 문제점을 살핀다.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의의를 살리고 한계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전북대학교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효과적 교수방안을 제시한다. 실제 교수방안은 이공계 학습자의 특성을 살려 협력 학습을 통한 과정 중심문제해결을 중심으로 하고 흥미유발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과 선배들의 사례글 활용, 게임과 실생활을 연결하는 전략을 주 방법으로 삼는다. Nowadays, one of the most essential requisites is the competence of communication and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Academic writing is the main subject to build the basic abilities of critical thinking and correct expression for that. In this treatise, I suggested concretely the effective teaching program complementary to the limitation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the students major in natural sciences or engineering, which is one of the liberal arts, for the practical purpose of programme criteria for engineering etc.. Accordingly, first of all, I examined the charateristics of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and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those. Secondly, I analysed the manifold academic writing curricula of many colleges and the limitations of those curricula. Especially, I examined the limitations of academic writing education, and the texts, for the students majoring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in Chonbuk University. Finally, I proposed the effective programme to revive the significance of, and supplement the limitation of, the academic writing for the students major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in Chonbuk University. by giving specific examples.

      • KCI등재후보

        말하기 교육에서 글쓰기의 효과와 연계방안

        황성근 ( Seong Keun Hwang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8

        현재 대학에서 말하기와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이 많이 개설되고 있다. 그러나 말하기와 글쓰기 교과목이 서로 연계되어 개설되기 보다는 서로 분리되어 개설되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학생들의 교육 또한 말하기와 글쓰기가 연관성상에서 이뤄지기 보다는 분리된 채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말하기와 글쓰기 교육의 연계는 학생들의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그리고 통합적으로 행하기 위해 필요하다. 말하기와 글쓰기의 통합모델은 현재 말하기 교육이 대표적이다. 말하기 교육은 발표와 토론교육을 의미한다. 말하기 교육에서는 말하기는 물론 글쓰기가 가르쳐지고 글쓰기는 특히 말하기의 토대가 된다. 말하기 교육에서 생산되는 글은 다양하다. 발표교육에서는 발표 준비서를 비롯해 발표문, 발표개요서, 발표평가서가 있고 토론 교육에서는 토론논제 보고서와 토론 전략서, 토론평가서가 있다. 이들 글은 말하기의 토대적인 역할을 한다. 더구나 말하기 교육에서 글쓰기는 실제 글쓰기의 효과적인 부분을 제공한다. 우선 말하기 교육에서는 글쓰기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주제에 대한 심화적인 파악을 가능하게 한다. 말하기 교육에서 주제의 파악은 화자와 청자의 대면적인 관계를 갖는 까닭에 필자의 입장에서만이 아니라 독자의 입장에서도 가능하다. 특히 글쓰기를 독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하는 것인가의 깊이 있는 고찰을 하게 만든다. 그리고 말하기 중심의 글쓰기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글쓰기의 논리성 부분도 터득하게 한다. 결국 이들 부분은 말하기 교육에서 말하기와 글쓰기의 연계성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으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말하기 교육에서는 말하기와 글쓰기의 연계적인 이론을 제시함은 물론 글쓰기에 대한 평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결국 학생들로 하여금 말하기와 글쓰기의 연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말하기와 글쓰기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말하기와 글쓰기의 교육에 대한 연계성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연구도 더욱 요구 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Nowadays the curriculum about speaking and writing is being established in the University. But lectures about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are opened rather separately than connectedly each other and the studying of student is realized separately. But speaking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must be connected. The connected model for speaking and writing is an education of speech and debate. It is so called speaking education. In speaking education is learned not only speaking but also writing. And writing is based on speaking. Writings that are produced in speaking education are various. The writing for the preparation of speech, the manuscript for speech, the writing for the abstract of speech and for the valuation of speech are written in speech education. In debate education are written the writing for the preparation of debate, the manuscript for debate, the writing for the abstract of debate and writing for the valuation of debate. The speaking education helps writing of students very much. The speaking education make students the subject for writing understand deeply and perfectly. In speaking education can the subject for writing be understood by writing itself and by the course of speaking and it is possible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subject not only in the position of writer but also in the position of reader. And the speaking education makes it possible to write in the middle of reader and in the middle of speaking. In speaking education can students learn the logical development of composition and content for writing. It is possible in writing for debate. These elements have an important effect writing and make actual writing possibl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hat speaking and writing is connected deeply and writing must be excised thoroughly in speaking education. As a result, I think, to teach speaking and writing together gives students many educational effects.

      • KCI등재

        <추리와 논증>에 적용한 학습연계글쓰기(WTL)의 효과성 검토

        하영미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WTL, which is part of WAC, to liberal arts subjects, and to check the results. Both WAC and WTL are based on the fact that all writing is fundamentally a tool for thinking and a positive way of learning, but unlike WAC's writing, WTL does not aim at completed writing. WTL is writing as a tool to lead to in-depth and effective learning by activating students' thinking about the subject matter. Since it is a tool, it is not standardized, and various methods that can achieve learning effects can be developed for each lecture. In order to check whether WTL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WTL was applied to the <Inference and Argumentation> class. Among the WTL implementation methods, the lecture was summarized in an informal manner, and full feedback was provided in the next class or repeated explanations were conducted. Also, personal feedback was provided as needed. The performance results were confirmed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semesters with a nd w ithout the WTL, a nd b y comparing the grades o f those with a nd without W TL. As a r esult, w e were a b le t o show that there was an educational effect in the semesters in which WTL was conducted, that the average grade was improved, and that the deviation decreased. In conclusion, related data show that WTL performance is helpful and improves learning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전공연계글쓰기(WAC)의 일환인 학습연계글쓰기(WTL)를 교양 과목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확인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WAC와 WTL 둘 다 모든 글쓰기가 근본적으로 사고를 위한도구이며 능동적인 학습 양식이라는 점에 근거하고 있지만 WAC의 글쓰기와 달리 WTL은 완결된글 작성을 목표로 두지 않는다. WTL은 교과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사고를 활성화하여 심도 있고효과적인 학습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글쓰기이다. 도구이므로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강좌에 맞게 개발할 수 있다. WTL 수행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리와 논증> 수업에 WTL을 적용해보았다. WTL 수행 방식 중 강의 요약을 비형식적으로 수행하게 하고 다음 수업 시간에 전체 피드백을하거나 반복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또 필요에 따라 개인 피드백도 하였다. 수행 결과는 WTL을실시한 학기와 실시하지 않은 학기의 교육효과성 분석들을 비교하는 것과 WTL을 실시한 분반과 그렇지않은 분반들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WTL을 실시한 학기들에서 교육효과가있음이 드러났고, 평균 성적 또한 향상되었으며, 편차도 줄어들었다. 결론적으로 관련 자료들은 WTL 수행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글쓰기 교수학습과정에 나타난 학습연계글쓰기 교수법(WTL)의 효과성 검토 — 2019학년도 2학기 <세상을바꾸는글쓰기>를 중심으로

        안상원 한국문예창작학회 2020 한국문예창작 Vol.19 No.1

        이 글은 글쓰기 교과목 학습자들이 배운 내용을 글쓰기로 정리하게 유도 하여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과 학습 능력을 기르는 학습연계글쓰기(WTL)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부산외국어대학교의 2019학년도 2학기 <세상을바꾸 는글쓰기> 1개 분반을 대상으로 42명의 학생들에게 총 8번의 WTL 활동을 진행하였다. 효과성 검토 방법은 두 가지였다. 첫째, 교양교과목의 배경지식 학습 정도 를 설문조사와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사전조사에 비해 사후조사의 결과가 긍정적이었고, 학습활동의 내용도 교양교과학습의 목표를 내면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다양한 글쓰기 장르와 대학의 학술적인 글쓰기 과정 이해를 검토하였다. 두 번에 걸쳐 소논문의 주제와 형식을 무기명으로 질문하는 활 동을 진행하였고, 답변을 사이버강의실에 달아 둠으로써 학습자 개인만이 아니라 공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교수자 역시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추가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도 방향을 좀 더 쉽 게 찾을 수 있었다. 물론 WTL만의 특성을 두드러지게 하기 어렵고 검증 도구가 좀 더 필요하 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한계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추후 학습자 개 별 면담 등을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WTL, which encourages learners of writing subjects to organize what they have learned by writing, to develop learners’ writing skills and learning abilities.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onducted a total of eight WTL activities for 42 students in one class of “World Changing Writing”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There were two ways to review effectiveness. First, the level of background knowledge learning in liberal arts subjects was surveyed and the activity sites were analyzed. Compared to the pre-survey, the results of the post-survey were positive, and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also found to internalize the goals of the liberal arts and science classes. Second, understanding various writing genres and understanding the academic writing process of universities were reviewed. On two occasions, the subjects and forms of the thesis were questioned in secret, and the answers were attached to the cyber lecture room to solve common problems as well as individual learners. It was also easier for professors to find directions for maps by allowing learners to further explain what they needed. Of cours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can be cited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WTL’s unique characteristics stand out and more verification tools are needed. These parts will be supplemented later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learners.

      • KCI등재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김민옥(Kim, Min-Ok) 한국문학회 2019 韓國文學論叢 Vol.82 No.-

        이 연구의 목적은 포노 사피엔스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향유하는 주체로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육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에 올라 있는 콘텐츠가 충분히 학생들의 비판적ㆍ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글쓰기 교육 효과성을 분석하였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고 문제해결능력도 소폭 상승하였다. 특히,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다. 아울러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와 텍스트 읽기의 결합, WTL을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주제에 관한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포노 사피엔스로 불리는 학생들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글쓰기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 activities, Introspection & Creation: Production of text’,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 KCI등재

        글쓰기 인식 조사에 따른 효율적 운영 방안

        최대희(Choi, Dae-hee)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6 No.2

        이 논문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글쓰기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확인하고, 다음으로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의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효과적인 수업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수업 방식은 글쓰기 실습 위주의 수업, 토론 수업, 팀 발표 수업으로, 수업 내용은 실용적인 글(자기소개서, 이력서 등), 학문적인 글(리포트, 논문작성법 등), 시사·교양 글(독자 투고, 영화 감상문 등) 등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글쓰기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먼저, 고등 글쓰기 과정과 대학 글쓰기 과정의 연계성을 높여야 하며, 다음으로, 상호 교류의 실질적인 글쓰기 수업이 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글쓰기 교육 기관의 독립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how to improve writing ability and how the class can be used for effective writing to university students. First, the current basic condition on students' writing was survey and studied. Then effective writing class and improving writing ability were discussed. To operate effective class the following ideas were introduced: Write practive class, debate class, and team announcement class with practical writing (personal introduction, resume, etc.), scientific writing (report, tratise creation, etc.), and current events / cultural writing (reader contribution, movie report, etc.) To prepare intellectual talent through writing education and to improve substantive writing ability there should be a strong link between high school writing process and a university writing class, an interactive class among professors and students. Furthermore an importance of a role on writing operation institution i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