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라져가는 군사도시의 장소기억 :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김대범(Kim Daebeo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이 연구는 군사문화를 기억할 수 있는 원주의 군사시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장소성을 확보하고 군사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가 이전해 오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군 시설과 군 문화시설이 생겨났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에 군이 전쟁피해 복구사업을 실시하면서 군에 의해 도시가 형성되었다. 미국으로부터 군사원조를 받아 대민지원이 지속되어 꾸준히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원주시가 불과 10여 년 만에 신흥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했다. 또한 역대 대통령들의 원주시찰도 주목할 만하다. 국가적으로 중요성을 가진 장소를 시찰하는 대통령은 원주지역을 군사적 요충지이자 떠오르고 있는 신흥도시였기에 집권세력의 정치적 전략의 지역으로 생각했다. 원주는 제1야전군 사령부 및 예하부대는 물론 미군부대 캠프롱(Camp Long)이 주둔하면서 국가안보를 책임지고 있었기에 단순히 정치적 전략뿐 아니라 중요한 국가통치의 장소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렇게 1990년대까지 군인들을 위한 군사도시로 꾸준히 발전하였지만 2000년대 이후 원주에서 군 부대가 이전하게 되고, 새로운 도시개발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과거 원주를 있게 한 각종 군사시설은 사라지게 되었다. 과거 군사도시 원주의 사라져가는 장소를 기억하고 흔적을 발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원주의 도시 정체성 확보는 물론 미래 유산의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military facilities in Wonju that remember the military culture, to secure the location, and secure the identity of Wonju as a military city. After the Korean War, the headquarters of the first Field Army moved to Wonju, and military facilities representing Korea were created. Afterwards, a city was formed in Wonju, which was ruined by the war, and a war damage restoration project was carried out by the military. Wonju has been able to develop steadily until today because support for Wonju continued through U.S. military aid. This is the background of Wonju City, which was devastated by the war but developed into a new emerging city in little over a decade. Former presidents of South Korea have always visited Wonju-a military hub and a rising emerging city. However, it has been judged as a strategic political area. Wonju is home to the security of South Korea with the presence of the First Field Army Command, subordinate units and the U.S. Army s Camp Long; it was considered not only a strategic political area but also an important city for national governance. Wonju continued to develop as a military city for soldiers until the 1990s. However, after the 2000s, military units moved from Wonju to other areas, and new urban development policies began to be implemented. As various military facilities were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Wonju began to disappea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e past of the disappearing military city of Wonju and recover traces and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as well as to secure the identity of the city of Wonju and preserve future heritage.

      • KCI등재

        일제하 羅南의 군기지 건설과 군사도시화

        김홍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5

        이 글은 나남이 군기지로 선정되는 배경으로부터 군기지로의 건설 과정, 군대의 주둔, 그리고 나남의 군사도시화 과정에서 보여주는 특징 등에 대해 밝혀보려고 시도된 것이었다. 기존의 연구가 대부분 용산을 비롯하여 남한에 주둔했던 일본군 군사기지 연구에 집중되어 왔으며, 나남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언급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주제에 주목하였다. 일본은 러일전쟁 이후 한반도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해 군사적 침략을 본격화했다. 1904년 2월 23일 조인된 한일의정서를 근거로, 일본은 한반도 내 많은 토지를 군용지로 강제로 수용하여 군대를 주둔시켜 나갔다. 특히 러시아에 대한 견제를 위해 청진, 나남, 회령 지역을 군용지로 침탈하여 군사시설을 집중 배치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나남을 주목하였는데, 그곳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두만강 하구로부터 약 100km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일본 본토로부터 해상으로 접근이 용이한 청진항을 배후지로 가지고 있어 군수물자와 병력의 이동에 매우 유리하였다. 그리고 나남은 사방이 구릉으로 둘러싸여 있어 천혜의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실에 주목한 일본은 나남에 군기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나남의 군기지 건설 시기를 제1차, 제2차로 구분하여 군사시설물을 갖추어 나갔다. 일본은 주차군경리부 임시건축과를 설치하여 100만 여 평의 대규모 부지를 수용해 나갔는데, 관유지는 무상으로 민유지 및 이전가옥은 헐값으로 매수하였다. 1908년 3월 각 부대의 건축 착공을 시작으로 1913년 11월에 완공되었으며 공사비용은 총 5,159,714원으로 당시 대규모의 예산이 투입되어 영구목적의 나남 기지가 건설되었다. 1910년 나남에 보병 제25여단사령부가 배치되었으며, 보병 제25여단사령부의 임무는 조선 방위의 기본 임무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들의 정보 첩보 활동, 철도 교통시설 보호 등 국경지대의 지리적 특수성에 기인하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2개 사단 상설체제 결정 이후 제2차 기지 건설공사가 시행되었으며 나남에 제19사단이 주둔되었다. 사단 증설에 맞게 사단 규모의 신ㆍ증축공사는 1917년부터 1922년 3월까지 5년에 걸쳐 완성되었다. 나남은 제19사단이 주둔되면서 군기지로서 더욱 공고하게 되어 일본 육군의 최대거점이 되었다. 제19사단의 활동을 살펴보면 대소방위에 주안점을 두고 동만주 지역의 독립군을 탄압하였으며, 나아가 대륙침략을 위해 동만주 지역에 파견되었다. 이와 같은 중요한 활동이 가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지리적ㆍ전략적으로 중요한 나남에 대규모의 군기지가 구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본은 나남에 견고하고 영구적인 군사시설을 설치하고자 했으며 아울러 군사적 기능이 강화된 시가지를 계획하였다. 나남은 시가지가 형성됨에 따라 군사도시로서의 특징뿐만 아니라 신도시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시가지 전체가 격자형 가로망과 방사형 가로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교통망을 형성하는 교통계획도 이루어졌다. 그리고 군사기지로서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간배치 등 도시계획을 한 점이다. 이 외에도 나남은 시가지형성과 함께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군사도시로 발전하였다. 아울러 함경북도청이 나남으로 이전되면서, 이를 계기로 나남은 군사 기능뿐만 아니라 행정 기능이 추가되어 함경북도의 핵심 도시가 되...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the Nanam’s characteristics from construction process of Japanese military bases, military presence, militarized urbanism. Earlier studies focused on Japanese military bases stationed in South Korea including Yongsan, however Nanam was only partially mentioned. Considering Nanam selected as a large-scale military site and its importance as a developed military city, it is necessary to expansive review about it.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 aggressively launched military invasions to establish control over the Korean peninsula. On the basis of the Korea – Japan Protocol signed on February 23 1904(韓日議定書), Japan forced much of the land on the Korean Peninsula to be the military facilities and stationed troops there. In particular, military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in Chungjin, Nanam and Hoeryong to check Russia. Nanam is located about 100km from Tumen River estuary, which is bordered by Russia. Also it has Chongjin Port as the hinterland, which is easily accessible from the mainland Japan, this was one of her biggest advantages to move materials and troops. Nanam was a natural fortress because the northwest part was blocked by Mountains. The construction of Nanam bases was divisible into two periods. Japan expropriated the land in Namam area through the Temporary Architecture Section the Accounting Department of Japanese Army in Joseon. The construction of each unit began in March 1908 and completed in November 1913. The total cost was 5,159,714 won and a large-scale budget was put in place at that time to construct the Nanam bases for permanent use. In 1910, the 25th Infantry Brigade Command was deployed in Nanam. Due to the geographical specificity of the border area, the 25th Infantry Brigade was responsible for various roles such as surveillance activities in neighboring countries and protection of traffic facilities as well as the basic duties of defense. After the two divisions were decided to be stationed, the construction of bases was carried out for the second time and the 19th Division was stationed in Nanam. The new and enlarged construction was completed over five years from 1917 to 1922. Nanam became the best stronghold base of the Japanese Army with the presence of the 19th Division. The 19th Division was dispatched to the East of Manchuria to oppress the independence forces and invade the continent.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large scale military bases in Nanam, which is geographically and strategically important. At that time, Nanam was a well-planned city with both permanent military facilities and enhanced military functions according to Japan's intention. Nanam has both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c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military city. The entire city of Nanam consists of a grid-type street network and a radial street network. Also traffic planning has been made for forming a major traffic network. In order to maximize the function as a military base,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ity was achieved. With a burgeoning population and urbanization, Nanam developed as a military city. In addition, as the Hamgyeongbuk-do(North Hamgyeong Province) Office moved to Nanam, Nanam became a central city of Hamgyeongbuk-do with administrative functions as well as military functions. At the same time, major facilities such as railway, specialized school, and shrine were built. Namam began as a military city and gradually evolved into a multipurpose city with administrative, transportation, educational and religious function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 First, Japan established the Nanam base in order to check Russia. Second, the Nanam base was for maintaining Joseon as a colony in complicated regional dynamics such as China and the Soviet Union. Nanam was the core of a military base that played a highly strategic role to control Russia and invade the continent. Third, Japan planned Nanam for military purposes and made it a military city. ...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전쟁기 대구의 시가지계획과 군사기지화 정책

        김경남 ( Kim¸ Kyung-na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8

        본고는 일제의 식민지 조선에 대한 도시계획의 본질적인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식민도시체제와 지역사적 관점에서, 남한의 대표적인 군사령부가 있었던 대구지역을 사례로 군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대구는 영남지역 정치 경제 군사의 중심지일 뿐 아니라, 대구항공기지가 일본 본토의 오쓰키(小月)항공기지까지 연결한다는 점에서 지역적 차원의 식민도시 개발사례로서 적합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제국주의는 1929년 미국발 세계대공황을 돌파하기 위해 전쟁을 통해 세력권을 확대하여 돌파구를 찾으려고 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은 대륙병참기지로 위치지어 졌으며, 그 법제 장치가 ‘조선시가지계획령’이다. 시가지계획령은 해상루트(쓰루가-나진-중국), 대륙루트(시모노세키-부산-대구-경성-중국) 노선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목적이었다. 대구의 주요 군사 시설인 대구항공기지는 시가지계획령이 발효되기 10년 전인 1926년부터 조선총독부와 경상북도에 의해 도로공사가 추진되었으며, 1937년 1월에 동촌(東村)에 개장한다. 이와 함께 대구에도 도시계획이 결정되는데, 1937년 1월 29일 제3회시가지계획위원회에서 1965년 인구 35만명을 기준으로 시가지계획 구역, 도로망, 구획정리구간을 결정하였다. 총독은 1940년 7월 22일에 대구의 공업지구와 주택경영지구를 인가하였다. 그런데 1941년 이후 미국의 개입과 연합군의 전투가 시작되자, 대구부, 조선총독부와 육군성은 대구 시가지계획 원안을 특히 전쟁에 필요한 군사적 가로망 설치와 비행장을 긴급히 확대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당시 한반도 남부에 설치된 항공부대 22개 중 10개가 경상도에 설치되었으며, 1940년부터 육군성은 대구항공기지와 일본의 오쓰키항공기지를 연결하여 매일 전투기와 항공수송을 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그리고 1945년 2월 이후부터 대구사관구 사령부와 대구항공부대는 부산, 포항, 울산, 김천, 진주, 사천 등의 군사기지, 항공부대와 연결되었다. 이처럼 아시아태평양전쟁기 대구도시계획은 시가지 구획 통제, 군사병참 도로망, 군사적 항공수송 노선 등을 위주로 전략적으로 추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계획은 조선시가지계획령이 표방하고 있는 주민의 복리 증진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병참기지의 수송을 원활하게 만들기 위한 일본육군성의 목적이 강하게 관철된 편중된 식민도시계획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questioned the original purpose of the urban planning in colonial Joseon by the Japanese Empire, focusing on the military aspects of the Daegu area, where was the seat of the military headquarters of southern Joseon, in terms of colonial urban system and regional history. Daegu was not only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center of Yeongnam region, but also the area connected to Japan.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lonial city at the regional level and this study can help fill in the gaps created by the lack of researches on the colonial urbanization of traditional cities in wartim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urpose of the colonial city development by the Japanese Empire in Joseon was to establish a logistics base for advancing onto the Asian continent. In addition, it identifies the historical origin and continuity of the Daegu area as a military base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U.S. still has military operational authority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1929, in order to overcome the impact of the Great Depression that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Japanese imperialists sought to find a way to increase capital accumulation by expanding power through invasions into China and other countries around Pacific area. In this process, they attempted to make Joseon their logistical base for advancing onto the continent, and the legislative device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was the Joseon Urban Planning Act. Its main purpose was to develop sea and continental routes. The Daegu Urban Planning was implemented after the decision on its zoning, road networks and areas for compartmentalization and rearrangement had been made in the third Urban Planning Committee meeting on January 29, 1937. The planning was established for an estimated population of 0.35 million by 1965 and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approved the projects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residential zones on July 22, 1940. However, when the battl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Allied Forces began, the Daegu Urban Planning was strategically implemented with a focus on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logistics road networks(The route connecting Daegu Military District and Busan, Pohang, Ulsan, etc.) and air transportation routes (Deagu-Otsuki airbase, 22 airbases in the southern region etc.) in the 1940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Daegu Urban Planning in the 1940s was not implemented for the promotion of the well-being of residents, which was the purpose proclaimed in the Joseon Urban Planning, but functioned as a colonial urban planning project that was mainly driven by the needs of the Ministry of the Army for the easy transportation of military supplies. Thus, as the Japanese cabinet and the military withdrew after their defeat, the leading task force for the related projects disappeared all at once, which led to the discontinuation of the urban planning.

      • KCI등재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에 의한 국방부 보유 부동산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육군 보유 부동산 자산을 중심으로)

        신광식,하중호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1 부동산경영 Vol.3 No.-

        Recently the society evolves between military and local residents for protection of military bases and military facilities are often friction is happening. Therefore, an alternative to resolve this issue was to establish the research. Firstly, military bases and military facilities shall be reset to the direction of protected areas management. Second, active participation in government planning and real estate professionals must be forward deployed to train. Third, the group can increase the value of real estate assets in the future the city needs to develop military. Fourth, continued research on the military Reserves and the local residents have to find ways to win-win. Fifth, in the meantime, residents of border areas has been neglected support plan shall be performed by. Finally, the Information Group real estate asset management business when dealing with a complaint should take advantage

      • 남북한의 경제적 낙차효과를 활용한 "개성자유도시" 건설사업

        김정훈 한국정책학회 2014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남북한 공동번영을 위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막대한 통일비용을 세금부담 없이, 남북 모두를 동시에 적극적으로 발전시킬 한반도 혁신 프로젝트에는 어떤 방안이 있을까? 그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본 연구는 남북한의 경제적 격차에서 발생하는 낙차효과(waterfall effect)를 적극 활용하는 ``개성자유도시`` 공동건설 사업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개성자유도시는 분단된 베를린의 급격한 통합과정을 거꾸로 뒤집은 역발상에서 시작된다. 예컨대, 베를린을 동서로 분리시켰던 장벽을 독일인들이 빨리 허물고 통일한 과정을 역(逆)으로 뒤집어서, 한국인들은 낙후된 30만 명의 개성을 300만 명의 개성자유도시로 확장 건설하면서 도시 내부에 남북을 상호 분리하는 안전 장벽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또한 그 장벽 사이에 남북이 자유 통행할 관문(關門)을 만들어 서로 다른 남북차이를 천천히 적극적으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도시건설 자금조달방법은 조세징수가 아니라 개방적 시장을 활용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즉, 북한 개성지역의 남쪽 일부와 한국의 수도권 일부 지역을 개성자유도시로 공동 편입시키고, 서울 절반크기의 토지를 담보로 대규모 개발채권을 발행, 국내외에서 투자받는 방식이다. 이는 개성지역의 군사분계선(MDL)을 송악산 북쪽 외곽으로 옮기고 그 아래쪽 700Km2 면적에 개성자유도시를 남북한이 함께 건설하면서 남북의 2개 구역으로 도시를 경계 분리하여(각 350Km2), 남북이 독자적으로 소유 및 관리하는 방식이다. 개성자유도시의 북측관리지역에는 북한근로자가 소유할 개성 신도시 70만호 아파트(300만 명 거주)를 건설하고, 남측관리지역에는 자동차와 첨단 IT제품도 생산할 수 있는 개성중공업지구를 건설하는 이른바 남북 상호간의 융ㆍ복합적 도시건설 사업계획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구술로 본 강원도 원주의 도시기억 ― 군사문화를 중심으로

        김대범(Kim, Daebeom)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이 연구는 강원도 원주의 지역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던 군사문화를 기반으로 군사문화의 도시 원주를 구술을 통해 기억하는 데 있다. 한국전쟁 이후 원주는 분단국가의 특수성을 반영하듯 군사문화의 도시로서 모습을 갖추었다. 그러나 2000년대의 원주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강원도 원주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군사문화의 도시였다는 사실은 원주지역 토박이거나 원주민들의 구술기록으로만 확인된다. 따라서 군사문화의 도시 원주 에 거주한 지역 원주민들의 기억과 구술기록을 통해서 과거 원주의 사라져 가는 기억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미군부대 식당종업원 박명한 씨, 1960~70년대 미군부대 구호물자를 사용한 박은희 씨, 1980년대 미군부대에서 막사철거 용역을 한 심재근 씨의 구술을 통해 ‘미군부대와 관련된 기억’을, 1960년대 어린 시절 군부대와 군인 밖에 없던 마을을 회상한 박은희, 심재근 씨, 미군으로부터 원조 받은 물자로 학교를 설립했다는 박종수, 서교하 씨, 교내 부대문화행사를 기획한 간의웅 씨, 군인들과 조기청소회를 한 이강록 씨, 군인전용 법당 법웅사 법회에 참여한 이승윤 씨를 통해 ‘군사문화의 정서를 느꼈던 기억’을 채록하였다. 또한 군인 아버지의 계급을 이야기 한 이강록 씨, 군인가족을 가정방문한 간의웅 씨, 군인간부 부인 꽃꽂이 선생님이었던 이승윤 씨, 군인 아파트에 거주한 유태준 씨의 구술로 ‘군인가족들과의 기억’을, 마지막으로 군인 회식의 유태준 씨, 군인월급날을 기억하는 이강록 씨, 부대 근처 식당을 운영하는 박은희, 이복순 씨의 구술기록을 통해 ‘군 관련 상업시설과 운영자의 기억’을 채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military culture tha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identity in Wonju, Gangwon-do and is remembered as "Wonju, the city of military culture" through orality. Since the Korean War, Wonju has been shaped like a city of military culture, reflecting the uniqueness of the divided nation. However, Wonju faced new changes in the 2000s. The fact that Wonju, Gangwon-do was the representative city of military culture in Korea is confirmed only by native peoples or oral records of the natives.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summarize the disappearance of Wonju through interviews, where the indigenous people, who lived in Wonju, share their memories. The following people dictated their stories on ‘The Memory related to the U.S.’, Park Myung-han, a former employee of the U.S. Army Corps Restaurant, Park Eun-hee, who used relief supplies during the 1960s and 1970s, and Shim Jae-geun, who worked as a demolition service for barracks in the United States Army in the 1980s. Also, Park Eun-hee and Shim Jae-geun recalled a village where only military troops and soldiers existed in the 1960s, and Park Jong-soo and Seo Kyo-ha remembered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with the aid of the U.S. military. Furthermore, ‘The Memory of military culture’ was recorded from Mr. Gan Woong. who organized a military event in the school, Lee Kang-rok. who worked with the soldiers for early cleaning, and Lee Seung-yoon, who participated in the Buddhism Court for the Soldiers. Additionally, Mr. Kang Rok talks about the ranks of military fathers, Mr. Gwan-woong used to visit the military family and tell them stories, Lee Seung-yun was the flower design instructor of the military officer"s wife, and Yoo Tae-jun lived in a military apartment, and these memories comprise the recordings about "The Memory with military families". Finally, ‘The Memory as an operator of military-related commercial facilities" were dictated by Yoo Tae-jun, who told the story of the soldiers" dinner, Lee Kang-rok, who told the story of the soldier"s payday, and Park Eun-hee and Lee Bok-soon, who ran a restaurant near the unit.

      • KCI등재후보

        순천,여수의 인구 변화와 여순사건

        우승완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인문학술 Vol.10 No.-

        The Yeosun Incident, in which citizens sacrificed on a large scale,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in the city's history in that population is an absolute component of a c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urban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Yeosun Incident, this study examined the population changes prior to the Yeosun Incident by classifying them into Suncheon-gun and Yeosu- gun, and urban areas such as Suncheon-eup and Yeosu-eup, along with urban characteristics by period. Until 1925, when the traditional urban space collapsed, the population of Suncheon was greater than that of Yeosu, but in 1920, the Japanese population of Yeosu was four times that of Suncheon. The mission facilities established in Suncheon and the migration of Japanese fishermen to Yeosu lead to physical changes in the city. Until 1935, when the urban area was expanding, the urban area of the two cities and the population growth of Yeosu are prominent. In 1929, the influx of Chinese workers increased more than 10 tim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railway, and in 1931, Yeosu and Suncheon were elevated to eup status, giving them urban status. In the period of modern urbanization, urban planning was established, and in 1937,the number of Chinese in Suncheon and Yeosu decreased sharply, but the Japanese population in Suncheon increased by more than 50%. Yeosu surpasses Suncheon in both urban area and total population since 1940. In particular, Yeosu has an airfield built through a competition with Suncheon, and roads in Yeosu are improved into national defense roads to return to a military city. As such, Yeosu was chosen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National Defense Guard's departure from Jeju, as it had already prepared military facilities and a good maritime transportation route to Jeju, and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e 14th Regiment Rebellion. 시민 희생이 대규모로 발생한 여순사건은 인구가 도시의 구성 요소로서절대적 이라는 점에서 도시 역사의 중요한 기점이 된다. 본 연구는 여순사건 당시의 도시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여순사건 이전까지 인구의 변동을순천군과 여수군,도시지역인 순천음과 여수읍으로 구분하여 시기별 도시특징과 함께 살펴보았다. 전통 도시 공간이 와해되던 1925년까지 순천 인구는 여수보다 많았지만,1920년 여수의 일본인 인구는 순천의 4배였다. 순천에 설립된 선교 시설과 일본 어민의 여수 이주가 도시의 물리적 변화를 이끈다. 도시 영역이 확산되던 1935년까지 두 도시의 도시 지역과 여수의 인구 증가가 두드러진다. 1929년에는 철도 부설로 중국인 노동자 유입이 전년보다 10배 이상 증가하고,1931년에 여수와 순천이 읍으로 승격되어 도시적인 격이 부여된다. 근대적 도시화기에는 시가지 계획이 수립되고 1937년에는 순천,여수의 중국인이급감하지만 순천의 일본인 인구는 50% 이상 증가한다. 여수는 1940년 이후 도시 지역과 전체 인구에서 모두 순천을 앞지른다. 특히 여수는 순천과의 경합을 통해 비행장이건설되고 여수지역의 도로가 국방 도로로 개량되어 군사 도시로 회귀한다.

      • KCI등재후보

        군사시설보호법에 의한 국방부 보유 부동산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신광식,김동현,Shin, Kwang-Shig,Kim, Dong-Hyu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1

        본 연구는 군부대와 지방자치단체가 군사보호구역 설정으로 수시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을 중심으로 군 부동산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부에서 계획을 수립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동산전문가를 양성하여 자문단을 구성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군 부대 부동산 자산을 활용한 미래형 도시개발을 하여야 한다. 셋째 군사보호구역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접경지역의 관리 및 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는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military and local authorities to set up military reserves has often caused friction. Therefore, military bases and military facilities around the Act's real estate management practices that can be was to prepare. As a result, the first government to develop a plan to train real estate professionals are actively involved with the Advisory Board shall be utilized to configure. Utilizing the second army of real estate assets for future urban development should be. The third section, research on military protection should be continued. Finally, border management and development plans to propose the measures that sh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전근대 군사도시에서 근대 식민도시로의 변화

        차철욱(Cha Chul-Wook)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전근대 군사도시였던 통제영이 근대화 과정에서 식민도시 통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도시를 구성한 인간, 경제생활, 시설물 등이며, 이 요소를 개항과 통제영 해체, 식민지라는 정치적 변화와 연결시켰다. 1895년 통제영이 해체되자 소속 직업 군인들은 대부분 지위를 상실했던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행정체계의 관료 혹은 경제인으로 전환하는 모습도 확인되었다. 개항 후 통제영 경제구조의 축이었던 생필품 유통과 공방(工房)은 부분적으로 유지되었다. 통제영 해체와 함께 일본인 경제영역으로의 편입이 강화되었다. 특히 전통적인 공산품의 재료가 일본 수입에 의존하였고, 통영에 수집되는 쌀이 일본으로 유출되었다. 통제영 내 군사시설은 1905년을 지나면서 일정한 절차를 거쳐 공공시설 혹은 경제시설, 종교시설 등 근대적인 시설로 재활용되었다. 통영은 식민지화 과정에서 일본인의 수가 증가하고, 경제적인 능력이 조선인을 압도하기 시작하였다. 통제영 시대의 전근대적인 전통은 식민지화 과정에서의 경제효과와 일치할 때에만 유지될 수 있었다. 통영의 전통공예인 나전칠기(螺鈿漆器)는 관광상품으로 한때 호평을 받았으나, 수요감소와 함께 쇠퇴하였다. 근대 식민도시 통영에 정착한 일본인들의 사례를 핫토리 겐지로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에게서 식민자 일본인과 통영인의 양면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reviews the process of the premodern military city Tongjeyeong’s transformation into Tongyeong, a modern colonial city. The subject of analysis includes the people, economic life, and facilities that composed the city. The study relates these aspects of the city to political changes such as the opening of its port, the dissolution of Tongjeyeong, and the city as a colony. With the dissolution of Tongjeyeong, most of its professional soldiers seem to have lost their position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ome became businessmen or officials in the new administrative system. After theopening ofits port, the main axis of Tongjeyeong"s economic structure, including commodity distribution and the "Twelve Gongbang was partially maintained. However, upon the dissolution of Tongjeyeong, its incorporation into the Japanese economic area was strengthened. In particular, materials for traditional industrial products were imported from Japan while rice collected in Tongyeong was shipped out to Japan. After 1905, the military facilities in Tongjeyeong were reused as modern facilities such as public, economic, or religious facilities.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the number of Japanese people in Tongyeong increased, and their economic capacity overwhelmed the Korean people. Premodern traditions of the Tongjeyeong period were maintained only when they corresponded with the economic effects of he colonization process. Tongyeong"s traditional craft of inlaid lacquerware with mother-of-pearl was once well-received as a tourist attraction, but it fell into decline with decreased demand. Cases of Japanese people who settled in the modern colonial city of Tongyeong are examined through the example of Hattori Genjir?.

      • KCI등재

        러일전쟁 직후 서울의 식민도시화 과정

        김백영(Kim Baek-yung) 역사문화학회 200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8 No.2

        Seoul, a 500 year old historical city, experienced a rapid transformation from the traditional capital of Choseon Dynasty to a colonial city of Japanese Empire after Russo-Japanese War,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Keijofu(Keijo municipal office), the primate city in colonial Han penninsula, in 1914. Japanes-colonized Seoul, Keijo formed a peculiar gourd-shaped colonial dual city, which juxtaposed two opposing pairs: the contrast of the southern town and the northern town within the historical town (within walls) and that of the historical town and new town -Yongsan area- built around Japanese cantonment. I examine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Japanese-colonized Seoul from Russo-Japanese War(1904) to Japanese annexation of Korea(1910). focusing on the specificity of the politico-military dynamics. Seoul, as is well-known, was decided as a colonial capital due to its traditional role and status as a primary city in Choseon dynasty. But my point is that the politico-military dynamics after Russo-Japanese War are very important in shaping specific spacial features of colonial Seoul. Also the structural inertias of the historical city and resisting forces from both up and down had strong influence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pace in all over the colonial period. While at this early phase, the colonial urbanization was led by military power bloc, forming the gourd shaped dual city, consisting of two heterogeneous elements which included historical city area surrounded by walls on one hand, and Yongsan colonial cantonment area the other. But in 1920s and afterwards, its became comprised of the political center, the northern town and the military center, the southern town, the last half was developed into a fan shaped city expansion with the development of Yeong-deung-po plant complexes and suburban housing. Such changes foretold the growth of mega-city in a postcoloni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