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술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이경재 한국교육철학회 2016 한국교육철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3

        교육의 성공은 좋은 교사의 역량에 달려 있다고 할 정도로 교사의 역할은 지대하다. 미술교육도 교사의 미적 경험, 예술적 시각을 통해 대상이 해석, 재구성되어 학습자에게 전달된다는 점에서, 미술교사의 정체성은 학습 내용의 선정과 학습자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미술교과 내용이 주관적, 감각적, 표현적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미술교사의 정체성이 교육 활동에서 중요한 주제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를 비중 있게 다룬 연구가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미술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개관하였다. 이러한 기초적인 연구를 통해 미술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 고자 한다. 미술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선행 연구들로는, 대체로 해석학적 순환 도식을 적용한 연구와 ‘성 찰적 전환’ 이론을 통한 미술교사의 정체성 연구가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개인의 자아에 대한 지속적 탐구와 비판적 이해를 통해 ‘좋은 미술교사’가 되기 위한 근원적인 조건을 탐색하고 있다. 또한 미술가로 활동하는 교사들에 대한 현장 연구는 이들이 지닌 복수의 정체성으로 인한 갈등과 조화, 혼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복수의 정체성을 지닌 채 정체성의 혼란과 갈등 속에서 조화를 추구하거나 하나의 정체성으로 전환을 추구하는 현장의 미술교사들을 조력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각의 이론적 탐구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영어교사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안경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model for the identity development of primary English teachers. It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odel on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hen it was applied in a teacher education course. In additio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identities were investigated. The participants were 18 graduate students registered in a class on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taught by the researcher. Pre- and post-survey responses, autobiographic essays,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model helped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in English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o reflect on an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nglish teachers. Als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facilitated the teachers’ awarenes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role identities and field-base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Thus,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provided the teachers with various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Secondly, the teachers realized English teacher identities existed distinct from homeroom teacher identities and indicated that their English teacher identities changed and develop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othe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ithin the context the teachers were located. Thirdly, the teachers revealed the identities of nonnative English teachers, teacher learners, teacher researchers, and English users as well a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Lastly, th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were affected by factors connected with the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English and English instructional skills), institutions (whether they taught English as English subject teachers or as homeroom teachers, teachers’ relationships and co-teach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learners’ proficiency levels and responses to teachers’ instruction, working conditions of the schools where the teachers were employ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y had participated i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tensiv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other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macro-structur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English educational polici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regarding English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강좌를 개발하여 적용한 효과를 고찰하고,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했다. 모형이 적용된 강좌를 수강하는 초등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 및 자서전적 에세이, 1, 2차 성찰일지 및 사후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교사교육 모형을적용한 결과 교사들은 초등영어 교사교육의 이론, 실제 및 연구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을 성찰하고 발전시키게 되었다. 또한 초등영어교사 역할 정체성을 명시화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들의 현장 기반 소통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교사교육 모형이 적용되면서 초등영어교사들은 전문성 신장의 기회를 가졌다. 둘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이 교사들이 처한 맥락 안에서 학생, 교사, 관리자와의 관계 속에서 확립되며 변하고 발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담임교사 정체성과는 구별해 인식했다. 셋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 이외에도 비원어민 영어교사, 교사학습자, 교사연구자, 영어사용자의 정체성도 드러냈다. 넷째,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개인적 배경요인(교사의 영어능력 및 영어교수능력), 근무 학교(영어전담교사 여부, 원어민 교사 및 원어민 교사와의 협력수업, 학습자 수준 및 반응, 근무 학교 맥락), 교사교육 프로그램(대학원 프로그램, 심화연수 등 직무연수) 및 국가의 거시적 맥락(국가교육과정 및 영어교육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는 영어 교사교육, 영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발달 및 전문성 신장과 관련해 교사, 교사교육가 및 정책입안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ESL/EFL 환경의 원어민-비원어민 영어교사의 정체성 연구에 대한 고찰

        김신혜 ( Shin Hye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제 2언어 습득 분야에서 사회문화적, 후기구조주의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교사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제 2언어 교사 정체성에 관련된 주요 이론과 연구결과를 요약함으로써 앞으로의 교사 정체성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정체성 관련 이론은 정체성이란 단면적이고 불변적인 것이 아니라 다면적이고 변화하는 역동적으로 본다. 따라서 교사 정체성 연구는 교사들이 참여하는 담화 혹은 교수학습 활동과 상호작용하며 담화적 정체성 혹은 실행적 정체성을 형성 한다고 보고, 이러한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기술하는데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ESL/EFL 환경의 원어민 교사와 비원어민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 정체성 연구를 고찰하여 상이한 교수학습 환경에서 교사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이들의 정체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교사 정체성 관련 연구들은 교사들이 상상적 정체성과 실제 정체성간의 갈등을 경험하고, 이러한 다면적인 정체성 간의 갈등, 긴장을 협상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함을 보여주었다. 앞으로의 교사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되 특히 EFL 환경의 원어민, 비원어민 교사들이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해 가는 과정을 장기적 연구를 통해 살펴 볼 필요가 있다. Taking the poststructuralis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identity, the current research showedthat teacher identity is not fixed and is constantly changing through the process of positioning and repositioning. Research on teacher identity has focused 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identity- in-discourse and identity-in-practice, and the conflicts among multiple identities in different teaching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se main findings and issues within second language teacher identity research by addressing recent studies on nonnative and native teachers in ESL and EFL contexts. It was shown that teachers experienced conflicts between their imagined identity and their actual identity to construct a new identity through the negotiation of these conflicts.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construct their teaching identity and identify which factors are involved in the process. Further longitudinal studies need to carried out to better understand the identity construction process of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teachers especially in diverse teaching contexts.

      • KCI등재

        교사 정체성 이론과 쟁점 및 과제

        김규태(Kim Kyu Tae)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교사정체성의 개념, 특성, 이론적 접근, 형성과정 및 영향 요인, 기능과 전문성과의 관계 등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교사정체성의 이론과 쟁점 및 과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정체성은 교직 내․외부의 상황과 맥락에서 전문가로서의 교사상에 대한 자기이해와 관련 구성원들의 타인평가를 통해, 그리고 담론 과정에서 역동적이고 다중적으로 타협 및 재구성되는 것이다. 둘째, 교사정체성은 다중성, 사회성, 불연속성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맥락과 실제에 대한 질적 및 역동적 실제를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정체성을 규정하고 해석하는 사회심리적, 사회문화적, 후기구조주의적, 포스트모던적 프레임으로 접근되고 있으며, 이들 접근에 따른 교사정체성의 개념, 특성 및 형성 방법 등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정체성의 형성 과정에서 적극적, 소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개인, 조직 및 제도적 환경 변수들에 대한 탐색 및 확인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사전문성과 교사정체성의 상관 또는 인과 관계에 대한 심층 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교사정체성 관련 후속 연구는 개념과 구성요인 간의 논리적 관계를 다루는 분석철학적 접근, 정치사회학적으로 형성된 교사에 대한 담론 과정에서의 교사정체성 재구성을 위한 구조적/후기구조적 접근, 교사정체성 구성요인 타당화와 척도 개발, 교사정체성 관련 변수와 인과관계 확인을 위한 근거이론적 접근, 교사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 관련 변수 확인 및 관련 종단연구 등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ies, issues, and tasks of teacher identity through the concept, characteristics, theoretical approach, formation process and influence factors, and the comparis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teacher identit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eacher identity is dynamic and multi-constituent through the self - understanding of the teacher s image as an expert in the context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evaluation of others by the related members. Second, teacher identity has characteristics such as multiplicity, sociality, and discontinuity. Third, it is approached as a social psychological, sociocultural, post-structuralist, post-modern frames that define and interpret teacher ident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lore and confirm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variables that positively and negatively affect the formation of teacher identity. Fifth, there is a need for in-depth discussions on the correlation o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identity. The future researches on teacher identity will be based on the analytical philosophical approach that deals with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constituents, the post-structural and post-modernism approach to reconstruct teacher identity in the discourse process, evidence-based approach to confirm teacher identity variables and causal relationship, affecting teacher identity and the related longitudinal research.

      • KCI등재

        음악교사 정체성 연구 동향 고찰

        김지혜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in the research on music teacher identity by literature reviews. Research topics are selected through the preliminary analysis of the literatures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The literatures are chosen among those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music teachers and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during the past 10 years. For each research subject, a trend is seen that pre- and in-service general music teachers regard their own musical identity low, whereas pre- and in-service specialist music teachers regard their teacher identity low despite their high degree of musical identity. It is also revealed that both general and specialist music teachers try to harmonize their musical and teacher identities. On the other hand, analysis of the research methods shows the most frequent use of qualitative research done by the case study on the formation of music teacher identity. Quantitative research is also used for the identification the elements of music teacher identity,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etc. Besides, mixed approaches and literature studies are us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nalyses, three research topics for music teacher identity—the process of its formation, the analysis on its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search of effective programs for its formation—are selected. Study on these topics verifies that the music teacher identity changes continuously, consists of several sub-elements, and can be formed in a positive way by teacher-educating programs. The trends summariz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facilitate the research on the music teacher identity for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Korea by reflecting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음악교사 정체성과 관련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최근 10년간 국외 저널에 게재된 음악교사 정체성 관련 문헌들을 탐색하여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에 따라 일차적으로 문헌을 분석한 후, 그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주제들을도출하였다.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 일반음악을 전공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은 그들의 음악적 정체성을 낮게 인식하는 반면, 전문음악교육을 받은 음악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은 높은 음악적 정체성에 비해 그들의 교사 정체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두 그룹 모두에서 음악 정체성과 교사 정체성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시도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음악교사 정체성 형성에 관련된 사례연구를 통한 질적연구가 가장 많이 쓰였으며, 음악교사 정체성의 요소 파악, 측정도구 개발 등에는 양적연구가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밖에도, 혼합 연구, 문헌 연구 등의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위와 같은 대상별, 방법별 분석 기준에 따른 주제별 분석 기준의 결과, 음악교사 정체성의형성 과정, 음악교사 정체성의 구성 요소 분석, 음악교사 정체성의 형성에 효과적인 프로그램탐색의 세 가지 연구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주제들에서 음악교사 정체성이 계속해서 변화하고, 여러 하위요소로 구성되며, 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을 통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정체성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분석을 통해 살펴본 음악교사 정체성 연구의 동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의 특수성을 반영한 정체성 연구를 실시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사 정체성 관점에서 분석한 수석교사제 연구

        이효신(Lee Hyo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6

        수석교사제는 초?중?고등학교의 교수학습을 지원하고 교직의 학습조직화를 촉 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수석교사가 학교현장에서 전문가로서의 정체성 을 어떻게 형성해가고 있는지와 수석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동적이고 다중적인 수석교사 정체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규명 하기 위해 문헌연구, 수석교사들과의 비구조화된 면담을 통한 설문조사지 개발, 설 문조사, 수석교사와의 심층면담, 서술형 설문조사 등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 법을 혼합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석교사들은 정규수업시간 9.4시 간, 정규수업 외 지원활동 시간 14.8시간을 합하여 주당 24.2시간 교육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규수업 외 지원활동에 대해서는 실제 활동과 수석교사들의 중 요성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일치하여 수석교사가 활동하기에 우호적인 환경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수석교사들은 주된 정체성이 수업전문가, 교내외 연수전문가, 교사의 멘토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2012년 수석교사제가 도입된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업전문가에서 연수전문가와 교사의 멘토로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체성의 변화에는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정책적 요인이 복합적으 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석교사의 정체성은 법제화를 통해 부여된 제도적 정 체성을 기반으로 현장에 배치되면서 실제 활동을 통해 형성된 담론적 정체성의 유 형에 속한다. 또한 다중적 성격의 수석교사 정체성을 고려하여 정체성의 확립정도를 분석한 결과 수석교사들은 수업전문가, 연수전문가, 교사의 멘토, 현장연구전문가 영역에서 정체성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석교사들 의 정체성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수석교사들의 적정 교내외 활동 시간 설정, 수석교 사들의 능동적 활동 여건 조성, 핵심 직무역량에 기반한 연수 제공 및 효율적인 활 동 수행 지원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Master teacher system was introduced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reinforce the learning community of school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aster teachers formulate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what factors affected it. Teacher identity is characterized as dynamic and multi-dimensional. A mixed method approach including literature review, unstructured interview, online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open-end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It was found that master teachers participated in 9.4 hours per week for regular classes and 14.8 hours per week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ir real activities were similar to their expected priority, they had good working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they viewed themselves as professionals in teaching, teacher trainers, and teacher mentors. It was also found that they experienced the change of their identities from professionals in teaching towards teacher trainers and teacher mentors. Public policy and personal factors affected the identity formulation and change process. Master teachers formulated their institution-identity through the authorities given by the legislation to discourse-identity through practice and learning. Multiple identities were strengthened except for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per working hours of master teachers be set to help them strengthen their identities. It was also suggested that support at the policy level such as competence-based master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good working conditions be provided to strengthen their identities.

      • KCI등재

        교사의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 양상

        백목원(Mok-won Baik),권순희(Soon-hee Kw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면담 자료에 나타난 교사의 서술적 정체성과 수업 담화에 나타난 교사의 체화된 정체성의 양상을 규명하였다. 중등학교 교사 3명의 면담과 교실 수업 담화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Tan et al.(2013)의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 기준과 Gee(2000)의 본성적 정체성, 친화적 정체성, 제도적 정체성을 하위 분석틀로 삼았다. 분석 결과 P교사는 ‘제도적 정체성을 위해 본성적 정체성 변형형’, R교사는 ‘제도적 정체성 인식형’, H교사는 ‘친화적 정체성에서 문화 지체 현상 발현형’으로 드러났다. P교사와 R교사는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의 일치형으로, H교사는 서술적 정체성과 체화된 정체성의 불일치형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교사에 의해 말해진 정체성과 교사의 ‘행위’로 드러난 정체성의 관계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analyzing the Narrative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of teacher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and class discourses of three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he Narrated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criteria and the Nature-identity, Institution-identity, and Affinity-identity were used as sub-analytical framewor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eacher P was a ‘transformation of nature-identity to institution-identity’, teacher R was ‘institution-identity recognition type’, and teacher H was ‘a type of cultural retardation from affinity-identity’. Teacher P and teacher R were analyzed as a type of coincidence between Narrated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and teacher H was analyzed as a type of mismatch between Narrated identities and Embodied identities. The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told by the teacher and the identity revealed as the teacher’s ‘act’.

      • KCI등재

        롤랑 바르트 「저자와 작가」가 예술가교사의 정체성 및 교수-학습 방법에 주는 함의

        전수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3 No.-

        A teaching artist is someone who implements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or social organizations to increase citizens' access to cultural arts through education. Teaching artists often face identity dilemma, as they live their lives embracing two disparate identities: artist and educator.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identity of the teaching artist, the concepts presented in Roland Barthes' 1960s text 「Authors and Writers」 have provided the researcher with some interesting ideas regarding the identity of the teaching artist.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reinterpret the concepts presented in 「Authors and Writers」 in relation to the identity of the teaching artist. This research discusses the concept of teaching artist identity as a conflict between the normativity of education and the subjectivity of the artist. Three implications of Barthes' 「Authors and Writers」 for the identity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teaching artist are ‘the teaching artist, who is both intransitive and transitive’, ‘resolving and initiating ambiguity in art education’ and ‘a hybrid identity that crosses over the identities of artist and teacher’. 예술가교사는 초·중·고등학교 또는 사회기관에 파견되어 예술교육을 실행하는 사람으로 교육을 통해 시민의 문화예술 접근성을 높인다. ‘예술가’와 ‘교육자’라는 이질적인 두 정체성을 모두 끌어안은 채 살아가는 예술가교사는 종종 ‘정체성 딜레마’ 라는 문제에 봉착한다.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1960년 저작 「저자와 작가(Authors and Writers)」에서 제시한 개념들은 예술가교사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저자와 작가」에서 제시한 개념을 예술가교사의 정체성에 대하여 재해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예술가교사의 정체성을 파악해 나가기 위해 먼저 ‘예술가의 정체성’과 ‘교사의 정체성’을 각각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토대로 교육의 규범성과 예술가의 주체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예술가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개념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바르트의 「저자와 작가」가 예술가교사의 정체성 및 교수-학습 방법에 주는 세 가지 함의를 ‘자동사적이며 동시에 타동사적인예술가교사’, ‘예술교육의 모호성 해결 및 개시’, ‘예술가와 교사의 정체성을 넘나드는 하이브리드 정체성’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사정체성에 관한 철학적 접근 : 존재론적 정체성의 시론적 탐색

        박은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4

        Korean teachers nowadays seem to be confused by their identity more than ever. This can be easily seen from news articles or researches, which show that teachers’satisfaction rates decreasing, teachers’exhaustion increasing, teachers stress getting higher, etc. Above all, according to Riss, more than 100 research papers on teacher identity have been released each year since 2010. This is evidence that today’s Korean teachers are in the middle of times that make it very difficult to find who they really are.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the periodic and structural contexts which cause this current teacher identity disorder. According to researches,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the neo-liberalism in education, and the discourse of teacher professionalism are all examples of those contexts. They all serve as conditions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oneself as a human and teacher is easily divided. Under these conditions, what is now required for teachers is to restore the existential and ontological identity that coordinate the teacherly self as a human be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arch for existential identity can be opened by philosophical approach, instead of the dichotomical studies of teacher identity that rely on the quantitative or qualitative method.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philosophical identit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identity by Parker Palmer, Charles Taylor and Hannah Arendt. 지금의 우리나라 교사들은 그 어느 때보다 교사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사실은 교사직에 대한 만족도가 낮고, 교사소진, 교사 스트레스의 비율이 높다는 기사나 연구결과로부터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학술정보서비스(Riss)에 의하면, 2010년 이래로 교사정체성에 관한 연구물이 매년 100여 편 이상씩 쏟아져 나오고 있다. 교사정체성에 대한 높은 관심은 그만큼 오늘날 교사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어려운 시대적 조건 속에 처해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의 교사정체성에 대한 높은 요구를 초래한 시대적, 구조적 맥락과 원인들을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분석하고, 이와 같은 조건 속에서 필요한 정체성 개념은 어떤 것일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금의 교사정체성 혼란을 초래한 원인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교육계에 유입된 신자유주의 정책의 영향, 그리고 교직전문성 담론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이 조건들은 모두 ‘한 인간으로서의 나’와 ‘교사로서의 나’ 사이의 분열이 일어나기 쉬운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건 속에서 지금 교사들에게 요청되는 것은 분열되기 쉬운 양자의 유의미한 통합을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의 문제로서, 이는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교직을 의미있게 받아들이는 실존적· 존재론적 정체성을 어떻게 회복하는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실존적· 존재론적 정체성에 대한 탐색은 기존의 양적접근과 질적접근으로 양분된 가운데 이루어졌던 교사정체성에 대한 연구와 달리 철학적 접근으로 모색될 수 있다고 제안하며, 그 가능성을 Parker Palmer, Charles Taylor, Hannah Arendt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를 통해 시론적으로 탐색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음악교과 교사 정체성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김지혜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음악교과 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교과 교사 정체성을 조사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음악교육 전문가에 의해 설문지 타당성을 검토한 후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은 인천과 경기도의 초등학교에서 음악교과를 1년 이상 가르친 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음악교과 교사 정체성을 조사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음악적 경험에 따른 음악교과 교사 정체성의 차이점을 밝히기 위해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교직 경력, 전공 요인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의 음악교과 교사 정체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른 정체성은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직 경력에 따른 정체성은 교직 경력 20년 이상의 교사들이 20년 미만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정체성은 학부나 석사 과정에서 음악교육을 전공한 교사들이 타 교과를 전공한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음악적 경험에서는 교사가 음악을 개인적으로 배운 경험과 음악활동 경험에 따라 음악교과 교사 정체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가 되기 전이나 후에 음악을 개인적으로 배운 경험과 음악활동을 한 경험이 음악수업에 영향을 많이 준다고 답한 교사들의 음악교과 교사 정체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