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 학생의 공학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진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교육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학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교 육대학 학생의 공학기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함양을 통해 공학기술 교육 수준의 향상을 모색하는데 있다. 조사 내 용은 공학기술의 특성, 공학기술의 내용,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이다. 조사대상은 D교육대학의 2학년이며, 설문지는 315부를 통계 처리하였으며, 교육요구도는 보리치 공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에서 교양과정 및 전공과정의 필수과목과 선택과목 중에서 공학기술 교육이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고, 실과 심화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내용에 맞추어 목공작, 전기⋅전자, 재배, 컴퓨터, 발명, 동물 등으 로 편성되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학기술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는 실과뿐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공학기술과 관련한 모든 항목에서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자신의 능력수준의 격차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공학기술의 특성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 ‘공학기술적 사고와 창의성’ 항목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고, 공학기술의 내용에서 제조 영역은 ‘안전사고 방지’ 항목이, 건설 영역은 ‘주거공간 이해하기’ 항목, 에너지⋅ 수송 영역은 ‘에너지 문제 해결 방안’ 항목, 정보통신 영역은 ‘간단한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 항목, 생명 영 역은 ‘유전공학의 이해’ 항목, 전기⋅전자와 기계 영역은 ‘로봇의 이해와 간단한 로봇 조립’ 항목, 발명 영역은 ‘발명 과 창의성 계발’ 항목이 가장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는 ‘공학기술 내용의 실습 제작’ 항목이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영역별로 교육요구도가 큰 항목은 교육대학에서 수업시에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improving the level of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through the cultivation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tudents' engineering technology. For this, it analyzed educational needs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by 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educational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Subjects were sophomore in D university of education, questionnaire collected statistics 315 cases, and the educational need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s formula.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follows;1. The university of education carried into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partly out of required subjects and optional subjects of liberal courses and major courses. Department of practical arts operated the wood manufacture, the electric⋅electronic, the cultivation, the computer, the invention, the animal area, etc in connection with practical arts contents of elementary. 2. Only practical arts subject is very closed to engineering technology. 3. All items relating engineering technology showed high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4. In the educational needs of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engineering techno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as high.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safety accident prevention' out of manufacture area was high, and 'the housing space understanding' out of construction area, 'the energy problem solving plan' out of energy⋅transportation area, 'the simple multimedia making' ou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a, 'the genetic engineering understanding' out of life area, 'the robot understanding and simple robot assembling' out of electric⋅electronic and machine area, 'the invention and creativity development' out of invention area. In the educational needs of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practise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was high. Therefore, when university of education instructs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it considered about the items that the educational needs at each areas were high.

      • KCI등재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김영민,이영주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이 갖고 있는 공학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것으로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과학고 및 영재학교의 교사 및 학교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06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공학 관련 지식부족을 공학교육의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교과 외 수업으로 공학교육 희망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교육 연수 및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구체적인 연수 방안으로는 30시간의 공학 교수방법 및 교육사례 주제를 중심으로 공학 관련 연구소와 소속 연구원을 활용한 공학교육 연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은 공학 교수 역량에서 공학 분야 진로 지식과 공학 전공 분야에서 컴퓨터 공학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재학생과 공학계열에 재학 중인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육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의 공학교육 현황 및 실태 관련 조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을 위한 공학교육 지원 방안 및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영재학생들에게 중요한 공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학 분야 진로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을 위한 공학교육 지원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s. For this, we surveyed 106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perceive that engineering education in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 is necessary and important, but they do not have the resources, knowledge or time to implement engineering education. However, they want to teach engineering as an extra curriculum, especially research activity time. Second, most teachers believe that teacher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benefits of engineering education is necessary. Engineering teacher training program needs to become more context-based, to demonstrate engineering’s relevancy in the real world, such as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s or engineering company. Also, teachers prefer 30 hour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hird, the highest necessity in engineering teaching competency is the knowledge of engineering fields. And, the highest necessity in engineering major and field is computer engineering. Finally government support is vital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support for in-service-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Future research and recommendations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s are discussed.

      • KCI등재

        공학윤리 교육과목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도출: 수요자를 중심으로

        이태식(Tai Sik Lee),전영준(Young Joon Jun),노재윤(Jae Yoon Noh),박민서(Min Seo Park)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공과대학의 공학윤리 교육과목 실태분 석을 통한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공학 윤리에 대한 개념 및 공학윤리 교육과목의 도입배경, 공학윤리 교육의 목적 및 교육방법, 내용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국내외 공학윤리 교육현황을 도출하 였다. 이를 기초로 공학윤리 교육과목 개선방안 제시를 위한 공학윤리 수강생 및 기업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공학윤리 교육 과목에 적합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improvement scheme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al curriculum. Documentary surve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oncept of engineering ethics, background of how engineering ethics educational curriculum was introduced, the purpose and educational method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and foreign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On this basis, survey was taken on engineering ethics class students and company recruiters. Therefore, improvement scheme that suits domestic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질적 연구 동향 분석

        김현진 ( Hyeonjin Kim ),유지은 ( Jieun Yoo ),김현영 ( Hyeonyeo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공학 분야의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교육공학 질적연구의 현주소와 향후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교육공학연구』와『교육정보미디어연구』학술지의 창간호인 1985년과 1996년부터 2017년 6월까지 게재된 질적 논문134편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 연구 유형,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연구적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교육공학 질적 연구는 2000년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질적 연구의 주제는 활용 영역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창출 영역의 교수설계 효과연구로 드러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사례연구와 기본해석연구가 비슷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본해석연구라고도 볼 수 있는 개발연구가 다수 나타나 교육공학연구의 고유한 특징을 보여준다. 자료수집과 분석 측면에서 교육공학 질적 연구는 개별 면담과 내용분석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공학연구의 질적 연구는 2~4개의 자료수집방법을 함께 활용하여 자료의 삼각검증을 추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성 확보 및 윤리 준수에 노력하고 있으나 자료분석 단위, 신뢰성 전략, 연구윤리가 언급되지 않은 경우가 다수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공학 질적 연구의 특징과 향후 다양한 방법론 및 엄격한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For this purpose, 134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of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Journal of Education Information and Media from the first to June 2017 issu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opic,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methodology. In result, it was found that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0. The most frequent topic of qualitative research is related to the utilization area, followed by the creation area. The frequent type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case study and basic qualitative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is the unique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due to many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cases.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collection method is in-depth interview, and the analysis method is content analysis. Also, it was found that 2-4 different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together for the purpose of triangulation. Although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ers make efforts for trustworthiness of research, some descriptions such as the unit of analysis, trustworthiness strategies, and ethics need to be included in the method part.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are addressed, and some suggestions on various qualitative methodologies and rigorous research are described.

      • KCI등재

        초등학생 공학기술 학습의 배경요인 조사 연구

        정진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background elem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learning in elementary students and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and the education contents composition of the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The contents for survey were made up of criteria such as the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engineering technology preference, attitude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class form, and class environment.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1,350 elementary students in 25 schools on a national scale analyzed by SPSS/PC+ package program.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follows;1. Elementary students showed a bit low interest of below the average about the effect variables of engineering technology out of the engineering technology preference. 2. Elementary students showed a bit high recognition of over the average about the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out of the attitude about the engineering technology, and showed a bit positive side of over the average about the occupation recognition related to the engineering technology. 3. Elementary students showed a bit negative interest of below the average about the occupation related to the engineering technology, the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공학기술의 중요성을 자각하도록 하며 공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스스로 이해하고 흥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2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먼저 1단계로서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구성과 교수ㆍ학습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공학기술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초등학생들의 공학기술 학습 배경 요인들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조사 내용은 공학기술 경험도, 공학기술 선호도, 공학기술에 대한 태도, 친숙한 공학기술 수업 형태와 교육 환경이다. 설문지는 전국 25개교에 총 1,450부를 배부하여 1,371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불충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는 21부를 제외한 1,350부(남: 701부, 여: 649부)를 통계 처리하였다. 설문 내용의 내적 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s α 계수가 0.852로 나타나, 각 문항별 내적 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16.0 for Window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균, 교차분석, t검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공학기술의 선호도 중 공학기술의 영향 변인은 비교적 관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공학기술에 대한 태도 중 공학기술과 공학기술교육에 관한 인식은 약간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공학기술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은 남녀 관계없이 긍정적인 편이다. 3) 공학기술, 공학기술교육, 공학기술 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는 약간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1단계의 결과에 근거하여,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을 위한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공학기술 교육을 통해 초등학생에게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 지를 검증할 예정이다.

      • KCI등재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 중학교 건설공학분야를 중심으로 -

        김영민,김현정,허혜연,이창훈,김기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We made a model of engineering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developed a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about a field of construction engineering in middle school. For this reason, we analysed preceding research about engineering, engineering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a model and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we rectified and compensated this program through field application result and validity evaluation by specialist. We developed a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about a field of construction engineering the model made by us. This program is composed of 3 time period of passing in eight phases of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 result of validity evaluation by specialist is comparatively high(mean value: 4.58, CVR value: 0.86).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a program developed in schools of students'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average to 4.09. Even interviews and observations, by experience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students have been able to obtain positive results, such as being able to understand engineering.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ngineering education at ultra-secondary education, this program may also be used as materials for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the theme of the level variety.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모형을 구안하고, 구안된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건설공학분야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모형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공학, 공학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 검토 및 현장 적용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최종 수정 및 보완하였다.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모형을 적용하여 공학 설계 과정의 8단계로 구성된 총 3차시의 중학교 건축공학분야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공학교육 전문가 타당도 결과 Likert 5점 척도에서 평균값 4.58, CVR값 0.86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적용결과에서도 학생들의 만족도는 평균 4.0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관찰 및 면담에서도 학생들은 공학 설계 과정을 체험함으로써 공학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는 점 등의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준과 주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실태 및 요구 탐색을 통한 관련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김영걸 ( Kim Young-gull ),우이구 ( Woo Yi-g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보조공학은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 기본적인 서비스로서 장애아동의 기능적인 활동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보조공학 기기와 서비스 관련 제반 업무를 시도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특수교육현장에서는 보조공학 관련 실제 요구를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제공받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각 시도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17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목적 표집하여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하였고 보조공학 관련 서비스를 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조공학 업무 공간, 보조공학 관련 서류는 대부분 갖추고 있었으나 보조공학 전문가와 관련 정보제공 정책을 몇몇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가지지 못하고 있었다. 각 특수교육지원센터마다 보조공학 관련 예산, 보유기기 유형과 수는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었다. 둘째,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담당해야 할 하는 당위성은 아주 높았으며, 보조공학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적절하게 관련 업무를 진행하기 위하여 보조공학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조공학 관련 예상의 편성 및 집행 필요성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환경 조성 측면, 전문성이 확보된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체제 측면, 실제적인 보조공학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 측면, 국가수준의 보조공학 관리 체계 측면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ssistive technology is the basic services among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must be considered for promoting functional activitie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s in charge of all task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for this is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actual need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this study surveyed the 17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are continuously performing the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tasks amo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most of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assistive technology work space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were provided, but the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policy were not provided. For eac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AT budget, the type of equipment and number of devices were different. Second, there was a high degree of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work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It was recognized that an AT specialist was needed to systematically operate assistive technology and to carry out related tasks appropriately. Also, the need for budgeting and execution of AT budget was high. Third, in order to appropriately provide assistive technology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variety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rovide profession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to provide actual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and programs.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연구 동향 분석 및 키워드 분석 연구: 2014~2022년「교육공학연구」를 중심으로

        윤가영,유하원,김효정,박인우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4

        This study explored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by analyzing publication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 leading academic journal in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For this purpose, 270 articles published from March, 2014 to March, 2022 were analyzed and coded, using a revised analysis framework that had been constructed and utilized in two previous literature reviews conducted for the periods from 1985 to 2004 and 2005 to 2014.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pplemented with keyword analyses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overview of research trends from 2002 to 2022 using a word cloud visualiza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design” was related to the most studies, and few studies were relate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little research conducted regarding “evaluat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showed a promising increase. A range of research methods were seen, including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results of keyword analyses were used to visualize the periodical changes and flow in educational technology. From 2002 to 2006, common keywords were “e-learning,” “remote education,” “cyber university,” “ICT using education,” “web-based learning.” From 2007 to 2011, “e-learning,” “online discussion,” “digital textbook” were common, and from 2012 to 2016 “e-learning,” “flipped learning, “SW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were derived from keywords. This study was adopted to follow the two preceding literature reviews using the same framework to map the following decade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교육공학연구』에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2014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교육공학연구』에 출판된 27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보다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연구 흐름 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22년의 기간 동안 이루어진 교육공학 연구의 주요 키워드를 분석하였고,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공학 연구영역은 “설계”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개발”영역은 현저히 낮은 비중을 보였다. “평가”영역도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아니나 수업컨설팅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확장하면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등 정량적․정성적 측면으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2002년부터 2022년 3월까지 약 10년간『교육공학연구』에 게재된 학술지 키워드 분석결과를 보면, 2002-2006년 ‘이러닝’, ‘원격교육’, ‘사이버대학’, ‘ICT활용교육’, ‘웹기반학습’ 등, 2007-2011년 ‘이러닝’, ‘온라인토론’, ‘디지털교과서’ 등, 2012-2016년 ‘이러닝’, ‘학업성취도’, ‘대학교육’ 등, 2017-2019년 ‘플립드러닝’, ‘SW교육’, ‘메이커교육’ 등, 2020-2022년 ‘COVID19’, ‘원격수업’, ‘온라인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워드분석 결과 웹 환경과 매체 중심의 기술의 발전, 교육의 시대적 변화 및 흐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정립한『교육공학연구』의 문헌연구 틀을 계승․발전시켜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이어나가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학교교육에 대한 교육공학의 기여와 한계: 2005-2014 10년간 “교육공학연구” 동향 분석

        이경순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2

        교육공학은 지난 30여년 간 지속적으로 학교 현장을 지원해왔다. 때로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새로운 학습전략을, 새로운 수업 모형을, 그리고 새로운 미디어를 제시하면서 말이다. 그렇다면 이 땅의 교육공학자들이 우리나라 학교교육 현장에 기여한 바는 무엇일까? 우리는 그동안 무엇을 했으며 과연 그런 노력들이 학교교육을 나아지게 하기는 했을까? 더 나아가 우리는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이 땅의 교육공학 관련 연구자와 실천가는 적지 않다. 바로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교육공학자들이 학문적 이론적 접근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 고민하며 연구하고 있다. 더구나 한국교육공학학회는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중요한 현장인 학교교육에 대한 우리의 노력과 성과를 성찰해 본 경험은 많지 않다. 과연 교육공학이 우리의 학교교육 현장에 어떠한 기여를 했으며 동시에 우리가 가진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되돌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작은 시작으로 지금까지 우리가 해왔던 연구들을 수집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교육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교육공학연구” 에 나타난 논문의 주제나 대상, 연구방법 등을 비교해봄으로써 그간 우리 노력의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난 10년간 출간된 교육공학연구에 게재된 학술논문 327편 가운데 초중등교육과 관련된 논문은 89편 즉 27.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방법 측면에서 가장 주된 유형은 실험연구 (24편, 27.0%), 개발연구 (21편, 23.6%)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영역을 분석한 결과,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설계 (32편, 36.0%)’, 그 다음은 ‘활용 (26편, 29.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공학 분야에서 학교교육관련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연구: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정경희,송병섭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이 연구는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 보조공학, 기기개발 전문가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교육용 보조공학기기의 연구개발을 위한 해결과제와 활성화방안으로 범주화 되었고, 5개의 상위 범주와 11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의 어려움은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관련 제도 및 구조적 한계와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관련 기업의 열악한 환경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으로는 국가사업 연구개발 참여 기관 선정 기준의 체계성 확보, 보조공학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지원,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 체계 모델 등이 제시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에서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을 중심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전담부서' 체계 구축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여러 부처 및 관련 기관의 협력과 국가적 차원에서 거점센터 구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