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고교-대학 연계에 관한 대학생 인식 탐구

        남혜선(Hyesun Nam),이현구(Hyungu Lee),심우정(Woo-jeong Shim)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는 고교-대학 연계 관점에서 대학 학업 적응과 관련된 고교의 교육 경험과 학업 성과를 비교적 최근에 고교에서 대학으로 이동을 경험한 대학생의 인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 1, 2학년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전공계열별 선수교과목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교과 학습을 통한 전공기초지식, 국어 교과목을 통해 습득한 기초학습능력,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권장하는 수업방식과 학생주도의 활동을 통해 길러진 주도성, 사회성 등을 대학 수학과 연계되는 고교교육 경험의 지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각 연계의 지점에서 연계 정도에 대한 인식도 드러났다. 전공기초 지식 습득과의 분명한 연결고리에도 불구하고 고교 교과 이수는 대학 전공 선택과 연계되지 않았고 고교와 대학 교수학습방법의 극명한 차이는 고교-대학이 연계되기보다 단절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근거가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교육 간의 연계가 아직은 느슨함을 시사하며, 향후 대학 모집 단위 또는 전공을 기준으로 고등학교 선수과목 안내, 대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사전 안내와 오리엔테이션 강화 등과 같이 고교-대학 교육 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개선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outcomes of high schools that are perceived to contribute to college readiness and adjustment.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30 college students who recently experienced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ere conducted. Our findings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ies acquired through taking Korean language courses as well as course-taking relevant to students’ field of study helped in the students’ academic adjustment at college. High school leadership and extracurricular experiences were also perceived to connect to college adjustment by enhancing the students social and human skills. A disconnect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was also noted: High school course-taking was not guided by the students’ choice of college majors or information on college learning, and education was not well provid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ink betwee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college education is yet a loose one.

      • KCI등재

        대학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한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김대석(金大石),홍후조(洪厚祚)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수교과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요구한 모집단위와 요구하지 않는 모집단위의 대학 중도탈락률 및 자퇴율(이하 중도탈락률) 차이를 분석하여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별 요구여부에 따른 대학 중도탈락률 차이분석에서, 중도탈락관련 다른 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고교 교육과정,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 및 대학 전공이 연계된 경우 일관되게 낮은 대학 중도탈락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대학의 중도탈락률을 줄이고 보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고교교육과정과 대학 전공이 연계되게 공부한 학생을 선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학입학 때부터 전공 적응도가 높은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며, 고교 교육과정부터 희망 대학전공과 관련된 고교 선수 교과목이 적성에 맞아 꾸준히 공부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입시 및 대학 교육과정이 연계되어야 한다. 삼자가 연계된다면, 고교 때부터 대학전공과 관련된 고교 선수 교과목이 적성에 맞아 공부한 학생은 대학에 가서도 중도탈락하지 않고 잘 적응할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examined 142 college drop-out rates from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e examined the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college prerequisite subjects are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in order to claim the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In the study of the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Korean is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s was grea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however, was min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ath shows contrary results. In the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Math is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s was min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however, was grea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English is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international studies was grea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studies, however, was min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when the students’ high school courses consist in their college entrance test’s subjects and college majors, their college dropout rate hit a record low. This means that college drop-out rates problem could be approached from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e could predict that students study well in college without drop-out if they have studied well college preparatory course with interest and aptitude in high school.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eded to categorize high school’s courses with college majors from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 KCI등재

        고교학점제의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을 통한 교육적 효과 탐색

        우선영,민윤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한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이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자체와 학교 간 유기적 협력이 이루어지는 A 도시를 선정하고, 해당 지역의 학생, 교사, 대학교수 등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분석 결과,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방법, 성취 및 결과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첫째,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특색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 제공, 학생의 흥미 및 진로와 관련한 전문교과 과목 개설, 진로 연계 및 진로 확장 탐색 기회 제공의 효과가 있다. 둘째, 교수ㆍ학습 방법의 측면에서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개인별 맞춤형 지도, 문제 해결 중심의 수업, 이론과 실습 병행, 정서적 유대감과 도움을 제공한다. 셋째, 성취 및 결과의 측면에서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진로 탐색 및 결정에 도움, 학생들의 높은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 고교 교육의 지역 격차 완화 및 지역에 대한 자긍심 제고, 대학의 사회봉사 및 지역사회 도움의 효과를 보인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이들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와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서 논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introduced to provide a variety of curricula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To this end, A city was chosen where the overall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operated, and students,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were interviewed, with an analysis of the Office of Education’s plan for operating the joint curriculum and student testimonial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the effects of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were identified as follows in terms of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chievement and results. First, in terms of curriculum,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variety of distinctive curricula, opening specialized subjects related to students’ interests and career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areer networking and career expansion. Secon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provides personalized guidance, problem-solving-centered classes, theory and practice, and emotional bonding and help. Third, in terms of achievement and results,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helps with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making, maintaining students’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and satisfaction with classes, easing regional disparities in high school education, and enhancing local pride and involvement in university community service.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ach of these effect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교학점제의 대학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 방안 모색을 위한 요구도 분석

        한정희,김정은,박용한,박완신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연구논총 Vol.4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present the role of the university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planned to be fully implemented from 2025. To this end, 156 people in charge of each university, education office, and high school were surveyed for needs,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execution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rough the t-test, and Borich's needs was also derived using the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needs commonly derived by the three institutions. First, there was a high needs for "plan to improve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reform the student evaluation system" as priority tasks to be solved for the stabl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the task that universities should cooperate to opera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high in needs for "support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and subjects." Third, the needs for "joint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and subjects" was high due to the role and support of universities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Through these results, the connection of the three institutions is important for the stabl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substantial operation of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especially the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joint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와 고교학점제의 대학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2025년부터 전면 실시될 계획인 고교학점제 운영에 대한 대학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교육청, 고교 각각의 담당자 또는 관련자 156명을 대상으로 요구도 조사를 하고 t 검정을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유의한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으며,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가 높은 항목을 도출하였다. 다음은 세 기관에서 공통으로 도출된 요구도 결과이다. 첫째,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우선과제로서 ‘대학입시제도 개선방안 마련’과 ‘학생 평가제도 개편’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해 대학이 협력해야 할 과제는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운영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고교학점제의 대학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에서 대학의 역할과 지원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목 공동 개발·운영’에 대한 요구가 높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교학점제의 안정적인 정착과 대학연계형 공동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서는 세 기관의 연계가 중요하며 특히, 고교학점제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 공동 개발·운영’을 위해 대학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를 위한 대학영어교육 방안 연구

        하명애 한국현대언어학회 2023 언어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고교-대학의 교육 연계성을 위한 대학영어교육의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대학생 영어학습자 5명과 교양영어를 교수자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고교와 대학 간의 영어교육에 대하여 ‘문법 및 어휘 학습’을 공통점으로 인식하는 반면 ‘수업구성과 교실환경’에서는 차이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고교와 대학의 영어 학습 수준에 대하여, 일반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대학의 영어 학습수준이 고등학교와 비슷하거나 더 쉽게 여긴 반면,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대학의 영어 학습 수준이 고등학교에 비하여 매우 어렵다고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영어 교수자 대상의 심층면담 결과, 고교-대학 간의 영어교육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학습자 배경과 수준이 점점 다양해짐에 따라 고교-대학의 영어교육 연계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교-대학 연계의 대학영어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llege English education for the articula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college English learners and four college English professors were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recognized ‘grammar and vocabulary learning’ as a commonality in English educa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while recognizing differences in ‘curriculum structure and classroom environment.’ Regarding the level of English learning, students who graduated from general high schools considered the college English learning to be similar or easier than high school, whil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considered the college English learning to be very difficult.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ith college English professors, it was revealed that they had low awareness of articula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nglish education. Nevertheless, as the learner backgrounds and levels have become more diverse, professors recognized the need for articula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nglish education. The research suggests the follow-up research on the articula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nglish education.

      • KCI등재

        회계분야 특성화고-전문대학-대학 연계교육운영방안 :안산지역 소재 A전문대학과 B상업계 고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중,노희천,이유선 한국세무학회 2022 세무와 회계저널 Vol.23 No.5

        Since 2017, the government announced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such as the “Lifelong and Vocational Education Master Plan” and “College Innovation Plan”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such educational policies are limited to the promising field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cluding vocational education in the accounting field. Although both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olleges are institutions aiming for vocational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graduat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is 64%, enter Colleges or universities. Suppose education to train professionals through articulated curriculum cooperation with a four-year university course is provided. The employment age will decrease, and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vocational education will increase while satisfying the desire of the students to enter universities. In particular, recent government polici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regarding colleges allow the graduates to earn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for specific technical fields. Through the cooperation of advanced educational institutions, building an advance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 the accounting field will be a foundation for training professional accounting officers. This study will present an articulated vocational education model in the accounting field to specialized high schools, colleges, and 4-year course universities. Such an articulated model enables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to simultaneously gain industrial work experience and improve workability through one learning process in which they work and study simultaneously.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the accounting industry in general by training human resources and enhance the expertise in the accounting industry itself.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on articulated curriculum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the curriculums of commercially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ccounting-related certificates. The analysis is compared with the study made by Yoon Woo-young and Lee Tae-jung (2019) on a qualification-based curriculum to propose an articulated curriculum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train highly skilled professionals. The research aims to be the cause to establish articulated curriculum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hopes to spread not only to the accounting field but also to all fields of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2017년부터 정부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평생직업교육마스터플랜]과 [전문대학혁신방안] 등 직업교육 및 전문대학에 대한 다양한 교육정책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제시된 교육정책은 4차산업 유망분야에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어 회계분야 직업교육 정책은 부재한 상황이다. 특성화고등학교는 직업교육을 목표로 하는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졸업생 중 64%가 대학진학을선택하는 현실에서 특성화고등학교와 전문대학 그리고 4년제 대학까지의 직업교육의 연계를 통하여 내실 있는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을 제시한다면, 청년층의 입직연령을 낮추는 동시에 직업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면서 특성화 고교생의 대학진학 욕구를 동시에 해소 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특히 근래의 정부정책은 전문대학에서 특정 기술 분야에 대하여 학사학위와 석사학위과정까지 설치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바, 현재 운영되는 고등교육기관의 협력을 통해 회계분야의 고등직업교육체계를 구축한다면, 회계분야에서 종사하는 전문 회계인력의 양성 및직무능력향상을 도모하여 회계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와 전문대학 그리고 4년제 대학으로 연계되는 회계분야 직업교육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계모형은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일과 학업을 동시에수행하는 일학습병행을 통하여 산업체 근무경력과 직무능력의 향상을 동시에 증진 시킬 수 있도록하는 동시에 회계분야의 고숙련인재를 양성하게 함으로서 회계 산업 전반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계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특성화고등학교의상업계 학과 교육과정 및 회계 관련 자격증 현황을 분석한 후 윤우영과 이태정(2019)이 제시한 자격기반 교육과정 연구를 기반으로 고숙련 실무형 전문기술인재 육성을 위한 특성화고-전문대학- 대학의 연계체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본 연구가 고교와 전문대학 및 대학 간 연계교육의 시발점이 되며, 회계분야 뿐만 아니라 직업교육 전반에 걸쳐 확산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A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의 고교 시절 동아리활동 경험과 대학 생활에 관한 사례 연구

        백선희(Sun Hee Paik) 교육종합연구원 2024 교육종합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A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동아리활동 경험과 그러한 경험의 의미, 그리고 대학생활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유사한 경험을 가질 수 있는 A교육대학교 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사전 질문지의 답변 작성 및 1시간 내외의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교 동아리의 가입 동기는 진로 혹은 진학을 위한 동아리 선택, 그리고 진로 및 진학과 무관한 동아리 선택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동아리활동 경험을 통한 성장으로는 교육대학교 입시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탐구력과 문제해결력 신장, 건전한 심신 발달 등을 꼽고 있다. 셋째, 만약 고등학교 시절로 돌아간다면 같은 동아리를 또 선택할 것인지에 대해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긍정적 답변을 하고 있으나 진로 및 진학과 무관한 흥미와 관심사를 반영한 동아리를 다시 선택하고 싶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넷째, 고등학교 동아리활동 경험이 대학생활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대학에서의 유사 동아리선택부터 삶에 대한 태도를 학습했다는 의견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그간 면밀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고등학교 학생들의 동아리활동 경험을 A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살펴봄으로써 고등학교 시절 동아리활동 경험의 의미와 이를 통한 성장 그리고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고등학교 학생들의 동아리활동에 선택, 동아리활동을 통한 성장, 동아리활동과 대학활과의 관련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club activities in high school,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s, and the impacts on college lives of the students of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A NUE). To this end, the eight students of A NUE were selected and were asked to answer preliminary questionnaires and participate in in-depth interviews for approximately 1 hour.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sub-areas were derived from the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joining a high school club activities was divided into choosing a club considering university admission and career path as well as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Second, in terms of the growth through club activity experience, the most common opinion was that it was helpful for preparing college admission, and the improvement of research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healthy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were cited. Third, most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would choose the same club again if they went back to their high school days, but there were also opinions that they would like to choose a club again that reflects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hat were unrelated to their career path or university admission. Fourth, regarding the impact of high school club activities on college life, students showed that they chose similar clubs to their high school clubs, learned the attitudes towards lives. Based on the findings, the vision and directions for managing high school club activities in order to provide high school students with better experiences.

      • KCI등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최정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e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impact of these two systems on universit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the overall understanding level of teachers about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purpose and contents of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newly established is relatively low. Second,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responded negatively or reservedly rather than positively to the questions which ask whether integration will be successful. As for the possibility of success, teachers who are working in autonomous high schools are more positive than those in general high schools. Third, the overall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is system,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ore contents were both high. Nevertheless, teacher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s about the possibility of institutional settlement were more likely than teachers who showed positive attitudes. Fourth, high school teachers did not consider linking with university education in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Nevertheless, the need to link high school education with college education was highly recognized. Fifth, many teachers answered that the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influenced by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It wa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would affect both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majo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Teachers raised the necessity that the contents of the newly established subjects like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should be linked to university education. Finally,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ould also affect college education, which they recognized as having a greater impact on major education than o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about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university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 velop policies for linking high school educa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이 논문은 최근에 도입된 고등학교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가 대학 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와 선도학교 29개교에 재직 중인 교사 6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사들은 문·이과 통합 교육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3.90점 수준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해서는 3.86점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이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두 제도의 정착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거나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교사가 문·이과 통합의 경우 64.9%, 고교학점제의 경우 7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육성과와 대학 교육과의 연계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교사들은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그것을 고려하여 교육 활동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 가 대학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는 다수의 교사가 긍정적으로 응답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과정 개혁에서 두 가지 제도가 가져올 영향력에 유의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대학의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또한 우리나라에서 그 동안 학문적 관심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던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 문제가 갖는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과 대학입학사정관전형의 연계 방안 탐색 : 교사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조영하,임호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2

        All types of high school activities should be educationally meaningful. Therefore, what students experience from participating in high 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regarded as a critical factor to evaluate their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delved into the way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meaningful and creative extracurricular activities from high school-university articulation as emphasized by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ssue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articulate high school’s extracurricular activities with university admissions systems using teacher’s viewpoints. Methodologically, the authors visited eight exemplary high schools and interviewed twenty teachers who have been in charge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he university application process. The eight high schools were, based on articulation efforts with universities, sampled from a high school profiling database.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teachers prioritized high school-university articulation that makes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utcom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more meaningful and successful in transition to university. For effective high school-university articulation, a fair and unbiased evaluation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and staffed by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s. High school students will then understand how their learning and experiences both in and out of school settings are important for their intellectual and emotional growth. 아직까지는 소수 대학의 사례이나, 2012학년도 대학입학전형에서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 활동이 입학사정관전형요소로서 반영되었다. 이 같은 움직임은 고등학생들이 대학입시 위주 의 학교생활에서 벗어나 보다 유의미한 경험학습을 추구하려면 이들이 학교에서 수행하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대학교육과 긴밀히 연계되어야 한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는 고교-대학의 연계의 관점에서 고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대학입학사정관전형이 효과적으로 연계되려면 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고민하여야 하는지를 일선 학교 교사들의 의견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서, 연구자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대학 입학사정관전형과 관련하여 일선 고등학교 8곳을 방문하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선 학교의 교사들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성패를 대학과의 연계성, 특히 대학입학사정관전형과의 연계에 달려 있다고 보았고, 아울러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대학의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시스템의 구축이 중요하고 보았다. 이와 같은 인식과 의견을 토대로, 이 연구는 고교-대학 연계 차원에서 고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대학입학사정관전형 간의 효과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대학이 1) 창의적 체험활동의 성과를 반영하는 대학입학전형의 개발; 2)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틀과 기준의 확립; 3) 인적⋅물적 자원의 공유; 4) 전공 및 진로지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진로교육 차원에서 고등학생의 전공적합성 탐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고등학교 가정교과-생활과학대학 전공 연계를 중심으로

        전소현,김서현,고영신,정수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2

        In the modern society, the adolescence needs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hich makes them probe changing social phenomenon critically and use the given environment and resources progressively. Thus, adolescence should be offered with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education, but the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s remains as school entrance coaching focusing on the academic clique and career coaching as a mere job education. As a result, the study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was destroyed and it caused students' study-unfitness and dropouts after the university entrance. Hence, career education to culture major sui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new paradigm should be developed through high school-university connection. So, this study developed a career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collaboration among the professor of college of human ecology, a home economics specialist, undergraduates majoring in human ecology, and a high school student, using the ADDIE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First, this study searched for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for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reinforc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program arranged the newest issues of each department of human ecology to make high school students come in contact with and study them easily, aiming at cultivation of major sui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study establishe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is managed by the high school-college of human ecology committee. Fourth, this program will be the good opportunity for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departments of human ecology to check their major suitability.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은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주어진 환경과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진로개발역량 교육을 제공해야 하지만, 학교현장의 교육은 학벌에 치중한 진학지도와 직업교육에 불과한 진로지도에 머물러 있다. 그 결과, 고등학교와 대학 간의 학습 연속성이 단절되었고 대학 입학 후 학생들의 학업부적응과 중도탈락을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고등학교-대학의 연계를 통해 고등학생의 전공적합성 함양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진로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과학대학 교수, 가정과 전문가, 생활과학 전공 대학생, 고교생의 협력으로 고등학교 가정교과와 생활과학대학이 연계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은 생활과학 분야의 각 학문 영역별 최신이슈를 고등학생이 쉽게 접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고등학생의 전공적합성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셋째, 고등학교-생활과학대학 협력체가 운영주체인 본 진행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구성하였다. 넷째, 본 프로그램은 생활과학분야 전공에 흥미가 있는 학생들이 전공적합성을 확인할 기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