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적 경험이 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 창의적 특성을 매개로

        이은일(Eun-Il Lee),고정훈(Jeong-Hun Ko)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적 경험이 노인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개인 창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노인 144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 기술통계,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적 경험과 노인생활만족도, 개인 창의적 특성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둘째, 문화예술적 경험 하위요인 창작경험과 감상경험은 노인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작경험과 감상경험은 매개변인인 개인 창의적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개인 창의적 특성은 문화예술적 경험과 노인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문화예술적 경험과 개인 창의적 특성은 노인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개인 창의적 특성은 문화예술적 경험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개인 창의적 특성이 문화예술적 경험을 통해 증진될 경우 노인생활만족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e traits. The outcome of the study on 144 elderly people using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individual creative traits. Second, experiences in creation and appreciation, subfactor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Third, creation and appreci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ve traits of individuals. Fourth, individual creative trait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elderly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individual creative traits have positive effect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and individual creative traits can be enhanced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enhancement of creative traits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has a positive effect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융복합 온라인 교양수업의 학습경험 및 만족도 분석-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안화실,이경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 융복합 온라인 교양필수과목 학습자의 경험 및 만족도 수준을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온라인 융복합 교양과목 수강생 89명이 웹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하였고, SPS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 차이 분석은 t-test, 전공별 차이 분석은 ANOVA를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성별과 전공에 따른 학습경험 및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학습경험 하위요인인 강의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자기주도성, 편리성, 학습성취감이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탐색하였다.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 융복합 온라인 교양필수과목 학습자의 경험 및 만족도 수준을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온라인 융복합 교양과목 수강생 89명이 웹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하였고, SPS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 차이 분석은 t-test, 전공별 차이 분석은 ANOVA를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경험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성별과 전공에 따른 학습경험 및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학습경험 하위요인인 강의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자기주도성, 편리성, 학습성취감이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탐색하였다. 결론 및 제언: 성별과 전공별 학습경험 및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러닝 편리성과 학습성취감이 만족도 예측 변인으로 유의하였다. 학습성과로써 온라인 필수교양수업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 학습환경 및 학습자 개인의 정서적・동기적 요소를 고려한 원격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제안하였다.결론 및 제언: 성별과 전공별 학습경험 및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러닝 편리성과 학습성취감이 만족도 예측 변인으로 유의하였다. 학습성과로써 온라인 필수교양수업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 학습환경 및 학습자 개인의 정서적・동기적 요소를 고려한 원격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제안하였다.

      • 누적적 불이익에 따른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소원,진민희,노엽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5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누적적 불이익에 따른 아동기 결핍 경험과 성인기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성인기의 사회경제적 지위,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에 누적적 불이익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성인기 정신건강 문제를 위한 개입전략을 수립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필요성: 성인기의 우울은 가장 심각한 정신질환의 하나로써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은 불안장애, 심장병과 같은 신체적 및 정신적 질환 유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심각한 우울은 자살문제 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성인기 우울은 공공 건강을 위한 중요한 부분임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들어 아동기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결핍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뿐만 아니라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이후의 소득, 교육수준, 생활만족도에까지 영향을 미침으로써 성인기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동기 결핍 경험으로 인해 성인기의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을 종단으로 분석한 국내 선행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누적적 불이익 이론에 따라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와 14차년도 자료를 결합한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복지패널 1차자료(2006년)에서 아동기 0~17세 시기에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신 경험, 경제적 이유로 친척집에서 성장 경험, 생계가 곤란하여 학업 중단 경험, 부모님 이혼 경험, 아동기의 경제적 생활상태 등의 아동기 결핍 경험을 겪은 사람으로써, 14차자료(2019년)에서 성인기 정신건강 문항에 응답한 성인 2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척도의 신뢰도 분석과 변수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기 결핍 경험이 성인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성인기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eacher & Hayes(2008)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고, 신뢰 구간 95%로설정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결과 :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0724(.0086∼.1491)로 신뢰구간 95%에서 ‘0’ 이 존재하지 않아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의 우울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아동기 결핍경험이 성인기 우울로 가는 경로의 총 효과는 .1789(p>.05)이며, 매개변인인 교육수준, 소득, 생활만족도를 투입한 직접효과는 .0203(p>.05)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전체 간접효과에서는 .1585(.0617~.2612)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교육수준, 소득, 생활만족도가 각각 매개하는지 분석해본 결과, 간접효과는 .0461(.0211∼.0807)로 나타났으며 95% 신뢰구간에서 ‘0’이 존재하지 않아 아동기 결핍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소득과 생활만족도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주요 분석결과를 토대로 실천현장의 함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만족도가 아동기 결핍 경험과 성인기 우울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다는 결과는 생활만족도가 아동기 결핍 경험으로 인한 결과이며 성인기 정신질환의 하나인 우울 수준을 높이는 원인이기도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인기의 생활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중요할 뿐 아니라 성인기에 경험하는 실업, 사회적 고립, 건강, 가족관계 변화 등의 문제에 극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가 시급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 영역 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기관들이 포괄적 케어와 관리가 지속될 수 있도록 상호 유기적인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기 결핍 경험과 성인기 우울의 관계에서 성인기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간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아동기 결핍 경험이 있는 경우 아동기의 충분한 교육환경 지원 뿐 아니라 발달상의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게 되면서 성인기의 낮은 소득과 연결되고 낮은 소득으로 활동의 제약을 경험하면서 생활만족도 수준을 낮추게 되어 우울로 이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동기 결핍경험이 성인기의 소득과 생활만족도를 통해 우울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통해, 한부모 가정, 조손가정, 이혼가정, 빈곤가정의 아동들에게 결핍된 요소를 찾아 지역사회 기관과 협력 및 필요한 자원들을 충족시켜주어 결핍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아동기 시기에 결핍의 불평등을 줄이는 방안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학령기 시기의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 상담센터,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심리적, 정신적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아동 개인별 맞춤형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성인기 우울은 소득 수준과 더불어 생활만족도의 부정적인 영향에 의해 의거하는 것으로 확인된 결과는, 성인기 우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단순히 소득빈곤에만 국한되지 않고, 소득보장정책과 함께 생활상의 결핍된 요소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성인기 생활상의 결핍 요소를 위한 대책 마련으로 일-가정 양립할 수 있는 문화 조성, 양성평등의 기회 제공 등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 진로교육경험과 진로개발 핵심역량

        진미석,이강주,이상아,김하령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직업세계의 변화와 더불어 복합적인 진로개발과제를 안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서 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은 학생들에게 전공교육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탐색하고 준비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경험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는 21개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ogram for Industrial needs-Matched Education 참여 대학: PRIME, 이하 프라임 대학) 대상으로 2,906명의 소속 대학생들이 학교로부터 제공받는 진로교육경험을 분석하고 진로교육경험에 따라 진로개발을 위한 기초역량, 즉 진로개발 핵심역량이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진로개발핵심역량으로 진로개발준비도, 대학생핵심역량, 기업가정신 등을 살펴보았다. 진로교육경험은 12개의 대표적인 진로교육활동으로 구성하고 양적인 경험과 질적인 만족도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진로경험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주도 비교과중심 유형과 학교주도 진로교과목 중심 유형으로 나누어짐을 볼 수 있었다. 진로교육경험 분석결과 21개 대학 공히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비교과중심 교육보다 학교주도 진로교과목중심의 진로 교육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개 대학 별로 학생들의 진로교육경험의 정도는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진로교육경험을 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진로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3점(4점 만점)의 만족도에 근접하고 있어, 학생들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도 학교간의 편차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험도와 만족도의 두 가지 영역 모두에서 평균을 하회하는 학교가 있는가하면, 두 영역에서 평균을 현저하게 상회하는 학교가 있었고, 경험은 상대적으로 풍부하나 질적으로 만족도는 낮은 학교도 있었다. 진로교육경험도와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진로개발준비도, 기업가정신, 대학생 핵심역량(K-CESA)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별, 학년, 학교, 계열을 통제하고 회귀분석한 결과 진로교육경험도 특히 진로교과교육경험과 진로개발역량과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 진로교육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관계활용효능감, 의사결정효능감, 기업가 역량, 태도, 의지,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의사소통역량, 자원정보활용역량, 글로벌 역량 등 K-CESA의 인지적 역량으로 자가진단이 아닌 수행형 진단도구로 측정된 역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진로교육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진로교육경험에 비해서는 그 관계가 뚜렷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정책당국이나 대학기관에서는 학생들의 진로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진로개발활동 경험을 양적으로 확충하고 질적으로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진로교육경험의 유형과 분류기준은 진로교육의 실태와 성과를 분석하고 대학과 정부의 학생진로개발정책과 전략을 이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에서 진로교육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대경험과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병금,노필순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adolescent`s abuse experience an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it tries to defin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460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self-administering questionnaires on abus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tudy results were ; First, adolescents` abus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the type of family. Second, adolescents who experienced abuse and school violence were more prone to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rates than adolescent groups who did not experience abuse and school violence. Thir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at career identity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adolescent`s abused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extended to the implication of an intervention that prevents adolescent`s abused experience and school violence promotes healthy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변수 중에서 학대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그리고 진로정체감에 관심을 가지며, 진로정체감이 학대경험과 학교폭력피해경험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써 통계적 의미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청주시의 7개 학교를 선정하여 중학교 2학년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첫째, 성에 따라 학교폭력피해경험과 삶의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구조에 따라 학대경험과 진로정체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교폭력피해경험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학대경험에서는 진로정체감과 삶의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가정 내 학대경험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경험과 학대경험 모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진로정체감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가정의 중요성을 입증해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폭력피해 예방 및 개입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유용한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초기 성인기 생활만족도의 관계 : 용서, 침습적 반추 및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태용(Ahn, Taeyong),강선모(Kang, Sun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기를 대상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용서, 침습적 반추 및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만 19~24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3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학교폭력 피해경험, 용서, 침습적 반추, 사회불안 및 생활만족도 변인으로 이루어진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회불안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알아본 후, 학교폭력 피해경험에서 사회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여러 개별 경로의 단독 매개효과와 순차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모든 연구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불안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용서와 침습적 반추를 매개로 사회불안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용서, 침습적 반추 및 사회불안을 매개로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개별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용서의 단독 매개효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단독 매개효과, 용서와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의 단독 매개효과, 용서와 침습적 반추의 순차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는 용서의 단독 매개효과, 침습적 반추의 단독 매개효과, 용서와 침습적 반추의 순차 매개효과, 침습적 반추와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 및 용서, 침습적 반추, 사회불안의 순차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서는 용서 수준의 증진을 통해 침습적 반추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주며, 학교폭력 피해경험에서 사회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다양한 경로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ulthood, focusing 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Methods To this end, we collected 533 data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men and women aged 19-24 across the countr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mposed of factors such as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the indirect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Then, the single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veral individual pathways from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o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the study variables.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is,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ocial anxiety through forgiveness and intrusive ruminat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life satisfaction through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pathways,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ocial anxiety,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and social anxie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and intrusive ruminat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ocial anxiety. Moreover, betwe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and intrusive ruminati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rgiveness, intrusiv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reduce social anxiety by reducing the level of intrusive rumination by enhancing the forgiveness level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Moreover, it shows the need for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various pathways from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o social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전시회의 서비스품질, 경험가치, 만족도, 재방문의도간 영향관계

        김현지 한국무역전시학회 2016 무역전시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회의 서비스 품질에 NFC에 대한 조직지원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 경험가치 만족도 그리고 재방문의도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NFC 서비스를 실시하는 전시회의 조직적 지원을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과 경험가치, 만족도, 재방문 의도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전시회 참관객의 참가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실무적으로도 IT기술을 접목한 전시회관람의 가치를 높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전시회 서비스 품질, 경험가치 그리고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과 가설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과 경험가치, 만족도 그리고 재방문의사간의 영향관계를 고찰한 결과, 서비스 품질은 경험가치에, 경험가치는 만족도에, 만족도는 재방문의사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첫째, 질적 수준은 모든 경험가치(심미적 경험가치, 유희적 경험가치, 경제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중요한 서비스 품질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인적서비스, 질적 수준, 대응적 품질은 유희적 경험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질적 수준과 NFC 조직지원은 경제적 경험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험가치는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섯째,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quality, experiential valu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visitors who visited 2014 Busan Biennale and used NFC service in Exhibition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site at the Busan Museum of Art. Of the 5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418 usable data were used in this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adopted by using SPSS 22.0 and AMOS 22.0.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xperiential values, experiential value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Second, quality level in service quality had positive effect on all of experiential values(aesthetic value, playful value, economical value). Third, NFC organization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al value. As a summary, continuous quality level’s improvement plan must be concerned because quality level is most important value in this model, and various NFC organization support have to be considered.

      • KCI등재

        직원경험 요인 파악 및 직무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력 분석

        이주현,이소현,김희웅 한국경영정보학회 2023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5 No.2

        기존에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기업들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직원들의 직무 만족도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많은 기업의 관리자들은 직원들의 일상적인 경험과 고충을 파악하여 직무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해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직원 경험에 대한 충분한 이해의 부족으로 관리자들의 투자는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직장인 커뮤니티인 글래스도어의 직원 리뷰와 기업 평점을 활용하여 직원 경험의 세부 요인들과 직무 만족도 간 관계를 조사한다. 이때 K-평균 군집화, Sentiment LDA Topic Modeling 등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직급에 따른 주요 경험을 추출하고, DistilBERT 감성 분석을 통해 각 직원경험 요인의 감성점수를 측정한다. 이후 도출된 직원 경험 요인과 감성 점수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각 직원 경험 요인과 직무 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그 결과, 조직 관리자와 일반 직원의 직장 내 경험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고객관계, 자율성 등은 관리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등,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원경험 역시 직급 간 상이했다. 본 연구는 직업적응이론을 기반으로 텍스트 마이닝과 계량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직원경험의 주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관련 연구분야의 문헌을 확장한다. 더불어, 본 연구결과는 직원들의 직무 만족도 개선을 위한 인사관리 전략에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생산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fierce competition of companies for the attraction of outstanding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has been of importance. In this circumstance, many companies try to invest in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by finding employees’ everyday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However,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employee experience, their investments are not paying off.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using employee reviews and company ratings from Glassdoor, one of the largest employee communities worldwide. We use text mining techniques such as K-means clustering and LDA topic-based sentiment analysis to extract key experience factors by job level, and DistilBERT sentiment analysis to measure the sentiment score of each employee experience factor. The drawn employee experience factors and each sentiment scor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thereby relations between each employee experience factor and job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orkplace experiences of managers and general employees. In addition, employee experienc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also differed between positions, such as customer relationship and autonomy, which did not affect the satisfaction of managers. This study used text mining and quantitative modeling method based on theory of work adjustment so as to find and verify main factors of employee experience, and thus expanded research literatur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cable to the personnel management strategy for improving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are expected to improve corporate productivity ultimately.

      • KCI등재

        국민취업지원제도 일경험 프로그램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장하연,이영민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2 평생교육 · HRD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ting institutions(company)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ticipation in the work experience program of the Korean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and furthermor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 program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difference analysis such a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was conducted. In addition,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job experience program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situational satisfaction, input satisfaction, proces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demographic factors, males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females, and all satisfaction decreased for those who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or higher. In additon, for individual competency factors, the longer the period after graduation, the lower the satisfaction. As for the work experience factor, when the corporate type was a public institution,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a private corporation, and when the task assignment method was made according to one's wishes, the satisfaction increased. Furthermore, when the treatment of work-experienced participants was regular workers,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temporary workers, and when the tasks performed were simple repetitive tasks or varied daily, satisfaction decreased.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improve the satisfaction in work experience program of the Korean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취업지원제도 일경험 프로그램의 참여유형에 따라 참여자 및 참여기관(기업) 특성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일경험 프로그램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참여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과 같은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CIPP 평가모형에 기초하여 국민취업지원제도 일경험 프로그램 만족도를 상황 만족도, 투입 만족도, 과정 만족도, 성과 만족도로 구분하였으며, 만족도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남성이 여성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으며, 4년제 대학 졸업 이상인 경우 모든 만족도가 감소하였다. 이어, 개인 역량 요인으로는 졸업 이후 소요기간이 길수록 만족도가 감소하였으나, 가장 최근 실업기간이 길수록, 취업역량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일경험 요인으로는 기업형태가 공공기관인 경우 민간기업인 경우에 비해 만족도가 높였으며, 업무배정방식이 본인 희망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더불어, 일경험 참여자의 대우가 정규직인 경우 임시직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으며, 수행업무가 단순 반복 업무이거나 매일 달라지는 경우 만족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취업지원제도 일경험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호관찰실무자의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수연,김병배 한국보호관찰학회 2024 보호관찰 Vol.24 No.1

        최근 변화하는 보호관찰 현장의 특성 중 하나는 보호관찰관이 업무처리 과정 중 폭력피해에 노출되는 빈도가 증가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에서는 보호관찰관의 폭력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 서 본 연구는 보호관찰관의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폭력피해경험의 영향을 검증함에 있어서는 폭력피해경험을 전체폭력 피해경험과 하위유형별 폭력피해경험으 로 구분하여, 폭력피해경험의 다양성을 반영하려 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청, 전라, 경상 등의 보호관찰소에서 근무 중인 6급 이하 보호관찰관 총 208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핵심가설인 폭력피해경험과 직무만족도간에는 부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보호관찰 관의 전체폭력 피해경험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피해의 하위요인 중에는 간접언어 폭력피해경험만이 직무만족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둘째,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인 폭력피해경험과 직무만족도간 관계에 있어서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존재하였다. 먼저, 전체폭력 피해경험 과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폭력피해의 하위유형별로 스트레스 대처형태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직접신체 폭력피해경험과 문제중심 대처 간, 간접신체 폭력피해경험과 문제중심 대 처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호 관찰관의 폭력피해를 예방하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보완책을 제안하였다. One of the emerging characteristics of the evolving probation field is that probation officers are increasingly exposed to violence victimization during their work processes. Despite this,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probation officers regarding violence victimizat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probation officers'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job satisfaction and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convenience sampl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8 probation officers, grade 6 or lower, working in probation offices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reg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supported.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mong probation officers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job satisfaction. Notably, among the sub-factors of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of indirect verbal violence significantly decreased job satisfaction. Second, the study's second hypothesis, which proposed a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partially supported. Analyzing the interaction between subtypes of violence victimiza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found between experiences of direct physical viole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as well as between experiences of indirect physical viole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o prevent violence victimization against probation officers and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