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성과 정신 장애의 관계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

        박성현,박수지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mental disorders. In the development perspective, the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narcissism was verifi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effect would vary depending on the age(under 40's and over 40's). The total of 671 participants,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volunteered for the research, whose age ranging from 20s to 60s and who live both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the province. Sub-factors(Transcendence, Connectivity) of Integral Spirituality Scale(ISS) was used to measure spirituality, the Korean General Health Questionnaire(KGQ) was used for mental disorders. Korean Inventory of self Psychology(KISP) was used for narcissism. The results turn out that, first of all, spirituality and mental disorders show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level of healthy narcissism. For people at the high levels of healthy narcissism, high spirituality is associated with the lower degree of mental disorder. On the other hand, for people at the low levels of healthy narcissism, high spiritual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degree of mental disorder. The same results were turned out for the entire age, for less than 40 and over 40. Thus, healthy narcissism has been found to moderate the influence of the spirituality upon mental disorders. Secondly,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narcissism in relation to spirituality and mental disorders show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their age. In the more than 40 years specimen, for the people at the high levels of defensive narcissism, high spiritual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degree of mental disorder and for the people at the low levels of defensive narcissism, high spirituality was associated with lower degree of mental disorder. On the other hand, in less than 40 years old specimen, moderating effect of defensive narcissism i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irituality can not be simply said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What suggestions for the important role in the influence of the spirituality for mental health is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personality as the center of personal experience and of independency in accepting spirituality. 본 연구는 영성과 정신장애의 관계에서 자기애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발달적 관점에서 방어적 자기애의 조절효과가 연령에 따라(40대 미만과 40대 이상) 다를 것이라는 가설 하에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및 지방에 거주하는 20대~60대 이상의 일반인 및 대학생, 대학원생 등 총 671명이었다. 영성을 측정하기위해 통합적 영성 척도(Integral Spirituality Scale: ISS)의 하위요인(초월성, 연결성)을 사용하였고, 정신장애 측정 도구로는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the Korean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KGQ)를 사용하였다. 자기애의 측정 도구는 한국판 자기애 측정도구(Korean Inventory of Self Psychology: KISP)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성과 정신장애는 건강한 자기애의 수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건강한 자기애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높은 영성은 낮은 정신장애와 관련되었다. 반면 건강한 자기애의 수준이 낮은 경우, 높은 영성은 높은 정신장애와 관련되었다. 이는 연령 전체와 40대 미만, 40대 이상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건강한 자기애가 영성이 정신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영성과 정신장애의 관계에서 방어적 자기애의 조절효과는 연령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40대 이상 표본에서 방어적 자기애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높은 영성은 높은 정신장애와 관련되었고, 방어적 자기애의 수준이 낮은 경우 높은 영성은 낮은 정신장애와 관련되었다. 그러나 40대 미만 표본의 경우 방어적 자기애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영성이 단순히 정신건강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기여를 한다고 말할 수 없으며, 이를 받아들이는 개인경험과 주도성의 중심으로서 성격의 특정한 구조가 영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범대학 학생들의 자기애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김복미,이종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사범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애 수준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자기애의 각 요인이 어느 정도 대학생활 적응을 설명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청 소재지에 소재한 2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사범대학 학생 93명(국립 65명, 사립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범대학 학생들의 자기애 수준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자기애가 높고 방어적 자기애가 낮은 수준인 건강 집단이 건강한 자기애와 방어적 자기애가 모두 높은 수준인 혼재 집단, 건강한 자기애와 방어적 자기애가 모두 낮은 수준인 비자기 집단, 건강한 자기애가 낮고 방어적 자기애가 높은 수준인 방어 집단보다 대학생활 적응을 유의미한 수준(F=22.72, p=.000)에서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애의 여러 차원의 특성들 중 건강한 과대자기 영역(34%)이 사범대학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방어적 이상화된 부모원상, 건강한 이상화된 부모원상 영역이 대학생활 적응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곽인희(Inhee Kwak),조용주(Y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각 변인들이 어떤 경로를 거쳐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533명(남 233명, 여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5와 MPLUS 8.6(Muthén & Muthén, 1998-2014)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건강한 자기애, 공감지각, 자기위로능력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의 단일매개효과는 없었으나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건강한 자기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Kohut의 자기심리학 관점에서 볼 때,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 및 자기위로능력이 과정 변인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기 위해 교육현장, 직장, 상담 등 다양한 장면에서 자기 및 자기대상에게 개입해야 할 방향과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that was explored, and which paths each variable formed healthy narcissism through.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to 39 across the country, and data of a total from 533 people (233 men and 300 women)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and MPLUS 8.6 (Muthén & Mutén, 1998-2014)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mpathy, healthy narcissism,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 narcissism. Four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found insignificant, however,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elf-object experience through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on healthy narcissism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play the role of procedur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refore, in order to form healthy narcissism, the direction to intervene in various scenes such as education site, workplace, and counseling, and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were confirmed.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자기애 간의 관계

        최서현(Seohyun Choi),최수미(Sumi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자기애가 개인의 병리적인 특성으로 보고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자기애 연구들은 자기애가 개인의 성격적인 특성이며 자기애 안의 적응적인 면과 부적응적인 면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설명하고 있는 자기애 형성에 중요한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어떻게 적응적인 건강한 자기애 혹은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가 나타나는지의 과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상지역의 565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8.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간의 관계는 공감지각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한 자기애를 위해서는 자기 존재를 인식하는데 중요한 자기대상의 존재와 공감적인 환경 그리고 스스로 그 환경을 지지적으로 지각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방어적 자기애 간의 관계는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한 자기대상경험은 수치심이 내면화됨으로써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적절감이 결국 대학생의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를 형성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perception an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object experience and narcissism(healthy narcissism and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 total of 565 university students was includ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composed of 226 of male and 339 of female.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nd all analyses were comple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20.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partially mediated by empathy percep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perfectly mediated by shame. These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basically need to have selfobject experiences much for narcissism. Furthermore it shows empathy perception is an important construct for the healthy narcissism and shame is much for the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that, implication and potential for follow-up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 여자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길귀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적 원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자대학생 115명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들이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요인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의 표집하여 건강증진 생활양식 척도, 자기애적 성격검사 척도, 다차원적 섭식태도 검사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질문지로 응답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129.5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으로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스트레스 관리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자기애적 성격성향, 다이어트 행위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는 여자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행위의 고려를 반영하는 복지서비스 투입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여자 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으로 제안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lationship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dietary behavior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115 female college students. The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and dietary behavior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ffective helping management in clinical social work. Using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nd multidimensional dietetic attitude inventory, subjects were self-reported with questionnaire by convenient sampling. Analyses of data were done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item scor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ubjects was high at 129.51.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stress management, and the lowest degree of self actualization. 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ed by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dietary behavior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Third,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and dietary behavior were the factors predi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 female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social work are suggested by input of social services reflecting promotions of health considering with the factors which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dietary behavior.

      • KCI등재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역전이 관리와 역전이 행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소영,한미선,황숙양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unselor's narcissism on counseling sessions in relation to countertransference. Counselors (N=120) completed the ISP, Inventory of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and 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unselor's healthy narcissism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lf integration and the ability to manage anxiety as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and was negatively related with disinterest/ expulsion of countertransference behaviors. Second, the counselor's defensive narcissism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elf integration and the ability to manage anxiety as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was positively related with disinterest/expulsion, control/admonition of countertransference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과 역전이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자 120명을 대상으로 자기애 성격검사, 역전이 관리능력 질문지, 역전이 행동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담자의 건강한 자기애 측면은 역전이 관리능력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자기통합과 불안관리와 의미 있는 상관을 나타냈다. 역전이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무관심/배척 요인과 의미 있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담자의 방어적 자기애 측면은 역전이 관리능력 중 자기통합과 불안관리 요인과 의미 있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역전이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무관심/배척, 통제/훈계 요인과 의미 있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과 역전이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상담자의 자기애적 특성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실제 상담 과정에서 어떤 양상으로 드러나는지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 및 자기애가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주 ( Kim Jung Ju ),김성원 ( Kim Seong Won ),김병만 ( Kim Byung Ma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고찰과 함께 이들 변인의 특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0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신건강, 자기애 및 창의·인성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신건강, 자기애 및 창의·인성 총점 및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신건강 및 자기애가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은 창의·인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의사소통방식, 목표지향성, 자기의식적 자기애, 타인의식적 자기애, 긍정적 사고의 하위요인들이 창의·인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창의·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식과 관계를 중심으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tial variables for the creativity/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etail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what variables would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reativity/personality. And it``s also meant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influential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randomly selec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in college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warenes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variables affecting creativity/personality, they got a mean of 4.29 in creativity/personality, and a mean of 3.67 in ego-resilience. They got a mean of 3.70 in mental health and got a mean of 2.95 in narcissism. Seco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variables that had an impact on the creativity/personalit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anged from -.05 to .61. Third, when the relative explainability of the variables that exercised an influence on the creativity/personalit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nalyzed, ego-resilience and mental health had a 41% explainability about the two. Specifically, ego-resilience had a 36% explainability, and the explainability of this variable rose to 41 percent, which was a 5% increase, when mental health was added.

      • KCI등재

        대학생 집단의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의 차이: 온라인 익명성, 자기애, 정신건강 및 대학생활 변인들을 중심으로

        김정화,이영호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0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의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 838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인터넷 중독, 온라인 익명성, 외현적 자기애(NPDS), 내현적 자기애(CNS), 우울(CES-D), 불안(STAI) 및 대학생활적응(SACQ) 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 모두 온라인 익명성,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우울 및 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대학생활적응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부분의 변인에서 인터넷 중독 집단이 SNS 중독경향성 집단보다 점수가 더 높았는데, 이는 정신건강 및 적응적인 측면에서 인터넷 중독 집단이 상대적으로 더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각 변인들이 두 가지 중독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본 결과, SNS 중독경향성은 불안이 가장 잘 설명하고 그 다음 외현적 자기애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은 내현적 자기애의 설명량이 가장 크고 온라인 익명성, 외현적 자기애가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SNS addiction proneness group and Internet addiction group in college students. For the purpose, a total of 838 college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scales of the SNS and Internet addiction, the Anonymity in online, the Overt and the Covert Narcissism,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and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nternet addi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anonymity in online, overt narcissism,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and anxiety,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adjustment to college life. Second, because Internet addiction group scored higher than SNS addiction proneness group in variables,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was more vulnerable in aspects of mental health and adaptation to reality than SNS addiction proneness group. Third, in result of exploratory analysis, anxiety and overt narcissism was to significantly explained SNS addiction proneness group. By the way, covert narcissism was the most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and second, anonymity in online; and, third, overt narcissism.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애 측정도구(KISP) 구조모형 검증: 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적 접근

        윤정혜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1

        본 연구는 자기심리학적 접근의 자기애 측정도구 한국어판(Korean Inventory of Self Psychology, 이하 KISP)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한 구조모형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ISP(1989)는 Slyter가 Kohut의 자기애 이중 축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자기애 측정도구이다. 예비조사에서는 번역과 역번역을 하고 내용타당도를 확인한 후, 예비조사(n=891)와 본 조사(n=604)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여 4개 요인-HGS, DGS, HIPI, DIPI-이 확인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4개의 경쟁 모형들을 제시하고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중에서 모형3에 해당하는 4요인의 3차원 위계모형이 이를 가장 적합하게 설명해 주는 측정모형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Slyter(1989)의 연구를 더욱 확증해 주었다. KISP의 요인구조는 자기애의 하위차원으로 과대자기 축과 이상화된 부모원상 축이 있으며 과대자기 축의 하위차원으로 건강한 측면과 방어적 측면이 있고 이상화된 부모원상 축의 하위차원으로 건강한 측면과 방어적 측면이 있다는 내용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KISP가 상담과 임상에서 시사하는 바와 연구의 제한점,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iability and structural model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ventory of Self Psychology(KISP). Two samples of university undergraduates and graduates(n=891, n=604))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n=891)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n=604), 61 items were selected. Four factors were identified:, the healthy grandiose self(HGS), the defensive grandiose self(DGS), the healthy idealized parent imago(HIPI), and the defensive idealized parent imago(DIPI). Thus, after the structral model was examined, KISP was identified as a four factor, three dimensional hierarchical model. This study supported and added to Slyter(1989).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의 자기애에 따른 홈케어 뷰티디바이스 이용 태도

        강신옥,김문주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5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on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Homecare beauty devices in correlation to narcissism of women between ages 30-59.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563 survey questions, data displayed that respondents'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economic status, and career statu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implicit narcissism, while explicit narcissism only showed a correlation with age and career status. The most popular skincare location was shown to be 'self-provided at home', and the most popular item purchased being 'galvanic devices'. Secondly,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homecare beauty devices in correlation towards implicit narcissistic respondents were only to the consideration of its use, while explicit narcissists display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purchase of a product and the recommendation of others. While this is the first study on attitudes towards homecare beauty devices in relation to a personality-based trait like narcissism and it displayed meaningful results, a more in-depth study in the future dealing with a larger region and respondent groups of a wider age and gender group should be undertaken. 30~59세 여성의 자기애에 따른 홈케어 뷰티디바이스 이용 태도 연구로 뷰티디바이스 산업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설문 563부 통계 결과 첫째, 대상자의 연령, 학력, 결혼상태, 생활수준, 직업은 내현적 자기애 차이 유의성을, 외현적 자기애에서는 연령, 직업만 유의하였다. 피부 건강관리 장소는 ‘홈케어 자가 방법’이, 구매 경험 기기는 ‘갈바닉기기’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에 따른 홈케어 뷰티디바이스 이용 태도는 구매 경험만 유의하였고, 외현적 자기애에서는 구매 경험, 타인 추천 의향이 유의 결과를 보였다. 성격 특성인 자기애에 따른 홈케어 뷰티디바이스 이용태도에 관한 연구가 처음이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향후 연구는 광범위한 지역과 연령층 및 남성 대상의 폭 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