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학안 편술의 제안

        심경호(Sim, Kyung-ho)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1

        강화학파와 양명학과의 관계는 직접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강화학파 내부의 사유체계도 균질적(均質的)이거나 계수적(繼受的)이지 않다. 강화학파는 모색의 학파요, 부정의 학파였다. 강화학파는 조선후기 ‘구시구진(求是求眞)’의 한 학풍을 구성하면서, 지적 탐구에서 정통교학의 범위를 넘어서 방섭(傍涉)하고 학문의 외연을 확장(擴張)시켜 나갔다. 본고에서는 강화학파가 학문을 방섭(傍涉)하였던 예로 이광려(李匡呂) 및 이충익(李忠翊)의 『노자(老子)』연찬을 살펴보았다. 또한 강화학파가 지적 대상의 외연(外延)을 확장시켜 나간 예로 신작(申綽)의 한학(漢學)과 유희(柳僖)의 명물도수학(名物度數學)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위당의 『양명학연론』을 재독(再讀)하여, 위당이 조선 양명학파의 표징으로 ㉠허가(虛假)의 비판, ㉡실심(實心)의 환성(喚醒), ㉢측달(惻怛)의 감정인 ‘아틋’의 발로(發露)를 제시한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조선 양명학파의 중핵인 강화학파의 중요한 표징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와 함께 강화학파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가계와 인맥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축적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그 한 예로, 정동유(鄭東愈) 가계에 관한 기초 자료를 개괄하였으며, 이광려(李匡呂)와 이교년(李喬年)의 지적 논쟁에 관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앞으로 강화학파 지식인과 강화학파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 주변인물과의 교류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강화학안(江華學案)’을 편술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Ganghwa school was not directly connected to Yangming learning(陽明學) and thoughts of members were neither identical nor successional. It was a school of ceaseless seeking and denial. The intellectuals of Ganghwa school established a tradition of seeking right and truth(求是求眞) in late Joseon on the one hand, and extended the scope of knowledge to encompass various disciplines beyond the authentic learning on the other. This paper examines Lee Gwangryeo(李匡呂) and Lee Chungik’s(李忠翊) research on Laozi as the examples of the latter, and Sin Jak’s(申綽) research on Han learning(漢學) and Ryu Hui’s(柳僖) research on names, things, degrees and numbers(名物度數學) as the examples of the former. This paper also reads Yangmyonghak Yeonron(陽明學演論) by Jeong Inbo(鄭寅普) again to highlight Widang’s suggestion of (a) criticism on falsehood(虛假) (b) awakening of true mind(實心) (c) ‘Atut’(아틋) which is an expression of empathetic compassion(惻怛), as the symbols of Yangming school of Joseon. This paper also surveys the materials concerning the lineage of Jeong Dongyu(鄭東愈) as well as the intellectual debates between Lee Gwangro and Lee Gyonyeon(李喬年) to clarify that evidential research on the lineages and personal connections is requested to conduct a study on Ganghwa school. Lastly, this paper suggests to compile a history of Gangwha school(江華學案) by analyzing the intellectual interchange between the members of Ganghwa school and other intellectuals who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m.

      • KCI등재

        朝鮮朝江華學派陽明學之形成與展開

        이상훈 한국중국학회 2009 國際中國學硏究 Vol.0 No.12

        本文硏究江華學派陽明學之義理規模. 所謂江華學派或江華霞谷學派、 江華陽明學派, 指稱以江華島爲中心, 把霞谷之陽明學爲基礎而硏究和闡明學術思想之學派. 此學派之人脈, 大部分是從霞谷鄭齊斗的直系子孫或他門人來構成. 江華陽明學派從歷史、 書藝、 詩文等來表達眞生命之意味, 亦他們提携實學而要改社會的矛盾, 竝把良知的自覺來, 闡明民族的主體性. 因此江華學派之學問的成就, 就是陽明學中良知之自己實現. 他們拒否特定學派門戶中無批判的隸屬, 亦批判假學問與假義理; 追求‘專內實己’的眞學問. 江華之陽明學者大部分尊崇陽明學, 然而其中一部學者亦批判陽明學. 此表示江華陽明學者們保持多樣和獨特的學問見解. 若能把握到此學派主要人物之見解, 則我們容易了解江華學派陽明學全體之脈絡. 江華學派陽明學者之主要人物是, 大槪恒齋李匡臣, 圓嶠李匡師, 信齋李令翊, 椒園李忠翊, 宛丘申大羽, 石泉申綽, 蕉泉鄭文升, 寧齋李建昌等幾人屬於此範疇. 江華學派之陽明學可分爲三; 初期, 中期, 後期江華陽明學. 首先, 初期江華學派(李匡臣, 李匡師)之陽明學, 以霞谷之陽明學體悟爲基礎, 亦其上加實學的觀點而開陳自己的論理. 尤其是恒齋折衷王陽明與朱子兩人之學說來了解陽明學. 圓嶠根據霞谷之實心、 實理、 實學而體得陽明學之大義. 其次, 中期江華陽明學派(李令翊, 李忠翊, 申大羽)積極排擊朱子學之虛學與虛行、 虛名, 反而以實心來追求眞學問(實學)與眞行爲(實行). 他們雖然不足論理上的緻密性, 然都繼承霞谷之良知學(實理、 良知), 而自覺道德的主體, 亦將欲修養個人的內面世界而追求思相的自由. 最後, 後期江華學派(李建昌, 李建芳, 鄭寅普)之陽明學, 便是王陽明的心學爲基本, 而排斥虛學與虛行, 亦以此精神來要實現民族自尊之主體性. 由此可知, 江華學派之陽明學重視實心、 實行和實學, 而反對虛假之學與行, 他門亦重視脫離朱子學的敎條主義和政治上的黨派性, 而把實心之主體意識來要解決當面的朝鮮之現實課題.

      • KCI등재

        강화학의 실학적 특징을 통해 본 한국의 여성주체성

        김세서리아(Kim Se-seo-ri-a) 한국양명학회 2008 陽明學 Vol.0 No.20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주체성에 대한 논의가 근대화과정 안에서만 논의 될 수 있다는 일반화된 인식에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이는 전통 사상 안에서도 여성 주체 의식이 변변히 흐르고 있었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음을 주장과 연관되어 있다. 논문에서 이 같은 문제의식은 강화학파의 실학적 특징을 통해 논의되었다. 논문은 양명학이 기본적으로 양지의 자기실현을 통해 도덕적 주체성과 평등의 의미를 강조하는 경향을 지닌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특히 강화학파의 실학적 특징 즉 양지에 근거한 평등의식과 도덕적 주체의식, 실심(實心)에 기반한 실천적 의지와 민족 자존적 주체 의식이 한국여성주체 형성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고 인식한다. 물론 강화학파의 사상이 한말 여성의 주체 인식 변화에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하였다거나강화학파 사상가들이 한국의 여성주체 형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였다는 명백한 증거는 없다. 하지만 강화학파 사상의 양지체용설과 생리론을 근거로 한 정감적 주체, 실심을 기본으로 한 실천적 주체 그리고 한말 강화학파의 민족 담론을 둘러싼 저항적 주체에 관한 담론들이 평등성, 근대성, 저항성을 지니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도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철학 내에 근대여성주체의 자생적 형성 요인이 다분히 있었을 것이며, 특히 한말 한국이 처한 특수한 상황들 속에서 자체 발생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critically approaches the generalized recognition that argument about Korean women subjectivity can only be argument through modernizing process. This is related to the claim that the footprints of women subjective cognition is found even in traditional thoughts. In this paper, this topic is argued through This paper recognize that Kang-hwa study’s Shil-hak characteristics, which is equality based on Yang-ji, moral subjectivity, practical will based on Shil-shim, and subjectivity of nationalistic self-esteem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evidenc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women subjectivity. Of course, there is no clear evidence that Kang-hwa study’s thoughts act as an important reason for the change in women’s subjectivity at the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However, emotional subjectivity based on the theory of Liangzhi(良知) of Kang-bua study’s thoughts and the theory of Saeng-li(生理), practical subjectivity based on Shil-shim(實心) and resistant subjectivity encompassed by national discourse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made it possible for the formation of a different women subjectivity thar is different from the West during the modernizing process in Korea.

      • 강화 3.1운동의 원류와 성격

        장석흥(Chang Seokheu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7 No.1

        근대 격랑기에서 강화는 외세의 침략을 최전선에서 부딪치던 곳이었다. 병인양요 때 강화학파는 이시원 형제가 자결 순국하며 반외세적 의식을 극명하게 드러냈으나, 개항 이후 서구 문물을 수용하는 근대적 변용을 모색하기에 이른다. 1890년대 감리교·성공회 등이 전파되면서 강화는 신문명을 적극 수용하기에 이르렀다. 1907년 무렵 강화에는 40여 개의 감리교회와 신도수가 4천여 명에 달할 정도로 성장을 거듭했다. 1900년대 강화에는 본격적인 계몽운동과 의병 전쟁이 전개됐다. 강화의 계몽운동은 사립학교 설립을 통해 시작됐다. 강화의 교육운동은 이동휘가 세운 보창학교를 통해 본격화됐다. 보창학교는 강화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1908년 당시 지교가 21개교에 달했다. 이는 1890년대 이래 강화에 전파된 감리교회와 현지 주민들의 적극적 호응에 의해 가능했다. 1907년 강화 의병은 해산 군인 뿐 아니라 기독교 계통의 계몽운동 인사들도 참가하는 특징을 드러냈다. 이런 특성은 감리교 출신의 강화진위대 대대장인 이동휘의 영향을 받은바 컸다. 강화의 민족교육에 대한 열기는 1908년 강화학무회를 통해 잘 나타났다. 강화 전역을 56개 학구로 구획하는 의무교육을 추진했던 강화학무회의 의무교육시행은 상당히 구체적이고 실질적이었다. 중앙 정부나 지방 당국에서도 실시하지 못하던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나선 것이다. 강화 3·1운동은 다양한 특징을 드러내고 있었다. 만세 시위의 규모가 전국에서 손꼽을 정도로 대규모였다는 점, 만세 시위가 강화 전역에 걸쳐 40여 회 전개된 점, 또 보통학교 학생들이 만세 시위의 포문을 열었던 것이나, 만세 시위의 군중 대부분이 평민이었던 점, 만세 시위 과정에서 의병적 인사들과 계몽적 인사들이 합류해 갔던 점, 감리교와 성공회, 성공회와 천도교의 종교 계통에서 연합 시위를 추진했던 점, 천도교의 활동이 미미했던 점, 만세 시위의 과정에서 결사대가 결성된 점 등에서 강화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개항 이래 민족교육에 대한 열기가 높았던 강화의 민족의식은 3·1운동의 원동력을 이뤘다. Ganghwa was at the forefront of defending against invasion by foreign powers at the time of enlightenment. During the French campaign against Korea, the Lee brothers of the Ganghwa school committed suicide in despair over foreign invasion and they clearly showed the national spirit of resistance. However, the incident turned out to change themselves to accept Western civilization after the opening of their port. With the spread of the Methodist Church and the Anglican Church in Korean peninsula, Ganghwa actively adopted Western civilization in 1890s. By the period of 1907, there were approximately 40 some Methodist churches and 4000 congregation in Ganghwa. The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 war of righteous army took place in earnest In the 1900s, The enlightenment movement in Ganghwa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The education movement in Ganghwa began in earnest through the Bochang School, which was founded by Lee Dong-hwi. There were 21 branches of Bochang school throughout Ganghwa. It was made possible by the spread of the Methodist Church in Ganghwa and positive support from the locals. The righteous army in Ganghwa consisted not only of former soldiers but also of the Christians who mounted the enlightenment movement. This feature was largely influenced by Lee Dong-hwi, the general of the righteous army in Ganghwa, who was a Methodist. Ganghwahakmuhoi, the educational group in Ganghwa, divided into 56 school districts and translated mandatory education system into concrete action, which was not able to be even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March First Movement in Ganghwa had a various of features: one of the biggest mass demonstrations throughout the country, some 40 demonstrations all over Ganghwa, common people who were the leading force of the movements, the harmony between former soldiers and the enlightened people, the coalition of all religions, the minimal effect of Cheondogyo, and the formation of the militia in the process of the demonstrations. These awakening of national consciousness in Ganghwa after the opening of its port led to the driving forc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 KCI등재

        하곡학파의 지역적 전개와 사상사적 의미

        이남옥(李南沃)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0

        이 글은 18~19세기 하곡학의 계승과 지역적 확산에 대해서 검토하여 조선후기 사상 지형에서 하곡학파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곡학파는 하곡 정제두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한 일군의 학자를 말한다. 영일정씨 정제두 가계, 전주이씨 이경직 가문의 이광명 가계ㆍ이광사 가계ㆍ이광신 가계, 평산신씨 신대우 가계 등 하곡학파 주요 가계의 족보ㆍ가승ㆍ묘도문자ㆍ행장 등을 분석한 결과 18~19세기 하곡학파는 대체로 강화에서 경기와 충청 지역으로 전개되어 간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일정씨 정제두 가계는 강화와 통진을 주요 거점으로 하면서 천안 등지로 확산되어 갔고,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이광신 가계도 충주ㆍ은진ㆍ노성 등 충청 지역으로 확산되어 가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전주이씨 덕천군파 이경직 가문의 이광명 가계는 강화에 세거하였고, 평산신씨 신대우 가계는 광주 이거 후 세거하였다. 이 과정에서 강화ㆍ광주ㆍ진천은 하곡학파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되었다. 정제두의 묘와 거처를 비롯해 하곡학파 관련 유적이 있는 강화는 하곡학을 계승하는 공간이 되었고, 신작과 정약용의 학술교류가 이루어졌던 광주는 하곡학과 다산학이 접하는 공간이 되었다. 그리고 19세기 말 소론계 인물 다수가 교류한 진천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하곡학이 새롭게 부상하는 공간이 되었다. This article aimed to enhanc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Hagok school in the thought topograp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succession and regional spread of Hagokhak in Jose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Hagok School refers to scholars who succeeded Hagok Jeong Jedu’s scholarship and though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genealogy, family tree, inscriptions, and biography of major Hagok school families are as follow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ome of the Hagok School, represented by the Yi Gwangmyeong family, gathered around Ganghwa, and most of the families except for this spread to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s. In this process, Ganghwa, Gwangju, and Jincheon were used as major bases for the Hagok school. Ganghwa, where Hagok school-related ruins, including Jeong Jedu’s tomb and residence, were located, became a place to inherit Hagokhak; and Gwangju, where academic exchanges between Sin Jak and Jeong Yakyong were held, became a place where Hagokhak and Dasanhak me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incheon, where the Soron(小論) exchanged, became a place where Hagokhak newly emer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 KCI등재

        조선조 육왕학파의 학문과 학맥

        김길락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6 儒學硏究 Vol.14 No.-

        본고에서는 한국육왕학파의 학문과 학맥을 연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종래에 학계에서 언급조차 없었던 한국육왕학파의 학맥관계를 연구 정리해 보았다. 둘째,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사이의 시비 논쟁은 송명대 정주학파와 육왕학파사이에 전개되었던 시비논쟁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진 학술논변이다. 셋째, 17세기 예송논쟁은 심학의 발전현상이라 할 수 있어, 한국유학도 중국유학의 발전과정과 같이 성리학→ 심학 → 실학의 순서로 변천하였다. 한국육왕학파의 학문과 학맥 관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정리할 수 있다. 元祖(권근) 씨앗(발아기) → 기호유학의 형성기(고봉, 율곡) 뿌리내리다(착근기) → 만회, 탄옹, 명재 줄기(基幹) → 하곡, 강화학파 꽃피다(개화기) → 박은식 열매맺다(결실기)

      • KCI등재후보

        鄭寅普의 朝鮮陽明學派 硏究에 관한 一考察

        신현승(Shin Hyun-Se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3

        본고에서는 정인보의 『陽明學演論』을 주요한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의 朝鮮陽明學派 연구의 한 특징을 포함한 제 사항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1972년 三星文化財團이 출판한 『陽明學演論(外)』을 底本으로 삼았다. 그 가운데 제1편 「陽明學演論」의 전체 내용에 주목하고 그 제6장 「朝鮮陽明學派」의 부분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결국 본고는 정인보의 朝鮮陽明學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정인보의 조선양명학파 연구의 의의와 그 가치에 대략적인 초점을 맞추면서 조선양명학파의 탄생 및 그 주요한 특징으로서 江華學派의 형성과정까지 살펴본 것이다. 본고에서 정인보의 조선양명학파 연구는 그 분류 기준이 그 자신이 애용하던 ‘實心’과 ‘實字’에 있었고, 그 점에 착안하여 ‘실학으로서의 양명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 ‘實心’에 의해 학문을 했는가의 여부에 따라서 양명학파에 포함시키는 시도까지 했다는 점도 고찰하였다. 정인보는 구체적 실증자료에 입각하면서도 학문적 경향이 양명학의 정신과 유사한 인물들까지 포함하여 폭넓게 조선양명학파의 人物群을 확대하여 파악하고 있는데, 이것이 그의 양명학파 분류법의 특징이기도 하다. 정인보가 이러한 양명학파 분류를 행한 이유는 민족적 위기의 시대에 실천하고 행동하는 지식인의 출현을 갈망한 그 자신의 소망이 담겨 있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知行合一’의 전제조건에는 ‘實心에 바탕을 둔 實行’이라는 것이 있었음을 간파할 수 있었다. 정인보는 그처럼 實心에 의한 학문을 실학이자 양명학으로 간주하였고, 실천적 양명학을 대중들에게 알리고자 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Jeong In-bo's Wang Yangming theory and study the overall theory including one characteristics of the Wang Yangming school. For this, this thesis is based on Wang Yangming theory published by Samsung Foundation of Culture in 1972. And, we noted volume one, 「Wang Yangming school theory」's entire content and focused on volume six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In the end, this thesis can be considered as Jeong In-bo's View of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As such, this thesis examines birth and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school of Kanghwa while focusing Jeong In-bo's significance and value of research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Classification standard of Jeong In-bo's significance of research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are practical mind and practical study and pointed out searching for possibility of Wang Yangming school as Practical Science based on this. And also, we studied including them in Wang Yangming school according to whether to performing study by ‘practical mind’ Jeong-In-bo included persons whose academic trends are similar Wang Yangming school's sprit to understand Groups of Persons for the Wang Yangming school of Joseon. This is a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his Wang Yangming school. The reason why Jeong In-bo carried out this classficiation is to long for intellectuals' emerging who take an action in the crisis of nation. And,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was fulfillment based on ‘practical mind’ as prerequisite of oneness of knowledge and conduct. Jeong In-bo considered the study based on practical mind as Practical Science and Wang Yangming studies and tried to make it known to people.

      • KCI등재후보

        정인보 實心論의 양명좌파적 특징

        이상호(Lee Sang-ho) 한국양명학회 2005 陽明學 Vol.- No.15

        본 논문은 정인보의 실심론을 양명좌파 철학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정리하면서 정인보 양명학의 철학적 위치를 새롭게 정립하고, 이를 통해 한국 양명학의 이론적 변이의 한 단면을 고찰할 수 있는 계기로 삼으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논자는 우선 강화학파의 실심론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2장에서 정리하여 비교시각을 확정하고, 이러한 기준을 가지고 3장과 4장에서 정인보 실심론의 특징을 찾아보고 있다. 강화학파를 개창했던 정제두의 실심론은 양명우파 철학의 정점에 서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이후 강화학파 전체 철학에서 도덕본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덕주체성의 철학으로 드러났으며, 이것은 강화학파 전체의 철학적 특징을 ‘양명우파’철학으로 정리하게 했던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정인보의 실심론은 이와 다른 측면을 보여준다. 정인보는 본체로서의 양지보디는 드러난 활동체로서의 양지를 강하게 긍정하여, 양지의 자발성과 정감의 교류 영역인 감통을 강조한다. 이러한 입장은 객관적인 공부론보다는 이미 인식과 판단의 능력으로 현현한 양지를 깨닫는 것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이행되면서, 양명좌파 철학의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입장은 왕기나 왕간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황종희의 『명유학안』에서조차 사장되었던 하심은이나 안산농ㆍ이지 같은 인물들에 대해서까지 긍정적 평가를 보내고 있다. 이것은 ‘마음’을 중심으로 한 활동성을 높이 평가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입장들을 통해 논자는 정인보의 실심론을 양명좌파적 특징을 분명하게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양명좌파 철학쪽으로 경도된 이유를 활동성이 중요한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서 찾고 있다. 이것은 강화학파의 철학이 시대적 상황을 만나면서 굴절되고 있는 것으로, 한국 양명학 내에서의 중요한 이론적 변이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논자는 강화학파의 철학이 단순하게 ‘양명학’을 답습하거나 혹은 이전의 철학적 성향을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조응하면서 그에 따른 이론적인 변이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rect a new philosophical phase of Jeong In-bo's Yangming studies in the viewpoint of that Jeong In-bo's Shilsim theory has a Yangming left-wing feature, and through this, to examine one of the aspects of the theoretical variation of Korean Yangming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features of Shilsim theory of Kang-hwa School were researched to form a comparative viewpoint in Chapter 2 and the features of Jeong In-bo's Shilsim theory were examined in Chapter 3 and 4. Shilsim theory of Jeong Je-doo who began Kang-hwa School can be estimated the summit of Yangming right-wing philosophy. It appeared as a philosophy of moral identity which emphasized moral substantial body throughout philosophy of Kang-hwa School afterwards and thus it is an important reason why Kang-hwa School is known as Yangming right-wing philosophy. Jeong In-bo's Shilsim theory, however, provides different sight. He strongly affirmed Yangzi as visible active body rather than Yangzi(良知) as substantial body and emphasized its spontaneity and Gahmtong(感通) as the area for emotion exchanges. This standpoint is translated into the standpoint that values awakening of Yangzi which is manifest through the power of cognition and judgment, and it displays the feature of Yangming left-wing philosophy. This standpoint make an affirmative evaluation not only for Wangki and Wangkan but also for Ahn Sahn-nong and Yi Ji who were ignored even in Hwang Jong-hee's MingRuXueAn(Opinion on the Confucianism during the Ming Period). It was because that he put a high value on activity in which 'mind' was important. Through this study, it is estimated that Jeong In-be's Shilsim theory has a clear Yangming left-wing feature. The reason why it was slanted towards Yangming left-wing can be foun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which valued activity.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philosophy of Kang-hwa School was refracted for historical context and it can be understood as an important theoretical variation of Korean Yangming studies. This article shows that the philosophy of Kang-hwa School did not follow 'Yangming studies' without any second thought nor continued former philosophical trend, but it made theoretical variation corresponding to historical context.

      • KCI등재

        명재윤증(明齋尹拯)의 학문연원(學問淵源)과 그 학맥(學脈)

        최근묵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6 儒學硏究 Vol.14 No.-

        본고에서는 한국육왕학파의 학문과 학맥을 연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종래에 학계에서 언급조차 없었던 한국육왕학파의 학맥관계를 연구 정리해 보았다. 둘째,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사이의 시비 논쟁은 송명대 정주학파와 육왕학파사이에 전개되었던 시비논쟁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진 학술논변이다. 셋째, 17세기 예송논쟁은 심학의 발전현상이라 할 수 있어, 한국유학도 중국유학의 발전과정과 같이 성리학→ 심학 → 실학의 순서로 변천하였다.한국육왕학파의 학문과 학맥 관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정리할 수 있다.元祖(권근) 씨앗(발아기) → 기호유학의 형성기(고봉, 율곡) 뿌리내리다(착근기) → 만회, 탄옹, 명재 줄기(基幹) → 하곡, 강화학파 꽃피다(개화기) → 박은식 열매맺다(결실기).

      • KCI우수등재

        강화학파의 實心論

        이상호(Sang-Ho Lee)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9 No.-

        본 논문은 한국 유일의 양명학파인 강화학파의 ‘實心論’을 용해 그들을 하나의 학파로 묶을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그 철학적 특정을 해명하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강화학파의 학문적 특징만을 정리함으로써 실재로 그들의 다양한 활동들과 시대에 대한 고민들을 그들의 철학체계 내에서 밝혀내지 못했다. 이 때문에 강화학인 가운데 몇몇 사람들은 실학자로 분류되기도 했고, 실학자들 가운데 몇몇은 양명학자로 분류되기도 했다. 본 논문은 바로 이같은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 강화학인들 사이에 일관되게 흐르는 정신을 ‘實心’으로 규정하고, 이 기준을 통해 그들의 철학과 활동을 규명하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도덕적 인간관에 바탕한 ‘實心’론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것은 동시에 현실에서 실사구시의 ‘실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처럼 ‘실심’이라는 기준을 통해 강화학파의 이론과 실천의 철학적 근거를 밝혀 냄으로써 궁극적으로 이들의 학문이 중국의 양명학과 차이가 있으며 당시의 주자학이나 기타 실학과도 엄밀한 구별점이 있음을 해명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