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남전 휴(종)전의 정치경제적 심상

        김주현(Kim Ju hyeon)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이 논문은 월남 휴(종)전이 한국 사회에 미친 정치경제적 심상을 크게 세 방향에서 분석했다. 월남전 휴전 협상은 196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만, 한반도 휴전을 월남 휴전의 ‘부정적’ 모델로 삼은 한국 정부는 휴전에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휴전론이 가시화되면서 휴전은 경제적 관점에서 모순적으로 상상되었다. 최초의 ‘휴전=월남 특수 종료’라는 시각에 반해 전후재건에 참여할 새로운 기회로서 휴전이 강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시각은 ‘메콩종합개발계획’으로 집약돼 비상한 관심을 끌었으나 월남이 패망하자 싱겁게 종결된다. 휴전론은 또한 1960년대 후반 인력 수출 장소로 떠오른 동남아 표상에 선택적으로 관여했다. 라오스, 캄보디아는 중립주의에 관계없이 월남전에 휘말린 위험 지역으로, 친서방 국가는 낙후됐으나 개발 가능성이 무궁한 자원의 보고로 표상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월남전을 중심으로 동남아를 가르고 묶는 발상이며, 현재의 동남아 이미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한국 정부는 월남 패망을 안보의 반면교사로 전유하여 월남전 종결을 승공(勝共) 성장론으로 재빨리 종합한다. 이 일련의 과정에서 공식적 파월 담론에 도전하는 지식 사회의 ‘비판적’ 개입은 드물었고, 방법적으로도 대중의 관심을 끌기에 부족했지만, 시기와 내용으로 판단하건대, 70년대에 발표된 월남전 소설 텍스트는 휴(종)전론의 파장을 월남전 재현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images of cease-fire (cessation of war) of Vietnam War affecting Korean society from 3 different aspects. While cease-fire talks on Vietnam War were initiated in 1968, the Korean government was largely negative on the talks since the cease-fire in the Korean Peninsula was a ‘negative’ model for Vietnam Wa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government. When the cease-fire talks became more evident, however, the cease-fire was contradictively visualized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On the contrary to the earlier view of ‘Cease-fire representing the end of special economic boom from the Vietnam War,’ the cease-fire began garnering attentions as new potential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ost-war reconstructions. These views were integrated into ‘Mekong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to draw unusual interests, but it all abruptly ended when Vietnam collapsed. The cease-fire talk also selectively engaged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which emerged as a manpower expert site in the late 1960s. Laos and Cambodia viewed as a war-infested danger zone regardless of neutralism, whereas pro-Western nations perceived the region as a rich repository of natural resources with unlimited potentials despite primitivity. It is believed that such perception not only divided the Southeast Asia based on the Vietnam War but also significantly impacted the image of the Southeast Asia. Lastly, the Korean government promptly moved on to accumulate the end of Vietnam War into a growth theory by defeating communism after asserting to learn lessons of national security from the fall of Vietnam. Throughout these series of processes, it was rare to find ‘critical’ interventions from the intellectual society challenging the expedition of troops to the Vietnam War. And although it was methodologically insufficient to draw public interest, the social text on the Vietnam War published in the 1970s can be deemed to accept the aftermath of cease-fire talk as new momentum of the Representation of Vietnam War when judging it based on the time and its contents.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 -월남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술을 중심으로-

        김택중 ( Taek Joong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21세기 현재 한국과 월남 양국은 물적 교류와 인적 교류 상 아시아에서 매우 중요한 경제적 파트너이며 전략적 동반자 관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역사적 관계로 근대 이전 한월 양국 간의 교류는 활발하지 못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한국과 월남은 직접적인 교류가 거의 없었다. 때문에 본 논문 주제에 관련된 자료 역시 매우 희소한 편이다. 본문은 주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는 조선사행의 보고서를 근거자료로 근대이전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조선시대 월남에 대한 인식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한국과 월남 간에는 오늘날처럼 직접 상대국을 오고가는 인적 교류와 물적 교류가 없었다. 때문에 조선의 월남에 대한 정보 혹은 인식은 주로 양국 사신들이 만나는 중국의 수도 북경에서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대체로 한국사신이 중국에서 중국정부로부터 월남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우, 중국정부가 조선정부에 조서 등을 통해 월남에 대해 알려주는 경우, 한국사신이나 통역관이 중국에서 월남의 사신이나 통역관을 직접 만나 상호 간의 정보를 주고받는 경우 등이 있다. 둘째, 조선시대 월남에 대한 인식의 범위는 월남내부의 큰 정치변동에서부터 대중국 외교정책과 공물내용, 천주교 탄압, 국호 변경, 의관 풍습 등 매우 다양하다. 특히 정치방면에 있어서는 구체적인 인물의 이름과 행적 등과 같이 정보의 내용이 매우 상세하다. 시대는 어느 한 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월남의 호(胡) 왕조로부터 후기의 완(阮) 왕조에 이르기까지 근대이전 월남의 각 시대를 망라하고 있다. 셋째, 조선시대 조선은 다른 무엇보다 월남의 정치적 변동과 그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월남정책 및 월남의 대중국 사대정책이나 조공관계 등에 대해 지대한 관심과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조선 역시 중국 중심의 중화질서 속에서 월남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자신의 안위와 존립을 지키고자 하는 관심에서 나타난 현상일 것이다. 넷째, 조선시대 월남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중국을 통해서 얻는 정보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정보의 내용이 객관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내용에 중국의 대월남관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 역시 부정확한 면이 있음과 동시에 중국의 월남에 대한 관점이 많이 작용하고 있다. 다섯째, 조선시대 조선은 중국 중심의 아시아 국가 중에서 중국을 제외한 가장 뛰어난 문화국가라는 자부심과 우월감을 지닌 채, 의관 풍습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월남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경시하고 무시하려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조선시대 한국은 월남과 직접적인 교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사신들의 학문교류와 정보교환, 혹은 중국의 조서나 대외발표문 등과 같은 간접적인 방식을 통해 예상외로 월남의 각 상황에 대해 많은 정보를 확보하고 또한 그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現在韓越兩國在經濟和戰略上흔重要關係.可是因地理和歷史的背景,20世紀以前韓越兩國之間흔少人和物的往來或交流.尤其是朝鮮時代幾乎沒有韓越兩國之間直接交流.從而也흔少有關本論文的資料.因此本文主要根據朝鮮王朝實錄所記述朝鮮使行的報告文,探索朝鮮對越南的認識.其結果如下.第一,朝鮮時代在韓越兩國之間從未有像現在的直接交流.因而朝鮮要獲得對越南的情報,主要依據在中國首都北京所進行的資料.在其資料有幾種,一.朝鮮使臣由於中國政府的報告書得到越南的狀況,二,中國政府通過詔書等告訴朝鮮政府對越南的情況,三,朝鮮使臣和通譯官與越南使臣和通譯官在北京面對而互相交換情報.第二,朝鮮時代對越南的理解範圍有廣範而多樣,如從越南內部的政治變動至越南對中國外交政策和供物內容,天主敎彈壓,國號變更,衣冠風習等.特別朝鮮在對越南的政治方面認識흔詳細,如對人物的姓名和行爲等比較具體的了知.此外,時代範圍也是不局限於特定時代而網羅近代以前的全越南時代如從胡王朝至阮王朝.第三,朝鮮關於越南的政治變遷,越南對中國的事大主義和朝貢政策等持有至大的關心和敏感的反應.此目的是朝鮮亦在中國中心的中華秩序上,以越南當作他山之石,爲了保持朝鮮自身的安危和存立.第四,朝鮮時代對越南的情報,大部分是從通過中國而獲得.所以其情報的內容不但不客觀,而且多包含中國的觀點.從而在朝鮮對越南的認識上難免有不正確的部分,同時在其認識內多作用於中國的對越南觀.第五,近代以前以中國爲中心的亞細亞國家中,朝鮮以爲除了中國以外朝鮮具有最優秀的文化,持有此種自負和優越感的朝鮮相對越南具有輕視和無視的傾向.總而言之,雖然朝鮮時代朝鮮與越南從未有直接交流,但是朝鮮通過像韓越兩國使臣的學問交流和情報交換,或中國的詔書和對外發表文等間接交流方式,得到多方面的越南情況而據此了解越南.

      • KCI등재

        월남문학의 유형 - ‘경계인’의 몇 가지 가능성

        서세림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1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이북에서의 삶의 근거를 포기하고 남한에 이주하여 작가활동을 펼쳐온 월남작가들은 전후 한국문학사에서 풍성한 생산물들을 남겼다. 본고에서는 월남 소설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있던 ‘고향’의 개념과 의미가 변용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월남문학의 유형을 탐색해 보았다. 해방 이후 급격한 변화와 갈등을 겪은 남북의 상황 하에서 강제적 이동을 경험한 월남민, 피난민으로서의 작가 의식은 많은 월남작가들에게 있어 지속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들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경계인으로서의 현실 및 그들만이 견지할 수 있던 정치 감각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진행형인 분단의 사회에서, 월남작가들의 작품은 여전히 유효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전후에 등장해서 1950년대 우리 문학을 일구었던 작가들 중에 월남작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으며, 전후 문학장의 이해에 있어 그들을 빼놓고 논의할 수 없다. 창조적 경계인으로서 남한 문학계에 특별한 성과를 내놓은 월남문인들의 독특한 시각은 우리사회의 특수성과 문학사적 의미 획득에 있어 중요한 지점임이 분명하다. 남한의 문학사는 월남작가들의 적극적 활동으로 인해 더욱 풍성해졌고, 다양한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월남작가들의 소설 작품에 나타난 성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전후 한국 문학사에서 이들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분단 현실에서 이들의 문학 활동이 지니는 의미를 탐구해 보았다. 이를 통해 월남작가들의 소설에서 형상화되는 고향이라는 맥락이 지니는 의미를 재구성하고, ‘고향’의 의미가 변용되어 가는 과정과 궤적을 살펴보며 월남작가들의 소설에 나타난 몇 가지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여, ‘경계인’으로서의 독특한 정체성 속에서 생산된 이들의 작품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에 대해서 이해해보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Many writers who came from North Korea as the refugee have experienced deportation in political conflict, continuously expose these fact to their works. For understanding these works therefore, must need to understand how they felt politics and expressed a view of the world. In this paper, contemplates what causes functioning those origin of political sense, especially transformation the word "hometown" in their novel. Divisions are deepen and firmed after 60's, and of course realities so are. People who live in the south at first also realize relation with division through understanding their works. Society of division still present progressive therefore their works still have full vitality and cannot discussion without their works. Particular point of view from creativities which who live in the boundary of division, makes important point for unique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월남전 후반기(1970-1975) 귀환 서사에 담긴 ‘한국민 되기’의 (불)가능성

        김주현(Kim Juhyeo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이 논문은 월남전 후반기 한국이라는 반공 국민국가의 국민으로 난민 상태에 처했던 참전군인 및 월남 교포의 귀환담에 주목했다. 당시 정부는 해방 이후 가장 ‘강한 국민국가’를 운영했지만 이와 대조적으로 월남에서 돌아온 한국인 중에는 국민과 난민 사이를 배회한 존재들이 있었다. 내강외유(內剛外柔)한 국민 국가에서 파월 초기에 해외 파견 ‘인력’으로 송출된 이들은 종전에 이르러 내부 통합을 저해하는 ‘문제아’ 또는 월남 패망의 ‘부산물’로 간주되었다. 황석영과 조선작 소설이 밝히는 바, 사병으로 참전했던 군인들에게 귀국은 계급적 불평등 아래 진행된 ‘사건’이었다. 이들은 운 좋게 전장에서 살아남아 ‘귀국’했으나 제대로 ‘귀환’하지 못해 파국을 맞는다. 이 소설들은 1971년 이후 한국군 철수시기에 발표됨으로써 내강외유한 반공 국민 국가의 역할을 되묻는 사회적 상징이 된다. 둘째, 사이공 최후의 날까지 월남에 있었던 다수의 가난한 ‘따이한’들은 언론의 보도대로 월남전의 한국인 ‘난민’이었다. 그러나 제3국행을 희망한 바람과 달리 이들은 난민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입국해 한국민이 되나 이는 한국 정부가 원한 결과는 아니었다. 반면 한국 남성과 결혼한 월남 여성 및 한국인 연고 월남인의 입국기는 패망한 월남인을 보듬는 홍보용 미담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한국인과 사실혼 관계로 국적을 얻지 못한 월남 여성, 국내 거주를 허락 받은 순수 월남인 난민에 관한 기록 및 후일담은 찾아보기 어렵다. 차후 한국의 월남전 연구자가 풀어야 할 과제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s of Korean Vietnam War veterans and returnees from Vietnam who were socially displaced in an anticommunist nation-state during the late Vietnam War period. During this period, the government operated the “strongest nation-state,” while the people within the country were in a displaced state. The people, who were sent to Vietnam as productive “manpower” from the nation-state having an iron hand in a velvet glove, were considered “problem children” who interrupted the internal unification of the nation-state or the “byproduct” of the defeat in the War First, in the novels by Hwang Sok-yong and Cho Seon-jak, the War veterans who were deployed as enlisted soldiers were depicted as “incidents” of class inequality. They were fortunate to have returned from the War, but they never regained normalcy. The novels, published after 1971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withdrawal of Korean military forces, functioned as social symbols that questioned the role of the anticommunist nationstate, which was supposed to have the iron hand in a velvet glove. Second, as the media reported, the “Daihans” who stayed in Vietnam until the last day of Saigon were considered Korean “refugees”; however, those who wished to seek asylum in a third country were never acknowledged as refugees and they returned to Korea and became Koreans. This was not the result anticipated by the government. In this context, the narratives of migrant Vietnamese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and Vietnamese people with Korean heritage were used as promotional tales of how Korea embraced the defeated Vietnam. However, there were no records or reminiscences of stories about Vietnamese women who were denied citizenship, regardless of their de facto marriage to Korean men, or the Vietnamese refugees who were officially allowed to stay in Korea. This is a task for the future studies on the Vietnam War in Korea.

      • KCI등재

        월남전 서사의 구성 원리와 문학적 영향 : 파월(派越) 수기를 중심으로

        김주현(Kim, Ju-hyeon)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파월 수기는 문학사에서 월남전 소재 소설의 앞에 위치해 있으며, 당대에 정립된 월남전 서사의 공식 문법을 창출한 의미 있는 텍스트지만 그간 연구대상으로는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 논문은 파월 수기의 월남전 서사에 담긴 공식 문법과, 그것을 위반하는 텍스트의 정치적 무의식에 주목하여 1970년대 후반에 등장하는 월남전 소재 소설과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했다. 특파원/참전군인 수기는 상반되는 특징이 있다. 전자는 체제와 내용이 유사한 틀에 따라 짜인 반면 후자는 일기 형식에 상대적으로 필자의 내면이 솔직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양자 모두 당시 한국에서 유행했던 민족주의 근대화론을 깊이 받아들여 월남전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서사의 첫 번째 공식은 특파원 수기의 서장을 구성하는 파병 사전(事前)담론인 한ㆍ월 공동체론이며, 이때 한국과 월남은 과거, 현재의 처지가 유사한 역사적 유비관계에 있다. 두 번째 공식은 전투담과 진료담으로 구성된 월남 현장 보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때 전투력과 의료 기술이 일체가 되는 한민족 신화가 만들어진다. 한편 텍스트의 정치적 무의식은 공식 문법을 뚫고 실재계를 소환한다. 월남민족주의와 월남전의 관계를 인식하고 당황하는 주체와 젠더 편향적인 사이공 표상이 여기에 해당한다. 종전 후 발표된 「머나먼 쏭바강」이 대변하는 월남전 인식은 이것이 승계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Memoirs on dispatch to Vietnam are located before the novels on the theme of the Vietnam War in terms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while they were meaningful texts that created the formal grammar of the narratives on the Vietnam Ware established at the time, they did not receive a lot of attention as a subject of research. This paper has the objective of finding 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l grammar contained in the narratives of the Vietnam War in the memoirs on dispatch to Vietnam, and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the texts that violate those as well as the novels on the Vietnam War, which appear in the late 1970s. The memoirs of reports and those of the war veterans have a conflicting nature. The memoirs by reports have the format and the contents set in a similar frame, while those of veterans have a diary format, with the honest inner side of the writer more revealed in comparison. However, in basic, both of them have received deep the theory of modernization in nationalism, which was popular in Korea at the time, which forms the Vietnam War narratives. The first formula in these narratives is the ex-ante facto discussion on the dispatch of soldiers and the Korea-Vietnam Community spirit. Korea and Vietnam had a historically similar relationship with similarities in the past and the present status at that time. The second formula may be found in the reports from Vietnam, which were composed of battling and medical treatment stories, where Korean myth is created as the fighting power and the medical techniques become one.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the text summons the real order by penetrating the formula. This is represented by the confused principal agent with the realiz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etnam nationalism and the Vietnam War, as well as the gender- biased Saigon representation. After the war, the cognition on the Vietnam War in the novels on the War such as the “The Distant Songba River” may be seen as a format that succeeded this.

      • KCI등재

        특집논문 : 파월 특파원 수기를 통해 본 한국의 베트남전쟁

        김주현 ( Ju Hyeo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4

        월남전 참전기 동안 주월 특파원의 월남전 보도는 1960년대 한국의 민족주의적 열정과 분리될 수 없는 측면이 있다. 1960년대의 주류 담론이었던 민족주의는 2차 대전 후 신생 독립국이 흔히 그랬듯이 민족주의적 근대화론을 주창했는데,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민족주의(민족적 민주주의) 또한 유사한 면모를 보였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은 자주 대신 빈곤 탈피를 핵심으로 내걸었고, 월남전은 적시에 만난 기회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파월 당시 특파원 수기에 내재된 민족주의가 월남 민족주의로 대변된 아시아내셔널리즘에 맞서 월남전을 ‘한국화’하는 양상에 주목했다. 특파원들이 조우한 월남 민족주의는 뚜렷한 특징이 있었다. 먼저 월남인들은 특유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참전 명분론이 된 한월 운명공동체론의 허구성을 폭로하며 아시아내셔널리즘의 이상 중에서 ‘지배로부터의 자유’(반외세)를 표방했다. 또한 초강대국 미국의 물량 공세에 맞서 강력한 게릴라전을 지휘한 호치민의 지도력도 역설적으로 월남 민족주의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월남 민족주의에 맞서 민족적 민족주의는 한국군의 독특한 전략으로 실험되었다. 주로 ‘전략촌’(戰略村)과 ‘신생활촌’(新生活村)을 통해 월남인의 ‘신뢰’를 얻으려했던 작전은 한국군을 월남인의 지도자로 자리 매겼다. 특히 무례한 미군과 달리 ‘예의바른’ 한국군들은 태권도를 이용한 반공 교육, 농촌 근대화 사업을 통해 한국군의 공격성을 중화시키고, 한민족(韓民族) 신화를 만드는 주역으로 언론에 소개되었다. 또 1970년대 새마을운동은 월남전 당시 한국군의 활동을 환기시키는 부분이 많은 점에서 월남에서 실험된 민족주의의 국내 확장판으로 볼 수 있다. 참전에 따른 경제 효과는 또한 처음부터 파월 담론의 핵심이었다. 1968년에 이미 휴전 이후 월남 복구사업 참여가 거론되는 등, 월남전은 한국 역사상 최초로 ‘돈이 된 전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쟁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월남전을 태평양-한국전쟁과 단절된 새로운 국민 국가적 무의식을 낳은 전환점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report of correspondent sent to Vietnam during the Vietnam war has an aspect which can`t be separated from the passion of Korean nationalism. As many newly independent nation often did so after World War II, nationalism as mainstream discussion in 1960s advocated theory of nationalism modernization, it shared similar aspect with nationalism of the Park regime of 1960s. But the Park regime presented new slogan of escaping from poverty instead of self-reliance, the Vietnam war was the opportunity just on tim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focused on the aspect that nationalism inherent in report of correspondent sent to Vietnam against Asian nationalism represented to Vietnam nationalism makes the Vietnam war ``Koreanize``. Vietnam nationalism which correspondents encountered has distinct features. First, disclosing the fictiveness of theory of sharing common destiny between Korean-Vietnam, Vietnamese claimed ``freedom from domination`` (antiforeign) of the ideology of Asian nationalism with their unique uncooperative attitude. Also the leadership of Ho Chi Minh who commended strong guerilla war fighting against material superiority of superpower, USA revealed Vietnam nationalism paradoxically. Against this Vietnamese nationalism, ethnic nationalism was experimented by unique tactic of Korean amy. With the strategy to intend to gain ``belief`` of Vietnamese through ``strategic hamlet`` and ``new life hamlet`` Korean emerged to the leader of Vietnamese. On the contrary to rude American soldier, ``polite`` Korean army were introduced to Korea as they neutralize anti-communism education by Taekwondo, aggressive character by agricultural community modernization business to be leading character who create the myth of Korean race. We can regard Saemaeul Move ment in 1970s as the domestic version of nationalism expansion that was experimented in Vietnam for the part which reminds the activity of Korean army at the time of Vietnam war. Also economic effect according to joining to war was main discussion from the beginning. That`s because Vietnam war would be ``the war which can money`` while joining to Vietnam rebuild project after armistice was already mentioned in 1968. So we need to research the Vietnam war as turning point which produced national unconscious disconnected to Pacific-Korean war from the aspect of changes in susceptibi

      • KCI등재후보

        월남전과 월남참전 유공자의 평가에 대한 고찰

        권기숙 한국보훈학회 2012 한국보훈논총 Vol.11 No.3

        President Park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Vietnam War in the mid-1960s.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events for the existence and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extremely unfavorable economic status after the Korea War. During the Vietnam War government of South Korea could be saved U.S. dollars enough to advance the industrialization of Republic of Korea,which is well-known in the world as name of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of Korean Army has given us some positive results; First, Republic of Korea has a high position and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could not even imagine about that conditions when Korea was been a colony of Japan for 36 years and in the early time of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in the end of 1940s, and 1950s,for while had been raised a hole destruction of the country by Korea War and difficult reconstructions after that war. Especially there were great achievement in the diplomatical relation with U.S.A. After the participation of Korean Army in the Vietnam War, U.S.A. had greatly expanded the military support, and Republic of Korea had succeed modernization of military technology and self-reliant defense of Republic of Korea. However, there are very different directions on a interpretation on the nature of the Vietnam War. It is a general idea, that the Vietnam War had been caused by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communist and the anticommunist. But there is a the other understanding on the Vietnam War, that it had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nationalist of Vietnam against imperialism of the United States. Who holds a second opinion on the causes of the Vietnam war, believes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of Korean Army was wrong, because this war was immoral war, which has lost legitimacy. Under the influence of this opinion, many people think that the veterans of Vietnam War had completed the ruthless killing of innocent people in our society. Although they were sacrificed theirselves for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our country, and we enjoy good benefits now a days. It causes serious problems, such as lack of a "patriotic spirit" of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need to prepare the correct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about the participation of Korean Army in the Vietnam War. 1960년대 중반 박정희 정부의 월남전 파병 결정은 국가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중요한 획을 긋는 사건이었다. 한국은 월남참전으로 인해 6·25전쟁의 폐허 위에 시급했던 외환보유고를 확충할 수 있었으며, 차관을 통해 확보한 외부 투자자금으로 사회간접자본과 기간산업의 발전을 확대해 현재 우리가 누리고 있는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왔다. 또한 한국군의 월남전 파병은 국제사회에서의 우리나라의 영향력 확대와 지위향상이라는 외교적 측면의 성과, 한·미관계의 긍정적 개선, 미국 측의 군사지원 확대로 한국군의 현대화와 자주국방의 기틀 확립이라는 매우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 일각에서는 월남 전쟁의 성격을 공산주의와 반공산주의라는 이데올로기적 갈등이 아니라 미국과 결탁한 제국주의 세력과 그에 대항하는 베트남 민족주의 세력 전체와의 싸움이라고 규정하면서, 월남 참전 용사들을 부도덕하고, 타락한 전쟁에 참여해 민간인을 학살한 용병으로 폄하하는 예가 자주 등장한다. 게다가 전직 대통령을 포함한 국가지도층에서도 이와 같은 맥락의 발언을 전개해 월남참전유공자들의 사기와 자아 존중감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월남참전유공자에 대한 예우와 국가보훈이라는 측면에서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 할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최근 들어 국가안보의식의 급격한 저하,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근·현대사왜곡 등과 같은 사회적 이슈들을 통해 국가정체성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였던 베트남의 분단과 공산화 과정은 현재의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그러므로 국가정체성 확립에 있어서나, 베트남 공산화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생생하게 전해줄 역사의 증언자로서의 월남참전유공자의 역할은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월남전 한국군 파병과 월남참전유공자가 우리나라 발전에 기여한 점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이들의 국가를 위한 헌신과 희생에 합당한 예우를 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월남 개성인의 정착과정과 개성(開城)의 유산(遺産)

        양정필 ( Yang Jeong-pil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2 No.-

        한국전쟁의 휴전협정 결과 개성은 북한에 편입되었다. 전쟁을 피해 월남했던 개성인들은 실향민이 되어 남한 사회에 정착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월남 개성인이 남한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개성의 遺産이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개성이 남긴 유산으로는 상업 전통, 인삼 재배 전통, 내부적으로 강한 결속력과 유대감 등이 있다. 이들 유산은 월남 개성인의 남한 정착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하였다. 상업 전통이 강한 개성 출신인 만큼 월남 개성인 중에는 기업을 경영하거나 상업에 종사한 이들이 적지 않았다. 그 중에는 재벌급으로 성장한 이들도 있는 반면 중소 도시의 소규모 상점을 운영한 사람도 있는 등 내부적으로 그 층위는 다양하였다. 대개 그들은 분단 이전 개성상인으로 상업에 종사한 경험을 가진 이들이 많았고, 그런 경험이 그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또 월남 개성인들은 기업을 세우고 경영하면서 동향인끼리 서로 도움을 주고받았다. 그것은 공동 투자의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기업 경영에 조언을 주는 방식으로도 이루어졌다. 인삼 재배 역시 월남 개성인이 남한 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성공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19세기부터 인삼을 재배해 온 개성인에게 인삼은 매우 소중한 것이었다. 월남 이후 한 동안 인삼을 경작할 수 없었지만, 1957년 개성삼업조합이 재결성되면서 월남 개성인의 삼포 경영이 시작되었다. 전업으로 하는 이들도 있고 공동 투자자로 나선 사람도 있었다. 월남 개성인에게 인삼은 단순한 상품에 그치지 않고 고향과 두고 온 가족을 떠올리게 하는 그런 존재였다. 그리고 인삼 재배는 월남 개성인이 남한 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사는 데도 일조하였다. 개성인 내부의 강한 결속력과 유대감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이나 미성년자가 남한 사회에 정착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10대의 나이에 부모 없이 피난 온 경우, 경제 활동이 뜻대로 되지 않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경우 등 월남 개성인 중에도 고난에 처한 이들이 있었다. 월남 개성인들은 그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이를 통해 그들이 남한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었음은 물론이다. 월남 개성인은 대체로 남한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하였는데, 여기에는 고향 개성의 유산이 큰 역할을 하였다. The armstice of the Korean War led to the incorporation of Gaesung into north Korea. Those who fled their hometown Gaesung to the south then became displaced, and immediately faced the task of settling in south Korean society.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role of Gaesung legacy on the settlement of these people in south Korean society. Gaesung legacy includes commercial tradition, ginseng cultivation, and strong internal solidarity and bond. These qualities played a major role during the settlement of uprooted inhabitants in south Korea. Due to significant commercial heritage, there were notable people of Gaesung origin who have engaged in entrepreneurship or business. Among those, some grew to the rank of conglomerates, others simply ran small shops in middle or small-size cities, which situations portray a wide range of spectrum. Such phenomenon were mainly attributed to their experiences in pre-division era of the peninsula, when many pursued mercantile operations. Also, Gaesung people of south Korea established companies and helped fellow immigrants. Their cooperation was demonstrated in the form of co-investments, or giving advice on corporate management. Ginseng cultivation attributed to the economic success of Gaesung people in south Korean society as well. Ginseng was almost their soul since Gaesung locals grew this medicinal plant since the 19th century. After their escape, Gaesung refugees in the south could not raise ginseng until 1957, when Gaesung Ginseng Industry Union was reorganized. Then, some made it their full-time occupation, while others merely acted as co-investors. To Gaesung refugees, ginseng was more than just a commodity, but a memory of everything they left behind in their home including families. Ginseng naturally was also their blessing because its cultivation brought them economic security. Impressive solidarity and bond of Gaesung people assisted fellow refugees who were poor or non-adult immensely in settling down in south Korea. In case of those teenagers who evacuated without parents, quite a few suffered economic hardships. Those who established themselves in the South aided those in need, and helped desperate hometown immigrants adjust well to south Korean society. Most of Gaesung people successfully settled in south Korea, and Gaesung legacy indeed was the dominant factor.

      • KCI등재

        월남문학의 유형

        서세림(Seo, Se-rim)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1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이북에서의 삶의 근거를 포기하고 남한에 이주하여 작가활동을 펼쳐온 월남작가들은 전후 한국문학사에서 풍성한 생산물들을 남겼다. 본고에서는 월남 소설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있던 ‘고향’의 개념과 의미가 변용되는 양상을 중심으로 월남문학의 유형을 탐색해 보았다. 해방 이후 급격한 변화와 갈등을 겪은 남북의 상황 하에서 강제적 이동을 경험한 월남민, 피난민으로서의 작가 의식은 많은 월남작가들에게 있어 지속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들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경계인으로서의 현실 및 그들만이 견지할 수 있던 정치 감각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진행형인 분단의 사회에서, 월남작가들의 작품은 여전히 유효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전후에 등장해서 1950년대 우리 문학을 일구었던 작가들 중에 월남작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으며, 전후 문학장의 이해에 있어 그들을 빼놓고 논의할 수 없다. 창조적 경계인으로서 남한 문학계에 특별한 성과를 내놓은 월남문인들의 독특한 시각은 우리사회의 특수성과 문학사적 의미 획득에 있어 중요한 지점임이 분명하다. 남한의 문학사는 월남작가들의 적극적 활동으로 인해 더욱 풍성해졌고, 다양한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월남작가들의 소설 작품에 나타난 성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전후 한국 문학사에서 이들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분단 현실에서 이들의 문학 활동이 지니는 의미를 탐구해 보았다. 이를 통해 월남작가들의 소설에서 형상화되는 고향이라는 맥락이 지니는 의미를 재구성하고, ‘고향’의 의미가 변용되어 가는 과정과 궤적을 살펴보며 월남작가들의 소설에 나타난 몇 가지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여, ‘경계인’으로서의 독특한 정체성 속에서 생산된 이들의 작품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에 대해서 이해해보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Many writers who came from North Korea as the refugee have experienced deportation in political conflict, continuously expose these fact to their works. For understanding these works therefore, must need to understand how they felt politics and expressed a view of the world. In this paper, contemplates what causes functioning those origin of political sense, especially transformation the word "hometown" in their novel. Divisions are deepen and firmed after 60"s, and of course realities so are. People who live in the south at first also realize relation with division through understanding their works. Society of division still present progressive therefore their works still have full vitality and cannot discussion without their works. Particular point of view from creativities which who live in the boundary of division, makes important point for unique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 - 월남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술을 중심으로

        김택중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21세기 현재 한국과 월남 양국은 물적 교류와 인적 교류 상 아시아에서 매우 중요한 경제적 파트너이며 전략적 동반자 관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역사적 관계로 근대 이전 한월 양국 간의 교류는 활발하지 못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한국과 월남은 직접적인 교류가 거의 없었다. 때문에 본 논문 주제에 관련된 자료 역시 매우 희소한 편이다. 본문은 주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는 조선사행의 보고서를 근거자료로 근대이전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조선시대 월남에 대한 인식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한국과 월남 간에는 오늘날처럼 직접 상대국을 오고가는 인적 교류와 물적 교류가 없었다. 때문에 조선의 월남에 대한 정보 혹은 인식은 주로 양국 사신들이 만나는 중국의 수도 북경에서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대체로 한국사신이 중국에서 중국정부로부터 월남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우, 중국정부가 조선정부에 조서 등을 통해 월남에 대해 알려주는 경우, 한국사신이나 통역관이 중국에서 월남의 사신이나 통역관을 직접 만나 상호 간의 정보를 주고받는 경우 등이 있다. 둘째, 조선시대 월남에 대한 인식의 범위는 월남내부의 큰 정치변동에서부터 대중국 외교정책과 공물내용, 천주교 탄압, 국호 변경, 의관 풍습 등 매우 다양하다. 특히 정치방면에 있어서는 구체적인 인물의 이름과 행적 등과 같이 정보의 내용이 매우 상세하다. 시대는 어느 한 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월남의 호(胡) 왕조로부터 후기의 완(阮) 왕조에 이르기까지 근대이전 월남의 각 시대를 망라하고 있다. 셋째, 조선시대 조선은 다른 무엇보다 월남의 정치적 변동과 그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월남정책 및 월남의 대중국 사대정책이나 조공관계 등에 대해 지대한 관심과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조선 역시 중국 중심의 중화질서 속에서 월남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자신의 안위와 존립을 지키고자 하는 관심에서 나타난 현상일 것이다. 넷째, 조선시대 월남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중국을 통해서 얻는 정보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정보의 내용이 객관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내용에 중국의 대월남관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 역시 부정확한 면이 있음과 동시에 중국의 월남에 대한 관점이 많이 작용하고 있다. 다섯째, 조선시대 조선은 중국 중심의 아시아 국가 중에서 중국을 제외한 가장 뛰어난 문화국가라는 자부심과 우월감을 지닌 채, 의관 풍습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월남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경시하고 무시하려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조선시대 한국은 월남과 직접적인 교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사신들의 학문교류와 정보교환, 혹은 중국의 조서나 대외발표문 등과 같은 간접적인 방식을 통해 예상외로 월남의 각 상황에 대해 많은 정보를 확보하고 또한 그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