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문학의 통속화, 통속의 문학화 : 『표해록(漂海錄)』과 『통속표해록(通俗漂海錄)』의 비교를 통해 "통속"의 의미 재고(再考)

        박영미 ( Young Mi Park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본 논문은 근대 이전 고전문학에 나타난 ‘통속`의 담론에 대한 연구로서 기획되었다. 고전에서 ‘통속`이라는 말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조선의 『漂海錄』과 일본의 『通俗漂海錄』을 비교 분석을 통해 이를 고구해 보고자한다. 일본의 『通俗漂海錄』은 조선의 『漂海錄』을 저본으로 한 작품이다. 『漂海錄』이 『通俗漂海錄』이 되면서 일어난변화는 다음과 같다. 문자의 표기가 한문에서 가나마지리문이 되었으며 삽화가 들어 갔다. 그리고 주석 및 해설이 실렸으며 목차와 소제목이 붙었다. 『唐土行程記』를 기요타 탄소에게 의뢰한 서사는 초학자에게 번역·해석 해주어 알기 쉬운 책이 되도록 주문하였다. 기요타는 이에 부응하여 가능하면 가나로 쓰며 한자어는 음을 표시해주고 해설과 주석을 곁들였던 것이다. 에도시기 이와 같은 ‘통속`의 글쓰기 방식을 통해 교양서가 간행되었고 심지어 四書도 출판될 정도로 통속서의 인기가 높았다. 이는 도쿠가와 막부의 교육정책과 매우 유관하였다. 도쿠가와 막부는 교육을 중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식자층이 증가하였고 교양에 대한 욕구도 높았다. 그리고 주자학을 공식적인 학문으로 선언하는 한편 엄격한 출판 검열 정책을 시행하기도 하였다. 특히, 성과 관련한 통속물이 범람하며 세교가 어지럽혀진다는 판단 하에 통속물에 대한 지도가 이어졌다. 막부의 관리였던 기요타는 이에 부응하여 모범적인 ‘통속서`인 『당토행정기』를 내놓았다고 할 수 있다. 貫道之器의 문이 추구해야하는 것은 ‘世敎`였던 것이다. 그러나 그의 사후에 『당토행정기』는 도쿄, 교토, 오사카에 거점을 둔 서사에 『통속표해록』으로 재간행 되었다. 여기에 ‘통속`이라는 말이 갖는 ‘상업성`의 의미가 덧붙여진다. 이처럼 통속의 탄생은 상업자본의 기획 하에 이루어졌다. 통속이라는 말이 붙으면서 상품으로의 가치도 높아져 더 잘 팔리게 되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for the discourse of ‘Popularity’ in the classics through the comparing and analyzing for the 『The record of Choi Bu(최부)’s castaway漂海錄』 in Chosun and 『Popular The record of Choi Bu(최부)’s castaway通俗漂海錄』 in Japan. The original text of 『Popular The record of Choi Bu(최부)’s castaway通俗漂海錄』 in Japan is 『The record of Choi Bu(최부)’s castaway漂海錄』 in Chosun. Followings are changes rendering 『The record of Choi Bu(최부)’s castaway漂海錄』 to 『Popular The record of Choi Bu(최부)’s castaway通俗漂海錄』 literation was changed from Chinese characters to Japanese phonetic characters. Illustrations were put in. Annotates and interprets were loaded. And contents and straps line were added. Publishers asked to Kiyota to write proper books for beginners. Kiyota answered this demand with writing books on Kana within the limits of the possibility, showing chinese expressing with the pronunciation of a word in a Rubi, and adding explanations and annotations. After his death, 『The record of Choi Bu’s travels China 唐土行程記』was re-published to 『Popular The record of Choi Bu(최부)’s castaway通俗漂海錄』 by publishers had branched in Tokyo, Kyoto, and Osaka, where ‘Popularity’ means ‘marketability’. Like this, the birth of a ‘Popularity’ was accomplished in a plan of a business fund, more books could be sailed with adding the word of ‘Popularity’.

      • KCI등재

        장한철(張漢喆) 『표해록(漂海錄)』의 야담적 전이 양상 『기리총화(綺里叢話)』와 『청구야담(靑邱野談)』을 중심으로

        정솔미 ( Chung Sol-m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7 No.-

        본고는 1771년 저술된 장한철(張漢喆, 1744∼?)의 『표해록(漂海錄)』이 『기리총화(綺里叢話)』에 「장한철 표해록(張漢喆漂海錄)」으로 수록되고, 이 「장한철 표해록」이 다시 『청구야담(靑邱野談)』에 「부남성 장생표대양(赴南省張生漂大洋)」으로 수록되는 과정에 보이는 변모 양상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표해록』의 서사문학사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는 한편 『기리총화』와 『청구야담』 작가의 서술 방식과 태도의 일단을 규명함에 목적이 있다. 원작 『표해록』은 해양지리지로서, 일기문학으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니는 한편 풍부한 서사성을 담고 있다. 『기리총화』의 작가 이현기(李玄綺)는 원작이 품고 있는 다양한 서사 가운데서도 ‘해외 모험담’에 가장 흥미를 기울였던 듯하다. 그래서 이국 문화와의 접촉에 해당하는 사건 위주로 「장한철 표해록」을 개작하는데, 이는 해외에 대한 견문과 관심이 확대된 조선 후기의 분위기가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생각된다. 이현기는 작품을 서사 위주로 개작하되, 원작에 담긴 현장의 생동감과 인간의 내면성을 보존하기 위해 부심하였고, 사건 간의 필연성과 계기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작의 1인칭 시점을 그대로 따랐으나 『기리총화』의 1인칭 화자는 ‘서사적 자아’로 존재하게 된다. 시간도 그날그날의 날짜로 쪼개진 원작의 ‘일기적 시간’에 비해 ‘지속적 연관성을 갖고 흐르는’ 소설적 시간으로 변모된다. 요컨대 「장한철 표해록」은 마치 ‘1인칭 소설’처럼 각색되었으며 그 문예적 성취는 빼어나다. 『청구야담』에 실린 「부남성 장생표대양」은 『기리총화』를 저본으로 삼아 개작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대체로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으나, 인간의 다양한 갈등 양상과 이에 처했을 때 보이는 심리 상태를 대폭 삭제하였다. 따라서 『청구야담』의 편자가 이 작품에서 중시했던 이야기의 가치는 신기한 사건을 마주할 때 인간이 느끼는 흥미성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등장인물과 시간을 『기리총화』에 비해 추상적으로 처리하고 백화체를 소거하는 등 현실성과 핍진성을 약화하는 경향이 보이는데, 이런 변모 양상에서도 흥미성 혹은 통속성에 관심을 둔 『청구야담』 편자의 지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간 연구사에서는 『청구야담』이 서사성을 제고하였다고 평가하였으나, 「장한철 표해록」과 비교해 보았을 때 『청구야담』의 서사성은 다소 단순화되고 앙상한 양상을 보인다. 비록한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하기는 하였지만, 이상의 논의를 통해 이현기의 문예적 성취를 재확인하는 한편, 『청구야담』의 서사 문학적 성취를 상대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Pyohaerok, written in 1771 by Jang Hancheol(張漢喆, 1744∼?), has been modified in 19th century’s Yadam. As Pyohaerok was a popular travelogue in the late Chosun, it has been edited and rewritten by talented Yadam writers. Two representative examples are Jang Hancheol Pyohaerok, edited by Lee Hyunki who is an author of Kirichongwha, and Jangsaeng Was Drifting in the Ocean When He Entered for an Examination, from Cheong’guyadam. Lee Hyunki abridged the text to about one fourth of the original text. He deleted most of the non-narrative parts of the original, such as depiction of the outer world and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Instead, he focused on the events related to the exotic adventure driven by the unpredicted journey. He sometimes kept the descriptive and explanatory part, only when it is about the exotic experience. It shows the spread of interests in foreign culture and civiliz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However, the Jang Hancheol Pyohaerok does not merely stresses the serial events of the exotic adventure. Lee Hyunki paid attention to the various emotions aroused when people met with unpredictable situations. Diverse conflicts between people have been retained in the text too. The author also tried to keep a reality and vividness depicted by the first person narrator of the original text. By doing so, Jang Hancheol Pyohaerok became closer to the novel. The editor of Cheong’guyadam obviously wrote Jangsaeng Was Drifting in the Ocean When He Entered for an Examination based on Kirichongwha, but he shortened the story. He deleted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people, and only left the main event. Various conflicts were also diminished in this work. In doing so, the characteristic of this work became closer to that of a folk tale, as the editor’s interest was in popularity and conventionality. The former studies tend to value Cheong’guyadam’s progress or perfection of narrative, as they compare it with the didactic texts. However, as this paper changed the comparison target to be the text from Kirichongwha, it can be said that in some cases, Cheong’guyadam’s completion on the narrative has regressed as the editor focuses on the popularity.

      • KCI등재

        해남 대흥사 천불상 조성 설화의 현대적 재조명

        김미숙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6 南道文化硏究 Vol.0 No.31

        본 논문에서는 해남 대흥사 천불전의 불상 표류에 얽힌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여 현대 적으로 재조명해 보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풍계 현정(楓溪 賢正) 스님이 1821년 7월에 저술한 『일본 표해록』(日 本 漂海錄)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하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접한 반도형(半島 形)의 지형적 특성 때문에 해난(海難) 사고는 끊이지 않았으며, 그 과정을 담아 전하는 기록물도 적지 않은 편이다. 특히 ‘표해록’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지고 있는 해난 사고와 관련된 기록물들 가운데서도 『일본 표해록』은 현정 스님이 직접 경험한 불교 관련 주제 의 표해록이라는 점에서 흥미로운 사실이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도 정평이 나 있다. 그러므로 『일본 표해록』이 지닌 불교 기록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다양한 방면의 콘텐츠 창출을 제안하는 동시에 불교적 가치를 선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무엇보다도, 『일본 표해록』의 분량이 많다고 볼 수는 없지만, 표해 당시에 경험한 과정과 표착지의 풍물에 대해서 현정 스님은 상당히 예리하게, 또 정확히 묘사해 둔 사적인 표해록이지만, 단순한 ‘표류의 사실 기록’에 그치지 않는다. 그리고 날짜의 추이 에 따라 내용을 분리하여 쓴 것은 아니지만, 필자가 표류 일지처럼 재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종래의 비판과 달리, 『일본 표해록』이 엄밀한 시간적 흐름에 따라 잘 정리되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현정 스님이 내용 사이사이에 특별한 주제의 견문 내용을 따로 요약하여 정리해 두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이러한 표해록을 원화(原話)로 삼고 나서 그 내용을 문학적인 장르 또는 다양한 콘텐 츠로 가공 또는 재구성해 본다면, 일종의 휴먼 드라마가 완성될 것이며, 우리나라와 일 본, 두 나라를 넘나드는 문화적 비교 체험의 기회가 될 것이다. 필자는 표해록류의 기본 구성 내용만으로도 사실 그대로를 재현해 낸다면, 하나의 역사적 다큐멘터리이자 실록(實錄) 그 자체로서 역사 드라마가 되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본다. 더구나 『일본 표해록』에는 풍물과 풍토 이야기만 들어 있지 않다. 조선 후기, 한 스님이 직접 경험한 내용을 담은 유일한 표류 기록인 만큼 『일본 표해록』을 기반으로 하여 재창출한 문화적 콘텐츠는 기본적인 역사 드라마에 더하여 종교적인 색채까지 가미 되어 있다. 장면에 따라서는 매우 신이(神異)한 내용을 흥미롭게 담고 있기 때문에, 각색 하기에 따라서 다양한 재창조가 가능한 원화이자 풍부한 소재를 담고 있는 1차적 원천 자료로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높다고 본다. In this paper, a writer formulated a development scheme of diverse contents on A Record of Drifting on the Sea of Japan. Punggye Hyeonjeong, a Buddhist bhikkhu wrote A Record of Drifting on the Sea of Japan on July 1821. He put various contents about the story of a thousand statues of Buddha in Daehengsa of Haenam on A Record of Drifting on the Sea of Japan. This paper’s writer stresse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is book. This book had simultaneously the side of the Buddhist record and the record of drifting on the sea. In Korea, there are large numbers of records of drifting on the sea. Because the Korea peninsular is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there are many accidents and disasters at sea. A Record of Drifting on the Sea of Japan of Punggye Hyeonjeong is a very small sized book. But the contents of the text are recognized as good and rare. Punggye bhikkhu surpassed the others both in description and observation. He made accurate observations on the whole picture of the incident. In A Record of Drifting on the Sea, there are rich contents, that is, a lot of experience, affairs, happenings, complications, a reasonable standard of living of Japan, Buddhist cultural activities of the Japanese, and so on. All of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a source of creative evolution. We can process to make them many-sided contents. The paper’s writer came up with re-appreciation and development in modern style about the story of a thousand statues of Buddha in Daehengsa of Haenam. Analysis showed that it contained a buddhistic field, the field of humane studies, web-based contents, the field of educational work and industrial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최부 《표해록》 언해본의 이본 고찰

        이지영(Lee, Ji-young)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78

        본고는 최부(崔溥, 1370~1452)가 쓴 《표해록(漂海錄)》을 번역한 언해본 2종, 즉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표해록》과 서강대학교 로욜라도서관 소장의 《최금남 표해록》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본은 기존 연구에서 19세기 후반의 자료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 자료는 뒷면의 책력을 통해 1754년 이후에 필사된 것이 확인되므로 18세기 중반의 자료로 알려진 서강대본과 같은 시기의 자료로 보아야 한다. 두 자료는 모두 한문본의 일정과 내용을 생략하여 번역한 ‘초역본(抄譯本)’으로 알려져 있는데, 번역의 특징이 다른 부분도 있다. 우선 국립중앙도서관본은 한문본의 서술 시점을 그대로 따라 1인칭 시점의 서술을 유지하였으나, 서강대본은 3인칭 시점의 서술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본은 부분적으로 직역투 표현이 나타나는 반면, 서강대본은 한문본에 없는 내용을 부연하여 상황에 대한 설명과 묘사가 상세하다. 두 자료는 모두 18세기의 언어 양상을 보이는데, 국립중앙도서관본에 비해 서강대본이 좀 더 당대의 언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This paper performed a comparison analysis of two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 of 《Pyohaerok》 written by Choi Bu. The two translated versions examined in this paper are《Pyohaerok》 own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Choi Keum-Nam Pyohaerok》 possessed by Sogang Unversity Loyola Library. Unlike those investigated by previous research, the book in the National Library was transcribed after 1754 and the book at Sogang University was transcribed after 1736. In other words, both of the two transcripts were made in the mid-18<SUP>th</SUP> century. In addition, they were both the translation book of selected passages, which omitted the timeline and content of the original Chinese book. However, the two versions are different in that the book at the National Library book maintained the first person narrative as the Chinese version did, whereas the book at Sogang University adopted the third person mode, thereby reconstructing the original version. Furthermore, while the book at the National Library contains parts of direct translation, the book at Sogang University offers detailed explanations and descriptions of situations by adding what wasn’t in the Chinese book. The two translated versions present aspects of the Korean language of the 18<SUP>th</SUP> century, and the book at Sogang University reflects the language of the time more actively than the one at the National Library.

      • KCI등재

        팬데믹 시대 무장애 전시 콘텐츠 및 서비스에 관한 사례 연구 -「아시아의 표해록」전을 중심으로

        안재연 ( Jaeyeon A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시대 강화된 디지털과 온라인 기반 전시에서 무장애(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아시아의 표해록(漂海錄)」(2019; 2020) 전시에서 시도되었던 무장애 전시 콘텐츠와 서비스이다. 연구방법은 크게 무장애 전시 공간 및 콘텐츠 제작과, 무장애 서비스 둘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점자 체험존을 도입하여 시각장애인의 전시 감상을 도왔다. 둘째, 평면 2D 회화인 「범사도(泛槎圖)」를 디지털 동영상으로 제작, 공감각적인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셋째, 점자 리플렛과 도록 제작, 수어 전시해설 동영상 및 VR 영상 배포, 장애인 관람 서비스, 촉각형 배 모형과 책갈피 문화상품 개발, 오디오북 제작 등과 같은 무장애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표해록」전이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장애인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향후 배리어 프리 전시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는 한 사례로 제시하였다. 제언은 첫째, 디지털 매체와 문화의 융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배리어 프리 전시의 개발 필요성이다. 둘째, 무장애 상호작용성(barrier-free interactivity)에 기반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확장과 재정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arrier-free services in enhanced digital and online-based exhibitions in the pandemic er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barrier-free exhibition content and services that were attempted in the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 (2019; 2020). The research method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barrier-free exhibition zone and content production, and barrier-free servic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Braille experience zone helped the visually impaired to appreciate the exhibition. Second, a flat 2D painting, Beomsado (The Drifting Boat), was produced as a digital video to help the synesthetic appreciation. Third, barrier-free services such as production of Braille leaflets and catalogs, an distribution exhibition videos in sign language and VR video, viewing services for the disabled, tactile ship models and bookmarks, and audio book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tudy, Asian Drifting Records was presented as an example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barrier-free exhibitions by activel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and interacting with the disabled. Overall, two conclusion are suggested; first, the need to develop a new barrier-free exhibition that actively reflects the convergence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redefine barrier-free services based on barrier-free interactivity.

      • KCI등재

        한국 표해록의 종류와 특징

        정성일(Chung, Sungil)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2 島嶼文化 Vol.0 No.40

        바다에서 표류를 당한 사람들의 경험을 적어 놓은 漂海錄은 근대 이전 동아시아 국가나 지역 간 교류의 역사를 분석하는 소재가 될 수 있다. ‘한국 표해록’은 그것을 지은이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표류 당사자가 직접 지은 것, 표류민을 조사한 정부 당국자가 남긴 것, 그리고 제3자가 다른 사람의 표류 경험을 듣고 저술한 것 등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 표류한 지역이나 국가를 기준으로 보면, 중국, 일본, 琉球, 대만, 安南(베트남) 표해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미 발견된 표해록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함께, 앞으로 표해록이 새롭게 발굴된다면, 동아시아 해역사 연구도 더욱 풍부해 질 것으로 생각한다. A record of the experiences of castaways drifting in an East Asian sea can be used for analyzing the history among countries and areas in East Asia during the pre-modern period. Korean records of castaways, classified by the writers of these texts, may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 records written by those experienced at drifting at sea, those written by officials ordered to investigate the castaways, and those written by a third party who heard from one or more castaways about their experiences. There also are various records of Koreans whose ships reached China, Japan, Ryukyu, Taiwan, or Vietnam when classifying these records by countries and by the areas to which these people drifted. Newly discovered records, together with new interpretations of the records of castaways, will likely be plentiful in research on maritime history and the history of interaction in East Asia.

      • KCI등재

        유희춘이 판각을 주도한 서적에 관한 연구

        배현숙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3

        본고는 조선조 중기의 관료이며 학자인 미암 유희춘의 일기를 통해 당시 서적 간행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암 유희춘은 만년에 관직생활을 하면서 일기를 남겼으니 이 $\boxDr$미암일기$\boxUl$에 일상의 일이 매우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서적, 가정사까지도 알 수 있다. 본고는 이 일기를 통해 미암의 서적과 관련된 여러 일 가운데 미암이 주도적으로 간행하려고 노력한 서적을 밝혔다. 아울러 당시에 편성된 책판목록에 수록되었는지의 여부도 확인하였다. 미암이 개인적으로 간행하고자 한 서적은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외조부 금남 최부의 문집인 $\boxDr$금남집$\boxUl$과 중국기행문인 $\boxDr$표해록$\boxUl$이다. 다른 하나는 아동용 도서로 문해용의 $\boxDr$신증류합$\boxUl$과 도덕교육용의 $\boxDr$속몽구$\boxUl$이다. 이들 서적을 인출하기 위해 판각한 당시의 책판은 당대의 책판목록에 수록되어 있어야한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 누락되어 있다. $\boxDr$미암일기$\boxUl$를 통해 책판목록에 누락된 서적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boxDr$미암일기$\boxUl$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woodblocks which were engraved in the providences in the mid Chosun dynasty, especially ones engraved under the auspices of Yu Heui-chun(柳希春), but not listed in $\boxDr$Kosachwalyo 攷事撮要$\boxUl$. This could be done by the analyzing $\boxDr$The Diary of Miam 眉巖日記$\boxUl$ written by Yu Heui-chun. It is a book which recorded daily life of eminent scholar and official covering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books and family matters.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books published under the auspices of Yu Heui-chun. One is the books written by his grandfather in law, Choi Bu(崔溥), which were $\boxDr$Keumnamjip 錦南集$\boxUl$ collective works of Choi Bu, and $\boxDr$Pyohaerog 漂海錄$\boxUl$, essays on travelling across China. The other is the books for children, $\boxDr$Sinjeung Yuhap 新增類合$\boxUl$ for teaching characters and $\boxDr$Sog Mong-gu 續蒙求$\boxUl$ for moral education. These woodblocks have to enlisted in the woodblock catalogs.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of these woodblocks by Yu Heui-chun were not recorded in either of two $\boxDr$Kosachwalyo 攷事撮要$\boxUl$ editions published in 1575 and 1585. In this respect, $\boxDr$The Diary of Miam$\boxUl$ proved itself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bibliography studies.

      • KCI등재

        모빌리티 렌즈로 바라본 최부의『표해록』

        정은혜 ( Choung Eun-hy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2

        중국의 3대 여행기로,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東方見聞錄)』,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그리고 최부의 『표해록(漂海錄)』이 꼽힌다. 이 중에서도 최부의『표해록』은 그 기록적 가치가 지니는 시간과 공간의 구체성으로 인해, ‘당대 사회를 연구하는 참고 자료로서의 가치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표해록』은 조선 성종 때의 문신으로서 제주에서 추쇄경차관(推刷敬差官)으로 재직하던 최부가 일기체로 쓴 중국 견문기로, 1488년 1월 제주도에서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가 중국의 강남(江南)지방에 표착한 후 북경까지 갔다가 조선으로 돌아온 6개월(136일)간의 이동 과정을 생생하게 정리한 문헌으로서, 15세기 명나라의 실정을 사실적으로 세밀하게 묘사한 중국 견문록이자 표류기이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의『표해록』이 갖는 이러한 이동 과정에 대한 서술이 현대로 와서 모빌리티의 렌즈(mobility lens)로 바라볼 수 있음에 의의를 둔다. 모빌리티(mobility)는 인간, 사물 및 정보의 이동(movement)을 강조하는 것으로, 단순한 이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에 내재한 다양한 관계들의 의미와 실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다. 즉, 모빌리티는 전통적으로 지리학이 말하는 이동의 개념과 유사하지만 이동에 관계의 의미가 부가되는 점이 다른데, 모빌리티는 이동할 능력, 이동하는 대상, 이동에 내재하는 사회적인 위치성(계급), 그리고 이동에 의한 지리적 변화를 내포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그런 의미에서 모빌리티 렌즈는 이동의 지리적 경계 및 거리, 이동하는 주체의 위치성, 이동과 관련된 권력과 정치에 관심을 가지며, 이동과 관련된 관계를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또한 모빌리티 렌즈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현재의 사회를 변화와 생성의 관계로 이해하는 관점으로서, 지역과 장소의 의미는 미리 존재하는 것이라기보다 모빌리티에 의해 만들어지고 변화하는 것으로 보고, 결국 지역과 장소가 갖는 고유성이 중요하다고 해석한다. 『표해록』의 경우, 첫째, 조선과 중국 명나라의 지리적 경계와 거리가 명시되고 지역적 정보가 자세히 기술되어있다는 점, 둘째, 이동하는 주체인 최부가 중앙관직인 추쇄경차관이라는 직함(위치성)으로 42명의 일행을 거느리고 표류(이동)의 과정을 거쳤다는 점, 마지막으로, 표착하게 된 명나라의 정치 및 경제, 그리고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서술한 정보들이 현재에도 영향력을 가지고 이어지고 있다는 점 등에서 모빌리티 렌즈를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무엇보다 모빌리티 렌즈로 바라본 최부의『표해록』은 그 구성과 내용을 통해, 중국 명나라의 사회적 상황, 정치와 군사, 경제와 교통, 숙식, 문화(복색, 인심, 교육, 상례, 풍속과 민속 등), 신분(계급, 여성), 풍정, 유적과 건물, 천연지세와 기후변화 등의 정보를 기행문의 형태로 상세히 기록해 놓음으로써 현재까지 당시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본고는 경제, 신분, 문화에 관한 정보에 집중하여 이들 내용이 보다 인문지리학적이고 모빌리티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렇게 조선에서 중국으로의 이동과정 속에 겪은 그의 타국체험은, 같은 문명권 안에 살면서도 서로 고립되어 살던 사람들이 다양한 층위에서 만나는 상호체험으로서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져 내려오는 중요한 정보의 기록이자 여행기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한된 분량으로 인해 본 연구에서『표해록』의 그 많은 정보를 다 서술할 수는 없었음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러나 15세기의 중국 여행기를 모빌리티 렌즈라는 현대적 개념으로 재해석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음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향후 최부의 『표해록』이 가진 의미에 대한 현대적인 이해가 모빌리티 렌즈와 더불어 더욱 새롭게 조명되길 기대한다. The three most famous travelogues of China include『the Travel of Marco Polo』,『Ennin’ s Pilgrimage to Tang China』 and『Pyohaerok written by Choi Boo』. Among those,『Pyohaerok of Choi Boo』 has been highly appreciated for its concrete description in time and space and therefore its high values as a records whi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study the society of the times.『Pyohaerok』 was written by Choi Boo in a journal style, who was a civil servant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of the Joseon Dynasty as a Directorate for inspection of slaves in Jeju. He encountered a storm in Jeju in January, 1488 and drifted away to Jiangnan, China. His travelogue to China vividly describes his six-months (136 days) journey from Beijing and back to his home country, Joseon.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description of course of movement Choi Boo had taken in Pyohaerok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viewed as mobility lens in the modern times. Mobility emphasizes movement of people, objects and information and means significances and practices of diverse inherent relations as a new concept beyond a movement itself. That is, traditionally, mobility is more about geography but today it has an added meaning of relations. Therefore, mobility can be defined as a concept which includes the ability to move, the subject of movement, social position(class) inherent in movement and geographical change caused by movement. In that sense, mobility lens looks into geographical boundary and distance of movement, position of the moving subjects and powers and political relations regarding movement and mainly analyzes movement-related relations. In addition, viewing from the mobility lens the societ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can be understood as the relations of changes and creations, therefore, regions and spaces could develop and change their meanings thanks to mobility rather than did exist in itself already. In the end, their originalities have been interpreted to be matter the most. Mobility lens has been applied to Pyohaerok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geographical boundaries and distance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and their characteristic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Secondly, the subject of movement, Choi Boo who were the Directorate for inspection of slaves and who hold a central governmental position took the course of movement along with 42 men under his command. Lastly, the information given in the travelogue regarding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of his drift destination, the Ming Dynasty, is still valid in the present day. Above all, Pyohaerok of Choi Boo viewed from mobility lens became a valuable materials to understand the Ming Dynasty in terms of its structure and contents as it kept the detailed records of social status, politics and army, economy and transportation, accommodations, culture (clothing, social atmosphere, education, commercial practices, customs and folklore, etc.), landscape, historic relics and construction, social position (class and female status), natural topography and climate change, etc. Among them, this paper interprets that its focus on economy, class and culture makes the travelogue more human geographical and mobility-related. His journey from Joseon to China and foreign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movement is considered to be a mutual experiences that people of different ladders from the same cultural zone who had lived separately finally met and to be a valuable records of information that passed dow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Meanwhile, it is regrettable that more information of Pyohaerok cannot be shared in the research due to limited space. However, it has significance that the 15th century travelogue to China was re-interpreted and analyzed from the modern mobility lens concept. I hope to see more lights to be shed on the modern understanding of significance Choi Boo’s Pyohaerok has and also on mobility lens further.

      • KCI등재

        崔溥의 《漂海錄》에 나타난 敍事樣相과 文明意識

        李九義(Lee, ku-eui)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7 No.-

        필자는 금남(錦南) 최부(崔溥)가 지은 《표해록》에 나타난 서사양상(敍事樣相)과 문명의식(文明意識)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본고를 집필하였다. 《표해록》의 서사 양상은, 첫째 일기체(日記體)의 전개방식이다. 곧 보고문의 양식이다. 둘째 이 《표해록》의 서술 방식 가운데 또 하나의 특징은 시간적 순차에 따른 사건 중심의 서술 방식이다. 셋째 이 《표해록》은 간접 대화방식을 택하였다. 넷째 간결체의 결구방식(結句方式)이다. 《표해록》에 나타난 문명의식(文明意識)은, 첫째 아체타용(我體他用)의 동인의식(東人意識)이다. 금남은 주체의식을 가지고 중국 사람과 교류하였다. 둘째 학자(學者)로서의 선민의식(選民意識)이다. 그가 선민의식을 가지게 된 배경에는 그의 학문이 해박한 데 있었다. 셋째 관리(官吏)로서 정명의식(正名意識)이다. 그가 관리로서 자신의 책무를 다하려고 노력하였다. 《표해록》이 가지는 문학・역사・철학・지리・경제・사회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남(錦南)의 《표해록》은 우리나라 표류기(漂流記)의 처음이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금남의 《표해록》을 통하여 나라와 나라 사이 문명의 소통을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이 《표해록》은 이보다 180년 뒤에 나온 하멜의 《표류기》에 나타나는 정신과 행동 면에서 대조적이다. 넷째 이를 통하여 당대의 학자와 관리들의 위계질서를 알 수 있다. 다섯째 최부(崔溥)라는 한 사람의 행적을 통하여 당대 학자 또는 관리들의 관심사(關心事)와 지향점(志向點)이 무엇인가를 이해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A Record of Drifting across the Sea, which is written by GeumNam(錦南) ChoiBu"s(崔溥: 1454~1504) is linked with his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features.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tyles of this work are, firstly it’s discovery has a diary style. Secondly, it’s built up centering around the occurrence. Thirdly, it has a style of indirect communication. Lastly, it is written in a concise and clear language. The realms of civilians of this work’s asserted or involved have several features. Those are; Firstly, it is the national identity which named a consciousness of the East People. Secondly, the culture back then in the Chosen Dynasty was cultivated by Confucian school of thoughts, which influenced the civilians in that era including Choi-Bu. He speculated his thesis based on extensive knowledge on this work. Finally, his moral justifications which contributed to shape his consciousness. The work of ChoiBu has noticeable features with regards to literal, historical, philosophical, economic and social perspectives. Firstly, his work was the first piece of A Record of drifting across the sea in the Korean peninsula. Secondly, with this work, it allows us to grasp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Chosen properly. Thirdly, this work has several distinguishing features compared to Hamel’s view on his work. Finally, through this article, it is able to acknowledge the concerns or interests of scholars in that time.

      • KCI등재

        『표해록(漂海錄)』과 『승차록(乘蹉錄)』에 나타난 산동(山東) 인식의 비교

        손지수 ( Ji Si Su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4 No.-

        본고에서는 崔溥의 .漂海錄.과 崔斗燦의 .乘.錄.에 나타나는 두 저자의 산동 인식을 각각의 시대 별로 살펴보았다. 중국 당나라와 원나라는 국제화 정책을 시행하여 많은 유학생을 수 용했다, 그러나 명나라 건국 이후에는 쇄국정책을 실시하여 유학생 수 용을 금지했다. 이로 인해 조선의 선비들은 중국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 가 줄었고, 대체로 책을 통해서 중국을 체험하게 되었다. 명.청 시기, 조선에서 공식적으로 파견한 사신들은 중국에 관한 기록을 남겼으나, 사신의 신분으로는 북경 이남 지역의 경험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북경 이외의 지역에 대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비공식적인 漂流人 의 경우 북경 이남 지역을 경험하고 기록을 남기기도 했는데, 그 가운데 崔溥와 崔斗燦의 저작이 가장 대표적이다. 崔溥와 崔斗燦은 표류인의 자격으로 북경 이외의 지역을 경험했으며 이러한 경험이 담겨 있는 .漂海錄.과 .乘.錄.은 연구 자료로서 중요성을 띤다. 성종 연간에 관인 崔溥 일행은 제주도 앞바다에서 태풍을 만나 표류 하게 되었다. 그리고 순조 연간, 장인인 제주 대정현감 金仁澤의 요청으로 제주도로 떠난 崔斗燦은 1년 후 귀향길에서 큰 풍랑을 만나 표류하 게 되었다. 성종 17년(1486) 중국에 표류한 崔溥를 이어, 崔斗燦은 300여년 후인 순조 18년(1818) 중국에 표류했다. 두 시기 모두 조선 왕조는 이어지고 있었지만, 중국은 왕조가 바뀐 완전히 다른 시대였다. 같은 지역이라 하더라도 다른 시대 배경 아래서 겪는 체험과 감상은 다를 수밖에 없었다. 두 시대의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의 차이 등 다양 한 면에서 동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으로 崔溥는 조선 시대의 관인 으로서 어명을 받아 .漂海錄.을 작성한 것에 반해, 崔斗燦은 자신의 취미대로 .乘.錄.을 기록했다. 이러한 점 역시 두 텍스트의 차이를 야기했다. 崔溥는 매우 상세하고도 다양한 범위의 내용을 기록했으나, 집필의 의무가 없었던 崔斗燦의 텍스트에는 감정의 표출의 기록과 詩 歌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This study analyzed two authors`` experience in Shandong, represented by their works『漂海錄』 by 崔溥 and『乘蹉錄』by 崔斗燦, according to the era they lived in. The Tang and Yuan dynasties of China had open international policies and accepted many students studying abroad from foreign regions. The establishment of Ming dynasty and adoption of isolationist policy, however, led to abolishment of foreign students. Thus, scholars of Chosun had few opportunities to have experience in China, and resorted to learning about the country through books. In Ming/Qin dynasties, official ambassadors sent from Chosun left records of China, but their access as ambassadors prohibited travel south of Beijing. Therefore, records describing regions outside Beijing are sparse. Yet, unofficial 漂流人 were able to access regions south of Beijing and make records, the most representative of which are works by 崔溥 and 崔斗燦. These authors were able to experience regions outside Beijing as drifters, and 『漂海錄』and 『乘 蹉錄』, which depict their experiences, have significance as important primary sources for research. 崔溥, an official from Seong-Jong``s rule, encountered a typhoon in the seas near Jeju and became a drifter. 崔斗燦, who left for Jeju bythe request of his father in law 金仁澤 - a governor of DaeJung in Jeju, also encountered a big typhoon on his return journey and became a drifter. 崔溥 grounded on Chinese shore in 1486, 17th yearofSeong-Jong``srule,and崔斗燦 grounded 300 years later on 1818, 18th year of Sun-Jo``s rule. While Chosun dynasty had endured through both periods, China had experienced a transition into a completely different dynasty. Thus the experience of living in a different era and rule, even though the physical geography remained the same, had to be changed significantly. With the works,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an be found between the two eras in a range of topics such as national economy and civilian living standards. While崔溥, as an official from Chosun, received royal command to record his experience in 『漂海錄』, 崔斗燦 recorded 『乘 蹉錄』at his own leisure. This contextual difference of the two records con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ir content: 『漂海錄』covers a wide range of topics in meticulous detail, but 『乘蹉錄』, in which the author had no obligations, often contains records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詩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