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존재사건과 이미지

        송종인(Jong-in S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전통적인 서구 형이상학에서 혼돈이란 질서가 부여되기 이전의 무규정적인 상태로 이해했다. 혼돈은 질서를 통해 규정되고 밝혀져야 할 무엇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런데 『장자(莊子)』 내편의 마지막에 나오는 한 우화는 우리에게 이러한 구도에 대해 새롭게 생각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두 임금으로 의인화된 ‘나타남’과 ‘사라짐’이 혼돈의 땅에서 만나 융숭한 대접을 받고 이에 감사하여 혼돈에게 7일에 걸쳐 7개의 구멍을 뚫어주었더니 혼돈이 죽고 말았다는 이 우화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해석의 가능성을 준다. ‘나타남’과‘사라짐’이라는 ‘존재사건’이 혼돈이라는 토대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과 바로 이‘존재사건’이 혼돈을 질서로 바꾸는 힘이라는 것, 그리고 질서는 혼돈에 무엇인가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덜어낸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나타남’과 ‘사라짐’이 혼돈에게 뚫어주는 7개의 구멍은 ‘존재사건’이 신체의 7개의 감각기관을 통해 나타나며, 이것은 인간의 지각과 의식, 그리고 인식작용 일반을 의미한다. 그런데 현대 뇌과학의 성과에 따르자면 외부의 자극은 우리에게 내적 인상으로 주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내적 인상은 단순 인상들로 환원될 수 없는 ‘미리 앞서’ 종합되어 의식에 통째로 주어지는 복합 인상이다. 이런 점에서 ‘나타남’과 ‘사라짐’이라는 존재사건은 바로 이 ‘이미지’의 사건이며, 이미지를 구성하는 능력으로서 상상력은 인식의 가장 근본적인 능력인 셈이다. 전통적으로 서구철학은 이미지를 실재의 부재라는 부정적인 방식으로 이해했으며, 상상력은 오류 생산의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이미지’가 우리의 의식에 주어지는 최초의 질료라면, 이러한 구도는 역전된다. 실재는 이미지 보다 존재적으로 선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들을 어떤 방향에 따라 다루는가에 나타나는 간접적인 부산물이다. 이미지는 신체를 구성하는 동시에 외부 세계를 이루는 물질계와 우리들의 관념을 구성하며 내적 세계들을 추상하는 정신계라는 두 방향으로 분기되면서 외적 실재와 내적 실재로 구현된다. 이미지의 두 방향으로의 분기는 학적 체계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실재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진리라는 전통적인 정의를 고려한다면, 우리에게 진리는 외적 실재와 내적 실재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전자는 신체에서 물질계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형이하학이라 명명할 수 있으며, 후자는 우리의 정신으로 파고 들어간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과학과 철학이라는 학적 체계로 분기되며, 전자는 물질을 다루고 후자는 관념을 다루어왔다. 그렇지만 이들은 실천이라는 방식을 통해서 늘 이전의 진리였던 것을 해체하고, 새롭게 진리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결론적으로 우리에게 최초로 주어지는 존재사건으로서 이미지는 우리를 얽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질서를 통해 이전과는 다른 실재, 진리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두 방향 중 어느 방향에서라도 인간의 탐구가 중단되지 않고 항상 진행 중에 있는 것은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이러한 끊임없는 탐구를 통해 우리는 양 쪽 방향 모두로 더 나아갈 수 있게 되었으며, 더 많은 진리들을 찾게 되었다. 이것은 우리의 운신의 폭을 더욱 넓게 하였고, 우리는 이것을 자유라 말할 수 있다. 이는 지금의 우리가 그리고 앞으로의 우리가 더욱 많은 진리들 속에서 더 넓은 범위를 운신할 수 있는 자유를 얻게 됨을 의미한다. 질서가 혼돈에 무엇인가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덜어내는 작업의 산물이라는 것은 혼돈이 이미 다양한 질서들의 복합체임을 말하기 때문이다. The Chaos, in traditional Western Metaphysics, has been understood as the codeless condition before the order granted. The Chaos has been considered somewhat to be proved and coded by the order. However a fable in Chuang-tzu give us a clue to understand this structure in different way. Two kings, personific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who met Chaos inChaos's land and were warmly hosted, dig 7 holes during 7 days in Chaos land as a reward of its hospitality, then Chaos was dead. This fable gave us the possibility of the following new interpretations. The Event of Existence, represented by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can be occurred on the base of Chaos, this Event of Existence is the power of change, from Chaos to Code, and Code is the result of deduct somewhat from chaos not add somewhat to Chaos. The seven holes, dig by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for Chaos, means that Event of Existence has been occurred through seven sensory organs of human body, and this means Perception and Awareness of human being, as well as general cogni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modern Brain science the external stimulus give us internal impression. And this internal impression is a complex impression given as a whole to Awareness, can not be converted into simple impression, by generalized in advance. From this point Event of Existence, by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is the event of Image, and the imagination power, as the capability of consisting Image, is the most fundamental capability of perception. Image, traditionally in Western Philosophy, has been understood in negative way, as of the absence of existence, and Imagination power has been regarded as having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fallacy. But, if Image is the first substance given to our perception, this hypothesis should be reversed. The existence is not the one existing prior to Image, but simply an indirect byproduct of processing Images in different ways. Image has been split into two directions, the material world, consisting physical body and external world, and mental world, consisting human conception and abstracting internal world, and embodied as external existence and internal existence. This split of Image into two directions can be applied into study system. Considering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truth, the right perception of existence, the truth can create problems to perceive external existence and internal existence properly. The former one can be named as Concrete science, by directing from body to physical world, and the later one can be named as Metaphysics, by directing into the mentality of human. These are split into Science and Philosophy in Study system, the former one handles material world, and the later one concepts. However these two are identical in destructing the existing truth and restructuring the new truth by the way of practice. In conclusion, Image, given to us as the first Event of Existence, is not binding us, but can make us to constructing different truth and existence through new code. the main reason of continuing the research of human at least from one direction, between two directions, is because of this. Through this endless research human can go forward into two directions, and the more truth have been found. this result give human wider range of movement, and this can be called as freedom. this means that from now on human can have the freedom of wider range of movement from the more truth. The code is not add somewhat on chaos, but the result of deducting somewhat, as Chaos is already a complicated structure of various codes.

      • KCI등재후보

        道家哲學의 混沌과 昏亂

        김현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문화 Vol.0 No.12

        'Hun-Dun(混沌)’ translates as Chaos. But chaos has no meaning of disorder in ancient Greek. Hesiod says that 'The very first of all Chaos came into being’ in Theogony. It is the first state of the universe which chaos clearly means ‘gaping void’ or 'chasm'. And ‘Hun-Dun(混沌)’ has no negative meaning in Philosophical Taoism. Lao-tzu asserted 'Hun(混)' of Tao as the origin of this university. Also 'Hun(混)' describes inseparable distinctiveness of shapelessness. Moreover, it is the first time that Chuang-tzu expressed a concept of 'Hun-Dun(混沌)’. And a concept of 'Hun-Dun(混沌)’ in Chuang-tzu is one and the same meaning as a concept of 'Hun(混)' in Lao-tzu. Therefore, both have a lot of positive meanings in their philosophy. The other side, they suggests a concept of 'Hun-Luan(昏亂)‘ that has no negative meaning as disorder. In these points, 'Hun-Dun(混沌)’ and 'Hun-Luan(昏亂)‘ have entirely a different meaning. ‘혼돈[(混沌; Chaos)]’은 신화에 내재된 철학적 사유의 단초를 드러냄과 동시에 고대의 철학에 보존된 신화적 사유의 흔적 또한 찾을 수 있는 대표적 개념이다. ‘혼돈’이 ‘혼란’과 같은 의미, 즉 ‘무질서’의 뜻으로 부정적으로 이해되고 사용되는 것은 혼돈 개념이 지닌 긍정적 가치에 대한 심각한 왜곡이며, 그러한 왜곡은 섞여 있는 것을 어지럽고 무질서한 것과 동일시하게 만드는 문제점도 지니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서 신들의 계보 정점에 제시되는 존재는 신이 아닌 ‘카오스(Χάος)’였다. 그가 언급한 카오스는 크게 벌어진 틈, 즉 허공(虛空)을 뜻하였으며, 세계 최초의 존재 상태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그 안에 ‘무질서’의 의미는 전혀 없었다. ‘혼돈(混沌)’ 개념을 직접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이후 장자가 그것을 확정하여 사용하도록 사상적 단초를 마련한 인물은 노자였다. 그는 비록 ‘혼돈’ 개념을 확정하여 사용하지는 않았으나, 그 긍정적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는 그의 철학 속에서 모두 드러내고 있다. 특히 『노자』에서 ‘混’과 ‘沌’은 가장 핵심적 개념인 ‘道’ 혹은 體道者인 聖人과 관련하여 “형체가 없어 이것저것 자체로 한정할 수 없으면서 구분되지 않는 존재나 그러한 상태”로 제시됨으로써 긍정적 의미만이 아니라, 완전성의 의미 또한 충분히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노자는 현실 세계의 무질서에 대해서는 ‘昏亂’ 개념을 통해 ‘混沌’과는 다른 부정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즉 ‘昏亂’은 “형체가 없어 이것저것 자체로 한정할 수 없으면서 구분되지 않는 존재나 그러한 상태”와 관련된 무질서를 의미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노자는 ‘混沌’과 ‘昏亂’을 전혀 다른 영역에 적용하고 있다. 장자는 ‘混沌’을 확정하여 사용하고 있기도 하지만, 진실로 그의 철학은 ‘나누어짐이 없는’ 혹은 ‘나눌 수 없는’ 세계의 참모습과 그에 대한 앎을 드러내는 데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장자의 철학에서 混沌은 ‘진실 존재[實在]’로서의 세계인 道가 나누어짐이 없는 ‘하나[一]’임을 드러낸다. 「소요유」에서 읽어낼 수 있는 ‘小大之辨’ 가운데 ‘큼[大]’에 해당하는 내용이나 「제물론」에서 강력하게 제시되는 ‘齊物’한 세계는 모두 ‘나누어짐이 없는’ 혹은 ‘나눌 수 없는’ 無限定性을 기반으로 하는 無封의 세계와 깊이 연관을 맺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라, 그가 제시한 ‘無用之大用’, “萬物與我爲一.”이나 “道通爲一.”도 같은 맥락 속에 있기에, 장자의 철학에서 혼돈 개념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비록 장자가 道에 대해 애초에 ‘나누어짐[封域]’이 있지 않은 것으로 언급하지만, 그의 道가 無差別 혹은 無分別의 정신 경지만을 가리킨다고 볼 수는 없다. 그가 제시하고 있는 道는 궁극적 근원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자의 混沌한 道는 ‘나누어짐이 없는[無封]’ 무차별․무분별의 혼돈한 ‘진실 존재[實在]’로서의 세계를 뜻한다.

      • KCI등재

        癸未使行時의 筆談唱和와 大阪의 混沌社

        김성진(Kim, Sung-Ji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4 No.-

        본 논문은 계미사행시의 한일양국간 필담창화가 混沌社라는 關西지역 詩社의 창립과 융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계미사행이 混沌社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자 하면서도 이에 앞서 木村巽齋(=木世肅, 木孔恭)와 ??堂會에 대해 언급한 것은 ??堂會가 混沌社의 모체가 되었고, ??堂會를 이끈 木村巽齋가 片山北海(=片猷)와 함께 混沌社의 흐름을 주도했음을 고려한 때문이다. 계미사행 이전은 물론 계미사행의 귀국 이후에도 국내의 어떤 문헌에도 混沌社를 언급한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반해 木村巽齋와 ??堂會에 대해서는 계미사행의 문사들과 이들과 교유했던 박지원과 이덕무 등의 문집에 비교적 상세히 언급되어 있다. 이는 계미사행 이후로는 江戶로 가는 통신사행이 단절되었으므로 조선의 지식인들이 關西지역 지식인들의 동향을 접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계미사행시 大阪객관에서 필담창화를 나눈 ??堂會의 멤버들이 그대로 混沌社의 창립을 주도하고 이끌었기 때문에 양자간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본 논문에서는 계미사행이 귀국한 지 2년이 지난 1766년 5월에 木村巽齋등이 ‘전례 없이’ 對馬島와 倭館을 거쳐 詩札을 보내온 것에 주목하면서, 이는 ??堂會가 발전적으로 해체된 후 混沌社로 출범하게 된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이러한 추정을 구체적으로 입증해보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 筑常과 木村巽齋등이 1766년 5월 南玉등에게 ‘전례없이’ 詩札을 보내온 사실에 주목한 것은 이 때문이다. 계미사행의 문사들과 ??堂會의 멤버들은 모두 학문적으로 程朱學을 존숭하고 ?徠學에 비판적이었다는데 공통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학문적, 사상적인 동질감은 이들로 하여금 필담창화를 통한 문학적 교유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하였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堂會의 발 전적 해체와 混沌社의 창립이 이루어지게 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계미사행시 남옥등과의 필담창화와 교유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那波師曾은 물론 柴野栗山, 尾藤二洲, 古賀精里등이 모두 程朱學을 존숭하고 ?徠學에 비판적이었고 이들에 의해 이른바 ‘寬政의 學制改革’이 이루어졌음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混沌社의 창립은 물론, 混沌社의 멤버였던 柴野栗山, 尾藤二洲, 古賀精里등에 의해 주도된 ‘寬政의 學制改革’ 역시 넓은 의미로 볼 때, 계미사행시의 필담창화를 통한 양국문사간의 문학적 교유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았다. ??堂會의 주축이 된 인사들이 程朱學을 존숭해왔기 때문에 역시 程朱學을 존숭하는 계미사행단과의 접촉에 적극적이었는지, 아니면 계미사행단과의 접촉이 ?徠學을 비판하고 程朱學을 존숭하는 경향을 강화시킨 것인지를 명확하게 밝히지 못한 것은 본 논문의 한계인 동시에 앞 으로 밝혀내야 할 주요한 과제이다.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riters during the Kyemi Visit(癸未使行), the Korean envoy's visit in the year of Kyemi(1763~1764), had an influence over the establishment and prosperity of Kondon-sya(混沌社), an association of literary persons in the region of Knsai(關西). In spite of this paper's dealing with the influence of the Kyeme Visit on Kondon-sya, Kimura-sonsai(木村巽齋) and Kenkado(??堂)-Society were mentioned beforehand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Kenkado-Society was the parent of Kondon-sya and that Kimura-sonsai, who was the leading exponent of Kenkado- Society, led the trend of Kondon-sya with Katayama Hokkai(片山北海). Kondon-sya was not found in any domestic literature before and after the Kyemi Visit. However, Kimura-sonsai and Kenkado Society were relatively detailed in the literary collections of Park Giwon(朴趾源), Lee Dukmoo(李德懋)etc., who corresponded with the writers of the Kyemi Visit. It was not only because Korean intellects had no more chance to get in contact with those from the region of Kansai as the envoy visit to Edo ended after the Kyemi Visit, but also because Korean visitors did not notice any difference between Kenkado Society and Kondon-sya as the members of Kenkado Society who shared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at the inn of Osaka during the Kyemi Visit led the establishment of Kondon-sya. This study tries to prove this assumption,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Kimura-sonsai and his fellows sent some poetic writings ‘unprecedently’ through Sushima(對馬島) and Oyekwan(倭館), and considering that it had something to do with Kenkado Society's developmental disorganization and its launching Kondon-sya. That is w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Kenjou(顯常) and Kimura-sonsai sent poetic letters to Nam Ok(南玉) ‘unprecedently’ in May, 1766. The writers of the Kyemi Visit and the members of Kenkado Society shared the same respect toward the Jungjoo School(程朱學) and the same criticism toward the Syourai School(?徠學). This study shows that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sameness spurred them to enter positively into literary exchanges by writing conversations, which eventually gave influence to the developmental disorganization of Kenkado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Kondon-sya. It is already known that Shibanorithuzan(柴野栗山), Bitoujishu(尾藤 二洲), Kogaseiri(古賀精里), etc were all respectful to the Jungjoo School and critical of the Syourai School, and led the Kansei(寬政) reform of the educational system, not to mention Naharoudo(那波魯堂), who participated most actively in the writing conversation and literary correspondence with Nam Ok during the Kyemi Visit. This study has yet to clarify whether the leading exponents of Kenkado Society communicated positively with the writers of the Kyemi Visit out of the same respect toward the Jungjoo School, or their contact with the writers of the Kyemi Visit escalated their criticism toward the Shourai School and their respect toward the Jungjoo School. It is not only the limitation in this study but also an important task to call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우주개벽신화 속 혼돈과 빅뱅이론의 유사성

        김홍겸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3 No.-

        신화에는 문자가 생겨나 역사가 기록되기 오래전부터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아주 오래된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화를 통해 세계의 문학과 철학 그리고 종교의 근간을 탐구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신화에 내재된 이야기들이 표면적으로는 비과학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화를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허황된’ 이야기들의 나열이라고 여긴다. 이것은 아직까지 신화에 담겨져 있는 내용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나 신화학과 과학의 학제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생성된 편견과 오해이다. 우주만물은 혼돈과 같은 카오스의 상태를 지나 빅뱅의 순간을 거쳐 우주 대폭발과 같은 순간적 충격에 의해서 반고가 알을 깨고 나오면서 음과 양의 기운이 외부로 방출된 것처럼, 우주가 팽창을 하게 된다. 빅뱅에서 결국 어느 시점, 반고신화에서 말하는 1만8천 년 후에는 지구와 같은 별이 생성되고 천지만물이 생겨나며 이후 인류가 출현하게 된다. 즉, 신화의 내용은 황당무계한 허구의 사실만을 나열한 것은 아니라 인류가 당시의 지식수준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자연 현상이나 사물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지혜의 총체이다. 신화는 일상적인 문학작품이 아니라 한 민족 정신문화의 유아기에서 아동기를 거치며 인간으로써 불가항력적인 환경과 그로 인해 직면해야 했던 운명적 상황에 대한 나름대로의 설명을 정리해 놓은 기록물이다. 따라서 신화를 원시인류가 기본적으로 당시의 모든 지식을 총동원하여 개별적인 사물과 현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만들어낸 해답임을 인지하고, 중국 문헌 속에 나타난 창세와 관련된 ‘혼돈’의 의미와 현대과학을 통해 밝혀지고 있는 우주의 신비를 살펴보는 노력은, 신화의 창작 원리(상상력 또는 신화사유)를 찾아내고, 나아가 과거 인류가 가지고 있던 지혜를 통해 우리가 찾지 못하는 우주와 자연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 탐구의 단초를 제공받게 될 것이라고 본다. 人類生來就有了好奇心, 就有求知的欲望, 探索宇宙和人類誕生之神秘. 世界上大部分國家或民族擁有自己的創世神話, 可是中國的創世神話過去給人的印象似乎不多. 但是現在看來, 中國的創世神話不但豊富, 而且還有內容上接近現代科學硏究成果物. 不論任何發展階段上的民族, 一定有代表他們的宇宙觀和人類起源觀(創世神話). 中國是一個多民族的國家, 許多小數民族都擁有了各自的創世神話. 特別漢文古籍中的創世神話是, 『三五歷記』所記載的‘盤古開天地’與『述異記』中的‘盤古之化生萬物’; 『山海經』中關於‘天柱和天梯神話’; 『淮南子』中的‘女?補天’和『風俗通』中的‘女?搏黃土造人’; 『獨異志』中的‘伏羲、女?兄妹結婚’等等. 創世神話特別是宇宙起源神話, 産生較晩, 因而神話內容中融化了當時人類對宇宙或大自然之觀念. 其中‘混沌’之觀念?現代天文學家喬治·加墨(George Gamow)提出形成宇宙的 「大霹靂」理論類似. 「大霹靂」理論是我們生存的宇宙在一次大霹靂後, 經過暴漲和相變的過程將超巨大的能量轉變成輻射和粒子, 終於形成了目前的宇宙. 此大霹靂的理論依據是 「從一點爆炸」、「宇宙膨脹」和「宇宙背景輻射」等三個論點. 盤古孕育在黑暗‘混沌’的大鷄蛋裏, 經過了1萬8千年, 有一天忽然破裂了鷄蛋, 其中有些輕而淸的東西??上昇而變成了天, ?外有些重而濁的東西沈沈下降而變成了地. 所以, 中國宇宙開闢神話傳說中的‘混沌’意象代表和傳達的是原始先民對理想生活狀態的想像和憧憬, 老子和莊子正是在這個意義上重新解析. 中國創世神話中有關‘混沌’的內容不但用以當時人類智慧解剖宇宙開闢和天地創造之神秘, 還似乎現代科學發現的宇宙誕生秘密之硏究結果. 宇宙是什磨時候誕生的?是즘磨誕生的?타又是如何演變成今天的浩瀚無際??這些在니我心目中的疑問, 一直到兩千多年前, 中國人已經以神話的方式而告訴我們了.

      • KCI등재후보

        석도(石濤)의 혼돈의 미학

        장선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문화 Vol.0 No.20

        . 석도(石濤)는 전통과 형식에 얽매여 있는 당시의 보수적 화단에 반발하며 자유로운 창작정신과 개성을 강조한 새로운 사상을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속박 없는 자유로움을 추구한 석도는 『화론』에서 혼돈(混沌)의 미학을 중요시하였다. 석도의 미학에서 혼돈의 개념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의 사상의 핵심은 ‘일획(一畫)’론에 있다. 그런데 ‘일획’에서의 ‘일’은 혼연일체의 혼돈의 상태를 의미하며, ‘획’은 만상과 만법을 창조하는 생생불이(生生不已)의 과정을 의미한다. 특히 그는 무한한 창조적 가능태로서의 혼돈을 중요시하였는데, 이것은 혼돈이 일정한 규정에 얽매이지 않아 오히려 무한한 다양성과 역동성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석도는 또한 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재료인 묵과 필을 단순히 재료로만 보지 않았다. 그는 묵을 몽양(蒙養)과 연관시키고 필을 생활(生活)과 연관시켜 자신의 미학 사상을 전개하였다. 몽양 역시 무규정의 혼돈의 상태를 의미한다. 석도의 이러한 혼돈의 사상은 체용적 관점에 의거해 설명할 수 있다. 가령 석도는 예술론에서 무법(無法)과 유법(有法), 몽양(蒙養)과 생활(生活), 묵(墨)과 필(筆)을 구분하고 있는데, 무법(無法)과 유법(有法), 몽양(蒙養)과 생활(生活), 묵(墨)과 필(筆)이라는 이원적으로 구분은 모두 체용의 관계에 있다. 그런데 전자가 혼돈의 의미를 갖는다고 한다면, 후자는 무한한 작용이다. 석도의 체와 용 또한 일자와 다자의 관계라는 점에서 상반된 속성을 갖지만, 체를 떠나 용이 있을 수 없고 용을 떠나 체가 있을 수 없다는 점에서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 KCI등재

        타원궤도상의 중력구배 인공위성의 Pitch운동의 혼돈계 제어

        이목인(Mokin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9 No.2

        중력구배 인공위성의 pitch 운동이 관성 모멘트 비와 편심율에 따라 혼돈계가 될 수 있다. 혼돈계의 경우 운동의 정확한 예측을 위하여 비혼돈계로 전환하는 혼돈계 제어가 필요하다. 혼돈계 제어에는 feedback control system을 사용할 수 있다. 중력구배 인공위성의 pitch 운동의 혼돈계 제어를 위하여, 비선형 pitch 운동 방정식을 선형화를 하여 linear nonautonomous system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pitch 운동의 혼돈계 제어와 안정화 (stabilization)를 위한 제어법칙을 설계하고 원래의 비선형 혼돈계 pitch 운동에 적용하였다. 설계된 pitch 운동 제어계는 두 개의 parameter를 가지는데, 혼돈계 제어와 안정화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The pitch motion of a gravity-gradient satellite can be chaotic, depending on the ratio of mass moments of inertia and the eccentricity of the satellite orbit. For a precise prediction of motion, chaotic pitch motion has to be changed to non-chaotic motion. Feedback control can be used to obtain nonchaotic pitch motion. For chaos control and stabilization of the pitch motion of a gravity-gradient satellite, a feedback control system is designed, based on the linear nonautonomous system obtained by linearizing the nonlinear pitch motion. The control law obtained has two parameters and is applied to chaotic nonlinear pitch motion. The nonlinear control system satisfies the proposed control objectives in the range of the nonchaotic parameter space.

      • KCI등재후보

        혼돈계의 단방향 동기화를 이용한 보안 프로토콜 설계

        조창호,임거수,Cho, Chang-Ho,Yim, Geo-Su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10

        네트워크의 속도가 향상 되면서 정보를 담고 있는 콘텐츠의 양과 질이 급격히 증가 하고 있다. 이런 정보의 급격한 변화에 맞추어 콘텐츠를 통신상에서 보호할 수 있는 혼돈신호를 이용한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혼돈시스템은 초기치 민감성과 발생된 신호가 잡음과 유사하여 예측이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이런 특성을 갖고 있는 두 개의 혼돈시스템 $F(X_n,Y_n)$와 $G(A_n,B_n)$를 구성하고 F 혼돈시스템의 신호로 G 혼돈시스템을 동기화시켜 발생되는 동일한 혼돈신호를 대칭키로 사용하고, 이렇게 구성된 암호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방법을 설계 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이미지의 암호화 및 복호화로 그 결과를 보였다. 우리가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암호화 통신과 다른 방법으로 추후 관련 분야의 연구에 초석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ontents containing information are sharply increasing with the rising network speed. In line with this rapid growth of information volume, a new communication protocol using the chaotic signal that can protect contents in communication is proposed as follows. The chaos system has the characteristic of unpredictability due to the sensitive initial values and the similarity of the signals with noise. We configured two chaos systems $F(X_n,Y_n)$ and $G(A_n,B_n)$ that have such characteristics and designed a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s encryption channel the same chaos signals generated by synchronizing the chaos system G with the F signals.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with the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images. The proposed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ncrypted communication methods and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in related areas.is an example of ABSTRACT format.

      • KCI등재

        불확실성, 혼돈 그리고 환경정책 : 시화호 매립사례를 중심으로 In Case of Shiwha Reservoir and Watershed Development

        사득환 한국정책학회 2003 韓國政策學會報 Vol.12 No.1

        오늘날 정부는 증대하는 불화실성과 혼돈, 그리고 복잡성을 관리하면서 정책을 선택해야하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과거에 경험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정책환경, 곧 '혼돈상황'이 펼쳐지면서 이러한 혼돈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불확실성과 혼돈상황에서 정부의 어떠한 정치적·정책적 선택이 환경정책의 실패를 초래하였으며, 또한 그러한 실패의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를 시론적인 차원에서 규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불확실성과 혼돈상황에 적합한 정책선택모형으로써 적응모형(adaptive model)을 개발하고, 이를 시화호 매립사업에 적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화호 매립사업은 '환경정책의 진화적 적응의 실패'로 요약할 수 있고. 이 사업은 적절한 공진화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엄청난 요동(fluctuations)을 치면서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되다가 궁극적으로 정책실패(policy failure)라는 새로운 패턴과 질서로 자리잡은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시화호 매립사업의 실패는 i) 정확한 사전예측의 결여, ii) 경직된자기조직화, iii) 불균형적인 권력관계와 개발논리, iv) 정책학습과 피드백(feedback)의 부재가 그 주된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화호 매립사례에서 보듯이, 오늘날의 정책담당자들은 불확실성과 혼돈에 대한 주의깊은 관리(Management)가 매우 절실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sults of policy from political and policy decisions of the government in the circumstances of uncertainty, complexity and non-linearity, what is called, chaotic situations. 1 employed' adaptive model' as a theoretical tool and applied this model to the case of Shiwha Reservoir and Watershed Development. The adaptive model as a principle of decision making strives for the norm of positive sum from multi-participants in order to minimize the policy failure under the dynamic uncertainty and chaos It is highly relevance in a situation of uncertainty and chaos in that this model regards the policy as a process of creating new pattern of policy through ceaseless interactions with a given environment. I draw a conclusion that the cause of policy failure is originated from 'the lack of evolutional adaptation' in the process of Shiwha Reservoir and Watershed Development. In view point of adaptive model, the most noticeable factors in the policy failure is as follows; first, the lack of precise prediction. second the constraints in the joint-decision making of participants, third, unequitable power relations and development-oriented theorem, fourth, the lack of policy learning and feedback. From the perspective of these, the adaptive model not only complements the theoretical limits of the traditional policy making models, like rational model, incremental model, garbage can model but sometimes shows as explanatory adequacy overcoming that models.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 교육에서 혼돈 이론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

        김민희,맹성은,이재우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12

        This paper introduces the basic concepts of chaos theory and develops learning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to education in high-school science. We introduce logistic maps, attractors,self-similarity, butterfly effects (sensitivity to initial conditions), Lyapunov exponents, fractals, and fractal dimensions. The chaotic examples can be applied to high-school science in the following areas; the simple harmonic oscillator in mechanics, the population dynamics in biology, and the weather and the motion of the planets. To induce interests in science, teachers should introduce chaos theory by using the methods of computer simulation.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혼돈 이론 학습내용을소개하고 학습 자료를 개발함으로써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혼돈현상을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혼돈 이론을 이해하는데 필요한로지스틱 사상, 끌개, 자기 유사성, 나비효과(초기조건의 민감성),리아프노프 지수, 프랙탈에 대한 정의와 프랙탈 차원에 대해 알아보았다. 고등학교 과학 교육에서 혼돈 이론의 필요성과 단원별 연계성을제시하였다. 혼돈 현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역학에서 단진동',`생물학의 인구동력학', `기상현상과 행성의 운동' 등의 단원에서 도입할수 있다. 컴퓨터 활동을 활용하여 혼돈이론을 학습하게 함으로써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친근감과 흥미를 높인다. 교사들이 실제 수업에활용할 수 있는 이론과 학습자료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