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지식의 구조에 대한 연구

        김국현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2

        본 논문의 목적은 교과로서의 도덕과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민주시민교육의 정체성과 특성을 교과의 구조 또는 지식의 구조라는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도덕과 교육과 사회과교육은 지금까지 교과교육들 속에서 민주시민교육을 담당해 온 중핵 교과들로서 자리매김해왔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의 민주시민교육은 사회과 민주시민교육과의 목표,내용,교수·학습 방법 영역에서의 중복성과 같은 정체성의 약화라는 문제에 시달려 왔다. 세계화와 다문화 심화되고 있는 현실 상황에서 우리는 민족 국가와 지구공동제의 복잡한 도덕적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시민들은 도덕적인 민주시민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덕과의 민주시민교육은 앞으로 교과로서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시민들의 민주시민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키기 위해서 민주적 가치,규범,그리고 덕목의 교육,민주적 공동체의 사회문제들을 도덕적으로 분석하는 능력,도덕적 상상력을 발달시키는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도덕과 교육은 민주시민성의 도덕성에 초점을 둠으로써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from the standpoint of structure of knowledge. In Korea,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have been core subjects to educate citizens democratic citizenship. But until no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has been suffered from the problem of weakness of identity such as the problem of overlap with social studies in the areas of goal, contents, teaching methods. In the situation which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are in the rapid progress, we face many complex moral situations in a democratic nation-state and global village, so we need to be armed with moral democratic citizenship.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a subject and to develop student's democratic citizenship effectively,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have to orient following directions. Firstly, to emphasizing education of democratic values and virtue. Secondly, developing an ability to analyze social problems of democratic community morally, thirdly, developing moral imagination. Moral education will have to establish it's identity through focusing on the mora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 KCI등재

        미래지향적 예술인재양성 교육에 대한 소고 - 초.중등교육을 중심으로 -

        정옥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2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value of fostering and training artistic talen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social environment due to the advent of a hyper-connected society. In doing so,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ar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ducation paradigm. Secondly, it presents not only the ne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at is no longer college admission and competition-driven, but more tailored to students’ career paths, and also with the need to foster artistic talent in the changing environment where art is no longer exclusive to one particular class. On these groun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art talent fostering and education in order to illustrate problems and improvements that can be made within the changing socio-economic structure. This study then conclusively proposes a future-oriented way of fostering artistic talent by: firstly providing a model for an ideal Neo-renaissance art talent with creative capacities; secondly acknowledging the need for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fostering artistic talent; amd thirdly establishing a tailored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at also meets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This review can be used as basic support material for developing a policy level support system strategy, and a specific roadmap, as well as improving the current curriculum for artistic human resource education and professional art education. 이 연구는 초연결 환경 인공지능시대에 예술이 더 이상 고정된 개념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장르별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변모하는 미래사회 환경에 따른 예술인재양성교육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한국의 예술인재양성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초.중등교육이 대학 입시위주의 경쟁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진로 맞춤형 교육으로서 변화하는사회경제구조에 부응하는 인재양성 운영의 개선점을 탐색한다. 결론적으로 미래지향적 예술인재양성교육이 누구를(WHO: 어떤 예술인재)위해, 어디에서(WHERE: 어떤 교육 환경), 무엇을(WHAT: 어떤 교육과정) 위한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방안을 첫째, 인공 지능 시대가 요구하는예술인재 선발 기준 마련; 둘째, 지역사회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스마트 교육 환경 시스템 구축;셋째, 융합형 예술인재양성을 위한 예술통합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함으로 제안하였다. 이 소고는현재 운영되는 예술영재교육과 예술전문교육의 교육과정과 시설개선 및, 정책적인 지원 시스템의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세우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술인재양성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교육실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 상황에서 요구되는 예술인재상에 대한 연구가 획일화된 합목적적인 측면이 아닌 개별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적인(HOW:정책과 전략) 측면에서의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 개발체제 개편 방안 모색-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

        박남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연구목적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예측되는 국가교육과정 개정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 개발과정을 비교⋅분석하여,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의 국가교육과정 개발체제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각종 연구보고서 등을 종합적으로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가교육위원회가 추진해야 할 국가교육과정 개정단계를 [발의-연구⋅개발-시안검토-고시-평가]로 구조화하고, 개발체제 구축 방향을 ‘학생⋅교원⋅일반시민 참여시스템’, ‘평가 기반의 환류형 순환시스템’, ‘학습자의 성장지원 협력시스템’으로 제안하였다. 결론 그동안 국가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각종 문제를 교육적 관점에서 해결하기 위해 개정단계별로 다양한 주체가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구조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수학과 인성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김재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3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domestic research trends in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in the midst of the reality that each school should establish and implement a character education plan every year after the enactmen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in 2015. While there are many studies regarding character educati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or creativity education in math. and analytical studies on research trends,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in teaching mathematics have been rare. The scope of analysis includes not only academic journals(nominated) but also academic conferences and academic dissertations. This study also covers the papers whose contents are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even if the word ‘character education’is not included in the title. Thus, a total of 57 papers which were released from 1998 to 2019 were analyze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categories: research year, subjects,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and terminology. This study found that research related to mathematics and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on a gradual rise since 2011. As to the subjects,40.5% were others (the case where the subjects of study are not people), 17.5%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5.8% were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7%) and especially gifted students (3.5%). In the area of trend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in the area of ‘methods of education in mathematics and character education’ (38.6%), followed by ‘general research in mathematics and character education’(29.8%), and ‘research related to teachers’ (15.8%). In the area of trends of research methodology,qualitative research (52.8%) was higher than quantitative research (11.3%), and mixed-methods research (35.8%) was also significantly conducted.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only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due to the nature of character education. The terms commonly used in the title of the papers were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cultivation,character factors,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nd “human education, mathematical personal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development” were also used.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인성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창의인재육성을 강조하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발맞추고,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고 학교마다 매년 인성교육계획을 세워 실천해야 하는 현실에서, 수학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인성교육’, ‘창의인성교육’ 또는 ‘수학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한 논문도 있었던 것에 비해, ‘수학과 인성교육’은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학술진흥재단(한국연구재단)에 등재(후보)된 학회지 뿐만 아니라 학술대회 및 학위논문까지 포함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검색된 논문의 참고문헌을 정독하여 제목에 ‘인성’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았어도 논문의 내용이 인성교육과 관련되었다면 분석의 범위에 포함하였다. 이에 1998년부터 2019년까지 5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용어에 따른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연도에서는 수학과 인성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2011년 이후부터 점차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연구대상의 측면에서는 기타(연구대상이 사람이 아닌 경우)가40.5%로 가장 많았으며, 초등학생(17.5%), 중학생(15.8%)이 많았고, 고등학생(7%) 및 특히 영재학생(3.5%)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 연구주제별 동향에서는 수학과 인성교육의 교육방법(38.6%),수학과 인성교육의 일반연구(29.8%), 교사와 관련한 연구(15.8%)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 동향에서는 질적연구(52.8%)가 양적연구(11.3%)보다 많았으며, 혼합연구(35.8%)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인성교육의 특성상 양적연구만으로는 인성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논문 제목에서 주로 사용된 용어는 ‘인성교육, 인성, 인성 함양, 인성요소, 창의 인성교육’였으며, 이외에도 인간교육, 수학적 인성, 민주시민의식함양 등이 사용되었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에 대한 비교 분석

        은지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South Korea's multi cultural education polic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main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in terms of the official language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basic academic education, South Korea has a greater share of provisions related to social adaptation than it does equal opportunities,while the U.S. emphasizes equaliz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addition, in terms of related education programs, South Korea is involved in the government's direct development while the U.S. is mainly involved in developing guidelines for supporting program operations and assessing effectiveness. Second, in terms of dual-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South Korea aims to develop global capabilities, while the U.S. emphasizes ensuring equal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there is little consideration regarding identity in both native language and culture. Third, in terms of policy goals and content for all students, South Korea has emphasized multi 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ordinary citizens at the legal level in order to preven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while the U.S. offer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t the level of the state government's curriculum.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multi 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lead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and program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government level, and to strengthen measures for parental involvement and teacher professionalism. Second, it is necessary to draw up government-level effective program operation assessment guidelines by referring to the way the U.S. operat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hird, it is necessary to take a forward-looking approach to the identity of multicultural students neglected in both countries in terms of human rights, by actively incorporating a pluralistic and critical multiculturalist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비교 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학생 대상 자국어 및 기초 학력 교육 측면에서 정책 수행의 근거 법령 측면에서 한국은 기회 균등보다 사회 적응 관련 조항의 비중이 큰 반면, 미국은 교육 기회 균등 보장을 강조하고있다. 또한, 관련 교육 프로그램 측면에서 한국은 정부가 직접 개발에 관여하는 반면 미국은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방안과 효과성 평가를 위한 지침 개발에 주로 관여한다. 둘째, 다문화 학생 대상 이중 언어 교육 측면에서 한국은 글로벌 역량 개발을 목표로 하는 반면 미국은 교육의 기회 균등보장을 강조하며, 양국 모두 모국어 및 모국 문화에 대한 정체성에 대한 고려는 미비하다. 셋째, 모든 학생 대상 정책 목표 및 내용 측면에서 한국은 근거 법령 차원에서 다문화 가족에 대한 편견및 차별 예방 차원에서 일반 시민들의 다문화 이해 교육을 강조한 반면, 미국은 주 정부 교육과정차원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차원에서 다문화 교육 관련 평가 도구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지속적으로 선도하고 학부모 참여 및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운영 방식을 참고하여 정부 차원의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운영 평가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원주의적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을 보다 적극으로 포섭하여 양국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진 다문화 학생의 정체성 향유를 인권의 측면에서 전향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운영 현황에 대한 기초 탐색 연구

        윤지현,조성호,황윤서,김진수,김태영,강성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3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mak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based on teachers' perceptions.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maker education at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and looked at their perceptions in terms of teachers' training related to maker education, human support in schools, and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in school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motivations behind teachers' management of maker education at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ites were‘requirements on education sites’ and ‘cultivation of future talents,’ while most of the methods of maker education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coding methods and how to use Arduino.’ The survey of the degree of support related to maker education found that perceptions of teacher training related to maker education were the ‘lack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need to improve the content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at teachers’ perceptions of human support in schools were that there was a ‘lack of interest,’ and ‘negative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 teachers’ perceptions of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in schools it was noted that there was a ‘lack of active space,’ and a ‘lack of equipment and tool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exploring the status of maker education based on teachers' perceptions, implications of introducing and spreading maker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are discussed. 이 연구는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운영 현황을 탐색 하는 것이다. 이에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 관련 교원 연수, 학교 내 인적 지원, 학교 내 물리적·재정적 지원 측면에서 인식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교사들이 초·중등교육 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운영하게 된 동기는 ‘교육 현장의 요구’와 ‘미래 인재의 양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이커 교육 활동 방법은 대부분 ‘코딩 방법 및 아두이노 사용 방법 교육’으로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커 교육 관련 지원 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메이커 교육 관련 교원 연수에 대한 인식은 ‘교원 연수 프로그램 부족’, ‘교원 연수 프로그램 내용 개선 필요’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내 인적지원에 대한 인식은 ‘관심의 부족’, ‘메이커 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학교 내 물리적 재정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활동 공간 부족’, ‘장비, 도구 부족’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교사들의 인식에 기반한 메이커 운영 현황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공교육 내 메이커 교육 도입 및 확산 방향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大韓自强會 교육론의 도구적 성격 연구

        이성심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4

        교육은 인간의 합리적 이성계발을 강조하는 본래적 기능과 국가 및 사회의 현실적 문제를 교육을 통해 해결하려는 수단적 기능 사이의 모순을 내포해왔다. 정치·경제적으로 국가와 민족의 존폐가 최우선시 되는 시기, 교육목적은 어떠한 기능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가의 문제는 해당 시기 교육사상을 이해할 수 있는 관건이 된다. 만약 역사적 현실을 반영하여 교육의 본래적 기능보다 수단적 기능이 강조되었다면, 교육목적이 원래의 취지대로 달성될 수 있는가는 많은 논의의 여지를 남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와 민족의 존폐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던 시대, 즉 한국근대교육 형성기에 설립된 대한자강회 교육론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한자강회의 교육이념이었던 대한제국정신, 조국정신, 한국정신, 대한정신 등의 개념은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한 인재양성 보다는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애국심교육과 일맥상통하였다. 일본 제국주의로 부터의 독립을 교육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던 대한자강회의 교육목적은 합리적 이성계발을 통한 인간해방이라는 교육의 내재적 가치 추구보다는 국가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육을 바라보는 외재적 가치를 추구하였다. 결국 근대문명과 근대지식으로 국민을 계몽하려 했던 대한자강회의 교육구국론은 교육의 수단적 기능을 중시한 결과 본래의 취지와는 다른 결과로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침략을 기정사실화하는 토대를 제공할 수밖에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rumental value represented the educational theory of Daehan Jaganghoe, which was formed in the era of Korean Education modernization. In particular, it is to examine on which function the educational aims are focused during the dangerous situation whether the country and nation disappears or not. Furthermore, it is to research that if the educational aims focus on the function of means, how they would accomplish the orignal ai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ducational aims of Daehan Jaganghoe showed the results pursuing the external values considering the education as a tool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rather than about pursuing the original values of the education which is a human liberty through the rational reason development for each individuals. The ideology of education is changed from "Korean imperial spirit", "Country spirit", "Korean spirit" and "National spirit" to the patriotic education for Japanese imperialists. Finally, the efforts of Daehan Jaganghoe that enlightens the people on modem civilization and modem knowledge provided the fact taken for granted the Japan's colonial imperialist aggression.

      • KCI등재

        비교과 교육의 내용 구성 및 운영 방안-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김성한,이창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인성을 갖춘 교사로 양성하기 위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의 내용구성과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념을 정리하고 교육대학교에비교과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을 추출하였다. 교육대학교의 특성과 현실을 기반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의내용 선정 기준을 정하고 내용 선정 원리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프로그램의 내용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비교과 프로그램의 초점은 도덕적 인성 함양이며, 이를 위해서는 사유 능력 함양, 도덕적 감수성향상, 실천이 필요하다. 이들 항목의 각각에 해당하는 세부 내용으로는 사유 능력 함양에는 독서와 강연,도덕적 감수성 향상에는 영화 감상과 예술 체험, 실천에는 나눔 활동, 각종 체험 활동, 학교 행사 참여를배정하였다. 실제 운영 방안의 핵심은 학생들의 참여 의지 고취와 실효성 높이기이다. 참여 의지 고취를위해서는 우수 학생 시상과 홍보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 사업 및 수업과 연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현재 초등교사 양성 상황을 고려하면 비교과 프로그램의 도입이 시급하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교육대학교에 적합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공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국 유아교육체제 분석

        엄문영,최예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asks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current ECE system in South Korea. This study reviewed the Ministry of Education’s “5-year development plan” to analyze the vision and directions of the government’s ECE policy, analyzed the current ECE system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derived from primary principles and policy domains for public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policy tasks for incorporating ECE into the public education syste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government has strived to establish an advanced ECE system under the goals of increasing publicness and national accountability and has pursued improving its quality beyond the increased accessibility of the ECE. Second, Korea has continued to improve the ECE system by increasing the enrollment rate in public kindergarten, providing greater financial subsidies to parents, clarifying the transparency in financial accounting by adopting the “K-edufine” system, introducing the evaluation system, implementing a national (“Nuri”) curriculum, and encouraging collabor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ties with mandatory parent meeting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four tasks for the government in each short-term and long-term plan based on the “principle-domain” framework for increasing the public nature of ECE.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유아교육체제를 분석하여 향후 유아교육 공교육화 진전 과정에서의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의 유아교육 5개년 발전계획을 통해 유아교육 공교육화의방향과 내용을 살펴보고, 공교육의 원리와 실제 영역의 구조적 준거를 토대로 유아교육체제의 현황을 분석하여, 유아교육이 기간학제화 단계로 나아가는 데 있어 실현되어야 할 향후 정책 과제를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정책은 공공성과 국가책임의 강화라는 목표 아래, 유아교육의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문화적 개선에 이르는 목표를 추구함으로써 보다 선진화된유아교육체제 구축을 시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의 유아교육은 지난 20년간 국·공립 유치원 취원율 제고, 부모 부담률 개선, K-에듀파인 도입으로 인한 재무회계 투명성 제고, 평가인증의 도입, 누리과정의 전면적 시행, 유치원 운영위원회 의무화를 통한 부모-지역사회 연계 제고 등의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를 위한 원리-영역프레임웍을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육 공교육화 체제 진입을 위한 과제들을 단기와 장기로 구분하여 각각 4가지 세부 과제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서울 혁신자치학교의 특성과 교사 효능감의 관계 분석

        우명숙,신선희,김미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교사효능감과 서울 혁신자치학교의 특성(민주적 의사결정, 교원학습공동체, 학생성장중심 교육과정, 교장(관리자)의 리더십, 창의적교육지원 행정체제, 교육청의 지원과 통제, 지역사회와 연계)간 복잡한 관계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교사효능감과 서울 혁신자치학교의 특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혁신자치학교 교원의 인식을설문조사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첫째 교육청의 지원과 통제는 학교 내의 창의적 교육지원 행정체제를 거쳐 교사효능감, 민주적 의사 결정, 학생성장 중심 교육과정, 교원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의 학교자치 지원과 학교 내부의 행정혁신은 교사들이 본연의 교육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며,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둘째, 교장(관리자)의 리더십은 창의적교육지원 행정체제를 거쳐 교사효능감, 민주적 의사 결정, 학생성장 중심 교육과정, 교원학습공동체에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민주적 의사 결정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장(관리자)의 리더십이 민주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총합효과가 모든 경로 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 효능감은 민주적 의사결정, 교원학습공동체, 학생성장 중심 교육과정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결론 혁신자치학교는 혁신학교와 상당히 많은 공통점을 갖지만 학교자치를 통해 학교의 혁신을 질적으로제고하고 있다. 교육청은 학교에 대한 관료적 통제에서 벗어나 학교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법령과제도를 마련할 필요성이 높다. 학교 또한 내부적으로 행정지원체제를 합리적으로 개혁함으로써 교사들이교수학습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