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구리 皮膚의 伸張度와 X線 全身照射가 이에 미치는 影響

        李基錫,朱永恩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5 慶北醫大誌 Vol.16 No.1

        개구리皮膚의 伸張度와 X-線照射가 이에 미치는 影響을 알기 爲하여 腹部 및 背部皮膚에서 各各 矢狀 및 橫斷切片을 作成하여 길이-張力曲線中 彈性의 限界內에서 Hooke의 法則에 따르는 部位에서 Young率을 求 하고 1,000R의 X-線全身照射를 한 後 1,3,5,7 및 10日에서 各各 皮膚切片의 伸張度를 求하여 서로 比較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正常개구리의 腹部皮膚의 矢狀 및 橫斷切片의 Young率은 各各 4.09×10 exp (7) dyne/㎠ 및 3.99×10 exp (7) dyne/㎠이었다. 背部皮膚에서 얻은 矢狀 및 橫斷切片의 Young率은 各各 3.69×10 exp (7) dyne/㎠ 및 5.81×10 exp (7) dyne/㎠이었다. 2. X-線 全身照射를 한 群에서 腹部皮膚에서는 그 矢狀切片의 Young率은 照射 3日에서 5.38×10 exp (7) dyne/㎠으로서 가장 높고 그 後는 漸次 낮아지는 傾向을 나타내었고 照射 10日에서는 4.20×10 exp (7) dyne/㎠으로서 正常値에 가까워지는 傾向을 나타내었다. 橫斷切片에서는 照射 3日 및 5日에서 Young率이 各各 4.55×10 exp (7) dyne/㎠ 및 4.50×10 exp (7) dyne/㎠으로서 가장 높고 그後는 第10日까지 次次 낮아진듯하나 그 傾向이 矢狀切片에서 처럼 뚜렷하지 않았다. 3. X-線 全身照射로서 背部皮膚에서는 그 矢狀切片의 Young率은 照射 第3日 및 5日에서 各各 4.25×10 exp (7) dyne/㎠ 및 4.30×10 exp (7) dyne/㎠으로서 높아지는 傾向을 나타내고 그後는 漸次 낮아져서 第10日에서는 正常値와 비슷하게 되는 傾向을 나타내었다. 橫斷切片에서의 Young率도 照射後 第3日 및 5日에서 各各 6.02×10 exp (7) dyne/㎠및 6.00×10 exp (7) dyne/㎠으로서 正常値보다 若干 높은듯 하고 그後는 낮아지는 傾向을 보이나 그 程度가 矢狀切片에서 처 럼 뚜렷하지 못하였다. In an attempt to observe the changes of the distensibility of the frog skin by whole body X-irradiation, the sagittal and transverse strips were excised from the abdominal and back skin of the frog (Rana nigromaculata) following whole body X-irradiation with 1,000R. Young Modulus of the strip was calculated from the length-tension curve of each sample, and a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non-irradiated control group.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1,3,5,7 and 10 days after the irradiation, and the results thu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Young Modulus of the sagittal and transverse strips of the abdominal skin of the normal frog was 4.09×10 exp (7) dyne/㎠ and 3.99×10 exp (7) dyne/㎠, respectively. Young Modulus of the back skin of the normal frog was 3.69×10 exp (7) dyne/㎠ in the sagittal strip, and 5.81×10 exp (7) dyne/㎠ in the transverse strip. 2. Young Modulus of the sagittal strip of the abdominal skin in the irradiated group was the highest (5.38×10 exp (7) dyne/㎠) on the 3rd post-irradiation day, and a tendency of gradual decrease to the normal value on the 10th post-irradiation day was observed. In the transverse strip of the abdominal skin in the irradiated group, the highest values of Young Modulus were observed on the 3rd(4.55×10 exp (7) dyne/㎠) and 5th(4.50×10 exp (7) dyne/㎠) post-irradiation day, and a tendency of gradual decrease till 10th day was observed, but the tendency was not as prominent as in the sagittal strip. 3. A tendency of the elevated values of Young Modulus on the 3rd(4.25×10 exp (7) dyne/㎠) and 5th(4.30×10 exp (7) dyne/㎠) post-irradiation day with the decreasing values to the normal value on the 10th day was observed in the sagittal strip of the back skin of the irradiated frog. In the transverse strip of the irradiated frog, Young Modulus showed a slight increase on the 3rd(6.02×10 exp (7) dyne/㎠) and 5th(6.00×10 exp (7) dyne/㎠) day after the irradiation, but a tendency of decrease was observed thereafter.

      • KCI등재

        콩 단백 성분 및 연령이 암컷 흰쥐의 혈장 지질 농도와 인지질 지방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Eun-Jung Chung),김수연(Soo-Yeon Kim),김지영(Ji-Young Kim),안지영(Ji-Young Ahn),박정화(Jung-Wha Park),차명화(Myung-Hwa Cha),이양자(Yang-Cha L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2

        혈중 지질농도는 식이단백질 종류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많이 받아, young군보다 old군의 총 콜레스테롤, TG, HDL-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 및 AI 모두 높았다. 한편 콩 단백질군에서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LDL+VLDL-콜레스테롤와 AI는 감소하여, 심혈관질환에 대한 콩 단백질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식이단백질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은 혈장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중 22:0, 18:1ω9, ∑MU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콩 단백질군 보다 높았으며, 반대로 ∑S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낮았다. 연령에 의해 혈장 인지질 지방산 조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지방산 중 22:0, 18:1ω9, 22:1, 18:3ω3 및 22:4ω6는 young군에서 높은 반면에, 22:6ω3, ∑ω3, 18:2ω6, 20:4ω6, ∑ω6 및 ∑PUFA의 조성비율은 old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식이 단백질의 종류보다 연령의 영향력이 더 많이 나타난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식이 단백질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혈장 인지질 지방산의 대사지표 중 Δ7-desaturation index(16:0⇒16:1ω7)와 Δ9-desaturation index(18:0⇒18:1ω9)가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아 카제인군에 비해 콩 단백질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Δ7- 및 Δ9-desaturation index만이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은 것은 식이 단백질보다 desaturase 활성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콜레스테롤이 식이에 첨가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는 young군에 비해 old군에서 높았으며, elongation index(20:4 ω6⇒22:4ω6)는 old군에서 낮았다. 대부분의 elongation과 desaturation 단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ω3계 지방산의 전체적인 elongation-desaturation 단계를 나타내는 ∑products-fatty acid(ω3)/α-LNA(ω3) 비율이 old군에서 young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연령에 따른 PUFA 대사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콩 단백질의 섭취로 흰쥐 혈장 인지질의 ∑MUFA 조성은 낮고 ∑SFA 조성은 높아 다른 지질 강화성분의 섭취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은 old군에서 체내 막조직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PUFA의 합성 특히 ω3계 지방산의 elongation-desaturation이 증가하여 총 PUFA 조성이 young군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로 이소플라본을 포함한 콩 단백질의 혈중 지질저하 기전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은할 수 없지만, 콩 단백질이 혈장 지방산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혈관의 건강과 관련된 콩의 유익한 효과는 이소플라본과 같은 콩의 특정 성분의 단독효과라기보다는 콩 단백질과의 복합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 있다고 생각된다. Effects of soy protein concentrate (SPC) containing isoflavone and casein diets on plasma phospholipid (PLs)-fatty acid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7- & 40- wk old female rats. Diets containing 16% SPC (soy/young: SY, soy/old: SO) and casein (casein/young: CY, casein/ old: CO) supplemented with 0.5% cholesterol were fed for 4 wks. Fatty acid compositions of plasma PLs were determined by TLC and GLC. Compared to the dietary protein effects, age effects on serum lipids were more profoun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Chol.), triglyceride, HDL-Chol., (LDL+VLDL)-Chol.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higher in older groups (OC & OS) than younger groups (YC & YS). Soy groups had higher HDL-Chol. level and lower (LDL+VLDL)-Chol. and AI, compared with casein groups.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and sum of MUFA in plasma P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in group (CY & CO) than soy group (SY & SO), but those of sum of SFA were higher in soy group.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C22:1, C18:3ω3 and C22:4ω6 were higher and those of C22:6ω3, sum ofω3, C18:2ω6 C20:4ω6, sum ofω6 and sum of PUFA were lower in plasma PLs of younger rats. The average P/S and ω3/ω6 ratio in older group was higher. The Δ-7 desaturation index (16:0⇒16:1ω7) and Δ-9 desaturation index (18:0⇒18 : 1ω9) were lower in soy group than casein group, while Δ-6 and Δ-5 desaturation index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protein. The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 were higher and, elongation index (20:4ω6⇒22:4ω6) were lower in older group. The ratio of the products of ω3 fatty acid series/precursor of ω3 fatty acid series (C18: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group, which in- dicated that age affected the plasma PUFA metabolism. On the other hand, older rats had higher serum cholesterol level compared with younger rats. Taken together, thes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might cause minimal changes in the membrane fluidity induced by the increase serum cholesterol level.

      • 폐암 환자의 활동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의 관계: 불쾌감이론 기반으로

        김금순 ( Keum Soon Kim ),이명선 ( Myung Sun Yi ),방경숙 ( Kyung Sook Bang ),조용애 ( Young Ae Cho ),이정림 ( Jung Lim Lee ),이은 ( Eun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불쾌감 이론을 기반으로 생리적 요인(폐암 병기와 활동상태),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 및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관리하는 간호실무에 적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은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합친 것으로 평균 12.62점이었다. 이는 일반 암 관련 증상을 살펴 본 Baek10)의 27.7점과 Lee와 Kim19)의 23.1점과 비교 시 낮았으며,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함께 측정한 Lee3)의 평균 17.15점보다 낮은 점수였다. 이러한 차이는 연령과 현재 치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70세 미만으로 60대가 50.5%를 차지한 반면에 Baek10)의 연구에서는 60대 이상이 66.5%인 것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7)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폐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이 높아져 70대에서의 발생이 34.5%로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2)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가 38.6%로 Lee3)의 43.9%와 전체 대상자가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Baek10)의 연구와 비교 시 낮았기에 증상경험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가 지각하는 영양상태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상경험은 낮은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들의 56.4%가 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였고, 38.6%가 현재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3.0%였으며 또한 지난 한달 간 4 kg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경우도 2.0%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80.2%가 현재 건강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추후에 대상자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리적 요인인 폐암 병기,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폐암 병기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에 있어서 병기는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이나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병기와 상관없이 현재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치료 중에 있는 대상자의 증상경험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1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증상점수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기에, 질병 관련 생리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상태가 ECOG PS 0에서 2단계로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은 유의하게 높았고,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3,10,11) 심리적 요인인 불안, 우울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불안과 우울 모두 증상경험과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증상경험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20,21) Lee3)의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이 지각하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디스트레스는 증상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증상경험을 통해 삶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의 권고와 같이 암의 진행단계마다 대상자의 불안과 우울을 평가하여 필요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22) 이때 환자의 내적 능력인 극복력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Lee3)의 연구에서 입증하였듯이 유용한 간호접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황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증상 간에 유의한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3,23) 그러나 Lee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극복력을 매개로 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줌으로써 증상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20점 만점에 가족지지는 평균 17.69점, 친구지지는 13.63점, 의료인지지는 10.26점으로, 의료인 지지가 가장 낮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3,10) 이는 직접간호제공자일 뿐 아니라 옹호자, 지지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도전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필요하며, 아울러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증상경험과 증상경험의 결과, 즉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하게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여 증상경험이 심할수록 기능적 상태는 저하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발성 증상군의 경증군은 중증군에 비해 기능이 더 좋았다는 Lee와 Park4)의 연구결과와 호흡곤란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상태는 저하되었다는 Mohan 등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부작용 증상을 심하게 호소할수록 기능적 상태가 저하되었다는 Baek10)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생리적 요인(활동상태),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증상경험의 5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울에 의해 증상경험이 43.4% 설명되었으며, 우울과 불안에 의해서는 50.7%설명되었다. 이는 Lee3)의 연구에서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로 측정한 디 스트레스에 의해 증상부담이 62.8% 설명되었다는 결과보다는 낮았지만, 두 연구결과 모두 불안과 우울이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활동상태가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활동상태가 매우 저하된 중증의 환자에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는 폐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상태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 영향요인들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 간의 관계를 종합해 볼 때, 불쾌감 이론은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대한 평가와 환자상태에 맞는 간호접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 간호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환자 지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불쾌감 이론과 같은 중범위 이론의 간호실무 적용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줄이고 간호실무가 과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더욱 발전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1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reatment or follow-up at one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13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clinical records. To measure variables, the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Lung Cancer 13,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for Windows. Results: The symptom experience showed more severity in patients with lower activity status,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With lower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al status was lower. When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experience were higher, functional status was also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ymptom experience were depression, anxiety,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explained 57.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ymptom experience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providing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patients` needs prior to providing symptom management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 KCI등재후보
      • 유아를 위한 통합적 문학활동 교수모형의 효과 :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은상,임영심 안양대학교 人文科學硏究所 1995 人文科學硏究 Vol.3 No.1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 on the child's understanding of story structure during young children's integrated literature Activity. 48 young children were chosen and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a comparison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engaged in a integrated literature Activity interacted with their teacher rather freely. The teacher organized the environment and encouraged metacommunication between children by allowing spontanous dramatic play. The comparision group children also participated in a integrated literature Activity but under the teacher's direction. They followed what thor teacher suggested doing after they listented to the story.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only heard the stories, which were the same as these of the comparision and the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12 weeks from June 16.1994 to Swmtember 2. The effects of the child-teacher interaction while children engaged in a integrated literature Activity were tested at the 4th,8th,and 12th week during the experiment. ANCOVA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s ability to comprehend the story structure and their ability to infer was significantly improved.

      • 췌장암 환자에서 알코올 내장신경 신경파괴블럭 후 발생한 간염

        이상은,최석환,김영환,임세훈,이정한,이근무,정순호,최영균,김영재,신치만 인제대학교 2008 仁濟醫學 Vol.29 No.-

        Splanchnic neurolytic block(SNB) with alcohol improves the management of pancreatic cancer pain. Adverse effects of alcohol SNB which include regional pain, hypotension, diarrhea, and acute alcohol intoxication are common, but acute hepatitis caused by alcohol neurolytic block is rare. A 63-year-old patient with pancreatic head cancer and liver metastasis had complete pain relief after both retrocrural tansdiscal SNB with 100% alcohol 10 ml. But, 1 day later, liver function test showed a high elevation in th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2182 IU/L)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1807 IU/L). The patient had slight jaundice, general weakness, chilling, nausea and vomiting after SNB. Both AST and ALT decreased to 46 and 119 IU/L within 10 days with only supportive therapy. But, 19 days later, the patient died due to pneumonia. Our case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clinical surveillance especially in patient with hepatic disease after alcohol SNB.

      • 유아 컴퓨터 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은영 기전여자대학 1997 論文集 Vol.17 No.-

        The growing use of computers in offices, factories, homes, and schools is often cited as a reason for introducing computers to children at ever earlier ages. It is strongly believed that society can benefit from preparing its members to use computers. Also young children, in particular those of preschool and kindergarten age, can benefit from an introduction to computers. This study is done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who wnat to include, in the environments they creat for young children, the learning resources available through computers. Also it is done for anyone who is interested in critically examing the potential of computers for educating young children. Computer using and young children's language, logical, and mathmatical developments are reviewed in the study. Guidelines for selecting appropriate software are provided. The influencess of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on computers are also examined in this study.

      • FET형 CO₂센서의 제조 및 감응특성

        이은숙,이영철,정지영,윤종훈,김창수,손병기,이흥락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5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6 No.1

        A FET type micro CO_(2) sensor based on a Severinghaus type arrangement has been prepared and its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sensor was fabricated by formation of hydrogel layer containing bicarbonate/chloride ions on the PH-ISFET and the Ag/AgCl reference electrode prepared by the thermal evaporation and chemical chloridation methods. And then gas-permeable membrane was dip-coated on the hydrogel layer of the sensor. Gas-permeable membranes were fabricated with silicon rubber and polyurethane dissolved in toluene and THF, respectively. The CO_(2) sensor with the silicon rubber membrane showed better sensitivity and lower detection limit than the CO_(2) sensor with the polyurethane membrane for dissolved CO_(2). The sensor with silicon rubber membrane at optimal conditions showed a good response: linear range of 1.60X10^(-4) ~ 4.40X10^(-2) M CO_(2), sensitivity of 57.30 mV/decade, and detection limit of 7.50x10^(-4) M.

      • 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정도와 학교적응, 친구관계에 대한 연구

        이현주,김미연,이희재,권소영,김민정,김민주,방은혜,이경희,김수지,이자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04 이화간호학회지 Vol.- No.38

        Today, almost all families are quipped with computers. At the same time, we can find lots of side-effects because of computers. If young students, who tend to be unable to control their impulses once they are immersed in internet, the problem will be more serious. It could be happened that the young students can't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i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juvenile Internet addicts and their practical life, and to come up with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working out countermeasures. This study surveyed 339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high schools in the area of Seoul. Data collection were collected from 22nd of December, 2003 to 27th of December 200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T-test, ANA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333 respondents 9.61% of them were high-risk internet using group, 15.02% of them were potential-risk internet using group. 25% of then were identified as addicted group. Second, the more addicted the subjects are, the lower their level of school adjustment becomes. For the addicted group,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ir school and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 Third, the more addicted the subjects are, the lower their level of friendship becomes. The subordinate areas of friendship have same results as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 extent of friendship. If students are addicted to Internet, it is difficult to find friends who can give them encouragement in practical life. Firth,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friendship. Through this study we have se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friendship. As a result, the more addicted, the more difficult to adjust to school. And for the students who were addicted, it is difficult to make a friend.

      • KCI등재

        안산시 지역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이정은,이영문,임기영,이호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안산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시행하기에 앞서, 안산시 지역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평가하고, 향후 설치될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반응행동을 알아봄으로써 지역사회에 정신질환자들이 통합되어지기 위해서 시행해야 하는 사업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 법 : 1997년 12월에 안산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차 표본추출은 구역별로 무작위 추출을 하여 우편으로 3.00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76명에게서 수거하였다. 2차 방법으로 23개동을 각 지역별로 나누고 자원봉사자를 통해 직접 설문지를 전달하고 706개 수거하여 총 대상자는 882명이 되었다. 조사도구는 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Ⅲ(CAMI) inventory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결 과 : 안산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의 전반적인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는 동정적이며 지역정신보건 개념에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성, 고연령층과 저학력일수록 그리고 여론주도층이 더 권위적이고 사회적으로 제한을 해야한다는 경향이 있었다. 주택을 소유한 사람은 정신질환자에 대해 동정적인 태도를 보이나 지역내에 정신보건시설 설치에 대해서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정신질환자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여성, 고연령층, 여론주도층, 주택을 소유한 집단 등을 지역정신보건사업의 우선적인 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investigated the range of knowledge about mental health and the attitude toward mentally-ill community residents an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ere taken as a foundation of the program of a community mental health proj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esidents of Ansan community showed sympathetic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2) The opinion leaders and females had more authoritative and negative tendency to the mentally-ill. 3) The more aged the more negative, conservative, and socially restrictive attitudes were shown toward the mentally-ill. 4) The home-owners had sympathetic attitude toward the mental illness but opposed the establishment of mental health facilities in their community with behavioral reaction. Therefore, the community education about mental health should be actively and intensively concentrated upon the females, the people of old age, the opinion leaders and the home-ow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