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계열별 고교 선수교과목 분석

        홍후조,김대석,박혜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수교과목을 계열별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분석된 현행 대학입시는 대학의 모집단위별 고교 선수교과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무차별적으로 국영수 위주로 학생부를 활용하고 있었다. 대수능도 역시 고교 선수학습으로 확인되어야 할 영역이 모집단위별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무차별적으로 국영수 위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모집단위가 요구하는 수학에 대한 선수학습 수준이 다르므로, 수리 ‘가’나 ‘나’ 중 하나를 사전에 지정해야 되나, 선발의 편의로 아무것이나 점수가 높은 영역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탐구영역에서도 의약․보건계열을 제외한 나머지 계열이 모집단위의 선수학습을 고려하지 않고, 사회, 과학, 직업 영역중 아무것이나 받아들이고 있었다.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수교과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고교에서 선수학습 할 필요가 있는 교과목으로 인문계열은 역사, 국어(상), 외국어/국제계열은 영어(상), 상경계열은 정치․경제, 사회(일반)계열은 정치․경제, 법․사회, 역사로 조사되었다. 공학계열은 물리, 수학(상), 화학, 자연과학계열은 물리, 화학, 의약/보건계열은 생물, 화학, 교육(사범)계열은 윤리, 역사, 국어(상), 예체능계열은 예술, 체육을 선수 학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의 학업 진로에 따른 다양한 고교 교육과정을 학교가 설계하고, 대학은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수교과목을 학습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대학입시를 설계하는 데 기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의무교육에서 학교․교원․교육과정 제도간 불일치의 문제와 과제

        홍후조,민부자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敎育政治學硏究 Vol.19 No.1

        The Korean school system has six years of primary school, three years of middle school, and three years of high school. However, these three branches are disconnected from one another. Primary school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trained separately and only collaborate with others within their school system; currently,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s for each school system are produced separately. The Korean Constitution and educational laws also perpetuate the separation and mismatch of the three branches. This mismatching has caused many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we examined the realities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educational systems, and the struggles of integrating small-scale schools in rural area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Finland’s basic comprehensive school system due to their success in creating a school system that matches teacher supply and curriculum frameworks. In conclusion, Korea needs to create a vision and set new goals for its nine year compulsory education system, and strive to build unity and matching between the three educational branches in the areas of legal regulations,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supply, and curriculum. 이 논문은 6-3-3의 학제, 6-6의 교사양성 운용제, 9-3의 의무교육제, 겉은 6-3-3제이지만 속은 9-3제를 지향하는 교육과정제 등 학교교육에 기본이 되는 제도간의 불일치 문제와 이러한 제도들이 일치되었을 경우 거둘 수 있는 효과를 다룬 것이다. 먼저교육관련 법령에서 교육제도간 단절을 살펴보고 소규모학교 통합운영 사례에서 교육제도간 불일치의 실상과 문제를 다루었다. 또한 기본교육을 위한 하나의 토대로서 통합학교를 운영하는 핀란드 사례를 통해 교육제도간 상호조응이 가져올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의무교육기에 교육제도간 일치는 기본교육의 충실화를 낳을 수 있다. 이것은 법적으로 취학률 100% 달성, 재정적으로 기본교육비의 무상화를 넘어서 개인의 잠재력 실현과 사회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학교의 존재이유를 달성하는 일과 관계된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로 단절된 학교제도, 교육과정제도, 교사 양성 및 운용 제도는상호 연계되고 협력을 해야 충실한 의무교육, 튼튼한 기본교육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의무교육의 재개념화를 통해 그 내실화를 위한 목적과 지향점 설정이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법규 정비를 통한 통합학교 구축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그 일환으로 고시되는 교육과정은 학교간 연계를 유도하는 9년 일관교육과정을 지향해야 하고, 교사들은 협력이 가능하도록 양성 운용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 시대 학교 교과의 성격과 전망

        홍후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0 교육과학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소위 사이버 시대를 맞고 있는 학교 교과는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강요에 의한 종합 졸업장제가 아니라 필요에 의한 교과 영역별 능력 인정제가 될 경우 학교 교육은 더욱 풀어질 것이며, 교육은 인간적 개입이 줄어드는 학습 상황으로 이전된다고 보았다. 교육 내용과 활동이 대규모로 사이버 세계 속에서 멀티미디어화함에 따라 학습할 거리가 풍성해지고 학습하기에 따라 무한한 잠재성을 실현을 약속하고 있으나, 오락성, 비순차성, 수동성, 나태성, 인지적 과부화에 의한 좌절감 등을 낳을 가능성도 높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멀티미디어화한 교육적 내용과 활동은 학습 상황에서도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게 되고, 교육 콘텐츠는 다른 상업적 콘텐츠들이 띤 특성을 흡수하게 될 것이다. 교사의 역할은 교육 콘텐츠에 대한 선정과 정보의 흐름에 대한 관리적 측면이 늘어날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의 잠정적인 결론은 다름과 같다. 첫째, 교과 교육은 교육상황에서 점차 학습상황에 적합한 성격으로 옮겨가고 있으나, 그 속도와 범위는 학교급과 교과영역에 따라 다르다.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기초 공통 교육과정의 교과 영역은 여전히 교육 상황에 놓일 것이며, 증등 학교의 사회과와 같이 공동체의 공통된 지식과 가치, 태도와 행동 양식 관련 교과는 교육 상황에 두어야 할 필요가 많으며, 신체와 건강 교육 프로그램 역시 사이버 세계가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므로 교육상황에서 적합하다. 둘째, ICT의 특성상 교육은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성격을 더욱 띠게 되며, 매체 의존적인 음악과 미술 등의 예술 교과 영역에서 숙련과 훈련을 통해 표현하는 영역, 언어와 사회 등의 교과 영역은 심각한 지형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대신 숙고와 반추를 통해 이해하는 수학과 과학 등 기초 교육은 교육 소재와 전달 방식이 달라지는 것에 비해 본질적 특성 변화를 덜 겪게될 것이다. 셋째, 사이버 세계의 교과에 대한 영향력은 커지고 있으나 그 강도와 속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교과 지식의 습득을 핵심으로 하는 학습 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우선할 것이냐 직접적인 체험과 인격적 교섭을 중심으로 한 교육 상황에 충분한 기간 동안 머물게 할 것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세대간의 교섭을 긴밀히 하기 위하여 마련된 사회적 장치인데,세대간의 교섭을 끊고 스스로 학습과 모방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있어 ICT는 촉발제가 되고 있다. ICT형 교육과정이 "교육"에서 멀어지면서 "학습"을 향해 나아가는 상황은 기초 학습 능력과 기초 생활 태도가 탄탄히 갖추어진 것을 전제로 할 때에만 진정으로 가능한 것이고 바람직한 것이라고 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growing influence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on school curriculum.It deals with newly emerging features of schooling, learner´s experiences, teacher´s status, and curriculum materials.Interviews and conferences with teachers and subjects areas affected by interactive multimedia.Sohphisticated and networked computers have increasingly changed the nature of learning and school subjects. In conclusion,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arts which filled with flowing contents rathe than stock contents, required students to master expressive skills rather than to understand objective knowledge, meet the challenge of identity crisis.With the help of ICT, learners increasingly do not help enduring understanding of normal However, science and mathematics which traditionally regarded as hard science, featured to be cumulative contents and required learners to be reflective in mastering influence scope of ICT in school subjet contents will be dependent on our competin educational orientations, whether we will push up our next generation to engage in learning with minimum human touch or in education with maximum human interaction.

      • KCI등재

        디지털기기 사용 정도에 따른 아동・청소년의 생활상 차이 연구

        홍후조,임유나,조호제,김대석,권혜정,장소영,민부자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종합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mpirically survey and analyze how muc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use digital devices and how much the use affects their living. To achieve the purpose, this work prepared a questionnaire and 1,149 elementary students, 1,106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84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is work chose the students who were at the end sides of normal distribution with the exclusion of the middle group of the students who were subject to ±1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This work classified the chosen students into low-use group and high-use group based on the total use hours of digital devic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n the case of the low-use group,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2 hours, middle school student 5 hours, and high school students 4 and a half hours or so per week on average. In the case of the high-use group,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about 15 hours, middle school students 19~20 hours, and high school students about 18 hours. In addition, the high-use group had more problems with the physical body, health, and exercises,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addictive use of digital devices than the low-use group did. Depending on the use hours of digital devices, the living differenc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male and female students clearly appeared. In the circumstance where the full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is discussed, the students' use habits of digital devices will continue to remain and get deepened in their lifetime. Therefore, as shown 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ow-use group and the high-use group, it is hard to overlook the damages to the students who highly use digital devices.

      • KCI등재

        교과교실 운영의 핵심요소 규명과 발전단계별 교과교실 유형 구분 연구

        홍후조,민부자,조호제,김대석,장소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교실 운영의 핵심요소를 밝혀내고, 이를 기초로 교과교실의 양적 확대와 질적 심화를 통해 단계적으로 확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생산·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2011년 현재 선진형 교과교실제를 운영하는 106개교의 실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2011년 교과교실제 우수 운영 학교를 방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106개교 교과교실제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마련하여 면담을 통해 교과교실제와 관련된 시설 운영 측면과 수업 운영 측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종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10여 차례의 집중작업과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교과교실 운영의 핵심요소로 공간 특성(수업용, 교사용, 학생용)과 교과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특성(블럭타임, 수준별 이동수업, 집중이수)의 총 6가지를 추출하였다. 또한 교과교실 운영 유형은 학교의 기본 시설을 중심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보아, ‘수업공간강화형, 교사공간강화형, 학생공간강화형’으로 대별하였다. 후자로 갈수록 시설을 더 충실히 갖추는 것으로 보았을 때, 이것은 학교 현장에서 교과교실을 도입․정착․발전시켜가는 순서이기도 하다. 이를 바탕으로, 각 학교는 주어진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유형을 도입․발전시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study’s propose is to expand subject-tailored classroom as an institution to everyschool. The study clarifies core factors of subject-tailored classroom implementation. Based onthe core factors, the study focuses on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dual expansionwith increased quantity and better quality of subject-tailored classroom. Researchers formulated 6 distinctive factors of subject-tailored classroom management. Thefirst 3 features are spacial features: instruction space, teacher space, and student space. Thelatter 3 are instructional features: block scheduling, ability grouping, and time-aggregatedinstruction. Moreover, subject-tailored classroom management types are divided by schoolfacility, generally classified “subject-tailored classroom focused on instruction space,subject-tailored classroom focused on teacher space, and subject-tailored classroom focused onstudents space”. This is also the order to introduce, settle, and develop subject-tailoredclassroom in school setting. The study suggests that each school must consider overallcondition to utilize subject-tailored classroom in the best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