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사대용 식품(Ready-to-eat meals) 중 병원성 세균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양상

        홍은경,김윤아,이도경,강병용,하남주,Hong, Eun-Kyung,Kim, Yun-A,Lee, Do-Kyung,Kang, Byung-Yong,Ha, Nam-Joo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3월 초까지 497개의 초밥, 김밥, 샌드위치 등의 식사대용 식품 검체를 수거하여 식품공전을 토대로 식사대용 식품에서 유래되는 미생물학적 인 오염도를 조사하고, 현대 사회에서 항생제 사용의 오남용으로 항생제 내성이 심각한 상황을고려하여 분리된 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거된 검체를 실험한 결과 김밥에서 4개(1.4%)의 Escherichia coli가 분리되었고, 초밥, 샌드위치 등에서는 분리되지 앓았다. 또한 김밥에서 12개(4.4%), 초밥에서 8개(5.4%), 샌드위치에서 2개(4.3%)로 총22개(4.4%)의 Staphylococcus aureus가 분리되었다.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26개의 균주로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의 기준에 의거하여 vancomycin, teicoplanin, gentamycin, cipro-floxacin, synercid, cefotaxime, lincomycin, meropenem, cefazo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으로 총 10개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E. coli와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E. coli 4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은 그람 음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인 gentamycin, ciprofloxacin, cefotaxine, meropenem, cefazol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다고 판단되었으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해서는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은 비교적 높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an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found ready to eat meals such as Him-bap, Cho-bap, Hamburger, Sandwich and packed lunch boxes. A total of 497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upermarket and department of Seoul, Kyung-ki, Inctleon, Kang-won, Chung-Cheong from November, 2005 to March, 2006. The contaminated microorganisms were in most cases tract relative strain like E. coli and S. aureus. Result have shown E. coli was detected 4 strains and S. aureus was detected 22 strains. 26 strains were also tested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26 strains were shown to be relatively susceptible to synercid, vancomycin, teicoplanin, ciprofloxacin, gentamycin, lincomycn, cefotaxime, meropenem, cephalospor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by the MIC dilution method, but E. coli 1 strain was resistant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 KCI등재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기관별 직무 차이

        홍은경,최정실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8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6 No.2

        Objective : The aims of th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uty task of the job for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focused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according to hospital, center, welfare center and additionally to identify job differences depending to agency type. Methods : A survey was performed for 122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focused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using a questionnaire from July to September 2017.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job description for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focused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Results : There was difference in importance, frequency, and difficulty according to hospital, center, welfare centerl. Differences were showed total 10 tasks in importance, total 7 tasks in frequency, and total 2 task in difficulty depending to agencies type.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identify job differences depending to agency type and develop essential competencies needed to perform the job emphasized at each agency. 목적 :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병원, 센터, 복지관에 따라 중요도, 빈도, 난이도를 분석하여 기관별 직무(과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감각통합치료를 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는 감각통합치료 중심으로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의 직무기술서를 바탕으로 구성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병원, 센터, 복지관의 특성에 따라 과제의 중요도, 빈도, 난이도에 차이가 있었다. 기관별 중요도는 총 10개 과제에서 차이가 있었고, 빈도는 총 7개 과제, 난이도는 총 2개 과제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기관별 직무의 특성이 상이함을 인식하고, 각 기관별로 강조되는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개인의 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포스터 17 : 최종 제대혈 제제 Volume을 위한 Auto-Volume Expressor 장비의 QC(quality control)

        홍은경,최기훈,홍혜경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4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

        배경: 조혈모세포 이식에 사용되는 최종 제대혈은 적혈구를 분리 제거한 LRP(Leukocyterichplasma)를 Auto-volume Expressor(A-V Ex, ThermoGenesis) 장비를 사용하여 혈장을 제거한 후 20.0㎖ CLRP(concentrated leukocyte-rich plasma)에 5.0㎖ 동결보존제(Dimethylsulfoxide;DMSO, Dextran 40)를 더하여 최종 25.0㎖로 영하 196℃ 액화질소 보관용기에 냉동 보관한다. 20.0㎖ CLRP는 A-V Expressor 장비에 따라 volume이 결정되므로 정확한양을 얻기 위해서 위 장비의 QC(quality control)가 매우 중요하다. 방법: 위 장비의 기존 QC 방법은 90.0㎖ PBS를 이용하여 set volume 값이 20.0㎖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렇게 조정된 장비로 2013년 01월 01일부터 2013년 03월 31일까지 메디포스트㈜제대혈 은행에 보관을 의뢰한 3,689건 제대혈 검체의 CLRP를 분리한 후 최종 제대혈의 양을 분석한 결과 LRP 101g 이상 검체군에서 최종 보관량 25.0㎖ 기준시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 다음 분석을 진행하였다. 동일 방법으로 QC를 진행하되 PBS의 양을140.0㎖로 늘려서 새로운 A-V Expressor 장비의 set volume 값이 20.0㎖가 되도록 조정하고 2014년 04월 01일부터 2014년 07월 31일까지 보관 의뢰된 제대혈 4,465건 중 LRP 101g이상 검체만 140.0㎖ PBS로 조정한 장비로 CLRP를 분리하여 최종 제대혈의 양을 분석하고 PBS 양에 따른 위 장비의 측정오차를 비교하였다. 결과: PBS 90.0㎖ 사용시에 LRP 101g 이상(179건)의 최종 제대혈 양은 평균 25.7㎖(±0.86)로 분석되었고, PBS 140.0㎖ 사용시에 LRP 101g 이상 검체(159건)의 최종 제대혈 양은 평균25.0㎖(±0.72)로 각각 분석되었다. 고찰: 분석 결과 90.0㎖ PBS 사용시 +0.7㎖의 오차를 보인 반면, 140㎖ PBS를 사용하여 조정된 장비로 분리된 최종 제대혈 검체는 25.0㎖(±0.72)로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A-V Expressor 장비의 QC에서 PBS 양을 다르게 적용한 장비를 준비하여 분리된LRP의 무게를 구분하여 장비를 사용하여 주는 것이 최종 제대혈 제제의 정확한 volume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협력적 동작표현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홍은경,강정원 한국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협력적 동작표현활동이 개별적 동작표현활동에 비해 유아의 친사회적 기술 증진에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21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6주간 12회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소집단 토의를 통한 협력적 동작표현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개별적 동작표현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적 동작 표현활동은 개별적 동작 표현활동에 비해 유아의 친사회적 기술을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기술 중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은 의미 있게 향상되었으나, 학교적응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young children's collaborative activity in movement expression is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their prosocial skills than is individual movement ex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ive year 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collaborative movement expression activities 12 times during a six week period. The same number of individual movement expressive activities were used during that period with a control group. Dependence, which is regarded as prosocial skill, consists an ability to control ones emotions, interpersonal relational competence and school adaptive competence. This research was analysed by t-test to obtain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analysis found collaborative activity wa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activity in terms of developing the prosocial skills of young children. It was also significantly effective in developing individual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al competence.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chool adaptive competence between collaborative and individual expressive movement. While this research used discussion and self-expression as strategies for developing prosocial skills, we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be conducted in collaborative activities in order to employ varied teaching strategies.

      • KCI등재

        한국 신석기시대 사회관계망분석(SNA)을 위한 예비검토

        홍은경 중부고고학회 2019 고고학 Vol.18 No.3

        In recent archaeological studies, multivariate analysis methods such as Multi-Dimensional Scal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are frequently used for the quantitative approaches to a large amount of data.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expressed o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diagram, in which the researcher explore the time or spatiality by measuring and classifying similarities between the sites through the relative distances and arrangements expressed in it. Although these methods have many advantages, they do not direct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s. So, I proposed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is stud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s much more intuitive than the multivariate analysis in that it shows the existence and ext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archaeological sites by a line directly connected in the diagram. And it is possible to classify into subgroup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aeological sites. In addition,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is analysis can examine not only sites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s and artifacts at the same time. Besides, it can help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rchaeological site, as well as its location and function can be analyzed more specific in their networks. Therefore, I attempted to analyze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existing research data on pottery patterns in the Neolithic Age of Korea. As a result, the Social Network Analysis was able to show much more visible features of inter-regional network than the preceding study. In addition, the analysis provided additional insight into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network, as well as the location and meaning of some individual sites within the network. As abov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the Neolithic Age in Korea. In a subsequent study, I will analyze the actual data and discuss the results. 최근 고고학에서는 대규모 자료에 대한 수량적 접근의 일환으로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과 대응일치분석(Correspondence Analysis) 등의 다변량분석법이 자주 이용된다. 다변량분석의 최종 결과는 2차원이나 3차원의 도표상에 표현되는데, 연구자는 그 안에 표현된 상대적 거리와 배열의 양상을 통해 유적간의 유사도를 가늠하고 분류하여 시간성 혹은 공간성을 탐색한다. 각각의 장점이 분명한 방법이지만, 이를 통해 유적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는 없다. 본고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제시하였다. 사회관계망분석은 직접 연결된 선으로 유적간 연결유무와 연결정도를 가시적으로 나타낸다는 점에서 다변량분석법에 비해 더욱 직관적일 뿐만 아니라 유적간 관계를 통해 하위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각도로 자료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시사점을 준다. 유적과 유적만이 아니라 유적과 유물의 관계까지 동시에 살필 수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만하다. 그리고 전체 유적네트워크 내에서 하나의 유적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와 기능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인 분석이 가능하여 유적의 성격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에 실제 자료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한국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토기 문양을 대상으로 시험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에 발표된 연구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그 결과를 비교해볼 수 있었는데, 기존 분석 및 해석처럼 지역에 따른 문양의 편중과 유적간 관계의 특징이 감지되었음은 물론이고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구조,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유적이 가지는 위치와 그 의미까지도 파악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예비적 차원의 분석을 통해 한국 신석기시대 자료에의 적용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판단한 바, 후속 연구에서는 토기 자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