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HRCT Emphysema Scoring과 운동부하 폐기능검사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

        최은경,최영희,김도형,김용호,윤세영,박재석,김건열,이계영,Choi, Eun-Kyoung,Choi, Young-Hee,Kim, Doh-Hyung,Kim, Yong-Ho,Yoon, Se-Young,Park, Jae-Seuk,Kim, Keun-Youl,Lee, Kye-Young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1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0 No.4

        배 경 : 폐기종의 중증도 판정에 있어서 병리학적 기준은 기강(air space)의 확장 정도에 있으며, 이는 고해상도 전산화 촬영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에 의해 결정되는 폐기종 점수(emphysema scoring)와 좋은 상관성을 보인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폐기종의 주증상은 운동성 호흡곤란이므로 폐기종에 대한 임상적 평가는 운동능력의 감소를 측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폐기종의 중증도 판정은 안정시 폐기능 검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흔하며, 병리학적 중증도 판정과 상관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고해상도 전산화 촬영에 의한 폐기종 점수와 운동부하 폐기능검사 지표들과의 상관성 여부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종의 중증도 판정에 있어서 HRCT와 안정시 폐기능 검사 및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간에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여 보았다. 방 법 : 평균 연령 $60.6{\pm}10.3$세인 14명의 폐기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HRCT, 안정시 폐기능 검사(forced expiratory flow volume curve, lung volumes by He dilution method, DLco, ABGA), 그리고 점진적운동부하폐 기능검사(incremental cycle ergometer)를 시행하였으며 HRCT는 GE highlight를 이용하여 조영증강 없이 최대흡기시에 1.5mm collimation, 10mm 간격으로 폐전체를 스캔하였고, 환자마다 모든 스캔에서 density mask를 이용하여 -400 HU를 기준으로 한 총폐면적과 -900 HU를 기준으로 한 폐기종 면적을 각각 구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여 폐기종 점수를 구하였다. 결 과 : 평균 폐기종 점수는 $37.4{\pm}14.9%$ 이었다. 폐기종 점수와 안정시 폐기능 검사의 DLco(r=-0.75)와 $PaO_2$(r=-0.66) 사이에서만 유의한(p<0.05)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반면 폐기종 점수와 운동부하폐기능 지표들간의 상관성은 최대 산소섭취량(r=-0.68), 혐기성 역치(V-slope method, r=-0.690), 최대운동부하(r=-0.74), 최대운동시 $O_2$ pulse(r=-0.73), 최대운동시의 생리적 사강비율 (r=0.80) 등과 높은 유의성 (p<0.01)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호흡예비율과 심박수 예비율간에서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고, pulse oxymeter로 측정한 산소포화도와의 상관성도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폐기종의 병리학적 중증도를 잘반영한다고 알려진 HRCT 폐기종 접수는 폐기종에 의한 생리학적 장애를 잘 반영하는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의 주요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HRCT) emphysema score and the physiologic parameters including resting and exercise pulmonary function test was investigated in 14 patients($60.6{\pm}10.3$ years) with pulmonary emphysema. Methods : The patients underwent a HRCT, a resting pulmonary function test, and incremental exercise testing(cycle ergometer, 10 W/min). Computed tomography scans were obtained on a GE highlight at 10 mm intervals using 10 mm collimation, from the apex to the base after a full inspiration. The emphysema scores were determined by a CT program 'Density mask' outlining the areas with attenuation values less than -900 HU, indicating the emphysema areas, and providing an overall percentage of lung involvement by emphysema. Results : Among the resting PFT parameters, only the diffusing capacity(r=-0.75) and $PaO_2$ (r=-0.66) correlated with the emphysema score(p<0.05). Among the exercise test parameters, the emphysema sco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maximum power(r=-0.74), maximum oxygen consumption(r=-0.68), anaerobic threshold(V-slope method: r=-0.69), maximal $O_2$-pulse(r=-0.73), and the physiologic dead space ratio at the maximum workload(r=-0.80)(p<0.01). Conclusion: We could find that exercise testing parameters showed a much better correlation with the HRCT emphysema score, which is known to have a good correlation with the pathologic severity than the resting PIT parameter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exercise testing is superior to resting PIT for estimating in the estimation of the physiologic disturbance in emphysema patients.

      • KCI등재

        Lipopolysaccharide 유도된 Raw264.7 세포주에서 전사조절인자 NF-κB와 IRF-1의 공동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PD-1 발현연구

        최은경,이수운,이수웅,Choi, Eun-Kyoung,Lee, Soo-Woon,Lee, Soo-Woong 한국미생물학회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4

        Programmed Death-1 (PD-1) is one of the important immune-inhibitory molecules which was expressed in T cells, B cells, NKT cells, and macrophages activated by various immune activating factors. Lipopolysaccharide (LPS), the major component of the outer membrane of Gram-negative bacteria, is one of the crucial immunogens for PD-1 expression.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on the expression mechanisms of PD-1 in innate immune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xpression mechanisms of PD-1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 lines by RT-PCR, Western Blot, flow cytometry as well as ChIP assay and co-immunoprecipitation. When Raw264.7 cells were stimulated with LPS, PD-1 expression was greatly up-regulated via PI3K and p38 signaling. Primary macrophages isolated from LPS-injected mice were also shown the increased expression of PD-1. In promoter assay, NF-${\kappa}B$ and IRF-1 binding regions in mouse PD-1 promoter are important for PD-1 expression. We also found that the co-activation of NF-${\kappa}B$ and IRF-1 is indispensable for the maximum PD-1 ex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ulation of PD-1 expressed in innate immune cells could be a crucial for the disease therapy such as LPS-induced mouse sepsis model. Programmed Death-1 (PD-1)은 중요한 면역조절분자들 중 하나로 다양한 면역활성인자에 자극된 T 세포, B 세포, NKT 세포 및 대식세포에서 발현된다. Lipopolysaccaride (LPS)는 그람음성세균의 세포벽구성물질로 PD-1 발현을 유도하는 중요 면역원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천면역세포에서 PD-1 발현기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PS에 의해 자극된 Raw264.7 세포주를 대상으로 PD-1 발현 및 발현조전기전을 RT-PCR, Western Blot, 유세포분석기, ChIP assay 및 co-immunoprecipitation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주가 LPS로 자극되었을 때 PI3K 및 p38 신호전달경로를 경유하여 PD-1 발현이 크게 증가되었다. 또한 LPS 주사된 생쥐의 비장유래 대식세포에서도 PD-1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 하였다. PD-1 유전자의 프로모터 분석을 통해서 NF-${\kappa}B$ 및 IRF-1 결합부위가 PD-1 발현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D-1 발현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사조절인자 NF-${\kappa}B$ 및 IRF-1의 공동활성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LPS 유도 생쥐패혈증모델에서 선천면역세포에 발현된 PD-1분자의 제어를 통한 질병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The Analysis of Failure Pattern in Locally Advanced Stomach Cancer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 Chemotherapy: To Explore The Role of Post-Op Irradiation

        최은경,장혜숙,서처원,이규형,이정신,김상희,김명환,민영열,김진천,이승규,박건춘,Choi, Eun-Kyung,Chang, Hye-Sook,Suh, Cheol-Won,Lee, Kyoo-Hyung,Lee, Jung-Shin,Kim, Sang-Hee,Kim, Hae-Ryun,Kim, Myung-Hwan,Min-Young-Il,Kim, Jin-Cheon,Lee, S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수수로가 항암요법만으로 치료한 국소 진행된 위암환자에서 치료실패의 양상을 분석해봄으로써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89년 6월부터 1990년 8월까지 치료받은 1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제2기 ($T_2N_1,\;T_3N_0$)환자는 20이었으며 제3기 ($T_3N_1,\;T_3N_2$(환자는 87명이었다 16명은 수술후 추적이 어려워 91명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이중 57명은 수술후 항암요법을 시행하고 24명은 계속적 추적 관찰만을 하였다. 국소재발율은 항암 요법 시행군에서는 $321\%$, 추적관찰군에서는 $24\%$로 차이가 없었고 원격전이는 항암요법 시행군에서는 $12\%$ 추적관찰군에서는 $26\%$로 항앙요법 시행군에서 원격 전이가 적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국소 재발환자의 $52\%$는 anastomosis site에서 재발하였고 원격 전이시 가장 많이 침범되는 장기는 간이었다. 아직 추적 관찰 기간이 짧으나 수술후 방사선 치료가 최소한 $20\%$이상의 환자에서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된다. A Retrospective study to analyze the failure pattern in locally advanced stomach cancer, treated with radical surgery and post-op chemotherapy was perfomed. Among 107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gastrectomy in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une 1989 and August 1990. there were 20 stage II(T2NO, T2N1) and 87 stage III(T3N1, T3N2) and 91 patients were eligible for study. 57 patients treated with 6 cycles of postop adjuvant chemotherapy. Among 57 patients treated with postop adjuvant chemotherapy, local failure occurred in $21\%$ and distant failure in $12\%$. Among 34 patients who were not treated with postop chemotherapy, local failure occurred in $24\%$ and distant failure in $26\%$. Among 29 failures including 13 locoregional, 9 distant metastasis and 7 locoregional and distant metastasis, 11 cases recurred in the anastomotic site, 3 in the gastric bed,7 in the regional lymph nodes and peritoneal seeding occurred in 6 cases. The true incidences of gastric bed, nodal and peritoneal failures may be higher in the longer follow-up or reoperative or autopsy series. Our data sugest that postop chemocherapy is beneficial by reducing distant failure rate. Our data suggest that postop chemocherapy is beneficial by reducing distant failure rate. Postop adjuvant locoregional radiotherapy in addition to the systemic adjuvant therapy may reduce the local failure rate and potentially benefit in at least $20\%$ of patients who developed the local failure only.

      • SCOPUSKCI등재

        MVP Chemotherapy and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Stage III Un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 Randomized for Maintenance Chemotherapy vs. Observation; Preliminary Report

        최은경,장혜숙,서철원,이규형,이정신,김상희,최철준,고윤석,김우성,김원동,김삼현,손광현,Choi, Euk-Kyung,Chang, Hye-Sook,Suh, Cheol-Won,Lee, Kyoo-Hyung,Lee, Jung-Shin,Kim, Sang-Hee,Choi, Chul-Joon,Koh, Youn-Suck,Kim, Woo-Sung,Kim, Won-Dong,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제3기의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MVP항암 요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1991년 1월부터 전향성 임의선택 연구(prospective randomized study)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제III기의 비소세포 폐암중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VP 항암요법(Mitomycin C 6mg/$m^2$, Vinblastine 6 mg/$m^2$, Cisplatin 60 mg/$m^2$)을 3회 시행한 후 다분할 방사선치료 (120 cGy/ft BID)를 6500 cGy까지 조사하였다. 방사선치료가 끝난 1개월 후 관해정도를 확인하여 추가 항암요법을 시행하는 군과 계속 관찰하는 군으로 임의 분류하였다. 1991년 8월까지 18명의 환자가 등록 되었으며 이중 2명은 2cycle의 항암요법 후 치료를 포기하여 16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MVP항암요법에 대한 관해율은 $62.5\%$로 $50\%$에서는 부분관해 $12.5\%$에서는 minimal response를 보였다. 항암요법에 부분관해를 보인 3명중 1명에서는 방사선 치료후 완전관해를 보였으며 항암요법으로 병이 진행된 6명의 환자중 4명에서는 방사선 치료후에도 역시 병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환자는 다분할 방사선 치료를 잘 견뎠으나 한 환자가 방사선 치료 한달 후 항암요법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아직 추적관찰 기간이 짧고 대상 환자가 많지 않다는 문제점은 있으나 본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evaluate the effect of MVP chemotherapy and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in Stage III unresectable non 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uthors have conducted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since January 1991, Stage IIIa or IIIb unresectable NSCLC patients were treated with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120 cGy/fx BID) up to 6500 cGy following 3 cycles of induction MVP (Mitomycin C 6 mg/$m^2$, Vinblastine 6 mg/$m^2$, Cisplatin 60 mg/$m^2$) and randomized for either observation or 3 cycles of maintenance MVP chemotherapy. Until August 1991, 18 patients were registered to this study. 4 cases were stage IIIa and 14 were stage IIIb. Among 18 cases 2 were lost after 2 cycles of chemotherapy, and 46 were analyzed for this preliminary report. The response rate of induction chemotherapy was $62.5\%$ : partial response, $50\%$ and minimal response, $12.5\%$. Residual tumor of the one partial responder was completely disappeared after radiotherapy. Among 6 cases who were progressed during induction chemotherapy, 4 of them were also progressed after radiotherapy. All patients were tolerated BID radiotherapy without definite increase of acute complications, compared with conventional radiotherapy group. But at the time of this report, one patient expired in two month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adiotherapy because of treatment related complication. Although the longer follow up is needed, authors are encouraged with higher response rate and acceptable toxicity of this treatment. Authors believe that this study is worthwhile to continue.

      • KCI등재

        침전법을 이용한 Indium hydroxide 분말의 합성 연구

        최은경,이원준,한규성,김응수,김진호,황광택,김종영,황해진,심광보,조우석,Choi, Eun-Kyoung,Lee, Won-Jun,Han, Kyu-Sung,Kim, Ung-Soo,Kim, Jin-Ho,Hwang, Kwang-Teak,Kim, Jong-Young,Hwang, Hae-Jin,Shim, Kwang-Bo,Cho, Woo-Seok 한국결정성장학회 2017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7 No.3

        고밀도 ITO 타겟 제조를 위해 입자의 크기가 미세하면서도 응집성이 적은 $In_2O_3$ 분말을 합성해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In_2O_3$ 분말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구체 Indium hydroxide 분말의 크기와 형상을 제어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출발 물질로써 Indium metal을 질산($HNO_3$)과 증류수의 혼합용액에 용해시켜 $In(NO_3)_3$ 용액을 만들었다. 침전제로 수산화암모늄($NH_4OH$)을 사용하여 농도, pH, 온도가 Indium hydroxide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X-ray diffraction으로 각 시료의 결정상을 분석하고 Crystallite size를 계산하였으며, TEM으로 입자의 형상과 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In(NO_3)_3$ 농도가 증가할수록 얻어지는 Indium hydroxide의 입자크기는 증가하였고 일정한 농도의 $In(NO_3)_3$ 용액에서 침전 pH 변화에 따른 Indium hydroxide의 입자크기와 형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침전 시 온도가 상승할수록 입자크기는 증가하였다. For the production of a high-density ITO target, $In_2O_3$ powders with a small particle size and low agglomeration should be synthe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ol the size and shape of the Indium hydroxide precursor which affects the properties of the $In_2O_3$ powder. As a starting raw material, Indium metal was dissolved in a Nitric acid ($HNO_3$) solution. The effect of concentration, pH, and temperature on the properties of Indium hydroxide was investigated using ammonium hydroxide as a precipitant. Crystallite size of each sample was analyzed by X-ray diffraction and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powder was analy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s a result, the particle size of Indium hydroxide was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In(NO_3)_3$ and the particle size and shape of the Indium hydroxide remained unchanged with increase in the pH of the solution. The particle size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precipitation temperature during precipitation.

      • SCOPUSKCI등재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Concurrent Chemotherapy for Stage III Unresectable Non Small Cell Lung Cancer : Preliminary Report for Response and Toxicity

        최은경,김종훈,장혜술,김상위,서철원,이규형,이정신,김상희,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송군식,Choi, Eun-Kyung,Kim, Jong-Hoon,Chang, Hye-Sook,Kim, Sang-We,Suh, Cheol-Won,Lee, Kyoo-Hyung,Lee, Jung, Shin,Kim, Sang-Hee,Ko, Youn-Suk,Kim, Woo-Sung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2

        목적 : 절제 불가능한 제 3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MVP 복합 항암요법의 동시 치료에 의한 종양관해율, 급성부작용, 생존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8월부터 전향성 연구(Prospective study)를 시작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 III기의 비소세포성 폐암중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분할 방사선치료(120 cGy/fx, BID)를 6,480 cGy 시행하며 동시에 방사선치료 제1일과 28일에 2회의 MVP (Mitomycin C $6mg/m^2,$ Vinblastine $6mg/m^2,$ Cisplatin $60mg/m^2$) 복합 항암 요법을 시행하였다. 1994년 11월까지 등록된 62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병기는 IIIa 환자가 6명이고 나머지 56명은 IIIb 환자였으며 이중 흉막액이 있었던 환자는 11명, 쇄골상 임파선 전이가 있었던 환자는 10명으로 대부분의 환자가 IIIb 중에서도 진행된 환자였다. 조직학적 유형은 편평 상피암이 41명으로 $66\%$ 선암도 11명으로 $18\%$를 차지하였다. 결과: 52명의 환자중 끝까지 치료를 마친 환자는 48명으로 이 study의 compliance는 $77\%$이었다. 48명의 환자중 2명은 치료중 치료와 관계된 백혈구 감소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치료의 효과를 판정할 수 있었던 46명의 환자중 완전 관해(CR)는 10명으로 $22\%$의 높은 완전 관해율을 보였다. 부분 관해(PR)는 24명 $(52\%)$ 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동시 병행 MVP 항암요법에 의한 부분관해 이상의 관해율은 $74\%$ 이었다. 급성부작용 판정이 가능했던 46명중 가장 빈도가 높은 금성 부작용은 백혈구 감소로 1차 항암요법후 10명이 Grade 3, 4명이 Grade 4의 백혈구 감소를 보였으며 2차 항암요법에는 11명이 Grade 3, 9명이 Grade 4의 백혈구 감소를 보여 치료기간이 3일에서 5일 정도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냈고 이중 2명은 폐렴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치료중 체중감소를 보인 환자는 26명 $(54\%)$ 이었으며 이중 9명에서는 치료전에 비해 $10\%$ 이상의 체중감소를 보였다. 치료 1개월후 찍은 CT상 6명에서는 Grade 1의 방사선 폐렴이 관찰되었고 3명에서는 Grade 2로 Steroid 치료후 호전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MVP 항암요법의 동시 치료가 이전의 항암요법후 다분할 방사선 치료하는 Sequential 방법에 비하여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특히 $22\%$의 높은 완전 관해율이 관찰되어 이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되며 급성 부작용에 대하여는 입원을 통한 Nutrition support와 G-CSF 등을 이용하여 백혈구 감소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Lung cancer study group at Asan Medical Center has conducted the second prospective study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feasibility of MVP chemotherapy with concurrent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I un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All eligible Patients with stage III unresectable NSCLC were treated with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120 cGy/fx BID. 6480 cGy/54fx) and concurrent 2 cycles of MVP(Mitomycin C $6mg/m^2,$ d2 & d29.Vinblastine $6mg/m^2,$ d2 & d29, Cisplatin $60mg/m^2,$ dl & d28) chemotherapy. Between Aug. 1993 and Nov. 1994, 62 patients entered this study; $6(10\%)$ had advanced stage IIIa and $56(90\%)$ had IIIb disease including 11 with pleural effusion and 10 with supraclavicular metastases. Among 62 patients, $48(77\%)$ completed planned therapy. Fourteen patients refused further treatment during chemoradiotherapy. Of 46 patients evaluable for response, $34(74\%)$ showed major response including $10(22\%)$ with complete and $24(52\%)$ with partial responses. Of 48 patients evaluable for toxicity, $13(27\%)$ showed grade IV hematologic toxicity but treatment delay did not exceed 5 days Two patients died of sepsis during chemoradiotherapy. Severe weight loss(more than $10\%)$ occurred in 9 patients$(19\%)$ during treatment. Nine patients$(19\%)$ developed radiation pneumonitis Six of these patients had grade 1 (mild) Pneumonitis with radiographic changes within the treatment fields Three other patients had grade 11 Pneumonitis, but none of these patients had continuous symptoms after steroid treatme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was well tolerated with acceptable toxicity and achieved higher response rates than the first study, but rather low compliance $rate(77\%)$ in this study is worrisome. We need to improve nutritional support during treatment and to use G-CSF to improve leukopenia and if necessary. supportive care will be given as in patients, Longer follow-up and larger sample size is needed to observe survival advantage.

      • KCI등재

        유전체 코호트 연구의 윤리적 고려 사항

        최은경,김옥주,Choi, Eun-Kyung,Kim, Ock-Joo 대한예방의학회 2007 예방의학회지 Vol.40 No.2

        During the last decade, genomic cohort study has been developed in many countries by linking health data and genetic data in stored samples. Genomic cohort study is expected to find key genetic components that contribute to common diseases, thereby promising great advance in genome medicine. While many countries endeavor to build biobank systems, biobank-based genome research has raised important ethical concerns including genetic privacy, confidentiality, discrimination, and informed consent. Informed consent for biobank poses an important question: whether true informed consent is possible in population-based genomic cohort research where the nature of future studies is unforeseeable when consent is obtained. Due to the sensitive character of genetic information, protecting privacy and keeping confidentiality become important topics. To minimize ethical problems and achieve scientific goals to its maximum degree, each country strives to build population-based genomic cohort research project, by organizing public consultation, trying public and expert consensus in research, and providing safeguards to protect privacy and confidentiality.

      • KCI등재

        KRUGLYAK과 LANDER의 유전연관성 비모수 방법과 반복 자료를 고려한 가중 회귀분석법의 비교

        최은경,송혜향,Choi, Eun-Kyeong,Song, Hae-Hiang 한국통계학회 2008 응용통계연구 Vol.21 No.1

        Th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method of Haseman and Elston(1972) is most widely used in genetic linkage studies for continuous traits of sib pairs. Kruglyak and Lander(1995) suggested a statistic which appears to be a nonparametric counterpart to the Haseman and Elston(1972)'s regression method, but in fact these two methods are quite different.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two methods are described and will be compared by simulation studie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b-pair linkage study is that the explanatory variable has only three different values and thus dependent variable is heavily replicated in each value of the explanatory variable. We propose a weighted least squares regression method which is more appropriate to this situa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weighted regression in genetic linkage study was explored with normal and non-normal simulated continuous traits data. Simulation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weighted regression is more powerful than other tests. 형제 쌍(sibpair)의 연속형 형질(continuous traits) 자료를 이용한 유전연관성 검정 법(linkage test)으로서 Haseman과 Elston (1972)의 최소제곱(ordinary least square, OLS) 회귀분석법이 주로 사용된다. 비모수적 방법으로서 제시된 Kruglyak과 Lander (1995)의 검정통계량은 Haseman과 Elston (1972)의 방법에 대응되는 방법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Kruglyak와 Lander (1995)의 검정통계량과 Haseman과 Elston (1972)의 검정통계량의 관계를 설명하고 모의실험으로 두 검정통계량의 검정력을 비교한다. 유전연관성에 사용되는 형제 자료의 특징은 한정된 설명변수의 값에 매우 많은 자료가 반복(replicated)되었다는 점이며, 이러한 반복 자료에 더욱 적절한 가중 회귀분석법을 제안한다. 가중 회귀분석법의 효율성을 정규분포 또는 정규분포가 아닌 연속형 형질 모의실험 자료로 알아본 결과 형제 쌍 자료의 유전연관성 검정에서 가중 회귀분석법이 다른 검정법들보다도 검정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 SCOPUSKCI등재

        Modified Five Field Technique for Primary and Postop Breast Cancer Irradiation

        최은경,장혜숙,이병용,Choi, Eun-Kyung,Chang, Hye-Sook,Yi, Byong-Yong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유방암의 근치적 또는 수술후 방사선 조사시 치료해야 할 부위는 유방과 주위임파 조직으로 매우 복잡한 3차인적 구조이다. 여러 방향의 조사에 의한 조사부위의 중복을 피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위한 여러 방법이 시도돼 왔으나 계산과정이나 치료방법이 매우 복잡하여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Asymmetric jaw를 이용하고 gantry, collimator와 couch를 적절히 회전시켜 조사야가 만나는 부분에서 beam의 divergence를 없애줌으로써 가장 이상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5문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1. 모든 조사야의 set up이 같은 위치에서 시행되므로 환자의 위치변동에 의한 target volume의 변화를 막을수 있다. 2. Half beam block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3. 조사야가 만나는 선(match line)에서 beam의 divergence가 없으므로 정확하다. 4. 계산이 쉽고 환자 set up이 용이하다. 5. 매일 치료를 같은 방법으로 정화하게 반복할 수 있다. In breast cancer, the treatment volume presents a relatively complex three dimensional structure. Effective radiation therapy requires the delivery of adequate dose to a large target volume using complex beam arrangements. The technique proposed here is our department's method using asymmetric jaw with appropriate couch, collimator and gantry rotation. This techniqu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all treatments are given in a single clinical set up 2) it does not require half beam blocks 3) it produces exact geomatric match 4) it is very convenient and easy to use 5) it has daily reproducibility.

      • KCI등재

        저온에서의 indium hydroxide에서 indium oxide로의 상전이

        최은경,이원준,한규성,김응수,김진호,황광택,황해진,심광보,조우석,Choi, Eun-Kyoung,Lee, Won-Jun,Han, Kyu-Sung,Kim, Ung-Soo,Kim, Jin-Ho,Hwang, wang-Teak,Hwang, Hae-Jin,Shim, Kwang-Bo,Cho, Woo-Seok 한국결정성장학회 2018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8 No.2

        Indium hydroxide powder was prepared by precipitation method. The reaction temperature ($150{\sim}250^{\circ}C$) and the holding time at each reaction temperature (1~72 h) were used as experimental variables. The particle size, microstructure and crystal phase of each prepared powder were observed through X-ray diffraction (XR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TEM) and BE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ase and microstructural change induced by heat treatment of indium hydroxide nanoparticles at various temperatures for different holding times. Indium hydroxide 분말이 침전법으로 제조되었다. 반응온도($150{\sim}250^{\circ}C$)와 각 반응온도에서의 유지시간(1~72 h)이 실험 변수로 사용되었다. 각각의 제조된 분말을 X-선 회절 분석기(XRD)와 투과전자현미경(FE-TEM), BET를 통해 입자크기, 미세구조 및 결정상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침전법에 의해 제조된 Indium hydroxide가 열처리 시 반응온도와 각 반응온도에서의 유지시간에 따라 어떻게 Indium oxide로 상전이 거동을 하는 지를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