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용수 수질기준 T-N 항목에 대한 검증 실험( I )

        최선,김호일,김민호,이변우,이봉훈,Choi, Seon-Hwa,Kim, Ho-Il,Kim, Min-Ho,Lee, Byeon-U,Lee, Bong-Hun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6 No.1

        The present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s are set by a policy goal. This is intend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public water resources, but not for the use of water resources. These standards were not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on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e and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of agricultural crops.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rrigation water quality on the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of rice and acquire fundamental knowledges to set up irrigation water quality standards. The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 treatments using irrigation waters with various total nitrogen concentrations (control, 1, 5, 10, 20mg/L) and replicated four times with randomized block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 plant dry weight, the uptake of N, P, and K, and rice protein contents tended to increase as the T-N concentration in irrigation water was increased. In addition, grain yield at T-N 20 mg/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but the percentage of head rice was slightly lower due to the increase of green kernel and white belly/core kernel.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Paracoccus sp.의 Astaxanthin 생산배지 최적화

        최종일(Jong-il Choi),이희섭(Hee-Sub Lee),최선강(Seon-Kang Choi),김재훈(Jae-Hun Kim),김진규(Jin Kyu Kim),Norihiko Misawa,변명우(Myung-Woo Byun),이주운(Ju-Woon Lee) 한국생물공학회 2009 KSBB Journal Vol.24 No.3

        Paracoccus sp.의 astaxanthin 생산성 증가를 위해 반응표면 분석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배지조성을 설계하였다. Paracoccus의 성장 배지인 Marine Broth와 modified Blaszczyk 배지를 사용하여 astaxanthin 생산성을 측정한 결과 각각 0.39 mg/L, 0.40mg/L의 astaxnathin 농도를 보였다. Modified Blaszczyk 배지의 조성을 각각 변수로 두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성분을 알아본 결과 MgSO₄와 yeast extract로 확인되었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MgSO₄ (0.397~4.621 g/L), yeast extract (2.879~7.121 g/L)를 달리하였을 때, astaxanthin 생산성에 대한 회귀식의 R²은 0.894로 나타났고, 이에 따른 최대 생산량은 0.925 mg/L로 예상되었으며 이때의 MgSO₄ 와 yeast extract의 농도는 각각 2.83과 7.02 g/L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확인실험 결과 2.83 MgSO4 g/L, 7.02 yeast extract g/L에서 1.021 mg/L의 astaxanthin이 생산되었으며, 배지의 최적화에 따라 250% 이상의 생산성 증가가 확인되어졌다.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medium components for astaxanthin production in Paracoccus sp. through surface response methodology. A screening test was first conducted on 5 medium components using a Plackett-Burman design, from which MgSO₄ and yeast extract were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astaxanthin production. These significant factors were optimized by central composite design of experiments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s 2.83 g/L MgSO4 and 7.02 g/L yeast extract, respectively. The expected astaxanthin concentration with these optimized medium compositions were 0.925 mg/L. In flask culture, the experimentally obtained concentration of astaxantin was 1.021 mg/L, where it had been 0.4 mg/L before optimization.

      • KCI등재

        프락토올리고당과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오미자청의 품질 특성 연구

        박예리 ( Yeri Park ),최혁진 ( Hyeok-jin Choi ),최선강 ( Seon-kang Choi ),박경철 ( Kyong-cheul Park ),박남일 ( Nam Il Park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34 No.0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청 제조에 있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당류 저감 소재를 사용하여 오미자청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오미자와 설탕, 프락토올리고당, 그리고 이소말토올리고당을 함량과 혼합 비율에 따라 다양한 청을 제조하였으며, 제조 후 저장 기간을 2주 간격으로 두어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오미자청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당도, 산도 및 당산비는 저장 기간에 따라 삼투압에 의해 오미자의 과실 내 수분이 용출되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당원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페놀 함량은 설탕과 프락토올리고당을 혼합하여 제조한 오미자청 S7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두 가지 이상의 올리고당을 혼합한 오미자청 S7-S10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설탕으로 제조한 오미자청 S1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오미자청 S2가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설탕과 프락토올리고당을 혼합하여 제조한 오미자청 S7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이소말토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오미자청 S3 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S3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설탕으로 제조한 오미자청 S1이 가장 저해 활성이 나타났지만, 낮은 pH에 대한 안전성을 나타내며 체내효소에 의해 흡수가 되지 않는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사용한 오미자청 S6이 당류 저감에 있어서 가장 실용적인 활용방안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Omija cheong using sugar reducing materials such as fructooligosaccharide and isomaltooligosaccharide as a sucrose substitute. Sugar content, acidity, and sugar acid ratio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prepared syrup.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prepared Omija cheong. Acidity and sugar ratio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due to the eluting of water from the omija by osmotic pressure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gar source.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Omija cheong S7, prepared by mixing sugar and fructooligosaccharide; in S7-S10 containing two or more sweetners,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the higher the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in S1 prepared from sugar, followed by S2 prepared from fructooligosaccharide. The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the highest in S7, prepared by mixing sugar and fructooligosaccharide; and the lowest in S3, prepared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However, S3 showed the highest value in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bility. S1 Omija cheong prepared from sugar showed the mo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α-glucosidase. S6 which was prepared using isomaltooligosaccharide that is not absorbed by internal enzymes, showed safety even at a low pH, an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method for sugar reduction.

      • 도심에서의 무인 자율주행 시스템 연구 및 적용

        정태혁(Tae-Hyeok Jeong),김성권(Seong-Kwon Ki),김규린(Gyu-Rin Kim),최선일(Seon-Il Choi),조경근(Kyoung-Geun Cho),이준우(Jun-Woo Lee),조훈희(Hun-Hee Cho),장준원(Jun-Won Chang),황병욱(Beyong-Uk Hwang),신희준(Hui-Jun Shin),강태구(Tae-Koo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논문은 자율주행을 위한 Camera, LiDAR, GPS와 같은 센서들을 모바일 플랫폼에 배치해 인지, 판단, 제어로 자율주행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각 상황 프로세스를 병렬적으로 구성해 실시간으로 다양한 상황에 대비하고, K-City(한국형 자율주행 실험도시)에서 도심 환경 속 모의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자율주행 시스템이 실제 도심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FPGA에서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구현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적이고 변수화 된 설계

        장주욱 ( Ju Wook Jang ),한우진 ( Woo Jin Han ),최선일 ( Seon Il Choi ),( Gokul Govindu ),( Viktor K. Prasanna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3 No.2

        In this paper, we develop energy efficient designs for the Fast Fourier Transform (FFT) on FPGAs. Architectures for FFT on FPGAs are designed by investigating and applying techniques for minimizing the energy dissipation. Architectural parmeters such as degrees of vertical and horizontal parallelism are identified and a design choices. We determine design trade-offs using high-level performance estimation to obtain energy-efficient designs. We implemented a set storage types as parameters, on Xilinx Vertex-II FPGA to verify the estimates. Our designs dissipate 57% to 78% less energy than the optimized designs from the Xilinx library. In terms of a comprehensive metric such as EAT (Energy-Area-Time), out designs offer performance improvements of 3-13x over the Xilinx designs.

      • KCI등재

        고분산성 Cr2O3 및 Co3O4 전이금속 나노입자 촉매가 기능화된 다공성 WO3 나노섬유를 이용한 구취진단용 화학센서

        장지수 ( Ji-soo Jang ),김상준 ( Sang-joon Kim ),최선진 ( Seon-jin Choi ),구원태 ( Won-tae Koo ),김일두 ( Il-doo Kim ) 한국센서학회 2016 센서학회지 Vol.25 No.3

        In this work, we prepared porous WO3 nanofibers (NFs) functionalized by bio-inspired catalytic Cr2O3 and Co3O4 nanoparticles as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H2S gas sensing layers. Highly porous 3-dimensional (3D) NFs networks decorated by well-dispersed catalyst NPs exhibited superior H2S gas response (Rair/Rgas = 46 at 5 ppm) in high humidity environment (95 %RH). In particular, the sensors showed outstanding H2S selectivity against other interfering analytes (such as acetone, toluene, CO, H2, ethanol). Exhaled breath sensors using Cr2O3 and Co3O4 catalysts-loaded WO3 NFs are highly promising for the accurate detection of halitosis.

      • KCI등재

        생물전환된 참깨 발효물의 Lignan 화합물의 분석법 검증

        정태동(Tae-Dong Jung),김재민(Jae-Min Kim),최선일(Sun-Il Choi),최승현(Seung-Hyun Choi),조봉연(Bong-Yeon Cho),이진하(Jin-Ha Lee),이상종(Sang Jong Lee),박선주(Seon Ju Park),허인영(In Young Heo),이옥환(Ok-Hwa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5

        본 연구에서는 HPLC를 이용하여 생물전환된 참깨의 lignin 화합물 분석법 검증을 시행하였다. 분석법 검증 결과 표준용액 sesamol, sesamin, sesamolin과 참깨 비발효물 및 발효물의 머무름 시간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pectrum 분석 결과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어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직선성의 경우 sesamol, sesamin 및 sesamolin의 검량선은 모두 0.9999로 1에 가까운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참깨 비발효물의 lignan 함량 측정 결과, intraday에서 2.67 mg/g 및 inter-day에서 2.42 mg/g으로 나타났으며, sesamolin은 intra-day에서 3.77 mg/g 및 interday에서 3.37 mg/g을 나타내었다. 참깨 발효물의 sesamin 함량은 intra, inter-day에서 각각 2.97 mg/g, 2.75 mg/g을 보였으며, sesamolin은 intra-day 4.23 mg/g, inter-day 3.92 mg/g으로 나타났다. 일내 정밀도에서 참깨 비발효물의 경우 0.25~0.43%로 나타났으며 참깨 발효물은 0.47~0.69%를 나타냈다. 일간 정밀도에서 참깨 비발효물은 RSD 0.27~0.64%의 정밀도를 보였으며 참깨 발효물은 1.34~1.94%의 정밀도를 나타내어 모두 RSD 5% 이하의 우수한 정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esamol은 98.43~110.72%, sesamin은 106.45~115.10%, sesamolin은 99.18~112.05%의 범위의 우수한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검출한계는 sesamol 0.34 μg/g, sesamin 0.26 μg/g, sesamolin 0.23 μg/g으로 나타났으며, 정량한계는 각각 1.03 μg/g, 0.78 μg/g, 0.70 μg/g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지표성분 sesamol, sesamin 및 sesamolin의 분석방법이 적합한 분석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thod validation for determination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in non-fermented sesame and fermented sesame by bioconversion. For validation, the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were measured by HPLC. Linearity tests showed that the coefficients of calibration correlation (R<SUP>2</SUP>) for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were 0.9999. Recovery rates of lignan contents in non-fermented and fermented sesame were high in the ranges of 100.27∼115.10% and 98.43∼114.90%, respectively. The inter-day and intra-day precisions of sesamin and sesamolin analyses for non-fermented and fermented sesame were 0.27∼1.94% and 0.25∼0.69%, respectively. The LOD and LOQ were 0.23∼0.34 μg/g and 0.70∼1.03 μg/g,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alidated method is appropriate for the determination of sesamol, sesamin, and sesamolin.

      • KCI등재

        생물전환에 의한 품종별 참깨 발효물의 Lignan 함량과 항산화 활성 변화

        정태동(Tae-Dong Jung),신기해(Gi-Hae Shin),김재민(Jae-Min Kim),오지원(Ji-Won Oh),최선일(Sun-Il Choi),이진하(Jin-Ha Lee),조명래(Myoung-Lae Cho),이상종(Sang Jong Lee),허인영(In Young Heo),박선주(Seon Ju Park),김성업(Sung-Up Kim),정찬식(Ch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생물전환에 의한 품종별 참깨의 lignan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ORAC 지수)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ignan 함량은 생물전환에 의한 발효 참깨 S-3가 6.58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비발효참깨 S-4가 2.17 mg/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생물전환을 통한 발효 시 5가지 품종별 참깨 모두 lignan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은 발효참깨 S-2, S-3가 51.90 51.65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비발효 참깨 S-5가 16.70 mg GAE/g으로 가장 낮았으나 발효 시 46.70 mg GAE/g으로 나타나 약 3배 이상의 증가된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발효 참깨 S-3에서 82.57%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비발효 참깨 S-5에서 37.95%의 가장 낮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ORAC 지수의 경우는 발효 참깨 S-2에서 1,067.80 μM T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다음 발효 참깨 S-3, S-4가 각각 997.19, 1,020.03 μM TE/g으로 나타났다. 비발효 참깨 S-5에서 172.34 μM TE/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발효 시 1,020.03 μM TE/g으로 확연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물전환에 의한 참깨 발효 시 lignan 함량의 증가와 다양한 항산화 모델에서 효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gna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of fermented sesame by cultiv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gnan contents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sesame ranged from 2.35∼6.58 mg/g and 2.17 to 6.58 mg/g,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s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sesame were 51.90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and 25.94 mg GA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nd ORAC value ranged from 37.95 to 82.57% and from 172.34 to 1,067.80 μM TE/g in non-fermented sesame and fermented sesame, respectively. Fermented sesame had higher ligna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of non-fermented sesame. Fermented sesame subjected to bioconversion showed increased lignan content and high antioxidan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