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0-60대 여성의 코스메슈티컬 소비특성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고은,심재숙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4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5 No.2

        . Recently, the consumption of cosmetics is increasing as a way to manage the health status and appearance of women in their 40s and 60s due to women's social advancement opportunities and participation, improvement in income, and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urchase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ir 40s and 60s cosmeceuticals and their influence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250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6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tudied.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V.25.0, and the detail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osmeceutical purchas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y generally purchase less than 5 to 100,000 won (31.1%) or less than 10 to 20,000 won (30.3%) per purchase, and the place of purchase for cosmeceuticals was generally through the Internet (mobile) (37.3%). Second, among women in their 40s and 60s cosmeceutical purchase characteristics, intrinsic and extrins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urchase satisfaction. Third, among women in their 40s and 60s purchase satisfaction of cosmeceuticals, quality satisfaction and non-quality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purchase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trinsic and extrinsic characteristics of cosmeceutic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women in their 40s and 60s are important factors for quality satisfaction and non-quality satisfaction of cosmeceutic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purchase characteristics as a preference factor 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to link purchase satisfaction of women in their 40s and 60s to repurchas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2010년대 이후 한국소설에서의 ‘노동’ 재현-노동자와 노동조합의 존재 양상을 중심으로

        정고은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8 No.-

        Although the ‘labor novel’ seems to have lost its presence in the mainstream literary field, the issue of labor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subject of representation in Korean fiction in the 2010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events of neoliberal restructuring and the lives of workers are represented in novels published in the mid-to-late 2010s, and to discuss their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rapid neoliberalization following the IMF crisis in the late 1990s and the recent rearrangement of social perceptions of labor movements and trade unions in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 novels of Kim Hye-jin, Bae Ji-young, Lee Soo-kyung, and Chang Kang-myoung, which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draw motifs from the actual restructuring cases and events of Ssangyong Motors and KT(Former Korea Telecom), and narrate the division of regular and irregular jobs, labor-management conflicts, strikes, layoffs, worker deaths, and the dismantling of values and identities associated with labor and the destruction of humanity in a society dominated by neoliberal flexibility. Despite the prevalence of ‘anti-labor’ sentiment and the rise of ‘post-labor’ discourse, literary representations of ‘labor’ have been attempted in various ways. The novels that fictionalize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neoliberal restructuring provide a critical lens through which we can explore what values we still need to pursue in the world of labor. 2010년대 한국소설에서 ‘노동’의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재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1990년대 후반 IMF 경제위기 이후 급속화된 신자유주의화라는 거시적 변동과 최근 한국사회의 노동운동·노동조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재편성 속에서, 2010년대 중후반에 발표된 소설에서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이라는 사건과 노동자의 삶을 재현하는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논하는 것이다. 특히 이 글에서 다룬 김혜진, 배지영, 이수경, 장강명의 소설은 쌍용자동차 및 KT(한국통신)의 실제 구조조정 사례와 사건에서 모티프를 얻어, 신자유주의 유연성이 지배하는 사회에서의 정규직/비정규직의 분할과 노—노 갈등, 파업, 정리해고, 노동자 죽음, 노동과 연계된 가치·정체성의 해체와 인간성의 파괴를 서사화했다. ‘반노동’ 정서가 팽배하고 ‘탈노동’ 담론이 부상하는 가운데에서도, ‘노동’에 대한 문학적 재현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되고 있다.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의 과정과 그 결과를 소설화한 작품들은, 노동의 세계에서 우리가 여전히 또 새롭게 추구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매개가 되어줄 것이다.

      • KCI등재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정고은,황신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history of science section for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the 2009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analysis, five of the most common textbooks out of 17 science textbooks published by the 2009 Revised Scienc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various factors such as scientist,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method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ed subjects. The research proceeded with reformed and complemented 'framework for nature of science',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Choi Yun-hee el.(2010) and Kim Ji-hye el.(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ature of science was reflected 223.6 times on average in the history section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cientist' factor was most commonly indicated, with an average of 75.2 times,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factor shown least commonly, with an average of 18.6 times. Factors of the nature of science increased compared to the 7th Science Curriculum but the rate of the nature of science which related to contemporary-epistemological perspective is still in low level.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history section showed a tendency to be focused on the earth, with an average of 68 times and less in the category of energy, with an average of only 22.4, due to its concentration in specific chapters. In terms of the nature of science, existing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hould be added or revised with more content related to the history of scienc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of science through the comprehensive approach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과학의 본성요소가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 17종 중 가장 많이 사용 되는 5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윤희 외(2010)와 김지혜 외(2013)가 개발한 과학의 본성 분석틀 을 수정 보완하여 과학자, 과학 지식, 과학적 방법,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의 요소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는 평균 223.6개의 과학의 본성 요소가 반영되어 있었다. 이 중 ‘과학자’ 요소가 평균 75.2개로 가장 많았으며, ‘과학-기술-사회의 관계’ 요소가 평균 18.6 개로 가장 적었다. 7차에 비해 과학의 본성 요소가 증가하였으나 현대 인식론적 입장과 관련된 과 학의 본성 요소 비율은 여전히 낮게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지구’ 영역의 과학사에서 평균 68개로 가장 많았으며, ‘에너지’ 영역은 평균 22.4개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영역별로 과학의 본성 빈도 차 이가 나는 것은 특정 단원의 과학사에 과학의 본성 요소가 몰려 있기 때문이다. 과학의 본성 측면에서 현재의 과학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사의 내용을 추가 및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교과서 개발 시 과학사에 다양한 과학의 본성 요소를 고르게 반영하고 현대 인식론적 입장과 관련된 과학의 본성 요소 내용을 보강한다면,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이해를 통해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Ipsoübersetzung: Untersuchung der Funktionsgerechtigkeit von Abweichungen in Ahn Junghyos Selbstübersetzung Silver Stallion

        정고은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3 독일언어문학 Vol.0 No.62

        자가번역이란 원작자가 직접 원본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자가번역 텍스트는 일반번역 텍스트에 비해 많은 부분 원본과 상이한 변형된 모습을 보인다. 일반번역에서도, 해당 언어 국가들만의 특수한 사회 문화적 통념 차이에 따라 AT(Ausgangstext) 독자가 느끼는 감정 혹은 이해 정도를 ZT(Zieltext) 독자도 어느 정도 동등하게 느낄 수 있도록, 번역학이 허용하는 큰 틀 내에서 변형적으로 번역되는 현상이 간혹 보이지만, 자가번역에서는 이러한 현상 이외에도 번역가(원본 작가)의 의도에 따라 많은 번역 텍스트 내에서 변형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심지어는 원본에 있는 문장이 생략되거나, 원본에 없는 문장이 번역에서 새로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본고에서는 안정효의 원본 텍스트 ‘은마는 오지 않는다’와 자가번역 텍스트 ‘Silver Stallion (영문)’을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 방법은 독일의 번역학 학자 Christiane Nord의 텍스트 분석 모델을 적용하였고, 이 분석적 방법을 통해 자가번역 텍스트 ‘Silver Stallion’이 Nord의 기능적합성 이론 (Funktionsgerechtigkeit)을 어느 정도 충족시키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 KCI등재

        일측성 성대마비 환자에서 음성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

        정고은,김성태,김상윤,노종렬,남순열,최승호,Jeong, Go-Eun,Kim, Seong-Tae,Kim, Sang-Yoon,Roh, Jong-Lyel,Nam, Soon-Yuhl,Choi, Seung-Ho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0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1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is generally treated using injection laryngoplasty or voice therapy. However, the decision of treatment method is dependent on clinician's preference and hospital facilities without specific criteri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predictive of voice therapy outcome in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Materials and Method : 38 patients diagnosed as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aged from 24 to 81 years and undergone voice therapy more than 1 month were included. After 3 to 12 (mean 5.1) sessions of voice therapy, subjects had divided into responder group (RG, 28 patients) and non-responder group (NRG, 10 patients) according to G scale change. Paramters of perceptual assessment, acoustic and aerodynamic measure, and videostroboscopy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and factors predictive of voice therapy result were analyzed. Results : RG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rough, breathy, asthenic voice after voice therapy. Change of MPT and MFR was more substantial in RG than in NRG. By videostroboscopy, RG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more mucosal wave symmetry, glottal closure, reduced glottal gap index during the closed phase of phonation, while NRG patients showed more occurrences of abnomal supraglottic activities during phonation (p < 0.05). Poor outcome of voice therap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asthenic scale, short MPT, and less glottal closure (p=0.02). In addition, 90% of patients with MPT more than 5 seconds were in RG, whereas 56% of patients with MPT less than 5 secondes were in RG. Conclusion : Voice therapy is useful for larg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as an initial treatment method. However, patients with large asthenia scale, large glottic gap or MPT less than 5 seconds tend to have poor voice therapy outcome, and early injection laryngoplasty maybe recommended for these patients.

      • KCI등재

        게더타운(Gather Town)을 활용한 영어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정고은,김혜련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 화상회의 플랫폼의 하나인 게더타운을 활용한 영어수업을 초등학생을대상으로 실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먼저 현재 실시되고 있는 e학습터를 활용한 온라인 영어수업에서 학습자들이 어떤 경험을 하였고 상호작용의 양상은어떠했는지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며, 실험수업으로 게더타운을 활용한 협력학습을 네 개의 주제와 관련하여 실시한후 이러한 수업이 학습자-자기 자신, 학습자-학습내용, 학습자-다른 구성원 등 세 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에 얼마나효과적이었는지 학습자들의 반응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W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 26명으로, 게더타운을 활용한 영어 수업을 진행한 후에 상호작용의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학습자들이평소 경험했던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반응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게더타운을 활용한 영어수업은 e학습터를활용한 영어수업보다 상호작용에 있어 훨씬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바타와 게임 형태의 맵을 활용한가상공간이 주는 흥미와 몰입감, 온라인의 다양한 자료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서의 기능, 다양한 형태의 협력학습이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인 참여를 유도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언어습득에 필수적인 상호작용의 관점에서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는 점과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실험이 소규모로 단기간에 이루어졌다는 점과 학습자의 영어 성취도에 미친 영향을 다루지 않았다는 점이 한계로남는다. 이에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영어학습의 효과를 살펴보거나 상호작용의 구체적인 양상을분석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 EAT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정모시직물 디자인 개발

        정고은,우효정,이정순 한국감성과학회 2009 춘계학술대회 Vol.2009 No.-

        최근 의생활에 있어서 가장 큰 변화는 쾌적성의 추구와 건강을 중심으로 한 기능성 소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된다는 것이다. 천연 섬유 중 모시는 통기성이 우수하고 감촉이 깔깔하여 고온 다습한 우리나라의 여름철 옷감으로 좋으므로 현대 의생활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그동안 모시직물은 심미적인 욕구에도 잘 맞아 한국인의 정서에 좋은 이미지로 자리 잡고 있지만 수공예적 생산방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어 전통모시직물로는 많이 이용이 되어왔으나 현대 방적모시직물을 이용한 새로운 직물디자인 개발은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방적모시섬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하면서 현대 방적모시직물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사의 특성과 제조공정 특성에 의해 미세한 감성촉감의 차이를 유발하기 좋은 폴리에스터를 경사로하고 방적모시와 라이오셀을 위사로 하여 현대 모시직물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모시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직물문양을 디자인하였다. 직물의 복잡한 문양을 컴퓨터로 디자인하고 자동으로 제직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인 E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카드 직물 특유의 고급스러움을 살리며 공정과정에서의 실의 밀림 등을 고려하며 조직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직물은 제직 후 염색 가공하여 쿠션, 방석, 테이블 러너 등의 시제품으로 제작하여 고부가가치 모시제품의 개발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 애플리케이션 개발

        정고은,김명주,강한별,이시윤,이하린 한국인터넷윤리학회 2022 The Digital Ethics(디지털 윤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ndroid-based mobile application that provides important details for walking, such as real-time voice route guidance services, surrounding facilities, and bookmarks, as a supplementary means for safe walk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For this, a system was designed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existing applications by analyzing auxiliary applications for the visually impaired on the market and studying improvements. Based on the design, Android-based mobile applications were developed using TMAP API, ODSay API, Google Speech API, Firebase, and Android Studio. If the user sets one of the addresses entered by using voice, surrounding facilities that are search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places registered as your favorite in advance as your destination, the user will be provided with a walking route guidance including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the subway to your destination. The guidance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walking by voice, such as direction, distance to move linearly from the current position, and distance left to reach the destination. The walking assistance appli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 visually impaired walk efficiently and safel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to other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people as well.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여 개발하였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 음성 경로 안내 서비스와 주변 시설, 즐겨찾기 등 보행에 필요한 정보를 주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이미 개발된 유사한 시각장애인 대상 보조용 기존 애플리케이션들을 먼저 분석한 후, 그 한계를 극복하고 필요한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했다. 이를 기반으로 TMAP API, ODSay API, Google Speech API, Firebase, Android Studio를 활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안드로이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완성했다.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한 주소,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탐색 되는 주변 시설, 사전에 즐겨찾기로 등록해둔 장소 중 하나를 목적지로 설정하면 목적지까지의 도보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데 여기에는 지하철 경로가 포함된다. 음성 안내는 방향, 현재 위치에서 직선 이동해야 하는 거리,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 등과 같은 보행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시각장애인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보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교통 약자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COVID-19 발생에 따른 서울시 버스 이용의 시공간적 패턴 변화: 빅데이터 기반의 네트워크 클러스터 분석을 이용하여

        정고은,김영호 한국지도학회 2022 한국지도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otemporal changes of bus network clusters before and after COVID-19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areas with high potential for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s the analysis method, the G_i statistic was used,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Getis and Ord G_ij statistic to spatial network framework. Since statistical calculation is applied for individual flows in the bus transportation network, a parallel computing method and a supercomputer hardware are applied for the large-scale opera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bus flows in networks are concentrated in limited places during COVID-19. Second, during COVID-19, bus uses to residential and agricultural areas increased, and bus uses to commercial and transportation areas decreased. Third, unlike other CBD clusters,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bus flow in Gangnam before and during COVID-19. This study presents the first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bus network cluster before and during COVID-19 in Korea. 이 연구는 전염병의 잠재적 확산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탐색을 목적으로, 코로나19 전후의 버스 네트워크 클러스터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한다. 분석방법으로는 Getis와 Ord의 G_i통계를 공간 네트워크로 확장 및 적용한 G_ij통계 값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은 서울시 전체 버스 네트워크의 개별 흐름에 대해 각각 적용되기 때문에 대규모 연산을 위해 병렬컴퓨팅 방식을 적용한 슈퍼컴퓨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이후 버스 네트워크가 일부 흐름으로 집중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코로나19이후의 버스 흐름은 주거지, 농업지로의 이동은 증가하고 상업지역, 교통지역으로의 이동은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심업무지구 중 여의도 방면의 클러스터, 구로디지털단지역 방면의 클러스터와 달리, 강남일대는 코로나19 전후의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전후의 버스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확인하고 변화 특징을 제시한다는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