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험적 삼출성 중이염에서 점액섬모 수송 기능에 대한 Nitric Oxide와 Peroxynitrite의 작용

        전은주,박용수,채세용,여상원,장기홍,박소영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3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6 No.9

        Background and Objectives:Nitric oxide (NO)NO is an important mediator in the pathogenesis of otitis media with efusion. The harmful efect of NO is related with NO-derived intermediates such as peroxynitrite (OONO-). The author investigated the role of NO and peroxynitrite on mucociliary activity in experimental otitis media with efusion. Materials and Method:Otitis media with efusion was induced by injecting lipopolysacharide (LPS) transtympanically in guinea pigs. In the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group, L-NAME was additionally injected intratympanicaly and intramuscularly. Uric acid (UA) group was treated with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UA 3 times. After 24 hours, dye transfer time was measured and temporal bones were taken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Expresion of peroxynitrite was determined by imunohistochemical stain for 3-nitrotyrosine (3-NT). Results:Transfer time of dye was prolonged in LPS group, whereas i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L-NAME or UA not statisticaly significant. 3-NT was expresed intensely in subepithelial layer of LPS group, and decreased to mild to moderate degree in the treatment groups. Conclusion:LPS induced mucociliary dysfunction in the middle ear by NO and peroxynitrite-mediated pathways. This study sugests that inhibition of NO synthesis or scavenging of peroxynitrite may have an adjunctive role in the future treatment of otitis media with efusion. (Korean J Otolaryngol 203 ;46 :720-6)

      • KCI등재

        원발성 접형동 점액종에 의한 단독 외향 신경 마비 1예

        전은주,박재영,유화종,김동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0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3 No.12

        Mucoceles of the sphenoid sinus are relatively rare and can lead to visual impairment, diplopia and external ophthalmoplegia. The ophthalmic symptoms seem to be caused mainly by compression or inflammatory changes. It is difficult to diagnose mucocele of the sphenoid sinus just on the basis of patient history or physical examination alone. CT scans and MRI help in the correct assessment of this lesion. We experienced one patient with a sphenoid sinus mucocele who presented simply with diplopia. The mucocele was managed successfully by endoscopic marsupializa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53:781-3

      • KCI등재

        Current Status of Nursing Informatics Education in Korea

        전은주,김정은,박현애,이지현,김정하,Meiling Jin,안신애,홍영주,임수란 대한의료정보학회 2016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22 No.2

        Objectives: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nursing informatics education, the content covered in nursing informatics courses, the faculty efficacy, and the barriers to and additional supports for teaching nursing informatics in Korea. Methods: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an 18-item questionnaire for nursing informatics education, a 6-item questionnaire for faculty efficacy, and 2 open-ended questions for barriers and additional supports were sent to 204 nursing schools via email and the postal service. Nursing schools offering nursing informatics were further asked to send their syllabuses. The subjects taught were analyzed using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categories and other responses were tail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A total of 72 schools (35.3%) responded to the survey, of which 38 reported that they offered nursing informatics courses in their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s. Nursing informatics courses at 11 schools were taught by a professor with a degree majoring in nursing informatics. Computer technology was the most frequently taught subject (27 schools), followed by information systems used for practice (25 schools). The faculty efficacy was 3.76 ± 0.86 (out of 5).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barrier to teaching nursing informatics (n = 9) was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nursing informatics. Training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was the most requested additional support. Conclusions: Nursing informatics education has increased during the last decade in Korea. However, the proportions of faculty with degrees in nursing informatics and number of schools offering nursing informatics courses have not increased much. Thus, a greater focus is needed on training faculty and developing the courses.

      • KCI등재

        국어과 협동 학습에 관한 인식 조사

        전은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06 새국어교육 Vol.0 No.73

        A survey on the view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Korean language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에서 협동학습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에 대하여 교사와 학습자가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국어과 협동 학습에 관한 교사의 인식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교사들이 협동학습을 교수-학습 효과보다는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에만 의미를 두고 있었으며, 협동학습에 대한 지식의 부족으로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조사 대상 교사의 75.00%가 협동학습을 하는 데 필요한 의사소통 방법 구체적으로 알지 못한 상태이며, 이런 상태의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이를 지도하지도 않은 상황에서 협동학습의 방법을 사용할 가능성이 큼을 학습자 조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개별 책무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협동학습에 임하도록 지도하여야 하나 이 또한 제대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사 대상 학습자의 과반수 이상이 협동학습으로 국어 수업을 하는 것이 재미가 있으며, 이러한 수업의 과정에서 동료 학습자에게 배우는 것이 많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한편, 고등학교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국어과 협동학습에 대한 흥미도가 높았으며 동료 학습자에 배우는 것이 많다고 응답한 비율도 높았다.국어과 교사는 협동학습으로 교수-학습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지식을 충분히 익힌 뒤 국어과 교수-학습을 설계하여야 하며, 학습자들에게 그 학습 방법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 미리 지도를 하여야 한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인식이 국어과 교사의 정확하고 철저한 사전 지도와 만날 때 협동학습이 가진 교육적 장점을 국어과 교육에서 살릴 수 있을 것이다.

      • TGF β유도 Type 1 Collagen Promotor 활성에 미치는 Phorbor ester와 Okadaic acid의 영향

        전은주,박낭운,김인산,이병헌,최제용,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2

        목적 : 이 연구는 섬유아세포에서 collagen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을 밝히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HEL299 섬유아세포에서 transforming grow factor β(TGFβ)에 의해 증가된 collagen합성 및 promoter활성에, 세포내 단백질의 인산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rotein phosphatase의 길항제이며 non-phorbol ester tumor promoter인 okadaic acid (OKA)와 Protein kinase C (PKC) 활성제인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 사람 폐 섬유아세포인 HEL299 세포를 일정한 상태로 배양한 후 PMA 또는 OKA의 일정량을 단독 혹은 TGFβ와 병합투여하여 24시간 작용시키면서 마지막 6시간 동안 [^3H]proline을 첨가하여 이것의 총단백질과 collagen에의 편입도를 측정·비교하였다. 한편 α_2(Ⅰ)procollagen promoter의 활성도 측정을 위해 HEL299세포에 10㎍의 pMS-3.5/CAT plasmid를 transfection시키고 24시간 배양한 다음 PMA 또는 OKA의 일정량을 단독 혹은 TGFβ와 병합 투여하여 48시간 작용시켜서 세포를 회수하고 CAT활성을 측정하여, 대조 plasmid인 pSV2/CAT를 transfection 시켰을 때의 CAT 활성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표시하였다. 결과 : OKA와 PMA는 다같이 % collagen합성을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53.4%, 53.9% 억제하였으며, TGF에 의한 collagen 합성 증가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α_2(Ⅰ)procollagen promoter의 3500bp 부위를 포함하는 pMS-3.5/CAT plasmid를 이용한 transfection 실험에서 OKA와 PMA는 그 자체만으로는 promoter 활성을 억제하지 않았지만, TGFβ에 의한 활성 증가에 대해서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 결과를 통해서 볼 때, TGFβ에 의한 collagen합성의 증가에 관여하는 인자는 세포내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regulation mechanism of collagen gene expression in HEL299 fibroblast, the effects of two well-known chemicals affecting phosphorylation status of the intracellular proteins, okadaic acid (OKA), a protein phosphatase inhibitor, and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a protein kinase C activator, on TGFβ-induced type Ⅰ collagen synthesis and α_2(Ⅰ) collagen promoter activity were examined. Both OKA and PMA per se inhibited the collagen synthesis by 53.5% and 53.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cresase of collagen synthesis induced by TGFβ was suppressed by both OKA and PMA. In transfection experiment using pMS-3.5/CAT composed of -3500∼+58 of α_2(Ⅰ) collagen promoter and CAT gene, OKA and PMA per se did not inhibit the promoter activity. However, they could suppress the effect of TGFβ on collagen promoter activity. These results support the view that factors mediating the effect of TGFβ on type Ⅰ collagen synthesis and α_1(Ⅰ) promoter activity might be regulated by the phosphorlylation status of the intracellular proteins.

      • KCI등재

        환경관리해역의 이용개발현황과 수질변화경향 및 영향평가 개선방안

        전은주,이용민,이대인,김귀영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6

        최근 3년간 검토된 환경관리해역에서 이루어진 해역이용협의 건수는 총 60건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보전해역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특별관리해역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환경관리해역의 개별사업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공구조물 설치사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외 항만 어항개발, 연안정비 및 해수 인 배수사업유형이 많이 이루어졌다. 환경관리해역에서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MEIS) 자료를 활용하여 2006~2017년까지 경년별 수질변화경향을 비교한 결과, COD는 뚜렷한 증감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환경보전지역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TN과 TP의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별관리해역인 광양만과 마산만 및 환경보전해역인 가막만에서는 주로 하계에 빈산소수괴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환경관리해역에서의 이용·개발행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해양환경부문 환경영향평가(해역이용협의)시에는 충분한 수질변화에 대한 실태분석 및 사업추진에 따른 수질영향과 퇴적물의 오염상태를 철저히 진단해서 오염원관리에 대한 대책이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각 환경관리해역의 지정 목적에 따른 유지 수질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오염원 및 연안오염총량관리와 연계하여 오염 부하량 저감대책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total number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in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reviewed from 2015 to 2017 were 60. The number of development projects in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ea areas decreased steadily, but special management sea areas increased. Development types in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showed that artificial structure installation was the highest ratio, followed by fishery port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habor and coastal maintenance and sea water intake and draining. By comparing the trend of water quality changes using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MEIS) data in the environment management areas from 2006 to 2017, COD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but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ea areas increased slightly, and the concentration of TN and TP decreased. Gwangyang and Masan bays in the special management sea areas and Gamak bay in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ea areas displayed oxygen deficient mass in the summer. As the use of development projects of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are performed continuously,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sufficient water quality changes i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should be evaluated mainly for management of contamination by diagnosing thoroughly water quality effects and the pollution of sediment. Especially, the water quality goal for the purpose of designation in each of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is set clearly, connection with pollution source control and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should be proposed and measured to reduce the amount of contaminated w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