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남(邵南) 윤동규(尹東奎)의 경학(經學)과 그 특징 - 서경사문록(書經思問錄)을 중심으로 -

        전성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59 No.-

        This paper examines the Gyeongseol (經說) of Sonam Yun Dong-gyu (1695-1773), who was called Seongho's disciple with excellent learning and demeanor and Seongho's example to others because of his high learning and virtue, focusing on Seogyeong-Samunrok. This paper corresponds to the first individual study of Seogyeong. Regarding Sonam's viewpoint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ere is first a general study on the Four Books《四書》, and only one individual study on the Book of Changes《周易》and the Scripture of Documents《書經》. Based on the above content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methodology of Chinese Confucianism, such as Sonam's reading method, and examine the problem consciousness he had through the Scripture of Documents and what the solution was. Sonam Yun Dong-gyu played the role of the leader as he led the Seongho School after Seongho's death, but the academia did not pay much attention. The reason for this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Sonam's anthology was not distributed and translated. However, since academic conferences have been held in recent years and literary translation is underway, I hope that research on Sonam will be activated and understanding of the Seongho school will be deepened. 본 논문은 성호의 고제이자 성호 사후 성호학파 학자들의 사표이자 어른으로 불린소남(邵南) 윤동규(尹東奎, 1695~1773)의 경설(經說)을 서경사문록(書經思問錄) 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소남선생유집초본에는 육경과 사서에 대한 경설이 수록되어 있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소남의 사서학에 대한 이해가 주로 주서(朱書)와 집주(集註)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주자학에 대한 묵수로 일관하고 있지도 않다는 것이다. 이는 성호학파의 학문방법인 회의(懷疑)와 자득(自得)의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육경학과 관련해서도 역학과 시경에 대한 개별 연구가 1편씩 있을 뿐이다. 역학의 경우, 태현경(太玄經)과 「계사전(繫辭傳)」의 역할에 대한 것이고, 시경의 경우 도덕론과 의리론을 바탕으로 해석을 하고 있다는 점 및 자의(字義)의 실증성에대한 것이다. 본 논문은 소남의 서경(書經)에 대한 첫 개별 연구에 해당한다. 앞서 언급한 소남의 사서학과 육경학에 대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서경사문록을통해 소남의 경학방법론을 살펴보고, 아울러 그가 서경을 통해 갖게 된 문제의식과 그 해결방안이 무엇이었는지를 고구하려고 한다. 소남 윤동규가 성호의 첫 번째 제자이자 성호 사후 성호학파를 이끌어 가면서 좌장의 역할을 하였지만, 학계에서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아마 소남의문집이 유통되지 않았고 번역도 되지 않았던 데에서 기인한 것인 듯하다. 본 논문을통해 소남의 학문과 사상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또한 근래에 학술대회가 개최되고 있고, 문집 번역도 진행되고 있다고 하니, 소남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성호학파에 대한 이해도 심화될 수 있었으면 한다.

      • KCI등재

        레귀돈의 도덕적 인간형과 법제적 국가론

        전성건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8 다산학 Vol.- No.33

        This paper is intended to look at the human form and national view that Le Quy Don thought. As a confucian scholar, he orders the king and his officials to own the king’s property. Then, the king and his subjects must have a spirit. The basic ability to manage the nation is found in wealth and quantity, and the wealth and quantity are embodied in wisdom and volition respectively. With this premise in place, the king and his subjects organize the nation through legislation. It was chosen by the king and his subjects, who possessed morality and talent and national content, as a means of governing the world. The ruling party does not consider the issue of morality and legislation dichotomically. It is because he believe that morality can be realized through legislation. The ruling party believes that having control of the legal system can make the nation peaceful, society can keep morals and manners, and people can be honest. The moral and legal aspects that the ruling party is focusing on are looking at the changing world from the two perspectives of the state of affairs and principle. The fundamental aspects of the world and the universe, as well as society and countries, inevitably go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Therefore, everything and the rise and fall are repeated. What is needed to understand this properly is the unified view of astronomy. Among them, his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as personnel and geography, and his projection was the problem of virtuous conduct and topography. 18세기 베트남 사상사에서 대표적 인물로 평가되는 레귀돈黎貴惇(호는 계당桂堂, 1726∼1784)은, 베트남의 민족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해 중국의 역사는 물론 자국의 역사에 대해 깊은 주의를 기울였으며, 유교를 진흥시키기 위해 십삼경을 비롯한 경사자집의 독서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에게서 보이는 두드러진 학문적 특징은 상수학을 기반으로 한 기학의 입장에서 천문과 지리 그리고 인사를 통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학문적 특징은 추산推算과 추측測量의 학문 방법인 추험推驗을 적용하는 데에서 잘 드러난다. 물론 이러한 레귀돈의 추험을 기반으로 한 기학의 학문은 그의 인간형과 국가론에서도 적용된다. 레귀돈은 또한 유학자로서 군왕을 비롯한 신하들이 성현의 덕을 소유할 것을 주문한다. 그 다음, 군왕과 신하는 재才ㆍ량量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국가를 경영하기 위한 기본 능력을 재와 량에서 찾는 것으로, 재와 량은 각각 영명英明ㆍ탁월卓越 및 견내堅忍ㆍ내심耐心으로 구체화된다. 특히 군왕은 신하의 시선을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이는 군왕의 조력자로서 대신大臣의 역할을 최대화하여 군왕의 탐재모리貪財牟利를 제한하고자 한 것이다. 그렇다고 레귀돈이 보는 인간형이 전형적인 도덕군자형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는 공동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전제된 상태에서 군왕과 신하는 법제를 통해 국가를 조직한다. 도덕성 및 재능과 국량을 보유한 군왕과 신하가 세상을 다스리기 위한 수단으로 선택한 것이 바로 법제이다. 레귀돈은 도덕과 법제의 문제를 이분법적으로 사고하지 않는다. 법제를 통해 도덕이 실현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레귀돈은 법제를 장악하고 있어야 국가는 평안해지고, 사회는 도덕과 예의를 지킬 수 있으며, 인심은 정직해질 수 있다고 본다. 이는 왕도王道와 패술覇術에 대한 그의 입장에서도 보인다. 그는 왕도와 패술이 부합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레귀돈에게는 왕도를 지키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패술이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레귀돈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도덕적 인간형과 법제적 국가관은 그가 세勢와 리理의 두 관점에서 변화하는 세계를 바라보기 때문이다. 사회와 국가는 물론 세계와 우주의 근본 양상은 변화의 과정을 필연적으로 겪는다. 그러므로 인간사를 포함한 모든 일은 생로병사와 흥망성쇠가 반복된다. 이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인사人事의 통합적 관점이다. 그 가운데 그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인사와 지리였고, 그것의 투영이 바로 덕행德行과 지세地勢의 문제였다. 덕행은 군왕과 대신을 비롯한 베트남 위정자에 대한 관심이고, 지세는 베트남의 지리에 대한 관심이었다.

      • KCI등재

        조선예학의 흐름과 『예기』연구: 규장각 소장 『예기』판본을 중심으로

        전성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한국문화 Vol.73 No.-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low of the ritual theory(禮學) with Record of Rituals(『禮記』) as the central figure in choson dynasty. Record of Rituals is one of the three ritual theory books(三禮書) which is made up of Zhouli(『周禮』) and Yili(儀禮) above this. We recognize Record of Rituals as the book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Yili normally, but is not so understandable thing. To comment on it before, We are to find accepting processing of Record of Rituals in choson dynasty. Record of Rituals was conveyed as a Colligated Compilation of Record of Rituals which has a variety of commentaries and among them, Compilation of Record of Rituals which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Zhuxi(朱熹)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e Understanding of the Record of Rituals has been changed with the times. Of course, it is true that Record of Rituals was recognized like have said before from the early days to the late days of the choson dynasty, but occasionally could be comprehended. For instance, the book could be a kind of the book on the self cultivation or the core book among the three ritual theory books. Consequently, Record of Rituals can have a role of parameter from the study of confucius classics(經學) to administrative studies(經世學) in the choson dynasty.

      • KCI등재

        청대 권상일의 일상과 기억

        전성건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2 No.-

        This paper is to analyse confucian coming of age rites, wedding rites, funeral rites, ancestral rites appeared Cheongdae-Ilgi, which is Gwon, Sang-Il(1679~1759)’s diary covering more than 50 years, from his 23 to his death and includes 1,680 or more pieces, and demonstrate his whole life had been to live eventful life as a confucian intellect. We can find several kinds of results in Cheongdae-Ilgi as follows. First, Cheongdae family consolidate coming of age rites with wedding rites on account of his poor household finances. Second, his family experience various tragic hardship by frequent epidemic and famine of his age from his family to kinship. Third, we can make sure that confucian intellect’s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is to be practiced through the memory of the deathday. A life of a confucian scholar is full of confucian rites’s practice which is represent filial duty, and affection and respect from births to deaths, from joys to sorrows. The practice of family rituals is a kind of expressing the spirit of confucianism to the confucian intellect. 본 논문은 『청대일기』에 나타난 관혼상제의 실천을 분석함으로써 청대 권상의 일상과 기억의 전모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조선왕조에서 家禮는 사대부라는 유교적 지식인으로서의 실천적 면모를 여실하게 보여주는 가정의례라고 할 수 있다. 관례, 혼례, 상례, 제례의 四禮가 대표적인 것으로, 이러한 의례들은 유교사회의 핵심 덕목인 孝悌慈를 실천함으로써 修身齊家治國平天下로 이어지는 인륜질서를 바로잡는 역할을 하는 데 기반이 된다. 『청대일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대 가문은 관례[계례]와 혼례를 통합하여 지내고 있었다. 즉 관례가 혼례의 과정 속에 통합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청대 가문의 家勢와 家計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둘째, 청대 당시에는 역병과 기근 등으로 인해 다종한 질병이 발생하였고, 이는 청대 가문에 속한 親屬들의 죽음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었다. 특히 모친과 둘째부인, 그리고 조모의 죽음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그의 슬픔과 아픔은 유교지식인의 고뇌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사랑과 공경의 마음을 표현하는 行禮의 모습은 주로 忌祭를 통해 확인된다. 사대봉사의 맥락에서 부모로부터 고조부모까지의 忌祭에 대한 기록뿐만 아니라, 먼저 돌아간 맏아들의 기제까지 꼼꼼하게 기록되어 있는 『청대일기』를 통해, 당대 유교지식인의 일상은 家禮의 실천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구봉 송익필의 예학 사상 연구

        전성건 한국양명학회 2023 陽明學 Vol.- No.71

        This paper examines Gubong Song Ik-pil(1534-1599)’s ritual study through Garyejuseol(家禮註說) and Yemundab(禮問答). It can be said that Gubong had a pioneering position in studying abroad in that he was a person who had established friendship with Ugye Seong-hon and Yulgok Yi Yi, and became the origin of Sagye Kimjang-saeng’s art studies. This paper examines Gubong’s Yehak ideology, focusing on his Anseol(按說) and Boseol(補說) shown in his Garyejuseol and Yemundab.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ample, the former cited various annotations and specified its own plan, and the latter answered questions about excuses that could not be confirmed through the example scriptures. There are a total of 162 proposals for Gubong suggested in the Garyejuseol, a total of 14 supplementary questions, and the Yemundab consists of a total of 82 items. Gubong clearly suggests that the theories of the Song Dynasty’s Confucian scholars, especially the garye of Zhu Xi, should be used as a political theory,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particular, since Gubong deals with the controversy of Yulgok’s writing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sters, who are evaluated as the origin of preference studies. Gubong, who tries to reflect Zhu Xi’s artistic achievements as much as possible, strongly criticizes Yulgok’s viewpoint of art dealing with the problem of excuse according to his experience and recognition. By carefully examining Gubong’s art studies,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time, while providing another guideline for judging how his art thought is critically overcome by Sagye Kim Jang-saeng, who is evaluated as the chief of preference after Gubong’s death.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경학과 『경세유표』

        전성건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7 다산학 Vol.- No.31

        This paper is to look for the link of Gyeongse yupyo(『經世遺表』), which is a writing included the basic design of the new country, with Tasan’s writings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For this, we will examine a few tasks as follows. First, Tasan use both ritual and law jointly under the ritual system as a kind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Second, the methodology of his writings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經學) is the interpreting confucian scriptures with confucian scriptures(以經證經) which is divided into the confucian exegesis(詁訓) which is to find the true meaning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 documental archaeology(考徵) which is to compare and judge the right instances, and both of them is a kind of bibliography and philology We confirm the realities of the confucian community which is to actualizing the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and son on through the ritual system which is related with ideology and institution constructed with ritual and law. Tasan asserts that the confucian community will aim at running the righteous government(行王), do not respect the kingship(尊王). Gyeongse yupyo is the representative writing on the running the righteous government. Gyeongse yupyo can be understood into two aspects which is an acquaintance(知人) and restoring order and confidence of people(安民). The former which is in connection with so-called the superior man(君子) is to divided into the education, state examination, and review criterion, and the latter which is in conjunction with so-called the mean man(小人) is to split into the land system, system of public finance, and the military system. 이 글은 다산의 경학 저술에서 경학 방법론과 경학 저술의 지향점을 예법禮法의 병용 논리와 예치 시스템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그것이 신아구방新我舊邦의 기획으로서 『경세유표』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를 고구해보는 데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것처럼, 다산의 경학 방법론의 핵심은 이른바 ‘이경증경以經證經’의 방식이다. 해당 경전의 경문經文을 다른 경전의 경문과 비교ㆍ검토함으로써 해당 경문의 의미를 찾아내는 방식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경증경’의 방식에서 두드러지게 보이는 문헌학적 고찰방식에는 고훈古訓과 고징考徵 등이 있다. 이러한 경학 방법론을 적용하여 그의 육경사서에 대한 경학 저술이 완성되었던 것이다. 특히 다산이 제시하는 예법의 병용 논리는 ‘이념’과 ‘제도’라는 두 측면에서 그가 설계한 유교공동체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다산이 존왕尊王을 넘어 행왕行王의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그가 설계한 『경세유표』가 『주례』의 설관분직說官分職을 모범으로 삼아 자신의 시대에 적용하기 위해 작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경세유표』의 설관분직은 다시 지인知人(교육敎育, 과거科擧, 고적考績)과 안민安民(전제田制, 재정財政, 군제軍制)으로 구체화된다. 다산이 ‘신아구방’의 기획(경세經世)을 “시용時用에 구애되지 않고 경기經紀를 입진立陳한다.”는 원칙에 따라 마련한 제도개혁에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해준다.

      • KCI등재

        磻溪 柳馨遠의 實理論과 經世學

        전성건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20 No.-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actical principle theory and the modification theory of Yu Hyeong-weon who have been evaluated as the first practical scholar in Joseon Dynasty. Yu Hyeong-weon wrote the Bangye Essay(磻溪隨錄) which have been used so far in the so-called Joseon Studies Movement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 national system which is composed of the land system and the tax system ans so on lies in the practical principle theory which is the principle of things conferred from heaven and should be primarily understood in the neo-confucianism. In spite of that, Yu Hyeong-weon’s practical principle theory have been studied in Qi Learning which has logic centered on energy, not principle. As a result, Yu Hyeong-weon’s practical principle theory have a logic of unity between principle and energy and we can call it principle of things not principle of Qi. Bangye Essay can be based on the practical principle theory and his modification theory can be also said that it was carried out by the practical principle theory.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can be carried out by the good will of a Confucian saint. 이 논문은 磻溪 柳馨遠의 실리론과 경세학의 연계성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지금까지 반계의 학술경향은 주로 경세론의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것은 公田制와 貢擧制를 핵심으로 전개되는 《磻溪隨錄》의 위상 때문이었다. 爲堂 鄭寅普가 반계를 실학의 鼻祖로 거론한 뒤, 반계의 경세학은 이른바 조선학운동과 조국근대화의 분위기 속에서 星湖 李瀷과 茶山 丁若鏞 등의 그것과 함께 연구의 최전선에서 지금까지 거론되고 있다. 그런데 반계의 경세학에서 보이는 典章制度의 철학적 토대는 實理論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학문과 사상은 성리학의 학문적 풍토 속에서 숙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의 실리론은 일차적으로는 성리학의 맥락에서 독해되어야 하고, 그 실리론은 다시 경세학과의 연관성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논문이 그의 실리론과 경세학을 함께 거론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문제는 그가 남긴 철학적 자료가 희소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실리론과 경세학의 연관성은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반계는 理氣合一과 理氣不離의 [事]物을 전제하고, 그 전제 아래서 [사]물의 원리가 주재하고 있는 상태[理氣不雜]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다시 그의 경세학에 적용할 경우, 變法의 관점에서 현실의 積弊를 改正하고, 다시 常法의 이상을 추구하려고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반계에게 상법의 실현은 다시 變法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고, 여기에 聖賢의 善意志가 부여될 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송산 권재규의 心性一體論과 向華背夷論

        전성건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2 No.-

        This paper examines Kwon Jae-gyu's academic method and reality perception, focusing on the theory of heart-nature unity and the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The theory of heart-nature unity can be said to be the core that is inherited from Ki Jeong-jin and Jeong Jae-gyu, and the theory of the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shows his world view. And his profound theory and world view are again related to his spirit of the times. Kwon Jae-gyu, a traditional Korean Confucian scholar who had to live in the imperialist era, did not aim for a life subordinate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 lived an outdated life. However, his life should not be viewed like that. This is because the subject is a name that can be called when one can decide one's life. The life of a Korean Confucian who had to protect humanity, including morality and ethics, thus resonates with us. The academic object of Kwon Jae-gyu was the spirit of heaven, nature, and unific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a filial disciple as a practical ethics, and a foreground of humanity as a moral theory. In the context of neo-confucianism, his theory of heart-na182 ture unity can be said to be a juristic. The world order is being reorganized to prioritize temperament, but from his point of view, it was the way to destroy humanity. Many people of the time maintained that it was reasonable from the standpoint of the developmental historical view, but he thought that if he proudly kept and maintained the era from the standpoint of the so-called circular historical view, he would someday restore human order. That can be said to be the reason why he raised his disciples while lecturing until his death. 본 논문은 송산 권재규의 학문방법과 현실인식을 심성일체론과 향화배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심성일체론은 노사 기정진에서 다시 노백헌 정재규를 거쳐 송산으로 계승되는 심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고, 향화배이론은 중화를 지향하고 이적을 배척한다는 위정척사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심설과 세계관은 다시 그의 시대정신과 관계된다. 제국주의시대를 살아야 했던 한국의 전통유학자인 송산은 시대의 변화에 종속되는 삶을 지향점으로 삼지 않았다. 그러므로 시대에 뒤쳐진 삶을 살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송산의 삶을 그렇게만 보아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주체란 자신의 삶을 자신이 결정할 수 있을 때 불릴 수 있는 명칭이기 때문이다. 도덕과 윤리를 포함하는 인륜을 지켜야만 했던 한국유학자의 삶은 그래서 우리에게 울림을 준다. 송산의 학문적 대상은 천리와 본성 그리고 그것을 통괄하는 마음이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니라, 실천윤리로서의 효제자라고 할 수 있고, 도덕이론으로서의 인의예지라고 할 수 있다. 리기론의 맥락에서 볼 때, 그의 심성론은 주리론적 심설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질서는 기질을 우선시하는 데에로 재편되고 있었지만, 이것은 송산의 입장에서 볼 때, 인륜을 파괴하는 길이었다. 당대의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세계질서에 편승하는 것이, 발전적 역사관의 입장에서 볼 때 타당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지만, 송산은 이른바 순환적 역사관의 입장에서 당당하게 그 시대를 지키고 유지한다면, 언젠가는 다시 인륜질서를 회복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것이 그가 죽음에 이를 때까지 강학하면서 제자들을 길러낸 이유라고도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심학의 전통에서 일신의 주재는 일심의 역할이고, 일심의 주재는 경의 역할이었다. 송산도 이를 따라 경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았고, 그래서 깨어있는 지식인으로서의 삶을 살 수가 있었다. 신문물이 들어와도 자신의 지조를 지키며 살아가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자신의 학문을 살아간 선유의 판단과 실천을 무시하지 않고, 그 고민의 지점을 살펴보는 것도 유의미한 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