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담전공 학부생의 상담실습 성찰일지 분석 : 내담자 경험을 중심으로

        장유진(YooJin Jang),김경미(KyoungMi Kim)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3 동서정신과학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전공 학부생들의 상담실습으로의 내담자 경험을 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상담전공 학부생들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귀납적 방법의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에서 ’청소년 심리 및 상담‘과목을 수강하며 상담실습으로의 내담자 경험을 한 상담전공 학부생 21명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성찰일지는 주 1회, 50분, 총 5회기의 내담자 경험을 하며 각 회기별로 작성,제출되었다. 제출된 성찰일지를 상담의 진행과정에 따라 초기, 중기, 종결로 분류하고 각 과정 상의 유사한 범주들로 묶어 귀납적으로 분석한 결과 6개의 영역과 10개의 범주, 20개의 하위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내면의 갈등, 상담실습을 통한 개인의 성장, 상담실습 경험에 대한 느낌, 저항, 상담자로서의 성장에 대한 고민, 상담실습을 통한 성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전공 학부생들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지각과 표현 및 내담자 경험을 통한 성장을 확인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ounseling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s client experiences by examining their experiences as clients in counseling practicum through reflective journals. For this purpose, the reflective journals of 2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who gained client experience through counseling practicum while taking the 'Adolescent Psychology and Counseling' course at D University in Busan using an inductive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were used as analysis data. Reflective journals were written and submitted for each of the five sessions, which took place once a week for 50 minutes. The submitted reflective journals were classified into initial, middle, and final stag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unseling process, and were analyzed inductively by grouping similar categories within each stage. As a result, 6 classifications, 10 categories, and 20 sub-categories were emerged: <Inner conflic>, <Personal growth through counseling practicum>, <Feelings about counseling practicum experience>, <Resistance>, <Concerns about personal growth as a counselor>, <Achievements through counseling practicum>. This study has implication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counseling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s client experiences and the growth through client experiences.

      • KCI등재

        서비스 마케팅을 적용한 웨딩공간 디자인 제안

        장유진 ( Jang Yoojin ),임선희 ( Lim S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라이프 스타일이 다양화되면서 그에 따른 트렌드도 여러 가지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의 변화로 결혼이라는 관습의 문화 역시 그 형식이 변화하였고 프로그램과 공간도 변화하고 있다. 결혼 문화에 대한 소비층의 시대 의식 변화로 자신만의 문화적 취향이 중요시되고 개인의 선호와 감각에 맞는 웨딩을 하기 원하게 되면서 소비층들은 각각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 개념을 갖춘 웨딩 문화 및 장소가 필요하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방법으로 웨딩 문화의 다양화에 따른 웨딩홀 실내공간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2009년도 이후 완공된 서울지역 웨딩홀로 한정하였으며 다양하게 변화하는 웨딩 유형들을 주체성, 소통성, 종교성, 공간의 복합성의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웨딩 문화의 다양화에 따른 실내공간의 변화가 두드러진 웨딩홀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빠르게 변화한 트렌드의 흐름 속 다양화된 웨딩 유형의 소비층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웨딩 공간디자인 계획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웨딩홀의 실내공간은 웨딩 프로그램 순서에 따라 예식실, 신부대기실, 다이닝의 실내공간으로 제한하여 효율적인 디자인 방안을 구상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결과) 사례의 대상들은 공간의 주체가 소비자이며 소비자의 니즈에 의해 주체성과 소통성 그리고 공간을 찾는 소비자의 접근성이 중시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사회의 모든 면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감성적이고 심리적인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독특하고 다양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결혼 문화에도 영향을 끼쳤고, 결혼에 대한 소비자의 사고방식도 바뀌었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예식의 종류와 결혼식의 시설도 다양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 문화와 결혼 시설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변화에 따른 사고방식을 살펴보고, 결혼 시설의 형태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해결할 수 있는 결혼 시설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제안하여 실용적인 실내 계획들을 도출시킬 수 있도록 공간 및 시설계획을 구성한다. (결론) 기존 웨딩홀 실내공간 특성을 분석, 종합한 결과가 획일적이고 상업적인 공간 특성임을 알 수가 있고 이에 그 흐름에 알맞은 공간을 제시함으로 웨딩 공간이 아닌 트렌드 변화 흐름에 맞추어진 차별성을 갖는 웨딩홀 실내공간 디자인 계획을 함에 그 의미가 있다. 향후 트렌드의 변화가 빠른 웨딩 문화가 유형의 다양화에 따른 웨딩홀 실내공간 디자인 특성을 만들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iversification of lifestyles of the modern society, trends are emerging as various phenomena. Among the changing trends, is that of marriage, which has not only changed its form, but its programs and spaces as well. With the changing consciousness of consumers about marriage culture, it is important to adapt to their own cultural tastes and create a wedding culture and place with a new concept of space for them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Method) As a method of this study, we limit our focus to wedding halls in Seoul, completed after 2009,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dding hall's interior space were prominent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wedding culture, incorporating various features of identity, communication, religiosity, and space. We would like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ses of wedding halls where changes in indoor space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wedding culture are prominent and present wedding space design plans to meet the needs of diversified wedding types as a fast-changing trend. The indoor space of the wedding hall is limited to the wedding room, the bridal room, as well as the indoor space of the dining area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wedding program, and an effective design plan is devised, while an execution plan is established. (Results) The subjects of the case show that the subject of space is the consumer, whose needs encompass identity, communication, and accessibility to the space. Thus, all aspects of society are changing due to changes in people's lifestyle. As the need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ervices are increasing, spaces are becoming unique and diversified. These changes have affected the culture of marriage and the way consumers think about marriage, and the types of ceremonies and wedding facilities must be varied according to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e of marriage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arriage facilities, while constructing space and making plans for facilities to derive practical interior designs by exploring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to address various needs of consumers through research on marriage facilitie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interior space of a wedding hall which reflects uniformity and commercial space characteristics, and presents a space suitable for the flow of wedding guests, through analysis and aggregation. In the future, wedding hall interior space designs should be creat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wedding 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숙련상담자들의 사례개념화 및 상담개입전략 수립에 관한 질적 연구

        장유진 ( Jang Yoo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숙련상담자들의 사례개념화 및 상담개입전략 수립 방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 전공 박사학위와 상담 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하고 최소 15년 이상의 상담 경력과 10년 이상의 수퍼비전 경력이 있는 숙련상담자 8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을 진행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내담자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 형성과 특징 파악을 위해 내담자의 외현적, 비언어적 특성, 문제에 대한 내담자의 진술,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정서적 반응에 주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사례개념화를 위해 호소 문제에 초점을 두고, 핵심 욕구와 패턴을 파악하며, 문제의 발생 원인을 다면적으로 평가하는데, 이론적 틀을 토대로 이러한 과정을 수행한다고 보고하였다. 상담목표 설정에 있어서는 내담자와의 합의를 가장 중요시하였고, 핵심 역동과 패턴을 반영하며,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진술하였다. 상담전략과 기법을 선택할 때에는 내담자의 특성과 준비도를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았고, 안정적이고 신뢰를 바탕으로 한 상담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전략과 기법의 활용 가능성과 효과성을 제고한다고 믿었다. 참여자들은 사례개념화 및 상담개입전략 수립에 관한 훈련 방법으로 풍부한 사례 경험을 최우선으로 권하였고, 이론적 틀을 갖추기 위한 노력도 지속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qualitatively examined how experienced counselors would undertake case conceptualization and plan treatments in counseling.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experienced counselors, who held a doctoral degree and an advanced-level certification in counseling and also had a minimum of 15 years of counseling and five years of supervision experi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paid attention to the client's external and non-verbal characteristics, statements about the problem, and their own emotional responses to the client in order to assess overall im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For case conceptualization, they focused on the client's main complaints, identified key needs and patterns, and explored the causes of the problem from diverse viewpoints while relying on their chosen theoretical frame. As to setting goals in counseling, the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greement with the client and regarded it as critical to take into account the client's core dynamics and patterns and make goals realistic and attainable. In addition, they stated that a secure and reliable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would enhance the avail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trategies and techniques used in counseling. Participants recommended rich experiences as a top priority and suggest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as a way of improving the capabilities of undertaking case conceptualization and planning treatments.

      • KCI등재

        화상 집단상담 내담자의 집단 역동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조재현(Jaehyun Cho),장유진(Yoojin J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는 대면 집단상담을 경험한 집단원의 관점에서 본 화상 집단상담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집단 역동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방법 대면 집단상담과 화상 집단상담을 모두 경험한 내담자 중 10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질적 연구방법 중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총 4개의 영역, 12개의 범주, 2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공간이 주는 고유한 경험은 타인과의 경계 유지와 집단에의 몰입 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원들과의 관계는 분위기에 따라 달라지는 집단원들의 자기개방, 조금은 힘든 집단원들 간 라포 형성, 그럼에도 연결감을 느끼며 시작하는 유대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니터에서의 상호작용 경험에서는 현장감의 부족도 집단 역동을 막지는 못함, 눈치를 살피며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전지적 시점의 모니터링, 집단 내 갈등 촉발로 나타났다. 넷째, 화상 방식에 대한 선호는 화상 방식의 효율성, 비밀보장과 사생활 보호, 화상 도구와 프로그램의 활용으로 나타났다. 결론 화상 집단상담을 경험한 내담자들을 통해 대면 집단상담과 비교했을 때 집단 역동이 어떠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화상 집단상담에서의 실질적인 효용성과 앞으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roup dynamics experience during video group counseling,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group members who have undergone in-person group counseling.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21 with 10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both in-person and video group counseling,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Results The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4 areas, 12 categories, and 28 subcategories,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online space was characterized by a unique experience marked by maintaining boundaries with others and a degree of immersion in the group. Secondly, relationships with group members were repre-sented as self-disclosure of group members depending on the atmosphere, rapport between group members that is somewhat difficult to form, and bonding that starts with a sense of connection still exists. Thirdly, the interactive experience on monitors was summarized as lack of realism does not prevent group dynamics, interaction formed while being watchful of others, omniscient monitoring, and conflict sparked within the group. Lastly, preferences for the video method were demonstrated in efficiency of video, confidentiality and privacy, and utilizing video tools and programs. Conclusions This study extensively examined the group dynamics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ho underwent video group counseling in comparison to in-person counseling and also discussed the practical efficacy of video group counseling and its future implications.

      • KCI등재

        불안정 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 자기통제력에 의해 조절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홍세림 ( Hong Serim ),장유진 ( Jang Yoojin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5

        본 연구에서는 성인들의 불안정 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자기통제력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국 20대~50대 성인 307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이 높을수록 관계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회피는 관계중독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애착불안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애착불안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관계중독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자기통제력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상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relation addiction among adults and whether these mediating effects would vary depending on levels of self-control.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elf-report survey from 307 adults aged between their 20s to 50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 anxious attach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addiction, but the avoidant attachmen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lationship addiction. Second, internalized sham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rd, self-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ship addiction.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anxious attachment on relationship addiction via internalized shame varied depending on levels of self-control, indicating tha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dolescents were presented,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사회초년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직업적응의 관계 : 소속감과 직장 내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조현미(Hyunmi Cho),장유진(Yoojin Ja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직업적응의 관계를 소속감과 직장 내 대인관계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직장 경력 5년 미만인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 소속감, 직장 내 대인관계, 직업적응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속감이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직업적응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둘째, 직장 내 대인관계가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직업적응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직업적응의 관계를 소속감과 직장 내 대인관계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초년생이 지닌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이 직장에 대한 그들의 소속감을 높여주고, 높아진 소속감이 직장 내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직업적응을 돕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if a sense of belong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the workplace would hav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and vocational adjustment among career beginner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career beginners with a vocational career of less than five years to measure their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sense of belong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the workplace, and vocational adjustment.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ense of belong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and vocational adjustment;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the workpla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and vocational adjustment; Third, a sense of belong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the workplace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and vocational adjus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reer beginners’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increased on the sense of belonging, which in turn improve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the workplace and eventually contributed to their vocationa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치심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

        김영석 ( Young-seok Kim ),장유진 ( Yoojin J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치심과 공격성의 관계를 정신화와 적대적 귀인편향이 매개하는 지를 확인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성인 3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연구 변인들 간 상관은 모두 유의하였다. 수치심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수치심과 공격성의 관계를 정신화와 적대적 귀인편향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치심이 공격성으로 이어지는데 관여하는 보다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함으로써 선행연구 결과를 정교화하고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담 실제에의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hame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2 adul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and AMOS 21.0.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four variables. The hostile attribution bia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aggression, while mentalization did not.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aggression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mentalization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This study elaborated and expand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by identifying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s play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aggression.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 :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이승태(Lee, SeungTae),장유진(Jang, Yo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 관계를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4년제 대학의 재학생 및 휴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21일에서 1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활용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PSS PROCESS Macro 3.5의 부트스트래핑 방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불일치는 향상초점, 학습몰입과 부적 상관을 보였지만 예방초점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향상초점은 예방초점과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예방초점도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조절초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에 비해 향상초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불일치가 향상초점을 경유하면 억제된 향상초점으로 인해 학습몰입이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의 매개효과는 억제효과를 발생시켰으나 영향이 유의미하여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불일치가 예방초점을 경유하면 예방초점의 활성화로 학습몰입이 오히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조절초점을 경유하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자기불일치를 낮추고 향상초점을 높이는 개입이 동시에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learning flow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gulatory focus, including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Methods Three hundre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currently enrolled or on a leave of absence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through onlin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of SPSS PROCESS Macro 3.5.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screpanc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motion focus and learning flow, whil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prevention focus. Promotion focu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vention focus and learning flow, and prevention focu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flow.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learning flow, promotion focus had a greater effect on learning flow than prevention focus. Second, the higher the self-discrepa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lower the learning flow. Third, promotion focu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omotion focus, however, learning flow rather decreased due to the suppressed promotion focu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the mediating effect of prevention focus created a suppression effect. However, the effect was significant and thus partially mediated.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evention focus, learning flow rather increased due to the activation of prevention focus. Conclusion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ince the direction of the effect on learning flow changes when self-discrepancy passes through regulatory focus, it is necessary to lower self-discrepancy and increase promotion focu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flow.

      • KCI등재

        교원임용 시험을 준비하는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들의 교직생활과 삶에 관한 질적 연구

        민은영(Eun-Young Min),장유진(Yoojin J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에서는 교원임용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기간제 교사들의 교직생활과 삶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10명의 기간제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경제적 필요를 충족시키고 자신의 꿈인 교사생활의 기쁨과 보람을 맛보며, 임용 시험에 실질적인 도움을 얻고자 기간제 교사직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교사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학교 관리자로부터의 차별 대우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이로 인한 자존감의 저하와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차별이 오히려 임용 시험 준비에 대한 강한 의지로 전환되어 참여자들은 안정되고 당당한 교사 신분을 얻기 위해 임용시험준비에 전념하고 있다고 진술하였다. 하지만, 시험준비 과정에서 부족한 공부시간, 끝없는 공부양, 다양한 삶의 역할 수행, 체력 저하, 난해한 시험 유형, 이전 실패경험에서 오는 불안감 등으로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qualitatively examined the lives of non-tenure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s" exam. Semi-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teach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chosen a contract-based teaching position, believing that it would meet their financial needs, provide them with the satisfaction of being a teacher and, more importantly, afford practical help with their exam preparation. In practice, however, they suffered from low self-esteem and identity confusion due to discrimination by the school administrators. Ironically, this unfair treatment strengthened the participants" commitment to studying for the exam, in order to acquire a stable and secure position in school. However, they experienced a lot of study-related stress, including a lack of study hours, heavy study load, multiple life roles, physical exhaustion,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vague exam guide, and anxiety due to previous failure in the exam.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