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치료용 전자선 계측을 위한 1차원 광섬유 방사선량계의 제작 및 특성분석

        장경원,조동현,신상훈,유욱재,전재훈,이봉수,문주현,박병기,Jang, Kyoung-Won,Cho, Dong-Hyun,Shin, Sang-Hun,Yoo, Wook-Jae,Jun, Jae-Hun,Lee, Bong-Soo,Moon, Joo-Hyun,Park, Byung-Gi 한국의학물리학회 2008 의학물리 Vol.19 No.4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1차원 광섬유 방사선량계는 PMMA 팬텀에 10개의 광섬유 방사선 선세를 배열하여 제작하였다. 1차원 광섬유 방사선량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섬유 방사선 센서는 플라스틱 광섬유와 유기섬광체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유기섬광체는 치료용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고 에너지 방사선에 의해 섬광빛을 방출하고 방출된 섬광빛은 플라스틱 광섬유를 통하여 광 계측장비인 다채널의 포토다이오드 증폭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광섬유 방사선량계를 이용하여 에너지와 조사야의 크기에 따른 치료용 전자선의 1차원적 선량분포를 측정하였고 섬광체의 광신호 측정에 있어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체렌코프 빛을 전자선의 입사각도에 따라 계측 및 분석하였다. 또한 PMMA 팬텀의 깊이에 따른 선량을 계측함으로써 3차원적 심부선량백분율을 측정하였고 그에 따른 등선량곡선을 도시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1차원 광섬유 방사선량계는 고 분해능, 실시간 측정, 쉬운 보정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this study, we have fabricated a one-dimensional fiber-optic dosimeter for electron beam therapy dosimetry. Each fiber-optic dosimeter has an organic scintillator with a plastic optical fiber and it is embedded and arrayed in the plastic phantom to measure one-dimensional high energy electron beam profile of clinical linear accelerator. The scintillating lights generated from each sensor probe are guided by plastic optical fibers to the multi-channel photodiode amplifier system. We have measured one-dimensional electron beam profiles in a PMMA phantom according to different field sizes and energies of electron beam. Also, the isodose and three-dimensional percent depth dose curves in a PMMA phantom are obtained using a one-dimensional fiber-optic dosimeter with different electron beam energies.

      • KCI등재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 퍼실리테이터 역량 모형 개발

        장경원,장선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by exploring a competency model for facilitators who design and implement an instruction for using design thinking and identifying the priorities among competencies. For the purposes, a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ased on the 10 experts’ opinions. Next, priorities among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by 10 experts. Then, a training program for facilitators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mpetency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nine competencies and three domain were identified for facilitators. In details, the competency of (1)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design thinking, and (2) instructional design of design thinking in the domain of ​​expertise in design thinking, the competency of (3) managing of design thinking program, (4) monitoring learners, (5) questioning to promote learners’ thinking, (6) critical thinking in the domain of operation of design thinking program, the competency of (7) open mind, (8) affinity, (9) challenge spirit in the domain of mind set were identified. Second, the first priority among nine competencies was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design thinking’, followed by ‘managing of design thinking program’, ‘instructional design of design thinking’, ‘questioning to promote learners’ thinking’, ‘critical thinking’, ‘monitoring learners’, ‘open mind’, ‘affinity’, and ‘challenge spirit’ in order of prior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training program for facilitators was suggested. The program consists of ‘introduction of design thinking’, ‘design thinking phases and tools’, ‘facilitator’s role’, ‘facilitation at the each phases of design thinking’, ‘design thinking mind-set’, ‘instruction design of design thinking’. The program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lecture, practice, case analysis, and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s guidance for competency assessments and systematic learning for facilitators. 이 연구는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퍼실리테이터에게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들 간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퍼실리테이터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10명의 디자인씽킹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 퍼실리테이터에게는 디자인씽킹 전문성, 디자인씽킹 과정 운영,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영역에서 디자인씽킹에 대한 전문지식과 실행경험,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설계 역량, 디자인씽킹 과정진행, 학습자모니터링, 사고촉진질문, 종합적 사고, 열린마음, 친화력, 도전정신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 역량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것은 디자인씽킹에 대한 전문지식과 실행경험이었고, 그 뒤를 이어 디자인씽킹 과정 진행,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 설계, 사고촉진질문, 종합적 사고, 학습자 모니터링, 열린마음, 친화력, 도전정신 순으로 우선순위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 퍼실리테이터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다. 양성교육 프로그램은 디자인씽킹의 주요 특성, 디자인씽킹 단계와 활용 도구들, 디자인씽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 공감단계에서의 퍼실리테이션(실습), 문제정의 단계에서의 퍼실리테이션(실습), 아이디어생성 단계에서의 퍼실리테이션, 프로토타입 제작 단계에서의 퍼실리테이션, 테스트 단계에서의 퍼실리테이션, 디자인씽킹 마인드셋, 디자인씽킹 활용 교육 설계를 주요 내용으로 하며, 강의, 실습, 사례분석, 토의 등의 방법으로 운영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디자인씽킹을 활용하여 교육하기 원하는 교수자들에게 역량 점검 및 체계적 학습을 위한 안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 개발: 긍정탐색을 활용하여

        장경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appreciative inquiry(AI) based on positive question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proceeded in three stages. First, an appreciative inquiry program was developed for deriv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Second, using appreciative inquiry, instructors' positive experiences, ideal figur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were derived. Third, by integrating the collected data, a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was developed.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10 middle school teachers, and 10 university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appreciative inquiry program and presented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Experts and instructors evaluat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The result of the study,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consists of 35 strategies in 7 areas. The seven areas are divided into four design areas (A. online space design, B. learning support design, C. project task design, D. assessment design and tool development) and three implementation areas (E. guidance and support, F. class management, G. facilitation). Among the 35 strategies, 11 strategies are strategies related to online space, and 24 strategies are strategies that require attention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roject based learning, which is a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paces. The developed strategy will provide practical guidance to instructors who want to implement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and help them feel confident. In addition, it will be meaningful resources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organizing and developing an online learning space. 이 연구는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긍정 질문이 중심인 긍정탐색을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 도출을 위한 긍정탐색 과정을 개발하였다. 둘째, 긍정탐색 과정을 통해 교수자들의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긍정경험(사례), 바람직한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의 모습,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전략들을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를 종합하여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주요 단계인 긍정탐색 과정에 초등교사 10명, 중등교사 10명, 대학교수 10명이 참여하여 자신들의 경험과 의견을 제시하였고, 의견을 토대로 개발한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에 대해 교육공학 전문가들이 타당성을 평가하고 수정 의견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인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은 7개 영역 35개 전략으로 구성된다. 7개 영역은 4개의 설계 영역(A. 온라인 공간 설계, B. 학습 지원 설계, C. 과제 설계, D. 평가 설계와 도구 개발)과 3개의 실행 영역(E. 안내와 지원, F. 수업 운영, G. 퍼실리테이션)이다. 35개의 전략 중 11개 전략은 온라인 공간과 직접 관련된 전략이고 그 외 24개 전략은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인 프로젝트기반학습 고유의 특성 및 온라인 공간이기 때문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전략이다. 연구 결과로 제시된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은 교수자들의 긍정 사례와 아이디어를 토대로 개발된 것으로 교수자들에게 실제적인 안내를 제공하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온라인 학습공간을 구성하고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PBL 문제 및 수업운영 계획을 위한 실천지침 개발

        장경원,최정임,장선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rrors faced by teachers in developing PBL problems and implementation plans, and to develop practical principles to solve th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BL problems and the PBL implementation plans developed by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BL education. The researchers develope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PBL material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ducted cross-analysis of the collected materials with a team of two researchers.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PBL problems were ‘connectivity with learning objectives’, ‘inclusiveness of learning contents’, ‘authenticity of problem’, ‘relevance’, ‘collaboration’. A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PBL implementation plan were ‘fidelity to PBL process’, ‘appropriateness of the time allotment’, and ‘fidelity to PBL teaching methods’. The result has shown that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 plan to apply concepts and principles learned through PBL training to actual classes. The principles for PBL problem development and PBL implementation plan are emerg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PBL 문제를 개발하고 수업운영 계획을 수립하는데 주로 겪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지침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처음 PBL을 준비하는 교사들이 PBL 연수를 마친 후 자신들의 수업을 PBL로 운영하기 위해 개발한 PBL 문제와 수업운영계획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문헌분석을 통해 결과물들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2인이 1조가 되어 수집된 결과물들을 교차분석하였다. 문제분석에 사용된 기준으로는 ‘학습목표와의 연계성’, ‘포괄성’, ‘실제성’, ‘관련성’, ‘협력성’이었으며, PBL 수업운영 계획 분석을 위한 기준은 ‘PBL 단계의 충실성’, ‘차시 안배의 균형성’, ‘PBL 교수방법의 충실성’이었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PBL 개념 및 원리들을 학습했지만 실제 문제를 개발하고 수업운영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PBL 문제개발과 수업운영계획 시 고려해야 할 구체적인 실천 지침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 ‘블랭크 차트’의 활용전략에 대한 연구

        장경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2

        학습자 중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 교육환경에서는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사고하고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과제를 제시, 이를 해결하도록 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그런데, 많은 경우 학습자들에게 과제만 부여할 뿐 과제해결도구는 제시하지 않는다. 블랭크 차트는 학습자들이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도구 중의 하나로 해결해야 할 문제의 최종 결과물에 대한 이미지를 먼저 작성한 후 이를 토대로 문제해결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육환경에서 블랭크 차트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통해 블랭크 차트의 유용성과 활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블랭크 차트를 활용하는 것이 과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도출, 계획수립, 역할분담을 하는데 유용하였다고 하였다. 수업 중 블랭크 차트를 과제해결도구로 제시, 활용한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이 과제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팀 활동을 적극적․체계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아이디어 제시와 과제해결을 위한 다른 기법들이 함께 병행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블랭크 차트는 기업 현장에서 활용되어 온 결과물 산출 중심의 문제해결도구이지만 문제해결능력이 강조되는 현재의 교육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도구로 활용할 만큼 효과가 있는 도구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를 보다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과제의 특성, 학습자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전공이나 과제에 적합한 문제해결도구들을 선택․활용할 수 있도록 역량을 함양해야 할 것이다. A ‘Blank-chart technique’ is one of problem solving techniques for management consultants, which may be applied for students in order to promot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kills in learner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Furthermore, a blank-chart leads to draw visual images of final outputs before students propose outcomes. In this study, students who had been instructed in a ‘Blank-cart technique’and applied it to develop team projects. This study examined the outcomes of a ‘Blank-chart technique’ in team projects; and,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opinions of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eam projects and the usefulness of applying a ‘Blank-chart technique’ to conduct their team projects. Main difficulties in performing team projects were a) making concrete plans and setting up time tables, b) allocating tasks/roles to team members, c) developing and finalizing the outcomes of their team project, and d) communicating each other sufficiently. In regard to overcoming these difficulties, it was finding that Blank chart technique had usefulness and advantages in a) developing diverse contents and ideas, b) establishing a systematic and concrete pan of what to do, c) facilitating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and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 The research outcomes supported that ‘Blank-chart technique’ was effective in improv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and activities.

      • KCI등재

        Development of a Fiber-optic Cerenkov Radiation Sensor to Verify Spent Fuel: Characterization of the Cerenkov Radiation Generated from an Optical Fiber

        장경원,유욱재,신상훈,한기택,이봉수,CHEOL HO PYEON,TSUYOSHI MISAWA,지영훈,조승현,박병기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10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Cerenkov radiation generated from optical fibers as a fundamental research for development of fiber-optic Cerenkov radiation sensor to verify the spent fuel. We measured the amount of Cerenkov radiation according to OH contents and numerical apertures of various optical fibers. Also, we measured the Cerenkov radiation as functions of length and diameter of the optical fiber. As the results, the silica optical fibers which have high numerical aperture and high OH content were efficient and stable for gathering the Cerenkov radiation generated in the optical fiber. And the intensity of Cerenkov radiation generated in the optical fiber was proportional to the irradiated length and the square of diameter.

      • 치료용 방사선의 입사각에 따른 광섬유 방사선량계의 체렌코프 빛 측정 및 분석

        장경원,조동현,유욱재,신상훈,서정기,이봉수,박병기,문주현 제주대학교 방사선응용과학연구소 2008 방사선응용과학연구소논문집 Vol.22 No.-

        In this study, we have measured scintillating light generated in a fiber-optic dosimeter by high energy photon and electron beams using a charge-coupled device. The intensity of Cerenkov lights are also measured and characterized as functions of incident angles and energies of the high energy beams from a clinical linear accelerator. To minimize or remove Cerenkov light, a simple subtraction method using a background optical fiber and wavelength discrimination method using optical filters are investigated. Also, the intensities of Cerenkov light induced by high energy photon and electron beams are compared.

      • KCI등재

        條例制定權의 範圍와 限界

        장경원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1 행정판례연구 Vol.16 No.1

        In dieser Untersuchung wurde die Verwaltungsrechtsprechung Südkoreas 24/12/2009 und damit zusammenstehende zusätzliche Urteile behandelt. Die wichtigste Garantie der gemeindlichen Autonomie befindet sich in der koreanischen Verfassung. Sie lautet: “Den Gemeinden soll das Recht gewährleistet sein, alle Angelegenheiten der örtlichen Gemeinschaft im Rahmen der Gesetze in eigener Verantwortung zu regeln”(Art. 117 Abs. 1 Verf. Koreas). Zu den Angelegenheiten der örtlichen Gemeinschaft gehörte nicht nur das Recht zur Entscheidung über das eigene Personal, die sogenannte Personalhoheit, sondern auch zum Beispiel die Organisationshoheit, die Planungshoheit, die Rechtsetzungshoheit. Die Garantie der Gemeindeautonomie ist von großer Bedeutung. Es geht um die Gegenstände, auf die sich die Garantie bezieht, und die eben mit den verschiedenen Hoheiten umschrieben wurden. Und es geht zum anderen um die Garantie, diese Gegenstände “in eigener Verantwortung” zu regeln. Das Problem der Garantie der Rechtssetzungshoheit der Gemeinde ist weniger ihr Umfang, zumal “alle” örtlichen Angelegenheiten erfasst sind, als die durch das Grundgesetz erlaubten Einschränkungsmöglichkeiten. Die Grund damit die genannten “Hoheiten” stehen nämlich unter dem Vorbehalt “im Rahmen der Gesetze”. Gerade im Bereich der gemeindlichen Ordnungen gibt es traditionell eine Fülle von Einschränkungen. Die Möglichkeit, die gemeindliche Autonomie zu nutzen, hängt zwar einerseits von den staatlichen Beschränkungen ab, andererseits aber auch in nicht wenigen Bereichen von den gemeindlichen Rechtssetzungen, welche die Gemeinde besitzt oder sich verschaffen kann. Wie wir gesehen haben, ist die Autonomie in einigen Bereichen zwar stark reguliert, innerhalb dieser Beschränkungen ist die Gemeinde aber in ihren Entscheidungen frei. Im Bereich der Rechtssetzungen haben das Parlament der Gemeinde dank ihres politischen Gewichts ihre Stellung gegen ihre Exekutive stärken können. Gleichwohl bleiben die Restriktionen im Bereich der gemeindlichen Rechtssetzungen die wichtigste Sperre für die Ausübung der Autonomie. 본고에서는 대상판례인 대법원 2009. 12. 24, 2009추121 판결에서 다투어진 순천시의회와 순천시간의 민간위탁과 관련한 사무 등에서 지방의회의 동의를 사전에 구하도록 규정한 조례안에 관하여 헌법과 지방자치법상 조례제정권의 범위와 한계를 검토하였다. 본 판결은 기본적으로 조례제정권과 그 범위에 대해서는 헌법 제117조에 규정되어있는 바와 같이 법령의 범위 안에서 기본적으로 자치사무와 단체위임사무에 대해 법률우위의 원칙과 법률유보의 원칙에 적합한 기준 내에서 자주적으로 제정할 수 있다는 점, 우리나라 지방자치현실에서 기관위임업무가 많은 측면에서 지방의회의 적극적인 조례제정권을 폭넓게 긍정적으로 해석하였고 지방의회의 본질적인 조례제정권을 통해 단체장의 지나친 독주방지와 행정실패를 사전에 예방하고 특히 예산낭비와 지나친 민간위탁의 남얩서 방지하기 위해 민간위탁시 건별로 지방의회의 동의를 구하도록 한 재의결을 적법하게 판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법원의 판례와 이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은 헌법과 지방장치법의 정신에 따라 상호 견제와 균형이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바, 순천시의 모조례에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를 의회동의하에 제정하였고 민간위탁사무선정 등은 전문분야라고 할 수 있으므로 시장 또는 민간위탁운영평가위원회에 위임하여 사후에 총체적으로 행정사무감사권이나 조사권, 질문권, 결산 승인권 등으로 통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 조례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집행권, 통할권 등의 고유권한을 상당히 제약하는 조례로도 판단할 수 있으며, 민간위탁 사업마다 세부적으로 이중의 지방의회 동의를 구하도록 한 조례는 민간위탁을 통한 행정의 능률성을 저해할 소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러한 조례의 범위와 한계에도 불구하고 2004년에 지방분권법이 통과되고 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 건전한 긴장관계는 민주적 지방정부 운영측면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법령에 위배되지 않고 주민의 권리보장에 충실하며 주민의 삶의 질제고와 지역실정에 맞는 지방행정을 능동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는 더욱 조례입법권이 확대되어 조례입법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조례안뿐 아니라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간에 합리적인 긴장관계의 조성은 건전한 지방자치제도의 정착을 위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역으로 상호 기관에 대한 이해와 협조, 지방의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제고, 그리고 상호간 협조체제구축을 위한 공동참여기회의 확대 등이 조례안 재의결을 둘러싼 분쟁을 최소화하여 행정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