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감 잎 가해 해충으로 국내 처음 보고되는 미소 나방류 3종

        임유진,최윤정,변봉규,박정규,Lim, Eugene,Choi, Yoon Jung,Byun, Bong Kyu,Park, Chung Gy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2

        2012년 경남 창원의 농약 무살포 단감원에서 단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단감 해충으로 기록되지 않은 3종을 채집 동정하였다. 동정된 종은 몸노랑들명나방, 우묵날개원뿔나방, 사과잎말이나방이었다. 이들의 채집기록, 형태, 기주와 간단한 생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 In this study, we report three insect pest species of non-astringent persimmon, Pleuroptya chlorophanta, Acria ceramitis, and Choristoneura longicellana,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Larvae of these species were collected from an organic farming persimmon orchard in Changwon city, Gyeongnam province, and reared in the laboratory to be identified in 2012. Some information, such as collection records, hosts, simpl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cology were introduced for each species.

      • KCI등재
      • KCI등재

        학점인정 K-MOOC 강좌의 학습지속의향 영향 변인 분석

        임유진(Lim, Eugene),정유진(Jung, Youji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task value, time management skill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in credit recognition K-MOOC and to research a method improv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41 students who registered for the Big-data course, K-MOOC in E universi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final ex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analy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ing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in K-MOOC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Second, the task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Third, time management didn t affecte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eaching presence and task value are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in the K-MOOC learning environment and discussed effective K-MOOC management methods that improve a teaching presence and recognize the task value importantly based on the research found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이 학점이 인정되는 K-MOOC 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과제가치, 시간관리전략,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습지속의향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E 대학의 빅데이터 관련 K-MOOC 강좌를 학점인정으로 이수하고 있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학기 말 기말고사 시간에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24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에서 학습자가 인지하는 교수실재감은 학습성과인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K-MOOC의 과제가치는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시간관리전략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K-MOOC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영향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K-MOOC학습지속의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수실재감을 높이고 과제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할 수 있는 K-MOOC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A대학 교수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연구

        임유진(Lim, Eugene),홍유나(Hong, Yu-Na),김세영(Kim, Se-Young),김보경(Kim, Bo-Ky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1

        Recently, as the quality of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to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ofessor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uitable teaching competency of A university in Korea and develop a scale to measure such competency. In order to develop the scale, first, A university’s vision, educational goal and related research were reviewed and 24 initial items were formulated. Second, after conducting two Delphi surveys, 35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ird,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 university professors on two occasion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33 items consisting of five factors: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management, communication, self-diagnosis and reflection, and professional knowledge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practical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using the scale by discuss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y in a university environment.

      • KCI등재

        교사의 AI·디지털 활용 현황 및 요구에 기반한 지원 방향 탐색

        임유진 ( Eugene Lim ),홍선주 ( Sunjoo Hong ),임지영 ( Ji Young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학교 교육에서 AI·디지털 도구의 성공적인 도입과 확산을 위해 현장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IEDAP 사업에 참여하는 226명의 마스터교원과 리더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AI·디지털 수용을 위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서 긍정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AI·디지털을 활용한 교수활동의 실행도와 중요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ADDIE 모형의 개발 단계에 해당하는 교수활동을 제외하고 모든 단계에서 교수활동에 대한 지원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원의 우선순위가 높은 교수활동을 살펴보면, AI·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학습자 특성 분석, 학습자 맞춤형 평가 및 실시간 피드백, 학습자 특성 및 성취기준 등을 고려한 수업 목표 설정, AI·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보충 학습 기회 제공, AI·디지털 기반 학습자 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AI·디지털 수용 방해요인으로 AI·디지털 인프라 및 공간 부족, 증가된 업무에 대한 부담, 그리고 학습자의 AI·디지털 역량의 격차가 두드러졌다. 지원요구에서는 교원연수를 통한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교사의 AI·디지털 활용에 있어 방해요인을 줄이고, AI·디지털 활용에 대한 교사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needs of teachers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spread of AI and digital tools in school education.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26 master teachers and leader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AIEDAP projec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positive perceptions of teachers regarding AI and digital adoption were observed across all item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teaching activities using AI and digital, it was found that except for the development stage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the demand for support of teaching activities was high in all stages. In particular, when looking at teaching activities with a high priority of support,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analyzing learner characteristics using AI and digital tools, personalized assessment and real-time feedback, setting instructional goals, providing supplementary learning opportunities using AI and digital tools, and AI and digital based learner management. Third, obstacles to teachers' adoption of AI and digital tools included shortages in AI and digital infrastructure and space, increased workload burden, and noticeable disparities in learn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In terms of support needs, the highest demand was observed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teacher training. In conclusion, strategies were discussed to alleviate obstacles and enhance teachers' AI and digital expertise.

      • KCI등재

        몇 가지 살충제의 썩덩나무노린재와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독성

        정부근,임유진,이흥수,박정규,Chung, Bu-Keun,Lim, Eugene,Lee, Heung-Su,Park, Chung Gy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몇 가지 살충제에 대한 독성을 썩덩나무노린재를 대상으로 단감원에서 잔효독성으로 검증하였고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뚱보기생파리 성충을 대상으로 직접분무처리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흑색유아등으로 채집하였고 뚱보기생파리 성충은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인 methyl-(E,E,Z)-2,4,6-decatrienoate을 사용해서 끈끈이트랩으로 포획하였다. 비펜트린수화제, 뷰프로페진 디노테퓨란수화제, 클로티아니딘액상수화제, 디노테퓨란수화제, 티아메톡삼입상수화제 등 5종의 살충제 중에서 비펜트린수화제가 72시간 케이지 내 잔효독성 검정결과 썩덩나무노린재에 대해 93.1%의 사충율을 나타내었고 여타 살충제들은 다양한 사충율을 보였다.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사충율은 55.3~74.3%이었다. Toxicity of several insecticides was tested against the brown mar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and adult Gymnosoma rotundatum (Diptera: Tachinidae) in a sweet persimmon orchard. H. halys was captured using black light traps and G. rotundatum adults were collected using sticky traps lured with an aggregation pheromone, methyl-(E,E,Z)-2,4,6-decatrienoate of Plautia stali. Five insecticides, namely, bifenthrin 2 WP, buprofenzine+dinotefuran (20+15) WP, clothianidin 8 SC, dinotefuran 10 WP, and thiamethoxam 10 WP, were moderately toxic to G. rotundatum, resulting in 55.3% to 74.3% mortality. Bifenthrin 2 WP caused 93.1% mortality at 72 h within cages as a residual toxicity, and others caused varied mortalities.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 대상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 연구 : 기술준비도,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 중심으로

        홍유나(Hong, Yu-Na),임유진(Lim, Eugen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 시대에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기술준비도,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를 중심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I 유아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과목을 수강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 63명이며, 본 연구에서 상정한 기술준비도,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0년 3월 16일부터 3월 20일까지 사전 자료 수집, 2020년 6월 29일부터 7월 30일까지 사후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SPSS 20.0을 사용하였고 AI 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사전-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AI 유아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과목은 예비 유아교사의 기술준비도(혁신성, 낙관주의, 불안정성, 불편감)와 교사효능감, AI 활용의도에 있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전-사후 검증에서 가장 큰 평균차를 나타낸 변인은 AI 활용의도(1.32)였고, 기술준비도의 하위변인인 낙관주의(1.30), 혁신성(1.24)도 높은 평균 차를 나타냈으며 불안정성과 불편감은 다소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에서 AI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및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I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ra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cusing on technology readiness, teacher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AI.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63 first-year students of the college s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ho took courses i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early childhood education. Pri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16 to March 20 in 2020, and pos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9 to July 30 in 2020. For data analysis, SPSS 20.0 was used, and pre-pos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paired t-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I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I early childhood education’ subj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chnology readiness (innovativeness, optimism, insecurity, discomfort), teacher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AI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e-post verification, the variable that showed the largest average difference was the intention to use AI (1.32), and optimism (1.30) and innovativeness (1.24), which are sub-variables of technology readiness. Also, It was confirmed that insecurity and discomfort were slightly lowe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I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 프로그램 성과관리를 위한 S대학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윤지영 ( Yoon Jiyoung ),임유진 ( Lim Eugen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교내외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보다 체계적인 역량기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 중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한 S대학의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교육 프로그램 성과관리를 위해 수정 보완 및 재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진단도구의 내용타당화 및 구인타당화 검증 절차를 거쳤다. 먼저 구인의 조작적 정의를 검토하고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바탕으로 138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수정한 예비문항은 한달동안 예비조사를 거쳐 총 983명의 데이터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통해 총 18개 요인, 86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뿐만 아니라, 타당도 검증을 거쳐 6대 핵심역량별 5문항으로 구성한 축약형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고도화한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바탕으로 각 대학에서 설정한 핵심역량에 걸맞게 지속적으로 재학생의 역량을 진단하고 관리하는데 활용하며, 향후 S대학의 교육 정책의 방향과 역량 중심 교육과정 편성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축약형으로 개발한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결과는 최근 강화 및 확대되고 있는 비교과 교육 성과를 분석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o provide a more systematic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previously developed S University's core competency assessment was revised and re-validated for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program performance, as the demand for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creased both on and off-campus. To this end, the measurement instrument went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dures for content validation and construct validation. First, 138 preliminary questions were drawn from a review of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constructs of S university’s core competencies and the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Seco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one month with revised preliminary questions. In a preliminary analysis, a core competency assessment c onsisting of a total of 18 factors and 86 items was developed through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ith a total of 983 responses. Lastly, a short version of a c o re competency assessment c o nsisting of five items in each of six c o re competencies was developed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In conclusion, the resulting core competency assessment advanc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diagnosing and managing the core competency of current students and can be used for the future of S university's educational policy and o rganization in regards to competency-oriented curriculum. Also, the short version of the core competency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collect basic data to analyze performance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have been strengthened and expanded recently.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 A대학의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 경험 분석

        김세영 ( Seyoung Kim ),임유진 ( Eugene Lim ),김보경 ( Bokyung Kim ),이예경 ( Yekyung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1학기 전체 강의가 원격으로 운영되었던 A대학 재학생들의 원격수업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원격수업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경험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A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퍼소나와 여정맵을 개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총 336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원격수업 형태는 비실시간 수업 중 ‘교수자의 음성만 나오는 비실시간 수업’이었으며, 경험한 수업 형태 중 가장 선호하는 수업 형태는 비실시간 수업 중 ‘교수자의 모습이 나오는 강의 촬영 동영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원격수업을 하면서 부정적인 감정변화 요인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A대학 학습자의 특성을 대표하는 1순위 퍼소나, 실험/실습과 PBL 등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한 2순위 퍼소나 및 3순위 퍼소나가 최종 개발되었으며 각 퍼소나의 학습 여정과 경험을 나타낸 여정맵이 도출되었다. 재학생의 원격수업 경험과 관련 있는 변인으로 학습스타일, 선호하는 온라인 강의형태, 수강과목의 경험,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수준, 학습 동기, 강의만족도, 학업성취도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에서 학습자 중심의 원격 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earner-centered dista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s of learners in A University, where all cour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ere operated online.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learning experience design methodology was appli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develop a persona and a journey map of learn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a total of 336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e experience of dista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experienced ‘Asynchronous audio lecture (e.g., PowerPoint slide with audio recording)’ the most. Also, it was analyzed that they prefer ‘Asynchronous video lecture by professor’ the most. It was also found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experienced more negative emotional change factors while taking online classes.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first-ranked persona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A learners were finally developed. Also, the second-ranked persona and the third-ranked person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ch as laboratory practice and PBL were developed. A journey map showing the learning process and emotions experienced by each persona were also derived. Variables related to the learners' experience in distance education were learning style, preferred online class type, class experience, level of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motivatio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learner-centered distance education at univers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