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초기 교사의 교육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student-teaching program

        임승렬 德成女子大學校 1995 德成女大論文集 Vol.24 No.-

        How do beginning teachers perceive the problems from teaching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and to improve present student-teaching programs.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N=107)were surveyed.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1) Is there difference in teacher's ability perceived by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2) Is there difference in techniques of classroom management between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3) From what sources were teacher's belief system acquired? (4) Is there difference in problems perceived by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Preliminar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eginning teachers perceived required abilities as a teacher differently from experienced teachers. However, in planning curriculum both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considered 'what do they teach children?' first of all. Also,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felt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ir beliefs consistantly. In sources of acquiring teacher's belief system, field experiences contributed to experienced teachers, while student teaching influenced beginning teachers. Lastly, beginning teachers had more difficulty with technical aspects such as management and control, teaching method than experience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for the student-teaching program which has three components: critical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critical reflcetion on meaning and outcomes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s a way of developing and improving teaching children in the classroom.

      • KCI등재

        음악수업 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임승렬,윤지영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실제를 지원하기 위해 수업 컨설팅을 실시함으로서 교사가 필요로 하는 도움을 제공하여 음악 수업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업 컨설팅단계에 따라 장학을 수행하였고, 관찰 및 면담을 통해 유아교사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음악 수업컨설팅을 통해 유아교사는 정서적 변화 및 수업실제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유아교사는 컨설팅을 통해 어려움을 느끼던 음악활동에 대하여 ‘자신감 가지기’, ‘음악활동 즐기기’의 모습으로 관찰되었으며, 교사의 수업실제는 ‘문제해결과정으로 인식하기’, ‘이해하기’, ‘적용하기’로 나타났다.

      • KCI등재

        만 3,4세 혼합연령학급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맞춤형 수업장학 실행연구

        임승렬,이혜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through customized instructional supervision of a conversation-oriented class in a mixed-age classroom of 3- and 4-year-old children and aims to promot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by seeking a solution to their difficul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operating team teaching of a mixed-age classroom of 3- and 4-year-old childr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story telling observation data, conference video recording data, teacher interview recording data, monthly and weekly child care proposals, story telling class proposals, teacher and researcher journals, and class self-assessments, all of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the 10 meetings carried out over 7 weeks between October 7 and November 25, 2015.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th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y in the teachers’ questioning plan by considering the levels of each age group and level discrepancies between topic selection, class goals and content, which reflect the interest and level of mixed age children when planning for the story telling class. When conducting the class, th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y in interactions that considered the level of the mixed age children, as well as difficulties in teacher-driven story telling and class obstructions by younger children. Secondly, the change in the teachers generated through the customized instructional supervision was revealed to effect positive change in realizing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story telling, establishing roles in team teaching for creating an effective story telling time, and the will and attitude to improve the clas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본 연구는 만 3,4세 혼합연령학급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맞춤형 수업장학을 통해 수업 시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는 과정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증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4세 혼합연령학급을 팀티칭으로 운영하고 있는 유아교사 3명이다. 2015년 10월 7일부터 11월 25일까지 7주간 총 10회의 만남을 통해 수집된 이야기나누기 수업 관찰 및 협의회 동영상 녹화자료, 교사 면담 녹음자료, 월간 및 주간보육계획안 및 이야기나누기 수업계획안, 교사 및 연구자의 저널, 수업에 대한 자기 평가서 등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이야기나누기 수업 계획 시 혼합연령 유아의 흥미와 수준을 반영한 주제 설정, 수업목표와 내용 간 수준의 불일치, 연령별 수준을 고려한 교사 발문 계획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수업 실행 시에는 혼합연령 유아들의 수준을 고려한 상호작용의 어려움, 교사 주도로 이루어지는 이야기나누기, 집중하지 못하는 어린 연령 유아들의 수업 진행 방해 등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맞춤형 수업 장학을 통해 나타난 교사들의 변화는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개념 및 중요성에 대한 깨달음, 효과적인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만들기 위한 팀티칭의 역할 설정, 반성적 사고를 통한 수업 개선 의지와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사 평가의 새로운 접근

        임승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질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현장에 있는 유아교사들에게 기존의 교사평가방법에서 벗어나 교수기술 향상과 전문성 신장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소개함과 동시에 이러한 방법들을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의 주된 역할인 동시에 평가의 핵심인 교수활동의 정의를 살펴보고, 유아교사 평가와 관련된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유아교사 평가방법들이 갖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시도되는 교사평가의 새로운 접근 방법인 '교수상황을 고려한 교사평가'를 제안하였다. The demands of teaching more challenging content to more diverse learners suggest a need for teacher evaluation strategies that will enable teachers to become more sophisticated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ays in which context and learner variability effect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is perspective, the article examines major problems encountered in Korea's early childhood teacher evaluation today. Case studies, portfolios, concept maps, problem-based inquiries (or action research) are suggested as more appropriate evaluation tools which can be used within the teaching context.

      • 아동 공격성의 귀인과정 연구

        임승렬 德成女子大學校 1996 德成女大論文集 Vol.27 No.-

        Attribution theorists propose that negative actions of others perceived as intended elicited anger, and anger then functions as a motivator of hostile behavior. The application of these attribution-affect-action linkages among children(6 to 8years old were examined.). Forty one chileren labeled as nonaggressive and forty four children as aggressive responded to ambiguous and negative scenarios describing negative outcones initiated by a hypothetical peer. Then they made judgements about peer's intentions, their own feelings of anger, and the likelihood that they would behave aggressively toward that peer.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the data supproted a meidational model of emotion as postulated by attribution theory for aggressive children, but not for nonaggressive childre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attriburional change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교육에서 포트폴리오 개발과 활용

        임승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최근 교사교육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활용 역사를 살펴보고 포트폴리오의 목적과 유형, 구성과정을 제시한 후 그 활용 효과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포트폴리오란 교사의 학습, 성향, 발달, 시범적으로 보여지는 교수능력 등을 기록하는 작업에 대한 의도적인 수집으로 정의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는 미술, 건축 등 다른 전문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던 것으로 교사교육에서는 교사의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대안으로서 활용되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로 교사양성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의 교수능력을 향상시키고 반성적 사고활동을 통한 전문성 시장과 의사결정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포트폴리오가 널리 활용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데 따른 문제점과 제한점을 살펴보고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함께 제시 하였다.

      • 발달에 적합한 교육실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신념 연구

        임승렬 덕성여자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1998 敎育硏究 Vol.6 No.-

        Student teacher beliefs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similarity between student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belief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Sixty student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pleted the Teacher's Belief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2 subscales, one of 15 items assessing endorsement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the other of 24 items assessing endorsement of more traditional practice before and after practicum. Student teachers asked to indicate the degree to which they perceived each of the statements of Teacher's Belief Questionnaire to endorse their cooperating teachers.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endorsed traditional practices after the practicum more than before the practicum. Simllarity between student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beliefs was partially found. That is, cooperating teachers influenced student teachers' beliefs about traditional practices but not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