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창동 작가론

        이현승(Hyun-Seung Lee),송정아(Jeang-Ah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영화작가로서 이창동은 장르적 자장 안에서 영화를 만들고 있는 한국영화계의 대다수 감독들과 구별된다. 그동안 그의 영화는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느와르, 멜로 등의 장르를 차용해왔지만 최근작 〈시〉에 이르러서는 장르적 외피를 벗어던진 것처럼 보인다. 〈초록물고기〉부터 〈시〉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남은 것은 관객의 참여를 요하는 깊은 심도와 시간의 연속을 암시하는 길게 찍은 숏들의 몽타주, 현실성을 강조한 연기 등 리얼리즘적 표현방식이다. 또한 이창동의 영화들은 환영적 동일시를 깨는 방식으로 관객들에게 성찰의 자리를 돌려준다는 측면에서 장르영화의 카운터 시네마로 파악할 수 있다. 이창동의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낯설게 하기’는 핸드헬드, 판타지, 미장아빔, 응시 되돌려 보내기 등의 영화적 장치로 구현된다. 이 장치들은 텍스트의 재현양식을 폭로함으로써 관객들이 역사적, 정치적 컨텍스트를 성찰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오아시스〉,〈밀양〉 등의 분석을 통해 이창동의 영화 만들기 행위는 결국 보이지 않는 ‘실재’를 상징화함으로써 ‘윤리를 창조하는 반복충동’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As a film maker, Lee Chang Dong stands out from most Korean film makers who work within the trappings of genre films. To be sure, Lee has also used the trappings of genre films, such as noire and melodrama, but primarily as a tool to communicate with film audience. In his most recent film “Poetry”, Lee seems to have even stripped even the minimal trappings of genre film. Lee commands the audience to self-reflect and work towards their own conclusions by denying them the illusory identification on screen. In this way, Lee’s works are counter cinema. Lee achieves a distancing effect using such filmic apparatuses as hand-held camera, fantasy, mise en abyme, and returned gaze. Through these filmic apparatuses, Lee exposes the re-presentation of text and compels his audience to see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of the text. In this study, I make the case that Lee Chang Dong’s film making is an act of repetition compulsion that cultivates ethical reflection, through symbolization of the invisible realities.

      • KCI등재

        오장환의 「전쟁」 연구

        이현승(Lee Hyun-seung)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2

        이 글은 오장환의 장시 「전쟁」을 대상으로 하여, 장시로서 「전쟁」이 가지는 전체적인 짜임과 얼개를 살피고, 그 알레고리적 특색을 분석하였다. 600행이 넘는 긴 시임에도 불구하고 「전쟁」에는 중심적인 서사가 없다. 근대 자본주의와 첨단 기술주의, 저널리즘을 전쟁의 알레고리로 제시하며, 이는 곧 근대적인 삶의 비극적 구조에 대한 고발이었다. 서사의 배제는 「전쟁」을 파편적인 몽타주에 몰입하여 하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러한 몽타주는 페터 뷔르거의 아방가르드 미학의 일반적인 특징과 부합하는 형식적 특성으로 보인다. 지금까지의 「전쟁」연구는 오장환 시 전체의 연구 맥락 속에서 단평에 그치거나, 이 시가 가지고 있는 아방가르드적 요소만을 언급하는데 그쳤을 뿐이다. 곽명숙이 제기한 「전쟁」의 알레고리적 특성이나, 박현수에 의해 제시된 아방가르드 시의 특성들이 「전쟁」의 시적 특성과 의미를 밝힌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짜임을 밝히기 않아 장시로서의 「전쟁」의 의미를 밝히는 데 여전한 어려움이 남았다. 이는 나무나 숲 어느 하나만을 보지 않는 균형잡힌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전쟁」은 주로 장면이나 이미지의 제시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러한 이미지를 병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일종의 몽타주적 성격을 지닌다. 몽타주 기법은 전체로 완벽하게 흡수되지 않는 부분들의 독립적 특성을 고려한 기법이다. 그러나 600행이 넘는 장시가 하나의 작품이 되기 위한 최소한의 얼개는 불가피하며,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요청된 것이 '전쟁'이라는 알레고리이다. 벤야민은 바로크시대 독인 비애극의 한 특성으로서 '알레고리'에 주목하였는데, 무엇보다 이 알레고리의 미학적 특성은 부분적 독립성에 있다. 중심 서사를 갖지 않는 「전쟁」은 누군가의 전쟁체험이 아니라, 전쟁에 대한 시적 형상화 내지는 삶에 대한 전쟁의 은유라는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곧 「전쟁」의 알레고리적 성격을 의미한다. 또한 이 시는 전쟁이라는 주된 이미지를 중심에 놓고, 인간이 파괴되는 각각의 주변적 이미지로 저널리즘의 비인간성과 허위, 기술주의의 파괴적 성격, 자본주의의 인간 소외적 상상력을 결합시키고 있다. 곧 자본주의와 기술주의와 저널리즘은 각각 전쟁의 세부적 방법이자, 그 자체가 전쟁의 다른 은유로 기능하고 있는 셈이다. This article is aimed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a long poem Jeonjaeng(war) that Oh Jangwhan wrote. In this poem, allegory and montage are the principle of arrangement, and art of writing. eventhough this poem has more 600 lines, this poem has not central narration. so, Jeonjaeng(war) is not anyone's warstory. Rather, this poem want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war, as aspect of misery of modern life. It contained the capitalism, journalism, and technicism. By these content, it shows complaint about the structure of the tragedy of modern life. The exclusion of narrative resulted in increasing of independence of images. Thi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onjaeng(war) are in accord with the vanguard aesthetics insisted by Peter Bürger. Previous studies for Jeonjaeng(war) are ceased on a short commenting in focused the whole chronicle of Oh Jangwhan. Some attempt has stopped referring to partial characteristics. Kwak Myoung-suk raise the fact which poem was builted on the principal of allegory. and the opinion that Jeonjaeng(war) are constructed by vanguard aesthetics, furthermore semiotics is needed for analize of Jeonjaeng(war) raised by Park Hyun-soo. And both of them are to look at meaningful assess about Jeonjaean(war) study. But, therefore, they concentrated only to part, they miss the overall framework, that is a arrangement of images. In this study, 'exclusion of narrative' is same word of 'the metaphor of war'. capitalism, journalism, and technicism are the metaphor of war, and war-imagination. To embody the miserable, painful life, Oh Jangwhan make a poem Jeonjaeng(war) by images of war-investors, capitatists, prostitutes, modem weapons, journalist as a base fellow, all perversive human beings.

      • SCOPUSKCI등재

        유소아 경증 지속성 천식에서 저용량 서방형 테오필린 건조시럽과 캡슐 제형의 치료 효과 비교

        이현승,이혜경,권희정,김정희,나영호,김진택,김영호,이혜란,편복양,Lee, Hyun Seung,Lee, Hae Kyung,Kwon, Hi Jeong,Kim, Jeong Hee,Rha, Yeong Ho,Kim, Jin Tack,Kim, Young Ho,Lee, Hae Rhan,Pyun, Bok Ya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3

        목 적 : 테오필린은 천식의 치료제로서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하여 서방형 제제가 개발 되었고 캡슐 제형과 더불어 유소아에 대한 임상적용의 편의를 위한 건조시럽 제형이 개발 되어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두 가지 테오필린 제형들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경증의 천식 환자들에게 테오필린 캡슐 제형과 건조시럽 제형을 저용량으로 투여한 후 제형에 따른 효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2005년 10월 1일부터 2006년 3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경희대학교 경희의료원, 인하대학교 병원, 순천향대학교 병원,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등의 국내 5개 대학병원 소아 알레르기클리닉에 내원하여 경증 천식으로 진단받은 2-6세 사이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서방형 테오필린을 건조시럽 제형 투여군(n=44)과 캡슐 제형 투여군(n=46)으로 나누어 1일 2회, 4 mg/kg/회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연구자가 임상 시험 시작(0주)과 매 4주째마다 주간 및 야간 천식 증상 개선도를 평가 하였으며, 매 4주째마다 복약 순응도, 약물 복용감, 그리고 종합적인 평가로서 약제의 유용도를 평가하였다. 이중 약제의 유용도는 환자 보호자에게도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4주와 12주째 혈액내 테오필린 농도와 0주와 12주째 혈액내 ECP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두 군 모두에서 4주와 12주의 혈액내 테오필린 평균 농도는 $5-10{\mu}g/mL$의 치료 농도를 보였으며 4주째부터 임상시험 시작에 비해 천식 증상의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두 군간 비교에서는 건조시럽 투여군이 캡슐 투여군보다 주간 천식 증상 점수는 4주째부터 야간 천식 증상 점수는 8주째부터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연구자에 의한 약제의 유용도 평가에 있어서도 건조시럽 투여군이 캡슐 투여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평가에 있어서 주관성이 강한 환자 보호자에 의한 평가는 연구자에 의한 평가 보다 4주 먼저 건조시럽 투여군이 캡슐 투여군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건조시럽 투여군이 캡슐 투여군 보다 약물 복용감과 복약 순응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호산구에 의한 기도 염증반응 정도를 반영하는 혈액내 ECP농도는 건조시럽 투여군에서만 12주 동안 테오필린 투약 후가 투약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 저용량의 서방형 테오필린은 항염증 작용이 있는 안전하고 유용한 천식 치료제로 생각되며 건조 시럽 제형은 캡슐 제형에 비해 장기간 복약 순응도가 높아서 특히 유소아 천식환자들의 임상적용에 많은 장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ophylline has recently been reported to have concurrent anti-inflammatory effects at low therapeutic plasma concentrations which are below the doses at which significants, clinically useful bronchodilatation is evident.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in capsule and dry syrup forms were developed to reduce its adverse effects and improve its clinical effects. We compar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ophylline dry syrup and capsules in children with mild asthma. Methods : Ninety children with mild asthma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theophylline dry syrup (n=44) or theophylline capsules (n=46); 4 mg per kilogram of body weight, twice a day, for 12 weeks. Baseline and serial measurements of daytime and nighttime asthma symptom score were performed. Compliance scores, drug swallowing scores, and drug usability scores were measured every 4 weeks. Each scoring was rated on a scale of 0-4. Serum theophylline concentration were measured at 4 and at 12 weeks. To exa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ophylline on asthma, Serum eosinophilic cationic protein as a marker of airway inflammation caused by eosinophil was measured 12 weeks pre- and post-administration. Results : The daytime and nighttime asthma symptom scores of the two groups after 4 weeks significantly improved over the baseline score. Daytime and nighttime asthma symptom scores in the dry syrup group were statistically lower at all time points except for the nighttime symptom scores at 4 weeks. Compliance scores, drug swallowing scores, and drug usability scores in the dry syrup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end time point. Only in the dry syrup group was the serum ECP at the end time point statistically lower than baseline. Conclusion : Low-dose sustained-release theophylline may be safe and effective in bronchial asthma and this effect may be mediated by its anti-inflammatory action mechanisms. Especially, when used in children with asthma, dry syrup formulation is recommended because of its higher compliance than capsule formulation.

      • KCI등재

        한국형 발사체의 스킨 추적 성능 향상을 위한 RCS 분석

        이현승,이은규,임정택,최지환,김철영,Lee, Hyun-Seung,Lee, Eun-Gyu,Lim, Jeong-Taek,Choi, Jee-Hwan,Kim, Chul-Young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4

        본 논문은 한국형 발사체(KSLV-II)의 스킨 추적 성능 향상을 위해 모노스태틱 RCS와 바이스태틱 RCS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EM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두 가지 경로(L, S)에 대해서, 발사체가 발사된 후 280~400초 구간에 대한 RCS 값을 계산하였다. RCS를 비교 분석한 결과,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발사체를 L 경로로 발사할 경우는 제주추적소의 레이더를 수신기로 할 때 고흥추적소의 레이더를 수신기로 할 경우 보다 스킨 추적 성능이 우수하였고, S 경로로 발사한 경우는 고흥 추적소의 레이더로 수신할 때 제주 추적소에서 수신 할 경우보다 스킨 추적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모노스태틱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는 L 경로인 경우 고흥 추적소의 레이더를 사용할 경우가 제주 추적소 레이더를 사용하는 것보다 스킨 추적성능이 우수하며, S 경로인 경우는 제주 추적소의 레이더를 사용할 경우 고흥 추적소 레이더를 사용하는 것보다 스킨 추적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calculate monostatic RCS(Radar Cross Section) and bistatic RC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kin tracking of KSLV-II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EM(Electromagnetic) simulator was used for numerical analysis. For the two paths(L, S), after the vehicle was launched, RCS was calculated for region from 280 to 400 seconds. In the case of using the bistatic radar system, when the vehicle was launched to the L path, tracking performance was better when we receive RCS in Jeju than in Goheung. When the vehicle was launched to the S path, tracking performance was better when we receive RCS in Goheung than in Jeju. In the case of using the monostatic radar system, when the vehicle was launched to the L path, tracking performance was better when we receive RCS in Goheung than in Jeju. When the vehicle was launched to the S path, tracking performance was better when we receive RCS in Jeju than in Goheung.

      • KCI등재

        패션기업 시드컴퍼니 C.I 디자인 개발 연구

        이현승 ( Hyun Seung Lee ),이재정 ( Jae Jung Lee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사회활동을 통해 수익의 사회 환원을 설립이념으로 하는 패션기업 시드컴퍼니의 C.I(Corporation Image 혹은 Cor-porate Identity) 로고 디자인 개발에 있다. 해당 기업의 설립이념에 적합한 상징성의 부여 및 모기업 C.I임과 동시에 하나의 브랜드 B.I로서의 기능 또한 고려된 로고 디자인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C.I의 개념, 의미전달성, 구성요소 및 패션기업 로고디자인에 관한 문헌 고찰과 패션기업의 로고사례 고찰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패션기업의 로고 디자인을 위한 접근 방안이 설정되었고 해당기업의 정체성의 반영을 위한 상징적인 디자인 모티브가 탐색되어, 이들이 반영된 로고 디자인 개발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 도출된 각기 콘셉트를 달리하는 3종의 디자인 시안의 적합성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각 시안별 개선 사항이 도출되어 개선 시안 연구가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용 안 선정을 위한 개선 시안 평가에서 밀대와 잎이 반원형으로 도안된 심벌과 고딕서체의 로고타입 조합을 통해 균형감과 안정감, 강직함의 전달을 콘셉트로 한 시안이 최종 안으로 채택되었으며, 어플리케이션 시안 디자인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는 패션디자인에 있어 그래픽 툴의 활용능력이 기본적인 소양이 되어 로고 디자인 연구 작업 진행에 무리가 없는 점과, 로고 이미지가 텍스타일 패턴으로 적용되어 브랜드나 기업의 정체성을 표출,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현행 사례들에 관한 인식 하에 제안되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과정 및 결과물은 패션기업의 로고 디자인 혹은 기존 로고의 리노베이션 등의 유사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 및 그래픽디자인에 있어 패션전문가의 관점에서 개발된 C.I 디자인 개발 연구로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ogo design for the fashion company ‘SEED,’ which performs social movements such as returning profit to society based on Christianit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sign the company`s logo which could serve as a mother company CI, and an individual brand BI based on the company`s foundation concept. For this, literary studies on the definition of CI, meaning delivery, logo design and existing fashion industry logos were exam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design guidelines and the symbolic design motif were configured, and they were then applied in the research process. As a result, three design prototypes designed based on different concept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to make a selection for the actual application. From the assessment, further research points were found. They were then re-investigated to create the most appropriate design. In the second assessment, a refined design which had been designed to consist of a half-circle symbol inspired from standing wheat, and a serif font based logotype was selected for the CI, and was then applied to the stationary application prototype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idea that graphic tool skills have become essential for fashion design as they allow fashion experts to investigate graphic design and the modern fashion industry distinctly uses logos in product design as a design motif or foundation material. Thus, this study`s process and result are hop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logo design for fashion companies, and a case of logo design focusing on knowledge of the role of a fashion company`s logo from a fashion expert`s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김수영 시의 감정어 연구

        이현승(Lee Hyun-Seung) 중앙어문학회 2009 語文論集 Vol.42 No.-

        This paper selected emotion words from Kim Soo-young's poetic words and examined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them. There are 168 emotion words in total 5,220 words. Among them, ‘love’ is the word of highest frequency. ‘Love’ is the ultimate theme Kim pursued and method of recognizing the world. This paper analyzed the frequency in two directions. One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 words by a part of speech. The other was to clarify the propensity and meaning of emotion words groups. In Kim Soo-young's poems, when emotion word was a noun, it was used as object of recognition and when verb and adjective, as the method of expressing emotion.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of individual word, in group frequency, words related pleasure and greif were used very often. In addition, it traced the meaning of using certain words frequently in certain period. Interestingly, a few emotion words used frequently in certain period by the poet. Emotion of ‘grief’ appeared frequently in early period and ‘love’ in mid and later period. This emotional transition confirms that his poems are deeply related to social and historical experiences the poet had at that period. Also the process of change from grief to love could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and result of dialectical sub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