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전립선암 세포주와 전립선비대 백서모델에 미치는 영향

        이수정(Su Jung Lee),최혜란(Hye Ran Choi),이정현(Jung-Hyun Lee),권지웅(Ji Wung Kwon),이희권(Hee Kwon Lee),정종태(Jong Tae Jeong),이태범(Tae-Bum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는 전립선암세포주인 LNCaP 세포주와 테스토스테론으로 유도된 전립선비대 백서모델에서 복분자 추출물의 전립선비대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첫째, 전립선암 세포주(LNCaP)에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안드로겐 관련 전립선비대 유전자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은 안드로겐 수용체(AR)뿐만 아니라 전립선특이항원(PSA)과 5-알파 환원 효소 type 2(5AR2)의 발현을 가장 높게 억제하였다. 또한 LNCaP 세포에 DHT로 안드로겐 관련 유전자를 유도한 후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R과 PSA mRNA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테스토스테론을 이용하여 전립선비대를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6주간 투여한 후 전립선비대 개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전립선비대 유발군에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전립선 무게, 전립선 소포의 상피세포 두께 및 면적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전립선비대 유발 호르몬인 DHT level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which is commonly found in aging men, is characterized by hyperplasia of prostatic stromal and epithelial cells beginning in the periurethral zone of the prostate. The prevalence of BPH increases in an age-dependent manner. Here,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unripe Rubus occidentalis extracts (UROE) on BPH development using a prostate cancer cell line and testosterone-induced BPH rat model. Experiments using an established hormone-dependent prostate cancer cell line (LNCaP) showed that UROE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of androgen-related genes, including androgen receptor (AR),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and 5-alpha reductase 2, but not 5-alpha reductase 1, which was also observed in flutamide-treated cells. Further, AR and PSA gene expression was reduced by UROE treatment under androgen-stimulated conditions using dihydrotestosterone (DHT). BPH animals displayed elevated prostate weights. However, UROE as well as finasteride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prostate weights and DHT levels compared to testosterone-induced BPH animals. Histopathological analysis also showed that UROE treatment suppressed testosterone-induced prostatic hyperplasia.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UROE may effectively inhibit the development of BPH and thus may be a useful agent in BPH treatment.

      • KCI등재

        본태성 고혈압 쥐에서 복분자 완숙과 추출물의 혈압 개선 효과

        이정현(Jung-Hyun Lee),최혜란(Hye Ran Choi),이수정(Su Jung Lee),이민정(Min Jung Lee),장지은(Ji Eun Jang),권지웅(Ji Wung Kwon),박필재(Pill Jae Park),이태범(Tae-Bum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4

        본 연구는 본태성 고혈압 쥐인 SHR을 이용하여 복분자 완숙과 에탄올 50% 추출물의 혈압 강하 효과 및 그와 관련된 인자들[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eNOS), homocysteine,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 albumin, creatinine, blood lipid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태성 고혈압 쥐에게 복분자 완숙과 에탄올 50% 추출물을 12주간 투여한 결과 수축기 혈압이 고혈압대조군에 비하여 약 12% 억제되었다. 또한 eNOS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혈청 homocysteine 및 PAI-1의 활성이 눈에 띄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근 호산성 세포수를 감소시켜 심장의 손상 및 병변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혈중 지질 및 혈청 albumin, creatinine의 농도에는 각 군 간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복분자 완숙과 에탄올 50% 추출물은 혈관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homocysteine이나 PAI-1과 같은 염증성 인자로부터 혈관을 보호하고 이를 통해 eNOS의 유전자 발현을 개선시킴으로써 혈압의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심혈관계 질환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50% ethanol extracts of ripe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RBR) on hypertens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The final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group treated with RBR for 12 week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HR group.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HR. However, treatment with RBR and captopril increased the level of eNOS mRNA in SHR. Moreover, plasma levels of homocysteine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RBR. Plasma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were lower in SHR than Wistar Kyoto rats (WK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sma triglyceride level between WKY and SHR. The number of eosinophilic cardiac muscle cells was reduced in heart muscles after treatment with captopril and RB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RBR extracts may be useful for improvement of hypertension.

      • KCI등재

        고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마우스에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복합 투여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이민정(Min Jung Lee),이수정(Su Jung Lee),최혜란(Hye Ran Choi),이정현(Jung-Hyun Lee),정종태(Jong Tae Jeong),최경민(Kyung-Min Choi),차정단(Jeong-Dan Cha),황승미(Seung-Mi Hwang),박종혁(Jong Hyuk Park),이주희(Joo Hee Lee),이태범(Tae Bu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0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으로 C57BL/6J 수컷 마우스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C57BL/6J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12주 동안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면서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식이군에서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콜레스테롤 합성의 가장 중요한 기작인 LDL receptor와 SREBP2 발현에서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투여군과 복분자와 홍삼 복합 투여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세포 안으로의 LDL 흡수를 촉진시킴으로써 체내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으로 판단된다. HDL 관련 유전자 발현에서도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투여군과 복분자와 홍삼 복합 투여군에서 HDL uptake 유전자인 SR-B1의 발현을 증가시켜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간의 형태학적 변화에서는 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복합 투여군에서 지방 형성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leptin과 FAS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과 홍삼농축액 복합 투여가 콜레스테롤과 고지혈증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We examined the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UBR) and red ginseng (RG) extracts on cholesterol improvement in C57BL/6J mice fed a HCD (high cholesterol diet) for 12 weeks. Hepatic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duced in hyperlipidemic mice. However, supplementation with UBR, RG and simvastatin effectively reduced these lipid profiles. Further, UBR and co-treatment with UBR and RG increased expression of LDL receptor, SREBP2, and SR-B1 mRNA compared with HCD. The ApoB/ApoA1 ratio was reduced by co-treatment with UBR and RG compared to treatment with UBR. In addition, histopathologic evaluation showed that co-treatment with UBR and RG suppressed lipid accumulation as well as FAS and leptin expression in plasm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treatment with UBR and RG may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hypercholesterolemia.

      • SCOPUSKCI등재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다양한 베리류의 피부노화개선 효과 비교

        이수정(Su Jung Lee),최혜란(Hye Ran Choi),이진철(Jin-Cheol Lee),박희전(Hee Jeon Park),이희권(Hee Kwon Lee),정종태(Jong Tae Jeong),이태범(Tae-Bum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2

        다양한 베리류인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 블루베리(야생종), 블랙초크베리 및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효과, MMP-1 발현 억제활성 그리고 ROS 생성 저해효과를 비교해보았다.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효과 비교에서 복분자와 블루베리(재배종)의 TNF-α 억제활성이 가장 뛰어났고, IL-6의 경우 블랙초크베리, 블루베리, 복분자 순으로 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블랙초크베리, 블루베리(야생종), 복분자가 IL-8의 발현을 눈에 띄게 억제 하였다. 더불어 복분자와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 발현 억제에 대해 시너지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복분자와 오디를 각각 250 μg/mL씩 함께 처리한 결과 복분자 250 μg/mL과 오디 250 μg/mL의 농도로 동시에 처리할 경우, 복분자와 오디를 각각 500 μg/mL로 처리한 그룹에 비해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오디만을 처리했을 때보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리류 착즙액을 처리한 모든 그룹에서 MMP-1 mRN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그중에서도 특히 블루베리(야생종)의 효과가 가장 탁월하였다. 복분자(250 μg/mL)와 오디(250 μg/mL)를 동시에 처리한 그룹과 복분자 또는 오디를 각각 500 μg/mL로 처리한 그룹을 비교해본 결과, 복분자와 오디를 동시에 처리한 그룹이 복분자와 오디만을 각각 처리한 그룹보다 MMP-1 mRNA의 발현이 좀 더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ROS 생성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블랙초크베리가 가장 뛰어났고 그 다음으로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의 순으로 두 착즙액의 ROS 생성 저해 효과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분자 250 μg/mL과 오디 250 μg/mL의 농도로 동시에 처리그룹의 경우 ROS 생성에 대한 시너지 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다섯 가지 베리류 즉, 복분자, 블루베리(재배종), 블루베리(야생종), 블랙초크베리 및 오디의 inflammatory cytokines과 MMP-1 mRNA 발현 및 ROS 생성에 대한 저해 효과는 각각의 베리류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다섯가지 베리류 모두 항염증, 항산화 작용을 통해 피부노화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is a negative factor that induces skin damage, inflammation, and aging. UVB irradiation induces the inflammatory response through interleukin (IL)-6 and IL-8 expression in keratinocytes. In addition, it induces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he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llagen 1 degradation in the extracellular matrix. We investigated the antiaging effects of five kinds of berry in human skin keratinocyte (HaCaT) cells using juice of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blueberry wild (Vacciniun angustifolium) and cultivar (Vacciniun corymbosum),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Michx.) Elliott), and mulberry (Morus abla). HaCaT cells irradiated with UV-B exhibited increased ROS generation, as well as IL-6, IL-8, and MMP-1 gene expression,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cells that were not irradiated with UV-B. However, pre-treatment of berry juice before UV-B irradiation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UV-B-induced ROS genera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 and MMP-1 expres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ll berries have anti-aging effects including lowering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ROS generation, and MMP-1 expression in HaCaT cells during UV-B irradiation.

      • SCOPUSKCI등재

        복분자 추출물의 항고혈압 활성

        이정현(Jung-Hyun Lee),최혜란(Hye Ran Choi),이수정(Su Jung Lee),이민정(Min Jung Lee),고영종(Young Jong Ko),권지웅(Ji Wung Kwon),이희권(Hee Kwon Lee),정종태(Jong Tae Jeong),이태범(Tae-Bum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는 복분자 완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간제대정맥내피세포주(HUVEC)에서 복분자 추출물이 NO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ACE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였으며, 본태성 고혈압 흰쥐(SHR)에서 혈압강하 효과 및 혈압의 조절과 관련 깊은 인자들(renin, AT1-R, ET-1, IL-6)의 유전자 발현 그리고 혈관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 완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은 HUVEC 세포주에서 NO의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혈관수축활성을 가지는 ACE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본태성 고혈압 흰쥐에게 복분자 완숙과 에탄올 50% 추출물을 8주간 투여한 결과 혈액 내 ACE의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renin 및 혈관 수축인자인 ET-1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고 염증관련 유전자인 IL-6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세동맥의 두께 및 심근 호산성세포수를 감소시켜 혈관내피세포의 손상을 보호하며 심장의 병변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복분자 완숙과 추출물은 혈압 조절과 연관된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과 활성을 조절하고, 혈관의 두께 및 심근의 변성을 감소시켜 혈압 강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심혈관계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50% ethanol extract of ripe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RBR) on hypertens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and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and activa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by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were significantly regulated by RBR in HUVEC cells. Moreover, the SH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blood pressure, ACE, renin, endothelin-1, and interleukin-6 than Wistar Kyoto rats (WKY). However, treatment with captopril and RBR decreased the levels of these hypertension-related events in the SHR. The renal arteriole showed greater media thickness/lumen diameter (%) in the SHR than in the WKY. However, media thickness/lumen diameter (%) was reduced in SHR by treatment with captopril and RBR. In addition, the number of eosinophilic cardiac muscle cells was decreased in the heart muscles after treatment with captopril and RB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50% ethanol extract of RBR may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화물 검색 시스템을 위한 듀얼 에너지 X-ray 검색기 영상을 이용한 물질 추정 방법

        이태범(Lee TaeBum),강현수(Kang HyunSoo) 한국산업정보학회 2018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1

        본 논문은 듀얼 에너지 X–ray 검색기의 영상을 이용한 물질의 추정 방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물질 추정 알고리즘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존 4가지 분별 곡선 이외에 로그 함수를 사용한 새로운 분별곡선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류한다. 여기에 기존의 선형 보간을 이용한 원자번호 추정방법이 아닌 확률분포를 이용한 원자번호 추정 방법을 제시한다. 확률분포를 이용한 가중치 계산에는 근접한 두 기준물질을 사용하는 방법과 모든 기준물질을 사용하는 방식, 2가지 방식을 실험하였다. 확률분포를 가중치로 사용하여 물질의 원자번호를 추정 할 경우 기존의 방법보다 더 정확한 원자번호 추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추정된 원자번호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HSI 모델을 이용하여 결과영상에 채색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material estimation method using dual-energy X-ray images generated as a result of cargo inspection system in MeV region. We use new discrimination curve using logarithmic function rather than four discrimination curves commonly used in existing estimation algorithms. We also propose an atomic number estimation us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logarithmic curve rather than linear interpolation. Whe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is used as a weight, we used two methods of using the weight for the two nearest reference materials and the weight for all the reference material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tomic number estimation of materials us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as a weight is more accurate than the existing methods. In order to visualize the estimated atomic number, the HSI model was used for color the resulting image.

      • KCI등재후보

        노화과정의 생쥐 간과 신장에서 paraquat 에 의한 superoxide dismutases 와 metallothionein 의 유도에 관한 연구

        이태범(Tae Bum Lee),박유환(Yoo Hwan Park),민영돈(Young Don Min),최철희(Cheol Hee Choi) 대한내과학회 2001 대한내과학회지 Vol.61 No.4

        N/A Background: A number of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the nature of aging process. Unfortunately, there is so far no theory that can completely explain all aging processes. In the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roles of inducibility of defense mechanisms by oxidative stress, cellular mRNA level of super oxide dismutases (SODs) and metallothionein (MT) as well as their inducibility by paraquat, an intracellular super oxide generator , was examined in the liver and kidney of the mice of aging process. Methods: The steady-state levels of SODs and MT mRNA and their induction by paraquat were determined by the RT-PCR assay in male mice of 4 ages, 1, 4, 8, and 12 months. Results: In the liver, the steady-state levels of Mn-SOD, Cu/Zn-SOD and MT mRNA increased until 8 months with age and decreased significantly at 12 months. Cu/Zn- SOD and MT mRNA were induced well by paraquat at all ages but Mn-SOD mRNA not at 12 months. In the kidney, their mRNA levels of Mn-SOD, Cu/Zn-SOD and MT increased with age. Mn-SOD mRNA was induced by paraquat only at 1 month but Cu/Zn-SOD mRNA not at all ages. On the other hand, MT mRNA was significantly induced by paraquat at all ag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Ds and MT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and induced according to the age and organs .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lack of induction of Mn-SOD by oxidative stress in both the liver and kidney may be one of causative factors in the aging process while Cu/Zn-SOD and MT in the liver and MT in the kidney may play protective roles in the aging process. It is therefore implicated that the tissue antioxidant/prooxidant balance could be one of determinants of mean life span. (Korean J Med 61:430-438, 2001)

      • KCI등재

        지적정보 기반의 측량성과 데이터 세트 설계

        이태범(Lee Tae Bum),김감래(Kim Kam Rae) 한국지적정보학회 201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2 No.2

        최근 지적정보는 풍부한 전산 인프라를 통하여 매우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지적정보는 현재 공시되는 공적장부와 지적측량성과, 지적기록물로 분류할 수 있다. 지적관련 기록물은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지적측량결과도, 면적측정부, 측량성과도 등은 영구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서는 공시되는 자료만을 포함하고 있어, 지적측량성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적정보 중 지적관리 및 지적측량에 사용빈도가 높은 지적측량성과와 지적 기록물에 대하여 지적측량성과 데이터 세트로 설정하고, 현재 공시되는 지적공부의 정보와 연계할 수 있는 지적측량성과 데이터 세트 구축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Recently cadastral data has been being very rapidly developed by an abundant of computational infrastructure, Korean cadastral data can be classified into official book, cadastral surveying result and cadastral recording announced officially, Archives related with cadastre such as cadastral surveying result map, planimetry book and surveying result map so on should be stored permanently according to the Public Archives Management. As the Korean Land Information System should include data announced officially, it needs to establish a database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In this paper, cadastral surveying results and cadastral archives used most frequently in cadastral management and cadastral surveying are set up as a data set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and an establishment approach of a data set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connected with data of cadastral books is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